728x90

유전자조작 작물을 만드는 기술은 날이 갈수록 발전하며 그 속도가 점점 더 빨라지고 있다.

이번에는 사과이다. 과일에서는 파파야에 이어 두 번째로 승인을 받으리라 기대된다고...

---------


Okanagan Specialty Fruits의 과학자들이 개발한 새로운 유전자조작 사과. 갈변이나 상처가 잘 나지 않는다.


캐나다 회사 ‘Okanagan Specialty Fruits’가 개발한 GM사과가 2010년부터 미국의 관련부서에서 승인 검토과정을 거치고 있다. 만약 승인이 된다면 파파야에 이어 미국에서 승인된 두 번째 과일이 될 것이다.

미국 농무부와 FDA의 승인 심사를 받고 있는 이 GM사과가 승인될 전망은 현재로서는 밝다. 상처나 갈변이 잘 생기지 않기 때문에 일병 '보톡스 사과'로 불리는 이 사과는 각각 ‘Arctic Granny Smith’와 ‘Arctic Golden Delicious’라는 이름을 가지고 있으며, 이 GM사과 들은 음식물쓰레기의 양을 줄이고 맛과 질감 및 영양소의 보존이 보강되었다.

하지만 이 GM사과의 유전자 오염으로 유기농 사과의 유럽 판매량이 줄어들 수 있다며 워싱턴 주의 사과 재배농민들은 승인에 반대하고 있다.



 Okanagan Specialty Fruit의 대표 Neal Carter 씨가 올해 말 미국 농무부와 FDA에서 이 사과를 승인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하고 있다.

Okanagan은 몬산토와 마찬가지로 유전자조작식품 표시제에 반대하고 있지만, 스스로 ‘Artic'이라는 표시를 붙여서 다른 일반적인 사과와 구별할 것이라고 한다. 

갈변에 작용하는 효소를 제어하면 갈변이나 변색을 막을 수 있다는 것이 이 사과의 개발 원리로, 3년에 걸친 엄격한 조사 결과 일반 사과와 마찬가지로 안전한 것으로 드러났다. 파파야에 이어 미국에서 승인을 받게 될 과일이 될 것이라 기대하고 있다. Okanagan은 앞으로 30일 동안의 2차 공청회가 있은 뒤 2013년 말쯤 승인이 되리라 예상하고 있다.  



http://www.nydailynews.com/news/national/gmo-apples-don-bruise-brown-stores-article-1.1340831


728x90
728x90

"전설이 사실이 되면, 전설은 출간된다."



(사진) 옥스포드 농업회담에서 연설중인 Mark Lynas 씨.




왜 어떤 사람들은 주목받지 못하고, 어떤 사람은 갑자기 세상의 이목을 끄는가? 최근 환경주의 작가 Mark Lynas 씨가 유전자조작 작물에 관한 논쟁에서 얻은 명성은 신화의 권력이 주는 교훈이다. (실제로 GM작물을 연구하다가 그 위해성을 인식하며 GMO 반대자로 돌아선 과학자들이 꽤 있지만, 그들의 행적과 주장에 대해서 언론은 그다지 주목하지 않는다. 여기 캐나다 농업연구소에서 10년 동안 GM작물을 연구하던 Thierry Vrain 박사를 보라http://bit.ly/19UDRoS)

옥스포드 농업회담에서 행한 널리 알려진 연설에서, Lynas 씨는 그린피스 시절 GMO 작물을 파괴한 일에 대해 공개사과했다. 최근 "과학"에 대해 발견하며 그는 GMO를 지지하지 않을 선택의 여지가 없었다고 한다. 그는 기아를 악화시킨다며 GMO 반대자들을 비난했다. 즉시 그의 옛 환경 동맹들은 그를 꼬챙이에 뀄지만, 그의 극적인 전환에 농산업의 우승자들은 크게 축하를 건넸다.

Mark Lynas 씨가 GMO와 과학에 관하여 잘못한 일의 세탁 목록은 광범위하며, 일부 농생태학자와 생물학자 들에게 조목조목 반박을 받았다(Lynas 씨에게 할당된 것처럼 수많은 언론의 주목은 받지 못했지만). Mark Lynas 씨의 GMO에 대한 과학적 논쟁은 "끝났다"는 단언은, 사실 증거를 넘어선 이데올로기적 포용을 보여주는 것이다. 과학적 논쟁은 결코 끝나지 않았다. 토마스 쿤은 고전 <과학혁명의 구조>에서 과학은 단지 사실들의 누적이 아님을 명확히 했다. 그것은 역사와 끊임없이 변화하는 지적인 유행에 의해 결정되는 지식이며, 심지어 가정 널리 인정되는 과학에 대한 믿음조차 극적인 패러다임 변화를 겪기도 한다. 따라서 Lynas 씨가 지금 충성을 고백한 주류 과학이 기아에 대해 마지막 말을 해야 할 것이다. 

그러나 문제는 Mark Lynas 씨가 아니다. 

사실 그는 무소속 환경주의자로 유명했지만, GMO와 주류 과학에 대한 그의 관점은 세계 야생생물기금과 국제보호협회, 자연보호협회 같은 "3대" 대형 자연보호단체와 다르지 않다. 종자와 화학산업을 지배하는 독점업체와 산업계 친화적인 정책을 보장하기 위하여 회전문을 활용하여 그들이 들어간 정부기관처럼, 이러한 세계적 보호론자들은 자신의 정치경제적 이해를 앞당기고 자신들의 위치와 권력에 의문을 제기하는 과학을 무시하기 위하여 신중하게 과학을 선택한다. 그들 모두는 자신의 추정을 사실로 가장하기 위하여 기업의 이념을 지지한다. Lynas 씨의 명확한 태도 전환에는 문제에 대한 어떠한 새로운 증거도 없다. 그러나 그것이 세계의 기술주의의 신화 창조능력을 강화시킨다. 

예를 들어 3대 자연보호단체는 섬이란 적합한 서식지에 종의 풍부함(생물다양성)이 관련 있다는 "섬 생물지리학"이라 불리는 이론에 독단적으로 집착한다. 갈라파고스에서 행한 다윈의 관찰에 일부 근거하고 카리브해의 섬들에서 강력한 생물 파괴제와 시험된, 그 이론은 종이 풍부한 섬이 생물학자들이 "메트릭스"라 부르는 종이 자력으로 이동할 수 없는 바다에 존재한다는 것이다. 시간이 지나면서 더 크고 본토에 가장 근접한 메트릭스의 섬이 작고 멀리 떨어진 섬보다 더 풍부한 종이 생길 것이다. 오늘날 대형 자연보호론, 이 이론은 농업 경관의 "메트릭스"에 바다의 표면처럼 생물학적으로 자력 이동이 불가능하다고 간주되는 숲의 조각(섬)을 적용한 것이다. 이것이 3대 자연보호단체가 생물다양성을 보존하기 위한 커다란 자연보호구역(복도로 연결되기도 함)을 확보하도록 추동한다. 그것이 또한 3대 자연보호단체가 공업형 농업과 파우스트의 계약을 맺도록 추동하기도 한다. 대형 농업은 자연보호를 위하여 토지를 구입하여 3대 자연보호단체의 전략을 지지할 것이다. 그 대가로 3대 자연보호단체는 대형 농업의 새로운 GMO 기술을 지지할 것이다.

대형 농업에 따르면, 유전자변형 작물은 이용할 수 있는 농경지에서 재배하는 식량의 양을 증가시킨다. 기술주의의 용어로 이는 "지속가능성의 강화"라 하고, 자연보호구역에 대한 농업의 압력을 감소시킨다고 추정된다. 지지자들은 그것이 더 많은 식량을 생산할 것이라 주장한다. 진정한 우승자들 -몬산토, 빌 게이츠, 기업의 과학자 집단- 은 세계의 기아를 끝내는 유일한 길이라 믿는다. 

3대 자연보호단체는 오른쪽 절반이다. GMO를 심은 거대한 공업형 농장은 정말로 광대한 농업 경관을 "녹색사막"이라 불리는 획일적인 메트릭스로 바꾸어 놓는다. 이러한 풀이나 곤충, 심지어 포유류조차 없는 단일 종의 농장이 콩, 옥수수나 사탕수수와 같은 하나의 작물에 의해 점령되고, 매우 많은 투자가 필요하다. 그들의 거대한 경제 규모는 무역업자와 가공업자, 화학물질과 종자 공급자들에게는 매우 수지 맞는 일이다. 공업형 농장의 메트릭스는 자본이 풍부하지만, 종은 빈곤하다. 또한 매우 소수의 사람들이 고용된다. 

그러나 우리가 세계의 농업을 이해하기 위해 최신 생태학 이론과 농생태학의 과학을 활용한다면, 섬 생물지리학 이론과 그 지속가능성의 강화라는 귀결을 해결할 수 있다. 

먼저 수확량을 단위면적당 무게로 측정하는 기업의 신화와 달리, 소농과 가족농은 정기적으로 공업형 농장의 생산력을 앞선다. 미국 농무부조차 이를 인정한다. 그러나 소농은 일반적으로 복합영농(한 농지에 다양한 종과 품종을 동시에 재배)을 실천하기에 한 종의 작물에 대한 단위면적당 수확량은 대규모 단작 방식보다 낮을 수밖에 없다. 어쨌든 농지 공간의 일부는 다른 작물이 차지한다. 복합영농에서 모든 작물의 순일차생산성을 고려할 때, 대규모 단작은 일반적으로 생산성에서 그 다음이다.  

현실에서, 공업형 농장이 실제로 기아자를 위해 식량을 재배하는 법은 없다. 그들은 고기와 에너지에 대한 중산층의 욕망을 충족시키고자 사료와 연료를 재배한다. 기업의 신화와 달리, 소농의 농업 -공업형 농업이 아니라- 은 세계의 대부분을 먹여살린다.

둘째, 소농의 농업은 농지에 작물과 나무, 물고기, 양봉 등을 혼합하여 생물학적으로 다양한 경향이 있으며 이는 종자와 흙, 물, 동물에 대한 광범위한 지식과 관리법이 필요하기에, 종이 자력으로 이동할 수 없는 공업형 농업과 전혀 다르다. 이와 대조적으로 생물학자 John Vandermeer 씨와 Ivette Perfecto 씨, Angus Wright 씨 -열대의 농생태학과 소농의 농업에 대한 오랜 전문가들- 는 개척자적인 작업인 "자연의 메트릭스"에서 농장과 숲의 전체적 생물다양성은 실제로 소농의 농업으로 향상된다는 것을 입증했다. 이는 '숲 조각의 자연은 그를 둘러싼 농업 메트릭스의 자연만큼 종의 보호를 위해서는 별로 중요하지 않기' 때문이다. 종이 풍부한 메트릭스에서 유래하는 종을 보충하지 않는 한 3대 자연보호단체의 보호구역 조각에서 생물종은 필연적으로 멸종해 갈 것이다. 섬 생물지리학의 이론은 카리브해의 섬에서 적용할 수는 있지만, 소농과 농생태학으로 관리되는 농업의 관점에서 볼 때는 실패한 모델이다. 이러한 농장의 농업생물다양성은 공업형 농업 메트릭스의 일부가 아니라 실제로는 "자연의 메트릭스" 가운데 일부이다. 그들의 보존은 자연 보호구역에서 숲과 생물다양성을 보존하기 위하여 필수적인 것이다. 

GMO 기술은 모든 농업을 향상시키지 않는가? 아니다. 이것은 또다른 기업의 신화이다. 소농은 값비싼 종자, 화학비료, 라운드업, 2-4D 등 현재 GMO 작물이 필요로 하는 모든 농약을 여유가 없다. 또한 그것이 필요하지도 않다. 농생태학의 과학과 실천은 농민이 농업생태계를 스스로 해충을 관리하고 토양비옥도를 유지하며 생물다양성을 감소시키지 않고 늘리는 방향으로 관리하도록 한다. 라운드업의 살포는 "슈퍼잡초"를 생산하고 농생태학을 실천하는 농민들이 먹을거리로 먹고 농업생태계를 관리하는 데 활용하는 식물을 죽인다. Baccillus thurengensis에서 얻은 유전자를 주입한 덕에 스스로 농약을 "생성하는" 유전자변형 식물은 익충도 소멸시키고,  결국 더 많은 농약이 필요하도록 내성이 생긴 해충이 발생한다. GMO의 대규모 단작으로 전환한 소농은 파산하고 굶주릴 위험에 빠진다. 또한 대규모 단작은 소농의 가족이나 지역사회를 위한 것이 아니라, 공업형 농장의 시장지배력과 경쟁할 수 없는 세계의 상품시장을 위해 식량을 생산한다. 

왜 시장의 보이지 않는 손은 이러한 "비효율적인" 생산자를 밀어내지 않고, 공업형 농장(과 대형 자연보호업체)를 식량체계에 넣고 있는가?

그건 현재 세계의 절반 이상을 먹여살리는 20억 정도의 소농을 5000만 개의 공업형 농장으로 대체할 수 있다고 생각해서이다. 이들이 (매우 지속가능하지 않더라도) 2050년까지 지구에 추가될 10억 명을 먹여살릴 식량을 생산할 수 있다. 그러나 여기에는 두 가지 큰 문제가 있다. 

첫째, 사실 우리는 이미 10억 명을 먹여살릴 충분한 식량을 생산하고 있는데 아직도 7명 가운데 1명(10억 정도)은 굶주리고 있다. 그들은 가난하고 이미 생산된 식량을 살 여유가 없기에 굶주린다. 

두 번째 큰 문제는, 추방된 농민들이 모두 어디로 갈 것인가? 이 모든 잉여 노동력을 받아들일 새로운 산업혁명은 없을 것이다. 이주 속도는 이미 도시와 북반구의 노동력 수요를 훨씬 넘어섰고, 자신과 그 지역사회를 지탱하기 위한 수단을 잃은 사람들이 공업형 농업의 진정한 '난민'으로 몰리고 있다. 기아를 끝내는 과제는 세계의 식량 가운데 대부분을 실제로 생산하고 있는 사람들에게 지속가능한 농업 생계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는 공업형 농업의 GMO가 아니라, 농생태학을 실천하는 소농의 농업으로 달성될 것이다. 추가 혜택으로 그들은 탄소를 포획하여 지구의 온도를 낮추고, 다각화된 농법으로 농업생물다양성을 보존할 것이다. 

그럼 왜 농생태학의 과학과 세계 소농의 엄청난 잠재력이 주류 과학과 대형 농업, 3대 자연보호단체에 의해 꾸준히 무시되고 있는가?  
아주 간단히 말하자면, 큰 돈 때문이다. 

연료와 화학물질, 농식품 산업의 독점은 세계 시장을 지배하고, 지속적으로 주주들에게 3%의 복리를 보장하기 위하여 토지에 기반한 사업을 확대해야 한다. 그렇게 하지 못하면, 주가가 떨어질 것이다. 그걸 유지하려면 세계의 종자와 투입재, 곡물과 가공을 독점하여 지배해야 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분자생물학과 유전학의 과학에서 도출한 응용법이 GMO를 설계하는 데 사용된다. 산업의 신화와 달리, 유전공학은 과학이 아니다. 그것은 특정 과학의 분과에 기반하고 있는 공학이다. 분자생물학의 과학은 매우 복잡하고 엄밀할 수 있는 한편, 종자의 유전공학은 실제로 다소 서투르고 부정확할 수 있다. 그렇게 가격이 비싼 이유 중의 하나가 이것이다. 유전학도 매우 복잡하다. 작물 육종에 그걸 적용하여 대량의 화학비료와 제초제, 살충제가 필요한 다수확 교잡종을 생산한다. 교잡종과 GMO의 결혼은 산업계의 요구를 완벽하게 충족시키는 제품을 낳았다. 이들 기업이 생산하는 화학적 투입재가 필요한 다수확 종자만이 아니라 종자의 유전자에 대한 독점적 소유권을 허용하여, 미국 중서부와 브라질의 세라도 같은 대륙의 경관을 독점적으로 지배하도록 보장했다. 

GMO에 Mark Lynas 씨의 환경보호주의를 연결하는 신화는 독점적 지배와 구식의 자연보호론, 유전공학에서 기원하고 있다. 이 모두는 강력한 이데올로기적 칵테일을 만들 수 있는 바텐더를 필요로 한다. Mark Lynas 씨가 기업의 바텐더로 나서지 않았어도 누군가 그렇게 했을 것이다. 사실 산업계의 기술주의는 대형 농업을 방어하기 위한 준비태세로 관료라는 예비군을 보유하고 있다. 하지만 Lynas 씨는 산업의 신화라는 강력한 우물에서 또다른 음료수를 꺼내들어 언론의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테두리가 눈에 띄게 균형잡힌 화려한 작은 우산을 제공했다.

쭉 들이키시길, Lynas 씨.



http://www.huffingtonpost.com/eric-holt-gimenez/of-myths-and-men-mark-lyn_b_2591502.html

728x90
728x90

Plums that have been genetically engineered to be resistant to the plum pox virus


In spite of two decades of stunning scientific, humanitarian and financial successes and an admirable record of health and environmental safety, the application of genetic engineering to agriculture is still beleaguered by activists. And they will be out in force on Saturday (25 May) for the “March Against Monsanto,” which will be marked by numerous events worldwide to protest the company’s prominence in the production of genetically engineered crop plants.


In the past, the participants in such events have resembled a cross between Halloween trick-and-treaters in weird costumes and the 19th century Luddites who destroyed labor-saving textile machinery.

But anti-genetic engineering activism is far from being all fun and games. When the activists are unable to sway public opinion with flagrant misrepresentations or to intimidate regulators into rejecting or delaying products, they often resort to harassment with nuisance lawsuits and even to vandalism of field trials.  Their stock in trade is The Big Lie – namely, that the application of molecular methods of genetic improvement is unwanted, unneeded, unsuccessful and unsafe.  These allegations have been debunked repeatedly over the years, as they are once again in a newly-released analysis from U.K.-based PG Economics and published in the peer reviewed scientific journal GM Crops.

Farmers certainly don’t believe that genetic engineering is unwanted, unneeded or unsuccessful.  The net economic benefit at the farm level in 2011 was $19.8 billion, equal to an average income premium of $329/acre.  For the 16 year period 1996-2011, the global farm income gain was $98.2 billion.  Of the total farm income benefit, 49% ($48 billion) was due to yield gains resulting from lower pest and weed pressure and improved genetics, with the balance arising from reductions in the cost of production.

The insect-resistance technology used in corn and cotton has consistently delivered yield gains from reduced pest damage.  The average yield gains over the 1996-2011 period across all users of this technology were 10.1% for insect-resistant corn and 15.8% for insect-resistant cotton.

What kinds of farmers benefit from genetically engineered crops?  About half (51%) of the 2011 farm income gains went to farmers in developing countries, 90% of whom are resource-poor, small operators. Cumulatively (1996-2011), the benefits were again divided about equally between farmers in developing and developed countries.

According to the PG Economics analysis (as well as many others), genetically engineered crops offer important benefits in addition to improvements to the bottom line.

First, their use has obviated the need to cultivate vast additional amounts of arable land.  Between 1996 and 2011, genetically engineered crops were responsible for the production of an additional 110 million tons of soybeans, 195 million tons of corn, 15.8 million tons of cotton lint and 6.6 million tons of canola.

If modern genetic engineering had not been available to the 16.7 million farmers using the technology in 2011, maintaining global production levels at the 2011 levels would have required additional plantings of 13.3 million acres of soybeans, 16.3 million acres of corn, 8.15 million acres of cotton and 490,000 acres of canola. This total area requirement is equivalent to 9% of the arable land in the United States.

Second, the cultivation of genetically engineered crops has reduced significantly the release of greenhouse gas emissions from agricultural practices.  This is due to less fuel use and additional sequestration of carbon from reduced tillage with the cultivation of genetically engineered crops, as compared to conventional varieties.  In 2011, this was equivalent to removing 23 billion kg of carbon dioxide from the atmosphere or to removing 10.2 million cars from the road for a year.

Third, the cultivation of pest-resistant genetically engineered crops reduced pesticide spraying by 474 million kg (-9%) between 1996 and 2011.  This decreased the environmental impact associated with herbicide and insecticide use on the area planted to genetically engineered crops by 18.1%.

Are genetically engineered products safe?  There is a long-standing consensus in the scientific community that the newer techniques of genetic engineering are essentially an extension, or refinement, of earlier methods for genetic improvement.  As long ago as 1989, a National Research Council analysis concluded, “Crops modified by molecular and cellular methods should pose risks no different from those modified by classical genetic methods for similar traits.  As the molecular methods are more specific, users of these methods will be more certain about the traits they introduce into the plants.”

And according to the Society of Toxicology, “There is no reason to suppose that the process of food production through biotechnology leads to risks of a different nature than those…created by conventional breeding.”

Even the notoriously risk-averse FDA “is not aware of any information showing that foods derived by these new methods (plant biotechnology) differ from other foods in any meaningful or uniform way, or that, as a class, foods developed by the new techniques present different or greater safety concern than foods developed by traditional plant breeding.”  For that reason, the FDA does not discriminate against genetic engineering techniques; rather, the degree of regulatory scrutiny depends on factors related to risk, such as whether a new food contains a substance completely new to the food supply, has higher levels of an endogenous toxin, or presents an allergen in an unexpected milieu.

When the naysayers remonstrate that genetically engineered foods have not been proven safe for human consumption, they are ignoring that to ensure their safety, all genetically engineered crops are extensively tested for toxins, allergens, and nutritional value before being marketed.  In fact, as a group, they are the most tested food products sold today.  Conventionally bred crops and varieties, in contrast, undergo no systematic, routine testing for safety or nutritional value; and several, including two varieties each of potatoes and squash and one of celery, have sickened or killed consumers.   Such mishaps are far less likely with the use of modern techniques of genetic engineering.

The antagonists of genetic engineering frequently call attention to the absence of human feeding studies of genetically engineered plants, but to anyone familiar with food science, that is an (obviously) unrealistic expectation.  The safety of any new genetically engineered crop is carefully tested in the laboratory, in the field, and in animals.  It is impossible, however, to design a meaningful long-term feeding test in humans, because it would require the intake of large amounts of a particular food or ingredient over a significant portion of the human life span.  Who would be willing to consume for decadesa fully standardized diet (essential if one wishes to compare groups and isolate the effects of the food under study) that is comprised of, say, 30 percent soybeans, corn or papaya?

This is why no existing food or food ingredient — conventional or genetically engineered — has been subjected to this type of testing.  Academic toxicologists and food safety officials around the world agree that long-term feeding tests in humans are not only virtually impossible to perform but are not necessary to establish safety.

Since 1996, there has also been an outpouring of data, including prodigious amounts of peer-reviewed risk-assessment research, that provides strong evidence in support of the safety of genetically engineered crops and the foods made from them.  During those 17 years, there has been no credible scientific evidence that genetically engineered foods or ingredients cause allergies or any other acute or long-term negative health effects.  Several trillion meals containing genetically engineered food ingredients have been consumed by people around the world, with not a single adverse effect documented.

None of these findings should be a surprise. For decades, the scientific community has regarded the use of molecular techniques for genetic engineering as part of a seamless continuum of the genetic improvement of plants – a refinement of earlier methods.

It’s long past time we got past the pseudo-controversies fomented by anti-technology activists and more fully exploited the commercial and humanitarian advantages of genetic engineering applied to agriculture.


http://www.forbes.com/sites/henrymiller/2013/05/23/debunking-the-big-lie-about-genetically-engineered-crops/2/

728x90
728x90

간략히 살펴보는 전통 육종법과 유전자변형 육종법의 차이.

간략하게 말하자면, 원하는 유전자를 어떻게 식물에 도입하여 나타나도록 할 것인가 하는 방법의 차이라고 할 수 있다.


전통 육종법은 교배를 통해 이루어지기에 아무래도 원하지 않는 성질까지도 도입되어 나타날 수 있는 반면, 유전자변형 육종법은 원하는 특정 유전자만 쏙 도입하여 그것만 잘 나타나도록 할 수 있다. 효율성과 시간에서 가장 큰 차이를 보인다고 해야 할 것 같다.


그런데 이제 문제는 도입시키는 유전자가 어떤 것이냐, 그렇게 해도 괜찮은 것이냐, 사람에게 또 자연에 아무 해가 없는 것이냐부터 시작하여, 그것이 사회경제적으로는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이냐 등등 다양한 측면에서 검토되고 논의되어야 한다는 사실... 하지만 현실에서는 그러한 과정이 생략되거나 무시되면서 여러 가지 마찰을 일으킨다. 




728x90
728x90

Thirty years ago, scientists figured out how to directly modify the genes in our food crops. No more of that inefficient and slow breeding! Farmers would grab plant genes by the horns nucleotides and bend them to their will!

Now, the preeminent science journal Nature has devoted an entire issue to the question (to paraphrase that legendary IBM ad), where are the magic seeds? We were going to get seeds that would grow faster, yield more, save the environment, and be more nutritious. What we got were seeds for a few commodity crops such as corn, soy, and cotton that made their own pesticide or resisted herbicides, but otherwise provided little, if any, benefit to consumers.

Nonetheless, Nature assures us that the magic seeds are on the way. What the journal doesn’t say explicitly, however, is that there’s evidence that for existing GMO seeds, the best days are already over — and the next generation of seeds may be doomed even before they’re in the ground.

Of course, you’ll have to forgive the large biotechnology companies like Monsanto and Syngenta for thinking that they did in fact supply magic seeds. After all, as Nature observes, every year, farmers worldwide plant $15 billion worth of GMO seeds, covering about 420 million acres — an area larger than Texas and California combined — much of it on U.S. land. And those biotech companies earned tens of billions in profits off of them.

It’s an undeniably impressive feat. Just look at these charts of GMO adoption by farmers:



But popularity ≠ sustainability. What about charts that demonstrate GMOs’ vaunted yield increases and environmental benefits? Not to be found. That’s probably because, for all their marketplace success, it’s very difficult to measure exactly how much GMOs have increased crop productivity. one recent USDA study even found that yields for some GMOs were lower than for their conventional counterparts, though they did decrease the overall risk of crop failure.

In fact, if you look at charts of corn yields over time, what you see amid the volatility is a pretty consistent, modest trend that began in the 1930s with the introduction of conventionally bred hybrid seeds.


You can’t look at the chart and guess when GMO seeds were introduced (hint: 1996) by some huge increase in the yield curve. Certainly, it’s not the way you could glance at a graph of, say, the tuberculosis death rate in the 20th century and instantly identify the date antibiotics were introduced.

The commercialization of GMO seeds starting in 1996 didn’t lead to any agricultural great leap forward. It’s a far cry from what biotech advocates declare: that we need GMOs in order to feed a growing world population or face mass starvation.

As for environmental benefits, Nature was unable to cite any independent assessment. one article [sub req'd] quotes a single industry-funded study which determined that between 1996 and 2011, GMOs drove a 6 percent drop in pesticide on cotton crops, while overall the technology offered about a 9 percent improvement to the “environmental impact quotient” — a measure that takes into account impacts on wildlife and so on.

And the price for this very modest “progress”? We’ve handed over the seed industry — and in a meaningful sense, the agricultural system — to a handful of large companies. In 2010, 85 percent of all corn and 92 percent of soy planted in the U.S. contained Monsanto’s patented genetically modified traits. It doesn’t quite seem worth it.

But even that modest formulation of GMOs’ benefit may be overstating the case. As author Sam Fromartz put it in an essay on theAtlantic, GMOs have actually accelerated agriculture’s decline into unsustainability because:

… we’ve used them bring down the cost of industrial meat production and incentivize a transition to a meat-centric diet. The loss of calories that result from feeding grains to animals instead of humans represents the annual calorie needs of more than 3.5 billion people, according to the UN Environmental Program. In short, GMOs arguably are making matters worse by fueling the production of more animal feed and food-competing biofuels.

And, yes, agrees Nature, they’ve also driven the rise of superweeds that are immune to the effects of common herbicides central to GMO agriculture. It’s this now-established fact that threatens GMOs’ meager benefits. While farmers enjoyed a 15-year window of reduced pesticide use thanks to seeds that make their own or resisted the effects of others, superweeds and superbugs are now causing farmers toincrease pesticide use.

In an op-ed in Food Safety News, agricultural scientist Charles Benbrook makes this very point, often overlooked by writers who cover the subject. He notes that compared to the early years of GMOs, farmers now must use twice as much herbicide, and seeds that emit multiple pesticides, to get the same amount of growth as GMOs used to achieve.

Benbrook observes that the growing pest and weed problems for GMOs have caused farmers to turn to seeds that are coated with a different pesticide — a neonicotinoid. If that name rings a bell, it’s because these pesticides that have been implicated in the increasing epidemic of bee deaths. He also reveals something that I have not previously heard — that there has recently been what he calls a “historically unprecedented” 10-fold increase in fungicide use on U.S. crop acres, most of which are planted with GMO corn and soy. So much for those GMO environmental benefits.

And that’s aside from the evidence that biotech’s “next big thing” — seeds that emit multiple pesticides — may be doomed to fail. An international team of researchers, including USDA and biotech scientists, found what they termed “cross-resistance” to these pesticides in bugs exposed to the next-generation GMO seeds. Evidence, in other words, that GMO seeds are hitting a bug-covered wall.

But never mind all that! Nature wants to assure us that we need to remain committed to genetically modified food because the long-promised “jetpack era” — the one we’ve supposedly all been waiting for — is almost upon us. It’s a familiar refrain: Don’t mind the paltry benefits so far; the genetically modified best is yet to come! If only the public is willing to eat it, that is.

And it’s the public that Nature identifies as a big part of the problem, as those pesky humans constantly throw up roadblocks to the latest engineered foods. (Witness yet another state referendum on GMO labeling, this time in Washington state.) Consumers, with what theNature editors declare are their “fears of the unfamiliar,” truly loom as the bad-guy in this debate.

Nature’s exploration of GMOs, which, given the journal’s — heh — “nature,” understandably restricts its focus to the science, ends up misinterpreting pubic distrust in GMOs. You can’t understand the GMO debate without factoring in the political and corporate system in which it takes place. It’s like considering the causes of obesity without addressing the role of food marketing — obesity is not just about people on their own making bad choices.

GMOs didn’t come to dominate our agricultural system simply because they’re awesome, and they’re not struggling for acceptance because the public is fearful and/or misinformed. Corporations made billions on GMOs and all we got was ethanol and an unsustainable diet. Is it so surprising that we’re skeptical that the next time around will be any different?


728x90
728x90

2월 19일, 미국 대법원에서는 "Bowman 대 몬산토 주식회사"가 GM종자 특허를 두고 소송이 진행된다. 한편 ‘Center for Food Safety’와 ‘the Save Our Seeds’는 이번과 유사한 소송 사례들을 묶어서 "종자 거인 대 미국의 농민(Seed Giants vs. U.S. Farmers)"라는 제목의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몬산토는 2013년 1월까지 미국의 27개 주에서 410명의 농부들과 56곳의 소규모 농장 사업체에 대하여 종자 특허를 침해했다는 144건의 소송을 제기하였다. 몬산토, 듀폰, 신젠타의 3개 거대 종자기업이 전체 상업용 종자 시장의 53%를 점유하고 있으며, 이들이 지난 1995년부터 2011년까지 종자의 가격 인상을 유도하여, 에이커 당 대두를 경작하는 비용을 평균 325%, 옥수수 종자 가격을 259%나 높였다고 지적하고 있다. 

종자 특허는 생물학 분야의 발명이나 발견을 법적으로 보호하기 위한 생물 특허의 한 형태인데 몬산토나 다른 주요 기업들의 경우 GM종자에 대한 특허들을 보유하고 있다. 최근에 이들 및 다른 기업들은 자신들의 종자 특허를 침해했다는 이유로 농부들에게 소송을 제기하고 있다. 이는 농부들이 이들 기업에게 돈을 지불하지 않고는 해당 종자를 재배할 수 없음을 의미한다. 

그런데 농부들이 합법적으로 종자를 구입하고, 이를 재배하여 작물을 얻은 후에 거기에서 확보된 종자를 다시 재배하는 것에 대해서는 좀 복잡한 상황에 처하게 된다. 여기에 대해서 대부분의 기업들은 불법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Bowman 대 몬산토 주식회사”의 사례에서 Bowman의 주장에 따르면 새로운 종자를 구입하는 대신에 등록된 몬산토의 판매업자로부터 2세대 종자를 합법적으로 구입했다고 한다. 이에 대해서 몬산토는 Bowman이 자신들의 제품을 본질적으로 훔친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몬산토는 특허가 자신들의 사업 이익을 보호하며, 여러 GM 연구개발에 많은 돈을 투자할 동기를 제공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이번 보고서의 저자인 Bill Freese는 특허가 더 뛰어난 작물을 개발하게 해준다는 것은 말도 안된다고 지적한다. 그는 20세기에 얻어진 주요 신품종 대부분이 공공 기금의 지원을 받는 농업연구와 기존 육종에서 비롯되었다고 강조했다. 최근 작물의 다양성이 크게 감소하고 있으며, 여기에는 거대 농업 기업들이 상당히 기여했다고 기술하고 있다. 



728x90
728x90

마크 라이너스의 이야기가 한국에 이제야 전해지면서 떠들썩하군요. 그의 주장을 한 번 살펴볼까요?

먼저 아래의 링크된 기사를 읽어 주십시오.


http://www.thinkfood.co.kr/news/articleView.html?idxno=52171


라이너스 왈, "GM이 농약사용을 증가시킨다고 생각했으나 해충 저항성 면화 및 옥수수는 살충제가 거의 필요 없다." 

맞습니다. 물론 그렇습니다. 살충 성분을 지닌 GM작물은 그의 말과 비슷하죠. 하지만 제초제 내성을 지닌 풀들은 그렇지 않다는 연구가 속속 나타나고 있습니다. 이건 뭔가요? 또한 BT 목화나 옥수수도 점차 슈퍼버그가 늘어나고 있다는 사실... 그걸 그는 간과한 것일까요, 아니면 일부러 모른척한 것일까요? 과학적 연구가 자신의 오해를 불식시켰다면서 새롭게 등장하고 있는 과학적 연구에 대해서는 잘 모르는 척 하는 모습은 무엇이란 말입니까?


라이너스 왈, "GM은 단지 대기업에만 이득이 되는 줄 알았지만 투자를 거의 못하는 농업인들에게 수십억 달러의 혜택이 돌아갔다." 

이미 농사도 하나의 도박과 마찬가지입니다. 판돈을 크게 거는 사람이 크게 걸리면 크게 돈을 법니다. 소농보다는 대농이 훨씬 더 유리하지요. 그가 어떤 농업인들을 염두에 두고 이야기하는 것인지 모르겠으나, 소농들에게는 비싼 GM작물의 종자값으로 인하여 부채가 늘어나고 있다는 사실은 이미 잘 알려진 사실입니다. 이건 마치 과학이란 이름으로 현실을 무시하는 발언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아니면 정말 몰랐던가요.


라이너스 왈, "어느 누구도 GM을 원치 않는다고 생각했지만 실제로는 Bt 면화가 인도로 불법 복제됐으며, 집합적으로 준비된 콩은 브라질로 복제되는 등 농업인들이 간절히 원한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 

하하하, 당연하지 않습니까? 직장인 등의 도시민은 자신을 더 비싼 값에 고용하겠다는 기업을 마다합니까? 몇몇을 제외하고는 절대 그렇지 않을 것입니다. 농민들도 똑같습니다. 지금의 농업 체계가 수확이 더 많고 그만큼 돈을 더 벌 수 있는 작물에 집중되고 있지요. 그뿐입니다. 농민은 무슨 성직자만 있답니까? 농민들도 사람입니다. 결혼하고 아이를 낳고 늙어갑니다. 그것은 이 사회 속에서 일어나는 일로 사회 체제의 문제이지 농민들만의 문제가 아닙니다. 그걸 가지고 뭐요? 농업인들이 간절히 바란다는 사실을 새삼 깨달았다고요? 이런 현실감 없는 사람의 이야기를 어디까지 들어줘야 하는 것인지 모르겠습니다.


라이너스 왈, "GM이 위험한 것이라고 여겼으나 돌연변이를 유발하는 전통 육종보다 더 안전하고 정밀하다." 

과학으로 구원을 얻었다는 사람이 할 말이 아니라고 봅니다. GM이 위험하다고 여겨지는 건 현실에서 일어날 수 없는 종 간의 결합이 이루어지는 측면 때문입니다. 전통 육종은 같은 종 안에서 중매결혼을 통해 아이를 생산하고, 또 그 아이들을 중매결혼시키고 하는 과정을 반복하며 원하는 품종을 만드는 과정입니다. 그러나 유전자변형이라는 것은 그렇지 않다. 토마토에 물고기의 유전자를 넣는 일도 있습니다. 현실에서 그런 일이 일어날 수 있습니까? 토마토와 물고기가 섹스를 할 수 있나고 말입니다.그러나 유전자변형에서는 그러한 일이 일어납니다. 그것을 통해 아주 효율적으로 단기간 안에 원하는 목적을 이루어내는 것입니다. 유전자조작에 대한 우려는 바로 그러한 부분 때문에 일어나는 것입니다. 라이너스 당신은 도대체 과학을 아는 사람인지 묻고 싶습니다.

물론 전통육종의 방법 중에 방사선을 쬐여서 돌연변이를 유도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그건 그만큼 그 종에 없는 특성을 그 종 안에서 찾기 힘들기 때문에 인위적으로 돌연변이를 만드는 것입니다. 옛날에 닌자거북이라는 만화처럼 말입니다. 그러한 방식의 전통육종은 저도 반대합니다. 얼마나 이상한 짓입니까. 그러나 어떠한 종 안에서 자유연애는 아니더라도 중매를 통해 결혼시키는 방식의 전통육종은 절대 그렇지 않습니다. 그러한 전통육종의 방식까지도 싸잡아 비판하는 것이라면, 농민이 가장 훌륭한 육종가라는 말은 거짓임은 물론, 농민이야 말로 세상을 더럽힌(?) 패륜아들입니다.

  

라이너스 왈, “지구온난화와 인구 증가에 따른 식량 및 물 부족, 살충제와 인공비료 사용으로 인한 생태계 부영양화 등 인류가 직면하고 있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 GM을 받아들여야 한다.”

그래서 지금과 같은 농법이 아닌 새로운 녹색혁명이 필요하다며 수많은 과학자들이 연구와 조사에 매달려 내놓은 연구보고서가 있습니다. 라이너스 당신은 이 보고서를 읽어보지 않았습니까? 과학적 자료를 검토한 뒤에 태도와 세계관을 바꾸었다면서요? 현재 국제 농업계는 크게 두 가지 줄기로 갈라져 있다고 봅니다. 하나는 유전자변형(사실 조작이라고 하고 싶지만) 작물을 이용한 제2의 녹색혁명과 농법과 농업만이 아니라 사회경제적 구조도 함께 바꿔야 한다는 새로운 녹색혁명을 주장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녹색혁명의 패러다임은 기본적으로 근대 사회의 패러다임과 같습니다. 무한한 성장, 발전, 그리고 그것이 바로 진보... 그러나 지금은 그렇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뭐랄까... 적당함, 적절함, 느림을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받아들이고 우리 삶에 적용해야 하는 때가 아닐까 합니다. 인류가 지금처럼 산다면 지구가 2개 넘게 있어도 모자라다는 보고들도 있지요. 기술이 아무리 발전해도 한계치가 있지 않을까요? 라이너스와 달리 저는 인류가 직면한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패러다임의 전환과 그에 따른 농법 및 삶의 변화가 근본적이라고 봅니다.


라이너스 왈, "2011년 독일에서 53명이 죽고 3500명이 신장질환을 겪은 ‘유기농 콩나물 식중독 사건’을 예로 들어 반 생명공학과 유기농의 논쟁은 자연적인 것은 좋고, 인공적인 것은 나쁘다는 단순히 자연주의적 오류를 기반으로 한다."

이것이 과연 단순히 유기농의 문제인가 묻고 싶습니다. 그렇다면 산업형 농업에서는 아무런 식품 관련 질병이 발생하지 않는가 묻고 싶습니다. 그 사건은 유기농의 상업화에 따른 부작용의 한 측면일 뿐이라고 봅니다. 

유기농이란 무엇인가? 그에 대해 고민은 해 본 것인지 묻고 싶습니다. 유기농의 방식으로 생산된 호주산 콩이 한국으로 건너와서 유기농 콩 두부가 되었다. 이건 과연 유기농인가 아닌가? 어떻게 생각합니까. 유기농이 단순히 농작물을 생산하는 방식만을 가리키는 것일까요? 저는 그렇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유기농이란 생산방식만의 문제가 아니라 그것을 유통, 분배하고 소비하는 방식까지 총체적으로 살펴봐야 하는 것이라고 봅니다. 

농산물의 생산만 있고 유통과 소비에 대한 고민이 없는 것은 슬로우푸드에서 얘기하듯이 "뽀르노"와 같다는 것이죠. 슬로우푸드 회장이 이런 말을 했다는 건 알고 계시지 않습니까. "요리에만 관심있고 농업에 관심없는 것은 바보 같은 짓입니다. 농업에 대해서 얘기하지 않고 음식만 얘기하는 것은 음식포르노입니다." 저는 유기농에 대해서도 그와 같다고 생각합니다. 

과학자들이 빠지기 쉬운 오류가 바로 여기에서 일어나는 것이 아닐까요. 생산방식에 대한 과학적 분석에만 매달리고 그에 대한 유통과 분배, 소비에 대한 문제에는 관심을 두지 않는다는 점... 과학자 당신들은 일상을 살지 않습니까? 아이와 배우자가 집에 없습니까? 과학적이기만 하면 사회적 책임은 전혀 없습니까? 과학만 주장하고 사회를 보지 못하는 당신들은 절름발이나 다름없습니다. 이런 말까지 하면 너무 막 나가는 것이지만, 유전자변형 농산물이 아무 문제가 없다고 말하시는 과학자 당신과 가족들이 그것을 중심으로 먹으며 실험하면 어떨지. 그렇게 평생 아무 문제가 없었다고 하면 사람들이 안심할 테니... 특히 가격의 저렴함을 내세우며 많은 사람들의 기아를 해결할 수 있다고 유전자변형 농산물을 옹호하는데, 결국 그 음식을 먹고 사는 것은 사회의 빈곤층 또는 저소득층이라는 사실은 어떻게 할 것인지 묻고 싶습니다. 그들에게 왜 그러한 음식을 강요하면서 당신들은 유기농산물을 소비하는지요.


지금까지 흥분하여 시끄럽게 떠들었습니다. 죄송합니다. 너무 흥분해서... 마크 라이너스라는 사람의 주장에 동조하여 그와 함께 떠드는 꼴이 어찌나 보기 싫었던지 참고 참다가 마침내 오늘 터져나왔습니다. 다시 한 번 죄송하다는 말씀을 드리며 이만 마칩니다.


728x90
728x90

먼저 아래는 1990~2012년 사이 세계의 곡물 생산량과 재고율을 보여주는 표이다.



이를 한눈에 알아보기 쉽도록 다른 그래프로 살펴보자.





위 그래프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세계의 곡물 생산량은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이나, 해에 따라 기후변화의 영향이 심해지면 생산량이 조금씩 감소하기도 한다(http://blog.daum.net/stonehinge/8728062).

그런데 생산량이 꾸준히 느는 것과 관계없이 재고율은 점점 떨어지는 경향을 볼 수 있다.

이는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세계의 인구 때문인데, 현재 70억의 인구가 앞으로 2050년이면 90억을 돌파할 것으로 예상되어 곡물 생산량을 현재의 수준보다 70% 정도를 증가시켜야 한다고 전망한다.

그래야만 인간들이 서로 싸우지 않고 사이좋게 지낼 수 있을 것이라는 이야기이다.



그렇다면 현재 세계의 토지가 어떻게 이용되는지 살펴보자. 인간이 이용하는 토지를 크게 초지와 농지로 나눌 수 있다. 



초지에서는 당연히 목축이나 축산 등을 중심으로 하고, 농지에서는 농업이 주를 이룬다. 물론 두 가지 형태가 혼합되어 나타나는 곳도 있을 것이다. 과거에는 농지에는 정주민이, 초지에는 유목민이 깃들어 살았다.


이 가운데 방목을 하는 곳만 따로 분리하면 아래와 같다.



역시 중앙아시아 쪽과 호주 및 미국에서 가축을 방목하는 데에 많은 토지를 사용하고 있다. 이렇게 세계의 토지 가운데 약 75%가 고기를 생산하는 데 사용되고 있다. 이를 줄이지 못하면 기아문제니 식량문제니 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어려운데, 일단 가장 쉬운 방법은 고기 소비를 좀 줄이는 것이다. 


그럼 축산농가는 무엇을 먹고 사느냐고? 그 대신 축산농가는 대량생산이 아닌 양질의 고기를 생산하는 데 초점을 맞출 수 있겠다. 그로 인하여 줄어드는 판매량은 양질의 고기가 갖는 가격 프리미엄으로 보상받는 길이 있다. 그러면 자연히 동물복지나 공장식 축산으로 인한 환경문제도 해결될 수 있다. 그런데 문제는 '생존'. 저놈이 나와의 암묵적 합의를 어기고 대량으로 싸게 후려치면 그때부터는 다시 싸움판으로 변할 가능성이 존재한다. 그래서 정책과 제도, 법이 필요한 법. 정부의 중재, 통제하는 역할이 중요하다.



다음으로는 인간이 이용하는 주요한 세 가지 작물의 재배지역을 살펴보자. 그것은 밀, 옥수수, 벼이다.


먼저 세계의 밀 재배지역이다.



역시 유럽과 서아시아, 중앙아시아, 중국 화북지방, 미국과 호주 등지에서 널리 재배, 이용한다




다음은 세계의 옥수수 재배지역. 



옥수수의 원산지 중미와 브라질, 아르헨티나 및 미국 중서부의 옥수수 벨트, 발칸반도 일대와 아프리카 사하라 이남, 중국 화북지방 및 만주에서 널리 재배하는 모습이다.



마지막으로 세계의 벼 재배지역. 



역시 벼, 곧 쌀밥 문화권은 아시아 지역을 중심으로 형성된다. 미국과 남미, 유럽과 서아프리카의 일부 지역에서도 재배하기는 하지만 아시아에 비해서는 미미한 수준. 


벼와 관련하여 빼놓을 수 없는 것이 있다. 그 옛날부터 물꼬 싸움으로 치고받았다는 것처럼 바로 '물'이다. 특히나 관개를 하는 농지의 비율을 살펴보자.



역시 벼농사 지대에서 관개용수를 많이 사용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런데, 벼농사 지대 이외의 곳에서도 꽤 많은 관개용수를 사용하는 곳을 볼 수 있다. 바로, 미국과 중동 쪽이다. 이런 곳에서는 지나친 지하수 사용으로 지하수 고갈 등과 같은 또 다른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관개용수의 남용과 함께 시너지 효과(?)를 일으킬 요소가 있으니, 그것은 바로 질소비료의 남용이다. 관개용수에 질소비료가 녹아 지하수와 강, 바다, 호수로 흘러들어가면 그 유명한 녹조 현상이 발생한다. 이것이 바다에서는 적조로 나타난다. 이렇게 녹조 현상이 심각한 곳에서는 수중생물들이 쓸 수 있는 산소가 없어져 아무것도 살지 못하는 '죽음의 구역(Dead Zone)'이라는 곳이 만들어진다. 


그렇다면 어디에서 질소비료를 많이 사용하는지 아래의 지도를 살펴보자.



미국과 유럽 같은 선진국에서 질소비료를 많이 사용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역시 비료는 돈이 살 수 있는 金肥이기에 그러할 것이다. 상대적으로 가난한 사람들이 많은 아프리카와 남미 같은 곳에서는 질소비료의 사용량이 그렇게 많지 않다는 것이 그를 반증한다.


또한 인도와 중국, 한국 같은 벼농사 지대에서도 질소비료의 사용량이 많은 편이다. 이런 곳에서는 물이 오염될 위험이 높다. 실제로 한국에서는 해마다 여름이면 녹조와 적조 현상으로 골머리를 앓고 있다.  





여기서 잠깐! 마지막으로 현재 뜨거운 감자로 떠오르고 있는 유전자조작(GM) 작물의 재배 현황에 대해서 살펴보고 끝마치겠다.



1996년 처음으로 상업적 도입이 시작된 이후, 유전자조작 작물의 재배면적은 꾸준히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2012년에는 최초로 개발도상국의 재배면적이 선진국의 재배면적을 초과하기 시작했다. 이는 브라질의 약진이 가장 큰 역할을 했다(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하라 http://blog.daum.net/stonehinge/8728035).

현재 28개국에서 재배하고 있는데, 앞으로 이는 더욱 확대될 전망이다. 슬프지만 인정해야 하는 현실...


과연 유전자조작 작물이 그 지지자들의 주장처럼 곡물 생산량을 획기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을지가 관건이다.

물론 녹색혁명이 시작될 당시 F1 종자에 대해서도 그런 의견이 있었을 것이다. 그것처럼 유전자조작 종자도 무언가 성취할 가능성이 높다.

그때가 되면 우리는 또 다른 세상을 맛보게 될 것이다. 악몽이 될지, 길몽이 될지는 뚜껑을 열어봐야지.


728x90
728x90


종자산업의도약을위한과제.pdf



농촌경제연구원에서 발표한 보고서


종자산업의도약을위한과제.pdf
0.6MB
728x90
728x90

Farmers in the United States, Europe, Brazil, India, and South Africa find fewer non-GMO options as biotech companies monopolize seed markets with GMOs

This is the second in a 2-part series.

One of the claims made by proponents of genetically modified crops is that GM technology increases farmers’ seed choices. They also claim that farmers in countries that restrict GMO production have fewer seed options. But recent research shows the opposite—that instead of increasing farmers’ choice, the introduction of GM crops has limited farmers’ seed options.

Angelika Hilbeck, senior scientist at the Institute of Integrative Biology at ETH Zurich (Swiss Federal Institute of Technology), and several other researchers analyzed seed catalogs in Spain, Germany, Austria, and Switzerland. They found that in Spain—the largest European country to adopt GM corn—farmers’ seed choices declined overall and increasingly became a choice among GM varieties.

“Non-GM cultivars of maize were replaced with fewer GM cultivars,” Hilbeck said.

But, in three EU countries that ban plantings of GM corn—Germany, Austria, and Switzerland—farmers have either many more corn seed varieties available to them now than in the 1990s (Germany and Austria) or at least the same number (Switzerland).

Hilbeck presented their findings at a conference on GM crop cultivation in Bremen, Germany in June 2012.

Decreasing non-GMO seed choices in US

Hilbeck said that decreasing farmer seed choices in the United States because of GM technology led her to see if there was a similar trend in Europe. “We could not find any evidence to the contrary, which is what developers and proponents of GM technology in agriculture claim: increased choice,” Hilbeck said. “All evidence points to a decline rather than an increase.”

Proponents of GM crops claim that demand for GM seeds is strong as evidenced by the high adoption rates of GM corn and soybeans by US farmers, but a big reason for this is that large seed companies are phasing out non-GMO varieties. As a result, farmers have little choice but to buy GM seeds.

Research by Hilbeck and others found that the number of non-GMO corn seed varieties in the US decreased 67% from 3,226 in 2005 to 1,062 in 2010, while the number of GM corn seed varieties increased 6.7%.

“Farmers are facing fewer choices and significantly higher prices in seed,” says Kristina Hubbard, author of the Farmer to Farmer Campaign report. “Seed options narrow when a handful of companies dominate the marketplace.”

Iowa farmer George Naylor says he has trouble finding non-GMO soybean seeds: “Some seed companies don’t offer any. one company’s soybean seed lineup is all Monsanto’s Roundup Ready2 (seeds).”

Todd Leake, a farmer in Grand Forks County, North Dakota, sees similar problems. “Most of the conventional, non-GMO soybean varieties that I can find are ten to twelve years old,” he said. “Their disease resistance and yield have fallen well behind the Roundup Ready varieties.”

“In terms of non-GMO in general, there is less breeding,” said Jim Orf, professor of agronomy and plant genetics at the University of Minnesota, who breeds non-GMO soybeans for food use.

The problem is similar with corn. In 2009, University of Illinois entomologist Michael Gray surveyed farmers in five areas of the state to ask if they had access to high-yielding non-GMO corn seed. He found nearly 40% said “no,” while nearly half (46.6%) in Malta, IL said they did not have access to elite non-GMO corn hybrids.

Wendall Lutz, a farmer who grows non-GMO corn in Dewey, Illinois, said, “I don’t have the variety of genetics to choose from that farmers who buy GM corn do.”

The situation is even worse with sugar beets where there is no farmer choice. When GM Roundup Ready sugar beets were introduced in 2005, the sugar beet processors decided to convert the entire US production to GMO.

“This was a coordinated effort to genetically modify an entire sector of the processed food industry simultaneously and without holdouts that might otherwise have provided a source of conventional beet sugar to fulfill non-GMO consumer demand,” said Frank Morton, owner of Wild Garden Seeds and a plaintiff in a lawsuit to stop production of GM sugar beets in Oregon’s Willamette Valley.

Reduced seed options for organic farmers

GM technology has also reduced seed choices for organic farmers. Several organic corn seed companies have reported testing seed and finding low levels of GM presence. Organic farmers have had their crops rejected by buyers and suffered economic losses when their crops tested positive for GMOs. As a result, some US organic farmers have stopped growing corn because of the GMO contamination threat.

In Canada, organic farmers lost the market for organic canola due to GMO contamination.

“With the proliferation of GM canola, it is almost impossible to buy uncontaminated seed, let alone contend with contamination from pollen drift,” said Arnold Taylor, an organic farmer and president of the Saskatchewan Organic Directorate, which filed a lawsuit against biotechnology companies for the loss of the organic canola market.

GMOs are also affecting rare heirloom corn seed varieties, says Jere Gettle, founder of Baker Creek Heirloom Seeds. “Over 50% of historic corn varieties are now contaminated with Monsanto’s GMO crops,” Gettle said, based on tests his company has conducted on heirloom seed.

Market control in Brazil, South Africa, and India

Farmers are seeing less seed choice in other countries where GMOs have been introduced. In Brazil, it’s getting harder for farmers to obtain non-GMO soybean seeds, says Ricardo Tatesuzi de Sousa, executive director of ABRANGE (the Brazilian Association for the Producers of Non-GM Grains).

Brazil’s acreage of non-GMO soybeans has decreased steadily since the commercialization of GM soy in 2005. Tatesuzi de Sousa estimates that about 20% of Brazil’s soy production is non-GMO.

He says that large companies such as Monsanto, Pioneer Hi-Bred, BASF, and others dictate what seed growers produce and what seed distributors sell to farmers.

“If the seed growers want access to good (genetic) material, they have to submit to what the companies want,” Tatesuzi de Sousa said. “They can tell farmers not to plant non-GMO.”

Meanwhile, seed distributors withhold non-GMO soybean seeds from farmers. “They keep (non-GMO) seeds unavailable and when farmers buy all the seed, they say ‘we had all this non-GMO seed available.’ But they aren’t putting it into the market,” Tatesuzi de Sousa said.

He refers to a commonly used term—the 85/15 rule, which means that distributors will sell 85% GM seeds and just 15% non-GMO.

“This is control of the market,” Tatesuzi de Sousa said.

A similar situation is occurring in South Africa. Willem Vissermarketing manager for Delta Seed, an independent seed company, says it is “virtually impossible to get non-GMO soy seed in South Africa.”

There, the soybean market is essentially dominated by three companies: Pioneer and a subsidiary, Pannar, and Link Seed. A glance at the companies’ websites showed that all soybean seed varieties offered are Roundup Ready.

In India, genetically modified Bt cotton accounts for 85% of the country’s cotton production. Non-GMO cotton seed varieties are being phased out by private and public seed breeders.

“Farmers buy Bt seeds because they have little choice—it is very hard to find non-GM seeds anymore,” said Glenn Davis Stone, a professor of anthropology and environmental studies at Washington University in St. Louis, MO, whose research has focused on India’s cotton production.

Resurgence of interest in non-GMO seeds

In response to increasing dominance of GM seed, non-GMO seed initiatives have been launched in several countries. Some small US seed companies—such as eMerge Genetics for soybeans and Spectrum Premium Genetics for corn—are breeding non-GMO seed varieties as farmers face increasing weed and insect resistance problems with GM seeds.

In Brazil, the Soja Livre or “Soy Free” program was launched by Embrapa, Brazil’s leading agricultural research organization, along with several other groups. The program aims to breed non-GMO soybean varieties and “provide greater competitiveness to the production chain.”

Tatesuzi de Sousa says Soja Livre is succeeding. “We now have 13 seed companies selling non-GMO seed when before there was only one.”

In India, the University of Agricultural Sciences Dharwad, bioRe India, Ltd., and Swiss-based Research Institute of Organic Agriculture launched a joint effort in 2011 “to re-establish the seed value chain for non-GM cotton.”

In South Africa, Visser also sees farmers returning to non-GMO seed because of insect resistance problems. “There seems to be a spark of interest from more and more farmers about non-GMO corn and soy seed,” he said. “We’ve been yielding better in trials than most GMOs, and our products are more consistent. Our pricing is also much better than the GMO hybrids.”


References

  • Binimelis, R., Hilbeck, A., Lebrecht T., Vogel R., Heinemann J. (2012) Farmer’s choice of seeds in five regions under different levels of seed market concentration and GM crop adoption, GMLS Conference 2012, http://www.gmls.eu/

  • Michael E. Gray. “Relevance of Traditional Integrated Pest Management (IPM) Strategies for Commercial Corn Producers in a Transgenic Agroecosystem: A Bygone Era?”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od Chemistry. 2011, 59 (11), pg. 5852–5858.

  • Ken Roseboro. “Finding non-GMO soybean seed becoming more difficult.” The Organic & Non-GMO Report. July/August 2008, pg. 3-4.

  • Ken Roseboro. “Sugar Beet Industry Converts to 100% GMO, Disallows Non-GMO option.” The Organic & Non-GMO Report. June 2008, pg. 1-3.

  • Ken Roseboro. “Organic corn seed companies face increasing GMO challenges.” The Organic & Non-GMO Report. July/August 2009, pg. 16.

  • Ken Roseboro. Genetically Altered Foods and Your Health. Basic Health Publications, 2004. Pg. 86.

  • Ken Roseboro. “Scientist: GM technology has exacerbated pesticide treadmill in India.” The Organic & Non-GMO Report. February 2012, pg. 7.

  • Paulo Costa. “GMO-Free – The Success of the Old Conventional Soybeans.” ABRANGE website. www.abrange.org/informa/informa_br_nota.asp?cod=114. February 2011.

  • Media release. “GM cotton seeds a threat to Indian farmers.” Research Institute of Organic Agriculture (FiBL). July 6, 2011.
- See more at: http://www.non-gmoreport.com/articles/march2013/farmers-seed-options-GMO-producing-countries.php#sthash.e3TI8R12.dpuf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