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농담2728 마을의 작은 정미소가 구하는 아시아, 아프리카의 쌀농사 -시작하며, 목차 지은이 코가 야스마사古賀康正 시작하며 이 책의 주제는 아시아, 아프리카의 쌀농사 발전과 기술의 관계이다. 그러나 이를 논할 때, 먼저 이해해 놓지 않으면 안 되는 것이 있다. 그것은 일본과 세계 각지의 쌀농사 농민이 놓여 있는 입장이 어떻게 다른지이다. 2025. 2. 20. 전통 채소를 기르던 사람들, 종자상의 근대사 -맺음말 맺음말 종자상 연구를 시작한 지 8년의 세월이 지나서야 비로소 여기에 한 책을 정리할 수 있었다. 연구회나 강연회에서 발표하면 종종 질문을 받는 일이 있다. 그것은 왜 종자상을 연구하려고 했는지 하는 것이다. 지금, 그 원점을 되돌아보면, 내가 '종자상'에 주목하게 된 것은 대학 4년차에 졸업 연구의 주제로 '전통 채소'를 다루었을 때, 전통 채소는 어떻게 지켜져 왔고 왜 잃어 버리게 되었는지를 생각한 것이 그 계기였던 것 같다. 그 물음은 전통 채소의 재배에 빼놓을 수 없는 '종자'에 대한 착목, 나아가서는 일본의 채소 육종사에 대한 관심으로 향하게 했다. 바로 그 무렵, 토시마 구립 향토자료관에 종자상에 대한 방대한 사료가 기증되어 있다는 정보를 포착한 나는 곧바로 자료관으로 향했다. 미지의 사.. 2025. 2. 19. 전통 채소를 기르던 사람들, 종자상의 근대사 -6장 6장 아직도 살아 있는 '종자상'의 공적 종자상에 의한 고정종 종자의 대량 공급 체제가 확립되는 중 차츰 분명히 드러나 가는 종자의 품질문제. 이러한 품질 문제에 대한 대응이 쇼와 시기 이후에 보급되는 F1 품종의 개발로 이어진다. 이 장에서는 각 장의 분석을 통해 떠올랐던 근대의 종자상이 수행했던 역할을 정리하고, 현대로 계승되는 그 공적을 확인함과 함께, 이 연구의 의의와 확장을 제시한다. 1. 근대 종자상의 전개"종자상은 어떻게 고정종 채소를 생산하고, 기르고, 퍼뜨렸을까?" 이 단순한 물음을 출발점으로 이 책에서는 메이지 중후기 이후의 채소 종자 수요가 확대되는 와중에 그 공급을 주로 담당했던 종자상이 어떠한 역할으 수행하고, 전개했는지를 실증적으로 밝혔다. 여기에서는 먼저, 2장부터 5장.. 2025. 2. 18. 전통 채소를 기르던 사람들, 종자상의 근대사 -5장 5장 마을을 거닐고, 시장에서 파는 시골의 '종자상' - 외상 신용 판매로 지역 밀착, 소매 행상 슈니種仁 상점 대도시 도쿄 근교로부터 완전히 바꿔, 지방 도시 니이가타의 채소 수요를 담당했던 니이가타현 키타칸바라군北蒲原郡으로 눈을 돌린 것이 이번 장. 논 우월지대에 산재한 약간의 밭을 이용해 다양한 채소를 농사짓는 키타칸바라군. 소량 다품목의 채소 생산을 뒷받침한 것은 지역에 밀착해 종자를 판매한 소매상이나 행상들이었다. 그중에는 종자 수요가 확대되어 가는 과정에서 경영을 발전시켜 소규모로 채종 시스템을 만들어 고정종 육성에 나선 사람도 있다.현재도 이어지는 종자 소매상 타카하시 니시치高橋仁七 종묘점을 예로 그 실태를 소개하겠다. 1. 니이가타현新潟県의 채소 생산 1) 무논 지대 안의 채소 .. 2025. 2. 18. 전통 채소를 기르던 사람들, 종자상의 근대사 -4장 4장 채종 관리를 맡은 '종자상' - 경작 장소 관리의 대행자, 노구치 히라조우野口平蔵(타치바나야橘屋 종묘점) 본장 채종 지대의 도시화에 따라 경작 장소를 원격지로 옮기게 된 종자 도매상. 그러나 경작 장소가 멀어지자 종자 도매상에 의한 정기적인 순회가 어려워졌다. 그래서 도매상을 대신하여 원격지의 경작 장소 관리를 대행하는 채종 관리인이 등장한다. 그들 중에는 머지않아 채종 관리인에서 종자 도매상으로 경영을 확대해 나아가는 사람도...이 장에서는 도쿄부 기타타마군 죠우후마치調布町의 노구치 집안을 예로, 채종 관리인의 실태와 종자 도매상으로 성장하는 과정까지를 소개하겠다. 1. 새로운 경작 장소가 된 도쿄부 기타타마군北多摩郡 앞장에서 밝혔듯이, 키타토시마군의 종자 도매상은 같은 군 안의 도시화.. 2025. 2. 10. 전통 채소를 기르던 사람들, 종자상의 근대사 -3장 3장 종자의 대량 생산, 대량 유통을 담당하다- 에도 도쿄의 종자 도매상, 에노모토 토메키치榎本留吉 상점 '종자상'으로서 1번 타자로 들 수 있는 건, 에도 시대부터 이어진 '노농'이 모체인 종자 도매상. 도쿄부 키타토시마군北豊島郡의 에노모토 토메키치 상점을 예로, 고정종 육성의 과정, 동업조합을 통한 품질 관리, 종자의 통신 판매의 실태를 소개한다.종자 생산은 시가지의 확대에 따라 채종포장의 원격지화에 맞추어서 결국은 '채종 관리인'을 통한 간접 관리로. 이 장에서는 고정종의 육성부터 종자의 대량 생산·대량 유통, 품질 문제의 발생까지를 추적한다. 1. 종자 도매상 거리의 형성 1) 에도 시대에 등장한 '종자상'에도 시대 중기가 되면 에도의 인구는 100만 명을 넘는 세계에서도 유수의 대도시가 .. 2025. 2. 3. 이전 1 2 3 4 ··· 455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