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농담/농법433

사이갈이 8번이면 개도 굶어죽는다 오카야마시岡山市의 세토남瀬戸南 고교에서 2021년부터 시작한 '다수회多数回 사이갈이 김매기(中耕除草) 방법'은 무비료・무농약 쌀농사 프로젝트. 벼 품종 키누무스메きぬむすめ를 1500평 재배해, 23년에 300평당 10가마니 수확을 넘겼다고 한다. "새로운 정보는 좇고 있지만, 설마 에도 시대의 농법이 지금도 쓸 수 있을까"라고 이야기한 것은 농장장인 노가미 히로시野上広志 씨. "사이갈이 8번, 개를 아사시킨다"라는 기술이 에도 시대의 『사가私家 농업담農業談』에 있습니다. 이 책은 1789년 현재의 도야마현富山県에서 작성된 농서. 농문협農文協 발행発行 『日本 農業全集』 第6巻에 실려 있음 이건 사이갈이 김매기를 8번 행해 품질 좋은 쌀을 거두어 키우는 개에게 주던 쭉정이 등이 사라진다는 의미. "수작업으로.. 2025. 3. 18.
미국에서 퍼지고 있는 덮개작물을 활용하는 농법 일제강점기, 일본인 농학자들은 조선의 농법으로 맥류와 콩의 사이짓기가 특징의 하나라고 꼽았습니다. 현재는 많이 사라져 거의 남아 있지 않는 농법이지요. 그런데 최근 들어, 여러 이유로 서구의 농민들이 과거 우리의 농민들이 행하던 사이짓기 농법을 활발히 실천하고 있습니다. 호밀 사이에서 대두가 자라는 모습을 한국이 아닌 미국의 농지에서 볼 줄이야... 그래도 반갑네요. https://non-gmoreport.com/articles/cover-crops-gaining-ground-u-s/?fbclid=IwAR3XqmVWuwLxJwJWiM9kVDZVgeHCEC6MMojr_MCNTb1RoNirqADb0JhaBuY Cover crops gaining ground in the U.S. More farmers gro.. 2020. 12. 1.
농가의 기술, 지역의 업무 일본 농문협에서 또, 좋은 책을 출간했네요. 그동안 계간지 등에 실린 농가만의 비법(?)을 간추려 모은 책이라 합니다. 얼마전 제가 한국어로 옮긴 도 실려 있네요. 자, 구매해서 읽으세요. http://toretate.nbkbooks.com/9784540201189/?fbclid=IwAR1zgyJZUAn6gTJObTxSYyRKzFqkk1qXw899zSGAVyIPHOdTE0DiKibjLe0 2020. 10. 3.
ㅅ자형 벼농사 아산의 정 선생님 부탁으로 요즘 한국어로 옮기고 있는 '헤 자형 벼농사'라는 책이다. 일본어 헤 자는 한국어의 'ㅅ'으로 옮겨도 무방하다 생각해 나는 이 책을 "ㅅ자형 벼농사"라고 명명했다. 요지는 이것이다. 벼의 생리를 이용해 최대한 본성을 잘 발휘할 수 있도록 농사짓는다. 벼는 가지치기가 가장 중요한 특성인데, 현대의 벼농사 이론에서는 벼의 초기에 비료를 때려 넣고 그 힘으로 모판에 볍씨를 빽빽하게 파종하고 모도 빽빽하게 심어서 자라게 하느라 제대로 가지치기를 하지 못하게 한다고 지적한다. 그래서 본인은 V자와 반대로 초기에 거름을 거의 주지 않고 볍씨를 드물게 파종하고 모도 1~2포기만 벙벙하게 심어서 벼가 지닌 가지치기의 특성을 충분히 발휘하도록 한다는 것이다. 그래서 자신의 벼농사가 ㅅ자형이라고.. 2020. 7. 17.
사이짓기의 효용 반응성 질소(Nr)의 육상 투입재에 대한 행성의 경계가 한계를 넘어서, 새로운 반응성 질소의 투입재와 그것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줄이는 일은 전 세계적으로 중요한 과제이다. 콩과작물은 토양 박테리아와 공생하며 이질소(N2)를 고정시키고 토양의 질소 자원을 이용하는데, 곡식보다 .. 2020. 2. 19.
콩밭 지킴이 꽃과 풀로 콩밭을 지키는 효과를 보려고 설치한 모습. 2020. 1. 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