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庫間/문서자료438

지리산지 벼농사의 관개 체계와 물 관리 체계 2025. 4. 4.
무논 지대에서 채소 생산의 발전과 종자 소매상의 역할 水田地帯における野菜生産の発展と種子小売商の役割- 新潟県 北蒲原郡「種仁商店」を事例に 아베 노조미阿部 希望 2025. 1. 23.
조선 후기 식기 및 음식의 특색과 변화 -이은경 석사 논문 본 논문은 조선시대 후기의 사회, 문화적인 환경을 바탕으로 식기와 음식이 어떤 특색을 가지고 변화, 발전하는지 고찰하면서 식기와 음식의 상호연관성을 연구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이를 위해 우선 조선시대의 사회전반적인 시대적 배경을 살펴보았으며 사용된 식기의 종류와 쓰임을 보기위해서 이 시기 조선의 식기를 가장 정확하게 조사 정리한 아사카와 다쿠미의 ‘조선 도자명고’의 내용을 근거로 하였다. 식기의 형태와 문양의 변화는 오늘날 유물로 전해지는 여러 작품을 중심으로 시기별로 비교하면서 전개시켜 나갔다.또한 문헌에 나타난 음식과 식기의 종류를 보기위해 조선후기에 기록된 의궤와 조리서를 참고로 고찰하였다. 의궤는 시기별로 1719년, 1829년, 1902년의 의궤로 하였으며 기록 중에서 기용부분과 도식부분의 해석.. 2025. 1. 10.
서울시 전통시장 목록 (2024.1.31일 현황) 연번 자치구 시장명 신주소(도로명 주소) 구주소(번지주소) 유형 형태 건물연면적 총계 서울시 389 소계 종로구 30 1 종로구 계동길 골목형상점가 서울 종로구 계동길 52-12 일대 서울 종로구 계동 140-68 골목형상점가 골목형 5,680 2 종로구 광장시장 종로구 창경궁로 88 광장시장 종로구 예지동 6-1 등록시장 건물형 18,975 3 종로구 광장전통시장 종로구 창경궁로 88 일대 광장전통시장 종로구 예지동 293-1 상점가 골목형 49,384 4 종로구 낙원상가 종로구 삼일대로 428 낙원상가 종로구 낙원동 284-6 무등록시장 건물형 4,889 5 종로구 낙원지하시장 종로구 삼일대로 428 낙원지하시장 종로구 낙원동 284-6 무등록시장 건물형 6,593 6 종.. 2024. 4. 15.
최근 귀농 귀촌 실태와 시사점 귀농 귀촌을 고민한다면. 최근 귀농 귀촌 실태와 시사점.pdf 2017. 9. 22.
가축 항생제 연간 보고서 세계동물보건기구에서 2010-2015년에 회원국들에게 제출받은 자료를 바탕으로 최초로 작성했다는 <가축 항생제 사용 연간보고서>입니다. 필요하신 분 참고하세요.http://www.oie.int/fileadmin/Home/eng/Our_scientific_expertise/docs/pdf/AMR/Survey_on_monitoring_antimicrobial_agents_Dec2016.pdf 2017. 9. 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