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종자128 몬산토, 유럽연합에 전통 육종시설을 강화하다 몬산토를 호락호락하게 볼 수 없는 이유. 유럽연합에서 유전자변형 종자에 대한 반발이 거세어지자 그 사업을 철수하고, 전통육종법을 활용한 생산시설을 늘리겠다는 발표. 유전자변형 종자를 심지 않는다고 해서 몬산토라는 기업이 쉽게 무너지지 않을 것이라는 걸 이를 통해 엿볼 수 .. 2013. 11. 22. 여성이 지속가능한 유기농업을 이끈다 According to the US Department of Agriculture's Economic Research Service, the number of women-operated farms more than doubled in the 25 years between 1982 and 2007. In fact, female farmers now make up the fastest-growing sector of the country's changing agricultural landscape and nearly 1 million women - approximately one-third of total domestic farmers - list farming as the.. 2013. 11. 20. 골든라이스: 빛 좋은 개살구인가 절호의 기회인가 Golden Rice is rice that’s been genetically engineered to deliver enough beta carotene to improve the health of the malnourished poor who might eat it. (Deficiencies blind over 250,000 children a year.) It’s a humanitarian project — funded by the Rockefeller and Gates foundations, among others — that has been in development since the 1990s. Some people object t.. 2013. 10. 15. 몬산토가 기후변화로 돈을 버는 5가지 방법 며칠 전, 몬산토에서 한화로 1조 원을 들여 기후 관련 빅데이터 업체를 인수했다는 뉴스가 떴다. 역시나 몬산토. 앞으로 무엇이 돈이 될지 잘 알고 과감히 투자하고 있다. 내가 만약 주식놀이를 했다면 돌아보지 않고 몬산토의 주식을 사들였을 것이다. 그만큼 탄탄하고, 앞으로 20년은 흔.. 2013. 10. 11. 유전자변형 종자의 카르텔 2부 유전자변형 종자를 심은 밭을 바라보고 있는 농민 미국과 유럽, 브라질, 인도, 남아프리카의 농민들은 생명공학 기업들이 종자시장을 유전자변형 작물로 독점함으로써 비유전자변형 종자에 대한 선택권이 줄어들었다. 이 글은 2부이다. 유전자변형 작물의 지지자들의 주장 가운데 하나.. 2013. 9. 11. 콜롬비아 농민들의 파업은 씨앗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이제야 조금 의문이 풀렸다. 콜롬비아의 농민들이 왜 파업에 나섰는지 말이다. 뉴스로 콜롬비아의 농민들이 파업에 나섰다길래 "우와!" 하며 감탄하고 있었는데, 왜 그랬는지 조금이나마 이해할 수 있는 글을 발견했다. 결론부터 말하면, 콜롬비아가 미국 및 유럽연합과의 FTA로 종자산업.. 2013. 9. 5. 이전 1 ··· 9 10 11 12 13 14 15 ··· 2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