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벼농사81

마을의 작은 정미소가 구하는 아시아, 아프리카의 쌀농사 -1장 1장   일본에서만 행해지는 쌀농사 방법  세계에서 유일한 현미 유통-쌀의 증산과 품질 개선의 요인16~17세기 이후, 현재에 이르기까지 수백 년 동안 일본의 쌀농사 농가는 수확한 벼를 정선한 현미로 만들어 팔아 넘기고, 국내의 쌀 생산·유통·저장·수송 등은 모두 현미 형태로 행해졌다. 이는 '현미 유통'이라 부르고, 일본에서 '쌀의 양'이라 하면 주석이 없는 한 현미의 양으로 표시되어 있다. 물론, 소매나 소비의 단계에서는 소비자의 필요에 응하여 현미는 여러 정도의 '백미'가 된다(그림1).  그림1  벼이삭, 나락, 현미, 백미출전: 星川清親 『解剖図説イネの生長」 18쪽, 288쪽, 298쪽을 고침  쌀(현미나 백미)의 양은 현재에는 중량(정확히는 질량)으로 킬로그램이나 톤으로 표시되어 있지만, 이는.. 2025. 2. 20.
식탁의 일본사 -1장 쌀농사와 밥의 역사 1. 쌀농사는 야요이 시대부터 시작한다 일본인의 '먹을거리'와 가장 깊은 관계가 있는 것이 쌀인데, 벼는 일본열도에 원래부터 자생하던 것이 아니다. 벼의 원생지는 중국 대륙, 장강의 중하류역이라고 생각되며, 그곳에서는 7000년 전부터 논벼농사가 행해졌다. 이 논벼농사의 기술이 2천 몇백년 전에 도래인에 의해 일본에 전해졌던 경로에 대해서는 산동반도에서 조선반도 서해안을 경유해 기타큐슈에 전해졌든지, 또는 산동반도에서 요동반도로 건너가 조선반도를 경유해 전해졌다고 생각된다. 일본 신화에서는 아마테라오오미카미天照大神가 황손, 니니기노미코토瓊瓊杵尊를 토요아시하라豊葦原의 싱싱한 벼이삭의 나라에 강림시켰을 때 벼이삭을 주었다고 전해지는 것처럼, 벼는 일본열도에 자생하지 않고 중국 대륙에서 전해진 작물이다. 지금.. 2024. 5. 26.
북한에도 우렁이 농법이 있다 북한에서도 우렁이를 이용한 벼농사가 실시되고 있습니다. https://m.yna.co.kr/view/AKR20191114171100504? 2019. 11. 15.
건강한 논에 다양한 생물, 농업 연구기관이 전국 조사 농연기구農研機構(츠쿠바시)는 유기 재배와 저농약 재배를 행하고 있는 논에서는 기존의 재배법보다 동식물이 더 많이 확인될 수 있다는 걸 이 현을 포함한 전국의 현지조사에서 밝혔다. 생물다양성을 배려한 벼농사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줄인다는 걸 처음으로 과학적으로 증명. 농.. 2019. 9. 9.
조선 후기 쌀 생산성의 장기 추이 최근 이영훈 씨의 "반일 종족주의"로 시끄러운데, 그분 원래 그런 분이긴 했다. 조선의 농업 생산성이 17-18세기를 거치며 급락하다가 20세기에 들어와 다시 상승하게 되는데, 그 이유가 외국에 의한 개항이었다고 주장하였다. 물론 그에 대한 여러 반론이 제기된 것은 더 말할 필요가 없다. .. 2019. 8. 14.
논과 황새 예산에 볼일이 있어 갔다가 마침 근처에 황새 복원센터가 있어 잠시 들렀다. 조성된 지 얼마 되지 않아 그런지 큰 나무가 별로 없어서 뙤약볕에 휘청했다. 그래도 날씨는 좋네. 건물 안에는 황새에 대해 간략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전시관이 마련되어 있다. 전 세계 곳곳에 황새의 친척들.. 2019. 7. 1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