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Monsanto Co. (MON), whose experimental wheat from a canceled decade-old program was found growing in Oregon last month, is conducting field trials of a new genetically modified version in two states, U.S. data show.

The world’s largest seed company planted 150 acres (61 hectares) of wheat in Hawaii last year that was genetically modified to tolerate glyphosate weedkiller, which the company sells under the brand name Roundup, according to a Virginia Tech database administered by the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Another 300 acres of wheat engineered with Roundup tolerance and other traits are being tested in North Dakota this year.

The discovery of unapproved Roundup Ready wheat in Oregon, announced May 29 by the USDA, has sparked international concern, with Japan suspending imports of western-white wheat and feed wheat and South Korea increasing import inspections.

The Roundup Ready wheat in the new field trials is “an entirely different event” than the escaped crop reported by the USDA, St. Louis-based Monsanto said.

“This research is still in the very early phases and at least a decade away from commercial approval,” Lee Quarles, a Monsanto spokesman, said today in an e-mail response to questions. “The Roundup Ready wheat project that is the subject of the USDA report was previously discontinued.”

Monsanto (MON) dropped 4.1 percent to $100.64 at the close in New York, the biggest decline since Oct. 31, 2011.

Trials Suspended

Monsanto said in a statement earlier this week that it completed “closing out the Roundup Ready wheat program” nine years ago.

The USDA is investigating how the experimental wheat was found so long after Monsanto said research ended. Monsanto conducted eight Oregon field trials on herbicide-tolerant wheat between 1999 and 2002, according to the Virginia Tech database.

The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determined in a 2004 consultation that the crop is as safe for people and animals as conventional wheat, the USDA said.

Monsanto suspended field trials of herbicide-tolerant wheat in 2005 and resumed them in 2011, with 15 trials at sites in North Dakota and Hawaii, the data show. The specific herbicides that the crops are engineered to tolerate aren’t disclosed in most of the recent permits, with Monsanto invoking confidentiality claims.

Food Supply

Government investigators are tracking the wheat plants’ origin and assuring trade partners the exposure is limited and poses no threat to human health, Michael Firko, acting deputy administrator at the USDA’s Animal and Plant Health Inspection Service, said this week. No evidence exists that the unapproved wheat has entered the commercial food or feed supply, he said.

U.S. lawmakers are pushing measures to require labeling of products made from genetically modified crops, citing health and environmental concerns, a proposal opposed by farm groups and sellers such as the Grocery Manufacturers Association, a Washington-based trade group. The National Research Council and other science groups have found engineered foods are no more risky than crops developed through conventional techniques.


http://www.bloomberg.com/news/2013-05-31/monsanto-resumed-field-trials-of-roundup-ready-wheat.html


728x90
728x90

Connecticut on Monday became the first state to pass a bill that would require food manufacturers to label products that contain genetically modified ingredients — but only after other conditions are met.

Gov. Dannel P. Malloy has said he would sign the bill into law, after reaching an agreement with the legislature to include a provision that the law would not take effect unless four other states, at least one of which shares a border with Connecticut, passed similar regulations.

The Connecticut bill also hinges on those states including Northeastern states with a total population of at least 20 million.

“This bill strikes an important balance by ensuring the consumers’ right to know what is in their food while shielding our small businesses from liability that could leave them at a competitive disadvantage,” Mr. Malloy said in a statement issued over the weekend after negotiations on the necessary provisions.

The legislature passed the bill on Monday, 134 to 3.

More than 20 other states are considering labeling laws, including New York, Maine and Vermont. Early polling suggests widespread support for a ballot initiative that would require labeling in Washington, as concern spread about the impact of genetically engineered salmon and apples on two of the state’s marquee businesses.

In 2005, Alaska passed a law requiring the labeling of all genetically engineered fish and shellfish, but Connecticut would become the first state to adopt labeling broadly.

Cathleen Enright, executive vice president for food and agriculture at the Biotechnology Industry Organization, said the industry supported voluntary labeling for genetically engineered ingredients. Dr. Enright noted that the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typically required labeling of foods only when issues like food safety, consumer health or nutrition were at stake.

She also said labeling by an individual state might put that state’s industry and businesses at a disadvantage compared with other states.

Andrew Kimbrell, executive director of the Center for Food Safety, called Connecticut’s move an “important first step,” and “a reminder of where the tide is going on this issue.”

Mark Kastel, co-director of the Cornucopia Institute, a liberal farm policy research group, said that while the triggers were unusual, they could work to the labeling movement’s advantage. “The hurdles in the Connecticut bill, if surmounted, would mean a critical mass in the marketplace that would emulate the impacts that would have materialized if California had passed its ballot initiative,” Mr. Kastel said.

Big food and seed companies like Monsanto and Dow spent tens of millions of dollars last fall to help defeat a ballot measure in California that would have required labeling.

But whether other states will go as far as Connecticut is unclear. In New Mexico, the state Senate voted not to adopt the report of its committee recommending labeling, effectively killing the labeling effort there. Efforts in Vermont, Hawaii and Maine have stalled.

And on Monday, the New York labeling bill was defeated in committee after members, including several who were co-sponsors of the legislation, were lobbied intensely by a representative from the Council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a trade group whose members are BASF, Bayer CropScience, Dow AgroScience, DuPont Monsanto and Syngenta — all major makers of genetically modified seeds and pesticides that work with them.

Assemblywoman Linda B. Rosenthal, Democrat of Manhattan, said there were more than 40 co-sponsors when it went into the committee. “We had the votes lined up to pass this, and then the lobbyist for Monsanto and the other big seed companies showed up and was speaking to members and calling them and visiting their offices,” she said.

Ms. Rosenthal said she intended to continue to press for a labeling bill in New York.


728x90
728x90



728x90
728x90

'환경 보호'라는 명목에만 파묻힐 경우 발생하게 될 문제점을 잘 보여주는 기사.

단순히 환경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유전자조작 나무가 훨씬 더 나을 수도 있다. 그런 주장에 대해서 그럼 어떻게 반박할 것인가?

---------





미국은 밤나무가 무성했던 시기가 있었지만, 지금은 Cryphonectria parasitica라는 진균 때문에 발생하는 줄기마름병으로 많이 훼손되었다. 19세기 후반 아시아에서 건너온 묘목을 통해 북미로 들어온 C. parasitica는 1950년대에는 북미 대륙의 대부분에서 밤나무를 추억 속의 대상으로만 남겨놓게 되었다. 


그러나 미국의 밤나무는 유전공학 덕분에 다시 부활할 수 있게 되었다. 이번 달에 조지아, 뉴욕, 버지니아의 3곳에서 농무부의 감독에 따라 비GM 밤나무와 함께 GM 밤나무가 재배될 예정이다. 연구팀은 GM 밤나무가 진균에 강해지기를 원하고 있다. 


이번 프로젝트는 유전공학을 이용하여 진균 또는 해충에 의한 훼손으로부터 삼림을 보호하려는 FHI(Forest Health Initiative)에서 구성했다. 이번에 좋은 결과를 얻으면 FHI는 정부에 자연 삼림에 GM 밤나무를 허용하라고 요청할 계획이며, 밤나무 외에도 느릅나무, 물푸레나무, 전나무에 대해서도 유사한 프로젝트를 진행할 것이다.

밤나무의 유전적 보호 연구는 1990년에 뉴욕 주립대학의 William Powell 박사 들이 시작하였다. Powell 박사는 C. parasitica가 성장하면서 발생시키는 옥살산(oxalic acid)이 밤나무 줄기마름병의 여러 증상을 유발시킨다는 것을 확인했다. 또한 옥살산을 무독화시키는 oxalate oxidase라는 효소가 밀에 존재하는 것을 발견한 뒤, 밀의 oxalate oxidase 유전자를 밤나무에 도입하여 작년 여름의 시험에서 이 효소가 줄기마름병 저항성을 향상시킨다는 것을 확인했다. 

또한 수년 전부터 FHI와 Powell 박사 및 다른 연구팀들은 미국 밤나무 재단과 협력하여 C. parasitica에 저항성을 갖춘 중국 품종의 밤나무와 미국 품종을 교배시키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두 품종의 유전체 덕분에 연구팀은 미국 밤나무에서 27종의 중국 밤나무의 유전자를 시험하기 시작했다.

이들 27종 유전자들과 밀 유전자, 다른 나무의 유전자 5종을 여러 조합으로 보유하고 있는 나무 800그루가 이번 달에 심어져 3년 동안 지속될 것이며, 연구팀은 GM 밤나무가 지역 생태계에 적합한지의 여부와 얼마나 건강한지도 관찰할 것이다. 이들이 서로 잘 맞는다면 농무부, 환경보호청, 식약청에서 GM 밤나무를 자연 삼림으로 내보낼지 결정하게 될 것이다. 

지금까지 나무의 유전자변형은 성장을 빠르게 하거나 환경에 대한 저항성을 높이는 오로지 경제적인 목표만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방식은 야생 삼림을 파괴하는 슈퍼나무가 발생할 우려 때문에 환경보호론자들의 반대에 직면해 있다. 그러나 FHI의 목표는 야생 삼림을 보호하는 것이지 파괴하는 것이 아니다. 



http://www.economist.com/news/science-and-technology/21577033-gm-species-may-soon-be-liberated-deliberately-wildwood?fsrc=rss%7Csct

728x90
728x90

아래의 내용은 유전자변형 또는 유전자조작 기술에 대한 잘못된 정보 전달로 공포심을 유발하는 안 좋은 사례라고 할 수 있다. 이렇게 이렇게 접근해서는 역공을 받거나 고립될 뿐이다.  


유전자변형 기술이 곧 터미네이터 기술이라며 모든 종자를 불임으로 만든다고 이야기하는 부분은 문제가 있어 보인다. '종말 유전자'라고 부르며 '불임 유전자가 다른 식물에 확산되어 대가 끊겨버리면 우리는 굶어야 한다는 뜻'이라며 불안과 공포를 조장하는 논지를 펴고 있는데, 그것은 사실과 다르다. 과학자나 옹호자 들이 보면 유전자의 유 자도 모른다며 비웃음을 당할 뿐이다. 이외에도 뒷부분에 몇 가지 문제가 더 보이지만 가장 크게는 이 부분이 눈에 띈다.


유전자변형이 곧 불임종자를 만드는 것은 아니다. 며칠 전 오리건 주에서 발견된 유전자조작 밀도 아마 이전에 심던 밀에서 씨앗이 떨어져서 저절로 자란 것일지도 모른다. 만약 유전자조작 종자가 곧 불임종자라면 그런 일은 불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몇 년 전 국내에서도 시끄러웠던 곡물사료의 낙곡 문제도 마찬가지이다. 물론 유전자조작 작물이 생태계를 교란시킬 위험은 늘 존재하고 있다. 이 부분은 과학계에서도 인정하는 문제이다. 다만 산업계에서는 그런 문제가 없다고 호언장담하겠지만...

또한 몬산토에서는 사람들의 큰 우려와 반대로 인해 1999년부터 일체의 터미네이터 종자를 생산하지 않고 있습다는 것도 중요한 사실이다(http://blog.daum.net/stonehinge/8728861). 


GMO의 상업화와 확대는 GMO라는 과학기술 그 자체가 악이라기보다는, 현대의 사회구조와 농업생산 방식 및 유통소비의 방식이 더 근본적 원인이 아닌가 생각한다. 현재 유전자변형 기술은 의약 분야에서 인간을 위해 유용하게 활용되고 있다고 한다. 그걸 보면 이 과학기술을 어떻게 이용하느냐가 중요한 문제가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든다.

---------


인간 광우병처럼 어떤 위험은 10년이나 20년, 혹은 수십 년이 지나서야 현실로 나타난다. 그럼에도 우리는 자연의 섭리를 거스르는 일들을 서슴없이 자행하며 어떤 끔찍한 미래가 닥쳐올지 상상조차 하지 못하고 있다. 유전자 조작 식품의 위험도 마찬가지다. 그것이 얼마나 안전한지 입증할 수 없으며, 어떤 위험을 가져올지 모르는 불확실한 시대에 살고 있다.


아무리 과학이 발달했다고 해도 생명의 오묘한 신비에는 접근할 수 없다. 과학은 어쩌면 실험자가 원하는 실험적 결과만을 얻어낼 수 있고 이를 통해 행복할 수 있는 사람들의 잔치인지도 모른다. 그것이 정신적 만족이든 경제적 목적이든 인류의 미래를 위한 공명심이든 말이다.

직접 몸으로 느낄 수 없는 위험, 스스로 통제할 수 없는 위험 속에서 살아간다는 것은 생각만 해도 끔찍한 일이다. 단순히 상한 고기나 싹튼 감자, 독버섯을 먹거나 전염병에 걸렸다면 충분히 이해할 수 있다. 하지만 아무리 콜라를 마셔댄다고 해도 치아가 부식되는 것을 눈으로 볼 수가 없고 마가린을 먹은 사람의 혈관이 염증을 일으키는 것도 볼 수가 없다. 오염된 고기를 먹은 사람이 언제 어떻게 병이 날지도 알 수 없다. 긴 역사를 통해 자연 재해나 사고에 대처하는 지혜를 쌓아왔던 인류는 이제 위험의 정도를 예측할 수 없이 숨 가쁜 세상을 힘겹게 살아가고 있다.

박, 오이를 먹고 있다고 생각하면 정말 소름이 끼친다. 그러나 누구나 다 그렇게 느끼는 것은 아니다. 당도가 높고 시들지 않은 딸기를 먹는 것만으로도 행복해 하는 사람들이 많기 때문이다.

인류는 초여름에만 딸기를 먹는 것에 만족하지 못하고 계절에 상관없이 늘 맛있는 딸기를 먹고 싶어한다. 제철이 아닌 때 출하된 딸기들에 더 높은 값을 쳐주기 때문에 생산자도 돈을 더 많이 벌 수 있다. 계절의 연관성이나 어느 지역의 어느 생산자가 생산했는지는 더 이상 중요하지 않다. 궁금증도 없다. 눈에 보이는 풍요롭고 근사한 식품만이 황홀할 뿐이다.

유전자 변형 기술은 이른바 '종자거세 기술'이라고 하는 터미네이터 기술로 모든 종자를 불임으로 만들었다. 생명공학이라는 미명 아래 다국적 기업들이 전 세계 거대 종묘회사들을 사들여 특허권을 주장하며 매년 새로운 종자와 농약을 함께 팔고 있다.

전 세계 대부분의 유전자 변형 기술을 독식하고 있는 '몬산토'라는 회사는 제2차세계대전 당시에는 신경가스로, 70년대에는 농약 판매로, 80년대에는 유전자 조작 식품과 농약으로 전 세계인의 건강과 환경을 뒤흔들어 놓고 있다. 그럼에도 WTO에 의해 종자 기술 특허를 지적재산권 강화로 보호받고 있고 통관 절차나 안정성 문제는 무역장벽이라고 몰아붙여 전 세계적으로 패권을 보장받고 있다.

이제 농부들이 수확한 결실의 일부를 다음 해 종자로 사용하기는 매우 어렵다. 매년 종자를 구입해야 하고 그 씨앗을 키우기 위해 종자를 판매한 회사에서 화학 비료와 농약을 구입해야만 한다. 농부들은 더 이상 번식할 수 없는 '종말 유전자' 때문에 매년 돈을 써야 한다. 나아가서는 그들의 방식에 우리의 삶이 송두리째 종속되어감을 의미한다. 그 불임 유전자가 다른 식물에 확산되어 모두 대가 끊겨버리면 우리는 굶어야 한다는 뜻이기도 하다.

일부 바이러스를 제외하고 모든 생물은 세포로 구성되어 있으며 세포 안 염색체 속에 고유의 유전자가 있다. 유전자에는 생명 활동에 필요한 생리 물질들을 생산할 수 있도록 암호로 그 명령이 기록되어 있다. 유전자를 통해 고유 형질을 발현하고 후대에 이어준다.

지구상 모든 생물의 유전자는 똑같은 암호로 기록되어 있는데 이 암호를 해독할 수 있다면 유전자 안의 암호 명령을 인위적으로 바꿀 수 있을 것이라는 발상에서 출발한 것이 바로 유전자 조작이다.

생명체 간 유전자 교환은 동종끼리 자손을 남기기 위해서만 이뤄졌다. 그러나 유전 공학의 발달은 유전자를 기계의 부품처럼 얼마든지 바꿀 수 있다는 생각을 가능하게 했다. 유전자 조작 기술은 전통적인 품질개량과는 질적으로 차원이 다른 문제다. 육종 재배를 통해서는 유전적 특성이 같은 종이나 비슷한 종끼리만 전달이 가능하지만, 유전자 조작을 통해서는 다른 종의 유전자에 들어가 생명체의 성질 자체를 완전히 바꿔버릴 수 있다.

유전자를 바꾸는 것은 아주 정밀한 작업처럼 보이지만 사실 세포 안의 염색체를 향해 유전자를 쏘아 넣는 것과 비슷하다. 모든 세포는 세포막과 세포벽으로 자신의 유전 형질과 생명 활동을 보호한다. 이런 세포를 뚫고 들어가기 위해 유전자총이나 뿌리혹박테리아 등이 그 역할을 하고 있다. 유전자 이식은 무차별적으로 이뤄지는데 원치 않는 다른 염색체 사이에 끼어 들어가거나 뒤집혀 들어갈 수도 있으며 한 곳이 아닌 여러 곳에 다발적으로 들어갈 수도 있다. 아무도 그 결과를 상상할 수 없는 위험한 일이 벌어지고 있다.

유전자 조작 식품을 강력히 규제하는 것은 더 이상 늦출 수 없는 정부의 당면 과제다. 우리는 유럽인들보다 10배나 더 많은 유전자 조작 식품을 먹고 있다. 그들처럼 비의도적 혼입율을 3%에서 0.9% 이하로 낮추고 최종 제품에 무조건 표시하는 완전 표시제를 서둘러 시행해야 한다. 소비자들의 알 권리와 선택 속에 유전자 조작 식품의 운명을 결정지어야 한다. 개개인도 가공식품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면서 우리 땅에서 자란 전통 먹을거리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이태리 스페인 광장에서 맥도날드에 반발하며 출발했던 슬로우푸드 운동가들은 이제 기업농이 아닌 소농을 보호하고 단일 품종이 아닌 생물의 다양성을 확보하며 지역 생산품들을 지키는 일이 중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유전자 조작 문화는 슬로우푸드 운동의 모든 사회적 기반을 붕괴시킨다고 판단하며, 유전자 조작 식품을 생산하고 판매하는 일을 5년간 동결해 생태계에 휴식을 주자고 요구하고 있다.

모든 생명이 평화롭게 공존하는 지속 가능한 세상을 꿈꾸는가? 지구 저편에서 들려오는 작은 목소리에 귀 기울이며 함께 하고자 할 때 조금이라도 희망을 꿈꿀 수 있을 것이다. 





출처 : 생존의 밥상 
저자 : 김수현 지음 
출판사 : 넥서스BOOKS 
책정보 더보기 ▶ 



728x90
728x90


유전자조작 밀이 오리건 주에서 발견되었다. GM 밀은 미국에서 재배가 승인되지 않았다.



오리건 주의 농민이 자신의 밭에서 자라고 있는 유전자조작 밀을 발견했다. 이런 유형의 유전자조작 밀을 상업적으로 재배하도록 승인된 적이 없기에 달갑지 않은 일이다. 

미국 농무부는 그 밀이 어떻게 거기에 있는지 알아내기 위해 조사하겠다고 했다(http://1.usa.gov/175w4ry). 농무부는 공공보건에 대한 위험은 없지만, 밀이 수출되는(http://bit.ly/1azZsTW) 아시아와 유럽의 소비자들이 어떻게 반응할지 우려된다고 했다.

사실, 수출시장에 대한 우려가 유전자조작 밀이 최초로 시장에 나오지 않은 주요한 이유이다.

생명공학 기업인 몬산토는 제초제인 글리포세이트 또는 라운드업에 저항성을 가진 품종을 만들었다. 지금은 "라운드업 레디" 옥수수, 대두, 목화, 카놀라만 있을 뿐이다. 아무튼 미국의 16개 주에서 이 밀을 이용해 현장시험을 수행하기도 했다. 

그러나 전국의 재배자들은 몬산토에게 그 밀을 원하지 않는다고 이야기했다. 


"우린 미국과 기타 국가에서 규제승인을 받지 않은 어떠한 생명공학 작물도 상업화하길 바라지 않습니다"라고 전미 밀연합(http://bit.ly/Nxnsp)의 부대변인 Steve Mercer 씨가 말했다. 미국에서 밀을 수입하는 국가를 포함해 여러 나라에서는 유전자조작 작물에 꽤 적대적이다. 


몬산토는 밀 프로젝트를 포기하고 정부에 승인을 요청하지 않았고, 밀의 현장재배시험도 2005년에 끝났다.

8년이 훌쩍 지났다. 약 한 달 전, 동부의 오리건 주에 사는 농민이 이상하게 자라고 있는 일부 밀을 발견했고, 거기에 라운드업을 쳤지만 죽지 않았다. 

농민은 이 이상한 식물체의 표본을 승인된 영역을 넘어 확산되는 유전자조작 작물의 사례를 조사하는 오리건 주립대학의 과학자 Carol Mallory-Smith (http://bit.ly/19qN8aY) 씨에게 보냈다. 

그녀는 이 밀이 유전자조작된 것임을 알아냈다. 그녀는 이 표본을 농무부로 보내 자신의 결과를 확인받았다. 미국 농무부의 동식물건강조사서비스의 관리 Bernadette Juarez 씨는 발표(http://bit.ly/136DnuS)에서 자신의 기관이 농장에서 더 많은 표본을 수집하여 시험을 실시했다고 하였다. "우린 여기에서 무엇이 일어나고 있는지 밝히기 위하여 현장에 전담조사진을 보내 일하고 있습니다"라고 했다.


이 농장에 어떻게 이 밀이 왔는지는 아무도 모른다. 오리건 주에서 행한 몬산토의 마지막 현장시험(http://bit.ly/12iYxcL)은 2001년이다. 이러한 모든 시험 이후 유전자조작 작물은 완전히 제거되었어야 했다. 

또한 이 유전자조작 밀이 어떻게 널리 퍼졌는지에 대해서도 아무도 모르고, 그 밀이 수확되어 식품에 들어갔는지도 알지 못한다. 

미국 농무부에 따르면 설사 그렇더라도 공중보건에는 아무 위험이 없다고 한다. 

그래도 추가 시험으로 이 승인되지 않은 밀이 식품공급에 퍼졌다고 한다면, 밀 판매에 혼란을 일으킬 수 있다.

2006년 유전자조작 벼의 흔적 —이 또한 승인되지 않은— 이 수확한 미국의 벼 가운데 일부에서 발견되었다. 그로 인해 몇몇 국가에서는 미국의 쌀 수출을 막아버렸다. 수출업자들은 수백만 달러를 손해보았다. 밀은 그보다 훨씬 양이 많다. 

전미 밀연합의 Steve Mercer 씨는 밀에서 그런 일이 일어날 리는 없다고 이야기한다. 지금 현재, 동부의 오리건 주에서만 고립되어 일부 자라고 있는 식물일 뿐이다. 


그는 "우리는 모든 고객과 연락을 취하고 있는 과정입니다"라고 말한다. "우린 그들이 결정을 내리는 데 필요한 모든 정보를 제공하려고 노력하고 있으며, 이 밀이 상품에 들어가지 않았음을 확신시키고 있습니다."


그가 말하길, 지금까지 고객들은 어떠한 결정도 내리지 않고 있다. 그들은 단지 더 많은 정보를 바라고 있을 뿐이다. 


728x90
728x90


유전자조작 옥수수를 수확하는 모습.




유전자조작(GM) 식품이 소수 기업의 이윤에 의해 사람들에게 강요되고 농산업이나 거기에서 자금을 지원받은 연구소에서 연구하는 과학자들에 의해 옹호된다는 느낌을 받는다면, 무언가를 할 수 있다. 

유전자조작 종자(유전자조작 동물로 만든 식품)를 전도하는 GM 지지자들의 열의는 단지 유전자조작 식품에 표시제를 실시하려는 대중의 노력을 물리치고자 엄청난 돈을 쏟아부을 정도로 극성맞다.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유전자조작 식품 표시제를 실시하자는 37호 주민발의 투표에만 약 5000만 달러를 썼다. 무엇보다 그 사건이 미국에서만 우연히 일어난 것이 아니다. 나는 Food&Water Watch의 대표인데, 우린 세계가 원하든 아니든 생명공학 작물을 해외로 진출시키려고  미국 국무부가 GM 종자산업을 대신하여 활동하는 범위를 조사하고자 몇 달을 보냈다.  

우리의 보고서는 2005~2009년 국무부의 900여 건에 이르는 외교회신을 분석하여, 미국 국무부가 GMO에 대한 저항이 높다고 알려진 해외에 종자산업의 의제를 밀어붙이는 데 얼마나 도움을 주었는지 드러냈다. 


다음은 우리가 포괄적으로 회신을 조사하여 수집한 내용들이다.

• 2007~2009년 사이, 연간 회신은 "적극적으로 생명공학 의제를 추진하는" 미국 대사관의 지휘에 따라 "농업생명공학의 사용을 장려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 GM 작물에 대한 전 세계의 반발을 고려하여, "기술의 이해와 수용을 촉진하고" "생명공학에 대한 미국 정부의 무역과 개발 정책의 입장에 대한 지원을 개발"하려는 목적을 띠고 종합적인 홍보활동을 했다. 

• 반발이 강한 일부 대사관들은 노력을 중시하지 않았다. 우루과이의 대사관은 생명공학을 촉진하기 위한 "회담을 여는 데 매우 조심스러워했다." 페루와 루마니아에서는 미국 정부가 새로운 친생명공학 비정부조직을 만드는 데 도움을 주었다. 

• 국무부는 유전자조작 작물에 관한 긍정적인 보도를 내도록 하라고 대사관에 촉구했다. 또한 외교기록도 언론을 우회하여 대중에게 직접적으로 전했다. 예를 들어 홍콩 영사관은 모든 고등학교에 친생명공학 홍보물을 보내기도 했다. 

• 국무부는 종자 기업의 이익을 위해 무역장벽을 낮추기 위해 노력하고, 대사관에 "농생명공학이 개발수단으로 유익하다는 점을 홍보"하도록 권장했다. 


몬산토는 국무부가 납세자들의 돈으로 벌인 외교활동의 큰 수혜자였다. 그들은 해외에 자신의 종자가 재배되도록 길을 닦는 데 도움을 받았다. 이 기업은 2005~2009년 사이 21개국에서 행해진 생명공학 관련 회신에서 6.1% 정도 나타난다. 남아프리카의 대사관조차 최근 생명공학 단속을 제공하던 기관에서 공석이 된 두 자리에 관해 몬산토와 파이오니어에 정보를 제공했다. 그 공석을 채우기 위한 "자격을 갖춘 지원자"를 내보내라고 기업들에 제안했다. 일부 대사관들은 기업에 이익이 될 지적재산관 법률과 특허 문제에서 유리한 성과를 올리기 쉽도록 시도하기까지 했다. 

또한 회신은 GM식품의 표시제를 요구하는 국내의 노력에 대항한 광범위한 로비활동에 대해 보여준다. 2008년, 홍콩 영사관은 의무표시제 요구가 제안되자 그를 포기하도록 하는 데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2005~2009년 사이 42개국의 8번의 회신에서 생명공학 표시제 요구를 언급했다. 

게다가 미국 정부는 현재 생명공학 제품의 수입을 허용하고 생명공학 작물을 상업화하며, GM식품의 표시제를 막기 위하여 유럽 및 환태평양 지역의 국가들과 조용하게 협상하고 있다.

몬산토와 생명공학 종자산업이 우리의 외교업무에 미치는 막대한 영향력은 미국에서 식품정책 대부분에 막대한 힘을 행사하는 소수의 거대기업이 형성한 짐승의 촉수 가운데 하나일 뿐이다.

우리가 여기 있는 건 우연이 아니다. 농업정책은 수십 년 동안 더욱더 합병을 하는 거대기업에만 계속 이로워지고 있다. 그들이 시장에 전례 없는 힘을 행사하고, 때때로 중소 규모의 농민들이 폐업하도록 만들며, 공장식 축산과 그걸 연료로 하는 GM 농상품의 재배를 선호한다. GM 옥수수와 콩은 전 세계에서 생산되어 팔리는 정크푸드의 초석이기도 하다.

고맙다, 몬산토여. 그리고 고맙다, 국무부여. 종자만 파는 게 아니라, 민주주의도 팔고 있구나.



보고서 원문 

Biotech_Report_US.pdf



http://www.guardian.co.uk/commentisfree/2013/may/14/monsanto-gm-crops-worldwide


Biotech_Report_US.pdf
1.95MB
728x90
728x90

유전자조작 작물을 만드는 기술은 날이 갈수록 발전하며 그 속도가 점점 더 빨라지고 있다.

이번에는 사과이다. 과일에서는 파파야에 이어 두 번째로 승인을 받으리라 기대된다고...

---------


Okanagan Specialty Fruits의 과학자들이 개발한 새로운 유전자조작 사과. 갈변이나 상처가 잘 나지 않는다.


캐나다 회사 ‘Okanagan Specialty Fruits’가 개발한 GM사과가 2010년부터 미국의 관련부서에서 승인 검토과정을 거치고 있다. 만약 승인이 된다면 파파야에 이어 미국에서 승인된 두 번째 과일이 될 것이다.

미국 농무부와 FDA의 승인 심사를 받고 있는 이 GM사과가 승인될 전망은 현재로서는 밝다. 상처나 갈변이 잘 생기지 않기 때문에 일병 '보톡스 사과'로 불리는 이 사과는 각각 ‘Arctic Granny Smith’와 ‘Arctic Golden Delicious’라는 이름을 가지고 있으며, 이 GM사과 들은 음식물쓰레기의 양을 줄이고 맛과 질감 및 영양소의 보존이 보강되었다.

하지만 이 GM사과의 유전자 오염으로 유기농 사과의 유럽 판매량이 줄어들 수 있다며 워싱턴 주의 사과 재배농민들은 승인에 반대하고 있다.



 Okanagan Specialty Fruit의 대표 Neal Carter 씨가 올해 말 미국 농무부와 FDA에서 이 사과를 승인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하고 있다.

Okanagan은 몬산토와 마찬가지로 유전자조작식품 표시제에 반대하고 있지만, 스스로 ‘Artic'이라는 표시를 붙여서 다른 일반적인 사과와 구별할 것이라고 한다. 

갈변에 작용하는 효소를 제어하면 갈변이나 변색을 막을 수 있다는 것이 이 사과의 개발 원리로, 3년에 걸친 엄격한 조사 결과 일반 사과와 마찬가지로 안전한 것으로 드러났다. 파파야에 이어 미국에서 승인을 받게 될 과일이 될 것이라 기대하고 있다. Okanagan은 앞으로 30일 동안의 2차 공청회가 있은 뒤 2013년 말쯤 승인이 되리라 예상하고 있다.  



http://www.nydailynews.com/news/national/gmo-apples-don-bruise-brown-stores-article-1.1340831


728x90
728x90

프랑켄슈타인에 빗대어 괴물을 만들었다고 비판하는 말이 "프랑켄푸드", 곧 유전자변형 또는 유전자조작 식품이다.

그 말이 이해가 된 것이 토마토에 무슨 물고기의 유전자를 넣었다고 하지를 않나 하는 '異種교배' 때문이었다.

그런데 이제는 그렇지 않다. 감자 품종 중에서 원하는 특성을 지닌 유전자만 쏙 빼내서 다른 품종의 감자에 쏙 집어넣는 일이 가능해졌다. 즉, 이제는 사람들이 유전자조작 작물을 무슨 괴물을 쳐다보듯이 하지 않을 가능성이 점점 높아졌다는 이야기이다.


유전자조작이란 방법으로 육종한 새로운 작물은 확실히 전통적인 육종법으로 개발한 작물보다 시간도 더 짧게 걸리고, 시행착오도 줄일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비용을 엄청나게 절감할 수 있기도 하다. 효율성과 생산성, 정확성에서 훨씬 더 우수하다고 평가할 수 있다. 

이것을 어떻게 보아야 할까? 유전자조작이란 기술 자체를 부정해 버린다면, 우리가 지금 컴퓨터로 이 글을 쓰고 읽는 행위조차 그만두어야 할 것이다. 이건 단지 과학과 그를 이용한 기술일 뿐이다.

어디까지 비판해야, 아니 부정해야 하는가? 참으로 어려운 문제가 아닐 수 없다. 처음 자동차를 반대했던 사람들이 이런 입장이 아니었을까?


아래의 기사에 따르면, 심플로트라는 생명공학 기업에서 개발한 감자가 한국으로 들어올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이 감자의 우수성이 입증되면 아마 많은 농민들이 재배할 것 같다. 그것이 시장에 출하되었을 때 환경단체나 농민단체 등에서는 어떻게 반응할 것이며, 소비자는 어떠한 반응을 보일까?  

---------



심플로트의 유전자조작 감자 실험재배 온실.



흙에서 삐죽 튀어나온 심플로트의 유전자조작 감자.



소비자들이 유전자조작 감자를 포기하라고 몬산토에게 저항한 지 10여 년 뒤, 아이다호의 기업이 최첨단 감자를 부활시키려고 한다. 

이번 달, 덩이줄기를 다루는 대형 J.R. 심플로트(Simplot)사는 미국 정부에게 5가지 품종의 생명공학 감자를 승인해 달라고 요청했다. 그들은 검은 멍이 생기지 않도록 조작했다. 맥도날드는 심플로트에서 감자튀김의 원료를 많이 얻는데, 이 감자는 암을 유발할 수 있는 신경독소 아크릴아미드가 적게 생기도록 설계되었다. 

보이시에 있는 기업에 따르면 대부분 12년이 걸렸다.

1990년대에 해충을 죽이는 합성 박테리아 유전자를 활용하여 상업화된 몬산토의 형질전환 품종과 달리, 심플로트의 새로운 "Innate"라는 상표의 감자는 오직 감자의 유전자만 활용했다.

예일과 하바드 대학에서 공부한 식물학의 부회장 Haven Baker 씨는 자신의 과학자들이 원치 않는 특성을 "조용히 만드는" 한편, 100% 감자로만 확실하게 만들고자 식물의 게놈을 헤집고 다녔다고 한다.

"결코 전통적인 식물육종으로 더 이로운 효과를 볼 수 없을 것이다"라고 말한다. "그리고 그 방법은 기간도 2배나 걸릴 것이다."

몬산토의 불행한 사건을 기억하는 업계의 사람들은 심플로트가 비슷한 운명을 피하기 위한 주요한 과제는 재배자와 가공자, 결국에는 그걸 먹는 사람들이 그 제품을 받아들일 수 있게 보장하는 것이라고 말한다. 

"소비자들이 이 제품을 수용할 준비가 되지 않는 한 성공할 수 없다"고 아이다호의 30억 달러의 산업을 대표하는 감자위원회 대표 Frank Muir 씨는 말한다. 현재 홈페이지에 아이다호의 감자는 유전자조작되지 않은 것을 자랑으로 내세우는 그 단체는 심플로트에 시도를 비중있게 다루지는 않는다. 

그러나 Muir 씨는 그 기업이 바르게 나아가고 있다고 생각한다. 업계만이 아니라 소비자도 결국 크고, 상처나지 않고 튀긴 때깔이 고운 천연의 감자를 구매할 것이다. "그들은 모든 적절한 조치를 취하고 있습니다."

미 농무부와 식품의약품안전청은 심플로트의 감자를 심사하기로 했으며, 캐나다의 기업 Okanogan Specialty Fruits에서 잘랐을 때 갈변하지 않도록 개발한 유전자조작 사과에 대한 비슷한 검토가 완료 단계에 있는 중이다.

사과 업계는 유전자조작되지 않은 사과의 재배자들이 마케팅하는 데 문제가 될 수 있다며 Okanogan의 "Arctic" 사과에 반대하고 있다. 북서부 원예협회 회장 Christian Schlect 씨는 감자가 먼저 시장에 나오기를 바라고 있다고 한다. 

그는 "우린 단지 이 기술을 마케팅하여 사람들이 찾을 수 있도록 감자만 생각할 것입니다. 우리는 그들의 경험을 따를 것입니다"라고 말한다. 

사실 두 제품은 정부의 승인을 얻어야지만 2015년이나 2016년 동시에 소비자에게 인기를 끌 수 있다. 

Baker 씨는 심플로트의 새로운 감자가 멍으로 손실되는 것을 줄여 재배자들이 더 많은 돈을 벌도록 할 것이라고 한다. 어떤 때는 전체 수확량의 5%가 그러한 멍으로 손실되기도 한다. 또한 그 감자는 감자튀김과 감자칩을 만들었을 때 캘리포니아의 엄격한 기준보다 낮은 아크릴아미드가 생산되도록 설계되었다.

맥도날드는 이 덩이줄기에 관한 논평을 하지 않았다. 심플로트의 경쟁사인 ConAgra는 그 감자가 유전자조작이 아니라고 했다.

Twelve years on, 세인트루이스에 있는 몬산토는 12년 전 포기한 "New Leaf" 감자에 관해 입을 꽉 다문 채이다. 그 감자는 콜라라도감자벌레를 죽이도록 설계되었다. 그것은 "유전자조작 생물체에 대한 부정적 반응에 영향을 받지 말자"는 사업적 결정이었다고 대변인 Carly Scaduto 씨는 말한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그 감자가 사람들의 관심이 사라져 세상에 나왔다고 말한다. 맥도날드 같은 음식점들이 튀김에서 New Leaf 감자를 추방한 뒤 2000년 아이다호와 노스 다코타의 농민들이 재배를 중지했다. 1996년 북미에서 6600만 평에 재배되던 몬산토의 생명공학 감자는 2002년 사라졌다. 

아이다호 대학 농경제학 교수 Joe Guenther 씨는 심플로트에서 연구비를 받아서 2011년 식품체인점으로 유전자조작 감자를 재도입하는 문제에 관한 감자 업계 담당자들의 반응을 조사했다. 그는 1990년대에 양산된 "유전자조작 식품"이란 용어처럼 이종 미생물이 아닌, 감자 유전자로 조작을 한 감자를 제공하면 성공할 수 있다고 결론을 내렸다. 

"몬산토의 제품은 종의 경계를 넘어섰습니다"고 Guenther 씨는 말한다. "심플로트의 제품이 흥미로운 점은 그것이 감자라는 종 안에서 이루어졌다는 것입니다."

또한 Guenther 씨의 2011년 보고서에서는 환경단체의 지지를 얻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했다. 단체들은 10년 전 기업이 감자 유전자를 마음대로 탈취한 것에 관해 걱정한다.

워싱턴 DC에 있는 식품안전을 위한 센터의 과학정책 분석가 Bill Freese 씨는 심플로트의 감자가 미국 농무부나 FDA의 엄격한 시험을 거치지 않은 다른 유전자조작 작물의 대열에 합류한다고 말한다. 

반면 심플로트의 Baker 씨는 20곳의 현지실험에서 자신들의 감자가 조작되지 않은 감자와 거의 동일한 특성을 나타낸다는 것이 입증되었다고 한다. Freese 씨는 어두운 전망을 보였다. 유전자조작은 유전자를 최선을 다해 다루었어도 인간의 건강과 환경에 예기치 않은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시끄럽고 예측할 수 없는 것이라고 한다.

Freese 씨는 장기 동물 먹이 시험과 필수 표시제의 부재도 걱정의 원인이라고 한다. 감자는 사람들이 직접적으로 먹는 주식이기 때문이다. Freese 씨는 몬산토의 경우처럼 Innate 감자가 실패할 것이라 예상한다.

그는 "궁금한 건 왜 그들은 계속해서 대중의 지각을 잘못 판단할까 하는 점입니다"라고 말한다. "생명공학의 방법은 부족한 규제와 함께 솔직히 꽤 위험한 방식으로 산업형 식품 체계에 작물을 적응시키기 위해 유전자 수준에서 식품을 변경하는 것이다."

심플롵의 Baker 씨는 FDA의 다른 자료를 들며 유전자조작 식품이 전통적으로 육종된 식물로 만든 식품들과 똑같이 안전 요구사항을 충족시킨다고 지적한다. "영양분과 알러지는 기존 감자와 전혀 다르지 않다"고 말한다.

4만5000명의 재배자를 대표하는 워싱턴 DC에 있는 전국 감자위원회는 몇 달 전 심플로트의 계획을 알게 되었다. 위원장 John Keeling 씨는 감자를 개선하기 위한 과학적 발전은 지지하지만, 과거의 실수를 피하기 위해 심플로트에 조언을 했다. 

예를 들어, 일부 몬산토의 덩이줄기가 승인받지 않은 일본으로 들어가 길을 발견했다. 그 뒤, 일본에서 미국의 감자를 시험해야 했다고 한다.

"시장의 일부가 Innate 기술을 원하지 않는다 하고 다른 이들은 그걸 원한다고 이야기한다면, 두 가지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고 Keeling 씨는 말한다. "심플로트는 우리가 했던 생각을 깊이 고려해야 한다."

심플로트는 일본만이 아니라 캐나다, 멕시코, 한국에서 승인을 신청하고 있다.


http://www.oregonlive.com/environment/index.ssf/2013/05/idaho_potato_giant_jr_simplot.html


728x90
728x90


유전자조작 토마토를 시험하니 저장기간이 2배 이상 늘어났다.


안토시아닌이란 천연색소로 독특한 빛을 띠는 GM 토마토는 긴 저장기간 덕에 늦게까지 수확하여 운송할 수 있게 되었다.

시험 결과 유전자조작 이후 평균 21~48일로 저장기간이 2배 이상 길어졌고, 수확 이후 곰팡이가 덜 슬었다.

그 계통은 높은 항산화물질 덕에 항암효과를 본 쥐에 대한 예전 연구에서 발견된 것인데, 과학자들은 딸기와 라즈베리 같은 부드러운 다른 과일에도 적용할 수 있다고 한다.

이 토마토는 노포크의 John Innes 센터의 과학자들에 의해 금어초金漁草(http://ko.wikipedia.org/wiki/%EA%B8%88%EC%96%B4%EC%B4%88)에서 찾은 두 가지 유전자를 포함하도록 조작되었다. 이 유전자들이 토마토에 내재된 더 많은 안토시아닌이 생산되도록 촉발한다. 

안토시아닌 색소는 다양한 식물과 꽃에서 자연적으로 발생하여, 자연에서는 그 함량에 따라 파란색, 빨간색, 보라색으로 나타난다.

프로젝트의 목적은 건강을 위하여 항산화물질이 많은 과일을 생산하는 것이었고, 예전 연구에서는 그것이 암에 걸리기 쉬운 쥐의 생명을 30% 연장하는 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런데 연구진은 Current Biology 저널에 발표한 새로운 논문에서, 유전자조작 과일이 물러지는 데 더 오래 걸리며 토마토의 저장 중 썩게 만드는 곰팡이인 보트리스 시네레아에 대한 더 높은 저항성도 가진다고 보고했다. 

연구진의 Jonathan Jones 교수는 “토마토는 소비자에게 익을 때쯤 공급할 수 있도록 녹색일 때 수확하여 맛과 향이 떨어진다. 우리가 개발한 토마토는 더 늦게 맛과 향이 풍부할 때 줄기에서 수확할 수 있고, 먼 거리를 운송할 수도 있다"고 설명한다. 

연구진은 올여름 이 작물을 생산하고자 캐나다의 기업을 섭외했고, 앞으로 1년 안에 건강에 어떤 이로움이 있는지 임상시험을 할 계획이다. 

관상동맥 심장질환의 위험을 낮출 수 있는지 측정하는 의사들의 도움으로 노포크와 노르위치 대학병원의 환자들에게 보라색 토마토 쥬스가 제공될 것이다.

이 프로젝트를 이끄는 John Innes 센터의 교수 Cathie Martin 씨는 "보라색 쥬스가 대체요법으로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확인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라고 말한다.

“사람들이 그 토마토를 보면 정말로 대단하다고 생각합니다 … 난 우리가 정말로 사람들에게 이로운 무언가를 만들었다고 생각합니다.”

신규사업으로 분리해 기업을 만든 그 연구진은 보라색 토마토 쥬스가 3년 안에 미국에서 시판되길 희망하고, 영국에서는 강한 규제절차로 인해 더 늦어질 것이다. 


http://www.telegraph.co.uk/science/science-news/10076492/Genetically-modified-purple-tomato-tastier-than-normal-varieties.html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