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법106 사이갈이 8번이면 개도 굶어죽는다 오카야마시岡山市의 세토남瀬戸南 고교에서 2021년부터 시작한 '다수회多数回 사이갈이 김매기(中耕除草) 방법'은 무비료・무농약 쌀농사 프로젝트. 벼 품종 키누무스메きぬむすめ를 1500평 재배해, 23년에 300평당 10가마니 수확을 넘겼다고 한다. "새로운 정보는 좇고 있지만, 설마 에도 시대의 농법이 지금도 쓸 수 있을까"라고 이야기한 것은 농장장인 노가미 히로시野上広志 씨. "사이갈이 8번, 개를 아사시킨다"라는 기술이 에도 시대의 『사가私家 농업담農業談』에 있습니다. 이 책은 1789년 현재의 도야마현富山県에서 작성된 농서. 농문협農文協 발행発行 『日本 農業全集』 第6巻에 실려 있음 이건 사이갈이 김매기를 8번 행해 품질 좋은 쌀을 거두어 키우는 개에게 주던 쭉정이 등이 사라진다는 의미. "수작업으로.. 2025. 3. 18. 갈다 -괭이와 쟁기 2부 제4장 쟁기 1. 쟁기의 기원 쟁기의 기원에 대해서는 괭이가 기원인지 가래가 기원인지 세계적으로 논의되어 왔습니다. 가래 안에는 (그림1-A)①처럼 가래에 부착한 끈을 도우미가 당겨서 경운을 돕는 것이 있고, 그것을 ②처럼 사람이 앞쪽으로 끌어서 인걸이가 생기며, ③처럼 소에 멍에를 지워 소갈이 쟁기가 발생한다는 설도 제기되어 왔습니다. 그렇지만 보습의 변화에 주목하면, B그림처럼 괭이는 콱 찍어 넣어 흙을 일으키고 찍어 넣어 일으키는 걸 반복하고, 가래도 밟아 넣어 흙을 일으키고 밟아 넣어 일으키는 걸 반복하여, 날끝은 공중-땅속을 왕복하는 "간헐 경운"인데 반해 쟁기의 보습은 C그림처럼 소가 끌어서 땅속을 잠수함처럼 잠항하는 "연속 경운"이라 기술적으로는 완전히 다른 계통입니다. 이러한 점에서 쟁기는.. 2024. 3. 13. 중국 농민들이 밀을 재배하기 시작한 이유는 오늘날 중국은 세계 최대의 밀 소비자로서, 국수와 만두, 빵 및 여러 반죽을 만드는 데 밀을 이용한다. 하지만 늘 그랬던 건 아니다. 밀은 신석기 시대가 끝날 무렵인 약 4600년 전 중국 북부 지역으로 들어왔다. 그리고 나의 연구에 의하면그 당시에는 맛이 별로 없었다. 초기에 밀은 기아를.. 2019. 11. 25. 북한에도 우렁이 농법이 있다 북한에서도 우렁이를 이용한 벼농사가 실시되고 있습니다. https://m.yna.co.kr/view/AKR20191114171100504? 2019. 11. 15. 토양 미생물이 우리에게 미치는 영향 Daphne Miller 씨가 2장의 팬티를 들고 있다. 왼쪽의 것은 오래 사용한 정원의 통로에 묻었다. 오른쪽의 것은 미생물이 풍부한 퍼머컬쳐 정원의 토양에 묻었다. 미생물이 팬티의 섬유질을 부수었는데, 비옥하지 않은 흙은 그러지 못했다. (사진: Philip B Stark) 아칸소 대학의 토양학자 Bill Robertson.. 2019. 10. 21. 바닷물을 농업에 활용하는 기술 바닷물은 지구상에 존재하는 물질중에 세계에서 유일하게 줄어들지 않고 어디에서나 손쉽게 사용 가 능한 천연자원이다. 또한 75여종 이상의 무기성분들이 함유되어 있어 작물이 필요로 하는 각종 양분 공급은 물론 병해충 방제에도 효과를 가지고 있어 친환경 농산물 생산에 유용한 유.. 2019. 10. 21. 이전 1 2 3 4 ··· 18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