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농생태학81

농생태학의 눈으로 본 스마트팜 어제 농생태학에 대해 이야기하면서 농생태학은 농사에 생태학의 원리를 접목한 것이고, 생태학의 원리는 다름 아닌 관계성에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그 관계성은 농사가 이루어지는 자연과의 관계만이 아니라, "재배 수확 운송 가공 포장 소비 폐기"가 이루어지는 먹을거리 체계 안에서의, 즉 사회와의 관계성도 포함되며 중요한 부분이라 강조했습니다. 그런데 스마트팜을 위시한 최근 한국에서 주목하는 최첨단 농업은 어떠한지 잘 살펴야 한다는 생각이 듭니다. "산업"의 측면만 강조하는 건 아닌지, 관계성의 회복과 강화가 아니라 개별 단위로 더욱더 쪼개버리는 건 아닌지. 저 최첨단 스마트팜 안에 농민은, 그리고 소비자는 어떻게 자리매김하여 서로 관계를 맺어갈지 말입니다. 그저 생산하여 단지 소비만 하게 되며 무감각하게 돈만 .. 2021. 3. 20.
<농생태학>을 모두 한국어로 옮기고 내일부터 긴 연휴가 시작됩니다. 그리고 저는 잠시 휴식에 들어갈 예정입니다. &lt;농생태학&gt; 본문을 한국어로 옮기는 일이 일단락되었기 때문입니다. 한국에서 "농생태학"이란 단어가 입에 오르내리고 여러 지면에 보인 지가 꽤 오래된 걸로 기억합니다. 아마 10여 년 이상은 되지 않았.. 2019. 6. 5.
농생태학 -26장 지속가능한 농업생태계에서 지속가능한 먹을거리 체계로 농생태학: 지속가능한 먹을거리 체계의 생태학 26장 지속가능한 농업생태계에서 지속가능한 먹을거리 체계로 이전 장에서 우리는 먹을거리 체계의 가장 중요한 두 부분인 먹을거리를 재배하는 사람과 그걸 먹는 사람을 다시연결해야 할 필요성에 초점을 맞추었다. 지역화된 대안 먹을거.. 2019. 6. 4.
농생태학 -25장 먹을거리 체계의 재구성에서 지역사회와 문화 농생태학: 지속가능한 먹을거리 체계의 생태학 25장 먹을거리 체계의 재구성에서 지역사회와 문화 1976년 출간된 급진적 농업Radical Agriculture에서 리차드 메릴Richard Merrill은 "문화를 다시 농업으로 가져가야 한다"고 썼다(Merrill 1976). 그는 이미 수십 년 동안 진행중이던 농업이 농기업으로 .. 2019. 6. 2.
농생태학 -24장 농업, 사회, 그리고 농생태학 농생태학: 지속가능한 먹을거리 체계의 생태학 24장 농업, 사회, 그리고 농생태학 1장에서 우리는 오늘날 세계의 많은 부분을 지배하는 산업적 농업 체계의 엄청난 생산성을 위해 우리가 지불해야하는 대가의 일부인 환경과 사회, 농업 생산성의 토대에 대한 여러 심각한 해악을 설명했다.. 2019. 5. 25.
농생태학 -6부 지속가능한 세계의 먹을거리 체계로 전환하기 농생태학: 지속가능한 먹을거리 체계의 생태학 6부 지속가능한 세계의 먹을거리 체계로 전환하기 광범위하게 고려할 때, 5부에서 상세히 논의된 농장 규모의 전환 과정은 세계의 먹을거리 체계가 지속가능해지기위하여 일어나야 할 훨씬 더 큰 전환의 필수적인 기반이다. 농장을 뛰어넘.. 2019. 5. 2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