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담/농-문화255 농민들의 수자원 전쟁 -1장 논을 홍수로부터 지키는 지혜 1장 논을 홍수로부터 지키는 지혜 ●일본 무논의 특징일본 무논의 대부분은 벼농사의 시기에는 인공 관개 시설(용수로)를 이용해 물을 넣고, 벼농사가 끝나면 배수로에서 물을 빼서 뒷갈이로 보리 등을 농사지을 수 있습니다. 무논 벼농사와 밭농사가 긴밀히 연결되어 있는 바에 일본 농업의 특징이 있습니다. 이모작 지대에서는 무논 자체가 겨울철에는 밭으로 이용되었던 것입니다. 논은 밭이기도 했습니다. 일본 열도는 결코 광대하지 않지만, 기후와 지형이 변화무쌍하기 때문에, 다양한 농작물이 재배되어 왔습니다. 벼 이외의 밭작물의 다양성도 잊지 말아야 합니다. 또한 벼는 이어짓기가 가능합니다. 그러나 이는 당연한 것이 아니라, 관개와 배수의 조절과 비료의 투입이 있어서 비로소 가능해진 것이었습니다. 그리고 끊이지 않고.. 2025. 4. 7. 농민들의 수자원 전쟁 -시작하며, 목차 시작하며 ●농민들의 수자원 전쟁이 책은 에도 시대의 농민들이 물과 어떻게 관련되어 살아왔는지를 기술하려 합니다. 농민들에게 물은 음료수·생활용수임과 함께 농업용수로서도 빼놓을 수 없었습니다. 물의 확보는 사활 문제였습니다. 그렇지만 에도 시대에도 수자원은 유한했습니다. 그래서 물 부족인 해 등에는 똑같은 강에서 농업용수를 취수하는 마을들 사이에 물을 둘러싼 다툼이 일어났습니다. 예를 들면, 상류부의 마을이 많이 취수했기 때문에 하류부의 마을까지 물이 흘러오지 않게 되어 하류부의 마을이 상류부의 마을에 항의했다는 사례입니다. 이 책에서는 에도 시대에 살았던 우리 선조들이 물을 둘러싸고 한면으로는 대립하고 싸우며, 다른 한면으로는 협력해 왔던 발걸음을 구체적으로 기술합니다.현대에도 물을 둘러싼 대립은 사라.. 2025. 4. 6. 마을의 작은 정미소가 구하는 아시아, 아프리카의 쌀농사 - 맺음말을 대신해 맺음말을 대신해 '기술'이란 물질이 아니다사회관계를 무시한 '기술적 해결'이란 있을 수 없다 2차대전 패전 이후 많은 일본인은 이제부터는 세계 사람들의 평화적 발전을 위해 공헌하는 것이 그 살아가는 길이라 말하고, 해외 여러 나라의 사람들과 함께 발전하기 위해 다양한 형태로 협력해 왔다. 선진국으로부터 도상국으로는 여러 가지 경제적 원조가 행해졌지만, 이윽고 "배고픈 자에게 주어야 할 것은 물고기가 아니라, 낚시 도구와 낚시 기술이다"라고 주창하며 "technology transfer"라는 것이 국제적으로 널리 강조되었다.이것을 일본에서는 '기술 이전'이라고 번역되었다. 기술이란 '전하고' '배우는' 것이지, 건물이나 물품처럼 한 지점에서 다른 장소로 '이동되'거나, 또는 사람에게서 사람으로 단순히.. 2025. 4. 1. 마을의 작은 정미소가 구하는 아시아, 아프리카의 쌀농사 -5장 5장 아시아, 아프리카의 쌀 증산과 농촌 정미소 농촌 정미소의 출현에 따른 인도네시아의 기적적인 쌀 증산 쌀농사로 농민이 얻는 이익은 매우 낮았다일찍이 인도네시아는 세계 최대의 쌀 수입국으로, 세계의 식량 안정 공급이란 측면에서 일대 불안 요인이었다. 그래서 1945년 독립 이후, 이 나라에서는 쌀의 증산이 지상명령이었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쌀 생산 증가의 발걸음은 더디기만 했다. 당시, 이 나라의 정미소는 화교의 소유·운영되는 소수의 상업 정미소밖에 없고, 그 총 정미 능력은 생산 나락의 10~20% 정도밖에 되지 않았다. 그렇다면 정미소가 신설·증설되어도 좋을 것 같지만, 거기에는 정부의 '허가'가 필요하고 그 허가를 얻을 수 있는 건 쌀의 집하·가공·판매·수입 등을 도맡아 하고 있는 화.. 2025. 3. 26. 강원도의 산간 주거 https://efw.nfm.go.kr/gangwon/index.html 1994, 박물관 주생활 조사의 첫발을 내딛다Since its opening in 1946 as the National Museum of Anthropology, the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has consistently conducted research on domestic and international folk cultures, accumulating valuable academic achievements. These findings have been highlefw.nfm.go.kr 들어가는 글 1994년의 '강원도 산간지역의 가옥과 생활 조사'는 국립민속박물관의 첫 번째 민가 조사 보고서입.. 2025. 3. 25. 마을의 작은 정미소가 구하는 아시아, 아프리카의 쌀농사 -4장 4장 농촌 정미소의 파급 효과 농촌 정미소는 그걸 쓰지 않는 농민에게도 도움이 된다 쌀농사 역사가 긴 아시아 여러 나라에서는 오늘날 농촌의 곳곳에 농촌 정미소가 있어서 농민이 널리 이용하고 있다. 아시아의 쌀농사 농민에게는 "나락으로 파는 건 손해, 백미로 만들어 팔면 돈벌이가 된다"는 것은 당연한 상식이 되고 있다. 그래서 그들의 대부분은 "가능하다면 나락으로가 아니라 백미로 만들어 팔고 싶다"고 염원한다. 그러나 빚에 쫓기고 있는 많은 소농민은 연간 수십 퍼센트에 이르는 고리의 빚을 서둘러 변제할 필요에 쫓기고 있기에, 나락 가격이 가장 싼 수확 직후의 시기에 손해를 감수하고 대부분의 나락을 그대로 집하업자에게 팔아 치울 수밖에 없는 일이 많다. 비록 나락 채로 팔더라도 그것을 좀 더 저장했다가 .. 2025. 3. 20. 이전 1 2 3 4 ··· 4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