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농사360

유기비료 이야기 -1장 유기비료란 제1장 가르쳐 주세요, 후지와라 슌로쿠로藤原俊六郞 씨유기비료란 쌀겨나 왕겨, 닭똥이나 음식물쓰레기 등근처의 유기물 선택법과 활용법.그 기본을 숙련된 연구자인 후지와라 슌로쿠로 씨에게 배웠다. 후지와라 슌로쿠로 씨(전 카나가와현 농업종합연구소, 전 메이지 대학 특임 교수) 유기비료와 섞어띄움비료와 퇴비 이야기Q 새삼스럽지만 '유기물'이 무엇이야? A 나도 당신도, 채소도 가축의 똥도 유기물. 농업은 유기물을 만들어 내는 산업입니다.유기물이란 정확히 말하면 '탄소를 함유한 화합물'이란 의미인데, 뭐 일반적으로는 '생물에서 유래한 물질'을 가리킵니다. 즉, 식물이나 동물, 미생물 등의 생물과 그 생산물(이나 배설물)임. 우리 인간도, 채소도 가축의 똥도 모두 유기물. 농림수산업은 생물을 다루는 산업, .. 2025. 5. 2.
유기비료 이야기 -목차 유기비료 이야기 목차 1장 유기 비료란 유기비료와 섞어띄움비료와 퇴비의 이야기 Q 새삼스럽지만 '유기물'이 무엇이야? Q 유기물이라면 무엇이든지 비료가 되는 거야? Q 화학비료와 비교해 유기비료의 좋은 점은? Q 그래도 바로 효과를 내고 싶다면 역시 화학비료겠지?Q 딱, 가장 추천하는 유기물은 어떤 거야? Q 유기비료와 퇴비, 섞어띄움비료는 어떻게 달라? Q 퇴비나 섞어띄움비료를 밭에 넣으면 왜 균이 증식할까? Q 퇴비 안에 있는 것은 어떤 균이야? Q '발효'랑 '부패'랑 무엇이 달라? Q 도전해 보았지만 악취가 났다Q '탄질비(C/N비)'는 무엇이지? Q 미숙 퇴비는 어떤 상태야? Q 웃거름으로 사용할 수 있는 유기 액비도 직접 만들 수 있을까? 유기질 자재 이야기Q 각각의 특징을 전부 알고.. 2025. 4. 30.
짐승막이담 -2장 짐승막이담 유구를 남기고 전하기 위하여 제2장 짐승막이담 유구를 남기고 전하기 위하여- 카가와현 쇼우도시마小豆島를 둘러싼 짐승막이담 집단의 답사와 실측 기록 미나토 세이고港誠吾 선조가 있기에 우리가 있다. 짐승막이담은 우리를 낳았다고도 할 수 있다. 섬의 선인들은 살기 위해 어쩔 수 없다는 생각으로, 게다가 자력으로, 짐승막이담을 구축했다. 짐승막이담의 돌은, 돌은 돌이라도 축성용 돌덩어리와는 정취를 달리한다. 선인의 목숨을 구했던 것이다. 오늘날 얼핏 보아, 짐승막이담 유구는 외양도 모습도 매우 희미하다. 그러나 짐승막이담의 실.. 2025. 4. 24.
짐승막이담 -1장 짐승막이담의 분포와 구조 제1부 선인의 유산 '짐승막이담' 쇼우도시마의 마을을 둘러싼 짐승막이담(제2장 참조) 제1장 짐승막이담의 분포와 구조 1. 짐승막이담의 분포 분포의 개관근세의 짐승막이담에 관해서는 이 책의 자매에 해당하는 『멧돼지와 인간(イノシシと人間)』의 제5장(야가사키矢ヶ崎 2001, 이하 「전보前報」라고 칭함)에 기록되었다. 이 장에서는 전보와의 중복을 피해, 이후의 연구 성과를 애써 입각하여 고찰한다.일본의 짐승막이담 분포는 전보에 그려 넣었는데, 이 장에서는 그중에서 함석 울타리・전기 울타리 등 근대적 짐승막이담을 생략하고 나무 울타리・토루土塁・석루石塁 등 전통적 짐승막이담을 나타냈다(그림1).우선은 전통적 짐승막이담의 전국 분포를 개관해보자.혼슈우本州의 중앙 고지대인 나가노·야마나시·기후 3현에 짐승.. 2025. 4. 22.
짐승막이담 -서론, 목차 서론 일반적으로 짐승막이담(シシ垣)은 거의 무명이다. 알고 있는 분은 꽤 정통한 셈이다. 도대체 짐승막이담이란 무엇인가?짐승막이담은 한자로 '저원猪垣', '녹원鹿垣', '저록원猪鹿垣'이라고 쓴다. 일본에서는 예로부터 멧돼지, 사슴, 산양 같은 고기를 얻는 짐승류를 시시シシ라고 했다. 이들 짐승은 산간 주민에게 귀중한 단백질원이었는데, 한편으로 멧돼지나 사슴은 논밭의 작물에 다대한 피해를 가져오는 짐승이었다. 짐승막이담(猪垣, 鹿垣, 猪鹿垣)은 이들 짐승이 논밭에 침입하지 못하도록 쌓은 담이다.짐승막이담에는 나무나 대나무 등을 엮은 것, 돌을 쌓아올린 것, 흙을 쌓아올린 것, 자연의 지형을 이용한 것, 함정을 설치한 것 등이 있고, 에도 시대에는 길이가 1Okm를 넘는 대규모가 구축되었다. 그와 같은 짐.. 2025. 4. 14.
농민들의 수자원 전쟁 -4장 마을들은 '강'을 어떻게 활용했는가? 4장 마을들은 '강'을 어떻게 활용했는가?  ●용수에 의해 마을이 하나로 묶인다여기까지는 주로 용수 조합에 의한 물 이용, 곧 물을 둘러싼 마을끼리의 관계를 중심으로 기술했습니다. 다음으로, 개개의 마을 내부에서 어떻게 물을 이용했는지에 대한 이야기로 넘어가겠습니다. 에도 시대에 물이나 산야 등의 자연자원은 이미 무궁무진하게 있는 것이 아니었습니다. 새로운 경작지의 개발과 함께 자원의 희소화가 현실화되고 있었습니다. 경작지는 산야를 개척하여 조성되기 때문에, 경작지가 늘어나면 그 몫의 산야가 감소합니다. 또한 경작지가 늘어나면 그만큼 필요한 용수량도 증가하기에, 물 부족이 되기 쉬워집니다. 그러한 가운데 마을은 자연자원을 유지하고, 영속적으로 이용하기 위하여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었습니다. 마을은 물.. 2025. 4. 1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