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농사317

마을의 작은 정미소가 구하는 아시아, 아프리카의 쌀농사 -시작하며, 목차 지은이   코가 야스마사古賀康正  시작하며 이 책의 주제는 아시아, 아프리카의 쌀농사 발전과 기술의 관계이다. 그러나 이를 논할 때, 먼저 이해해 놓지 않으면 안 되는 것이 있다. 그것은 일본과 세계 각지의 쌀농사 농민이 놓여 있는 입장이 어떻게 다른지이다.  많은 일본인은 쌀농사에서 일본의 농민이 세계에서 유일, 다른 나라의 농민이 전혀 하지 않는 작업을 담당하고 있다는 점, 그리고 그로부터 초래되는 이점(과 문제점)을 깨닫지 못하고 있다. 일본에서는 수확한 나락을 농민 자신이 현미로까지 마무리해서 판매한다. 쌀은 현미 형태로 사회 전반에 유통·저장된다. 이를 현미 유통이라 한다. 일본인 대부분은 현미 유통이 만국 공통이라 생각하지만, 그건 매우 특수한 일본 독자의 관행으로 일본의 역사와 문화의 형성에.. 2025. 2. 20.
전통 채소를 기르던 사람들, 종자상의 근대사 -4장 4장   채종 관리를 맡은 '종자상'  - 경작 장소 관리의 대행자, 노구치 히라조우野口平蔵(타치바나야橘屋 종묘점) 본장 채종 지대의 도시화에 따라 경작 장소를 원격지로 옮기게 된 종자 도매상. 그러나 경작 장소가 멀어지자 종자 도매상에 의한 정기적인 순회가 어려워졌다. 그래서 도매상을 대신하여 원격지의 경작 장소 관리를 대행하는 채종 관리인이 등장한다. 그들 중에는 머지않아 채종 관리인에서 종자 도매상으로 경영을 확대해 나아가는 사람도...이 장에서는 도쿄부 기타타마군 죠우후마치調布町의 노구치 집안을 예로, 채종 관리인의 실태와 종자 도매상으로 성장하는 과정까지를 소개하겠다.    1. 새로운 경작 장소가 된 도쿄부 기타타마군北多摩郡 앞장에서 밝혔듯이, 키타토시마군의 종자 도매상은 같은 군 안의 도시화.. 2025. 2. 10.
씨앗을 심는 죠몬인 -죠몬인은 풍족한 수렵채집민인가 '풍족한 수렵채집민' 논쟁  죠몬 농경론의 지금일본 농경의 개시에 대해서는 야요이 시대 초기에 조선반도에서 온 벼농사 경작의 전파에 의하여 성립되었다는 것이 누구나 허용하는 일본 고고학계의 일반적인 생각일 것이다. 다만, 그 이전의 죠몬 시대에 농경이 있었다는 설은 고고학 측에서는 (후지모리藤森 1970)나 (카가와賀川 1966)이 그 대표격이며, 지리학이나 농학 측에서 제창된 '조엽수림 문화론'(나카오中尾 1966, 우에야마上山 외 1976, 사사키佐々木 1971·2007·2009·2011)을 끌어들여 학문적 일대 관심사가 되어 현재도 사람들의 마음을 사로잡고 있다. 이 죠몬 농경론의 역사를 보면, 후지모리 에이이치藤森栄一 씨의 (『역사평론歴史評論』 4-4, 1950년)이나 카가와 미츠오賀川光夫 씨의 .. 2024. 10. 22.
제주도 전래 농기구 연구 2002년 김동섭 씨의 학위논문 2024. 3. 20.
갈다 -괭이와 쟁기 2부 제4장 쟁기 1. 쟁기의 기원 쟁기의 기원에 대해서는 괭이가 기원인지 가래가 기원인지 세계적으로 논의되어 왔습니다. 가래 안에는 (그림1-A)①처럼 가래에 부착한 끈을 도우미가 당겨서 경운을 돕는 것이 있고, 그것을 ②처럼 사람이 앞쪽으로 끌어서 인걸이가 생기며, ③처럼 소에 멍에를 지워 소갈이 쟁기가 발생한다는 설도 제기되어 왔습니다. 그렇지만 보습의 변화에 주목하면, B그림처럼 괭이는 콱 찍어 넣어 흙을 일으키고 찍어 넣어 일으키는 걸 반복하고, 가래도 밟아 넣어 흙을 일으키고 밟아 넣어 일으키는 걸 반복하여, 날끝은 공중-땅속을 왕복하는 "간헐 경운"인데 반해 쟁기의 보습은 C그림처럼 소가 끌어서 땅속을 잠수함처럼 잠항하는 "연속 경운"이라 기술적으로는 완전히 다른 계통입니다. 이러한 점에서 쟁기는.. 2024. 3. 13.
<흙은 흙이다> -1장 이 흙은 좋은 흙인가? 1 '좋은 흙이란 어떤 흙일까?' -좋은 흙이 되기 위한 4가지 조건 농민들이나 텃밭에 열심히 몰두하고 있는 사람들에게 자주 질문을 받는 게 있다. "좋은 흙이란 어떤 흙인가요?"이다. 사실 이는 매우 어려운 질문이다. 하지만, 현재 농작물을 재배하는 토지의 흙을 전제로 한다면, '좋은 흙이란 작물의 생육을 저해하지 않는 흙이다'라고 답한다. 그럼 그 작물의 생육을 저해하지 않는 흙이란 구체적으로 어떤 흙일까? 그건 다음 4가지 조건을 겸비한 흙이라고 생각한다(표1-1). 표1-1 작물을 재배하는 데 좋은 흙이 되기 위한 4가지 조건 조건 내용 흙의 물리적 성질에 관한 조건 (1) 경도와 두께 : 작물의 뿌리를 확실히 지탱할 수 있도록 두텁고 단단한 흙이 충분할 것. (2) 수분 상태 : 적당히 수분을 .. 2020. 10. 1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