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통농업122 지속가능한 농업을 구축하는 데에 고고학이 가르쳐주는 것 우리가 먹는 것은 우리의 건강만이 아니라, 지구 자체에도 해를 끼칠 수 있다. 해마다 인간이 생성하는 온실가스 배출의 약 1/4은 우리가 세계를 먹여살리는 데에서 비롯된다. 그 대부분은 소가 방출하는 메탄, 화학비료의 질소산화물, 작물의 재배나 가축의 사육을 위한 산림 파괴 등에 의.. 2019. 8. 12. 콩과 옥수수 섞어짓기 한국에서 흔하던 콩밭에 옥수수 섞어짓기를 미국의 한 농민이 대규모로 실천하는 모습을 보아서 이렇게 기록을 남긴다. 세상에나, 저걸 저렇게 하다니. 2019. 5. 23. 프랑스에서 보는 조선의 2년3작식 농법 <조선반도의 농법과 농민>을 지은 일본인 농학자 다카하시 노보루는 '조선의 2년 3작식 농법'을 조선의 기후와 풍토에 맞게 개발한 놀라운 농법이라며 칭찬한 바 있다. 2년 3작이란 말 그대로 2년 동안 3번의 농사가 이루어진다는 뜻이다. 그 과정에 포함되는 것이 바로 밀, 보리 같은 맥.. 2019. 5. 23. 혼농임업에 대한 한 연구 <전통 혼농임업 체계: 세계중요농업유산의 한 유형> http://www.jorae.cn/fileup/PDF/20140404.pdf 요약: 토지를 활용하는 한 방식으로, 전통 혼농임업 체계는 이미 수백년의 역사를 지닌 실천법이자, 오늘날에도 특히 열대와 아열대 지역에서 여전히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세계화와 식량.. 2017. 5. 24. 심수 벼(Deepwater Rice)를 알아보자 벼에는 '심수 벼(Deepwater rice)'라는 종류가 있다. 이 벼는 보통 연중 적어도 1달 이상 50cm보다 깊은 물에 잠겨 자라는 벼를 가리킨다. 동남아에선 아직도 1억 명 정도가 이 벼를 주식으로 삼아 살아간다고 한다. 이 심수 벼에 또 두 가지 유형이 있는데, 하나는 뜬벼(浮稻, floating rice)라 하고 .. 2016. 10. 19. 고랭지 농사는 지속가능할까? 한 베트남 농부가 카사바 농사를 기가 막히게 잘 지어서 왜 그런가 살펴보았더니, 카사바 농사에 풀과 콩과식물의 작은 나무를 활용하는 것이 비결이었다는 이야기. 그도 그럴 것이 카사바를 주로 산비탈에 심는데 엄청난 급경사도 있고 그렇단다. 그래서 토양침식도 빈번하고 그런 상황.. 2016. 8. 5. 이전 1 2 3 4 ··· 2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