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종자128 유전자변형 종자의 카르텔 1부 목화를 살펴보는 인도의 농민 어떻게 생명공학 기업들이 종자시장을 독점하여 종자의 가격을 상승시키고, 농부의 선택권을 없애는가? 이 글은 2부 가운데 첫 번째이다. 유전자변형 작물의 도입으로 점점 생명공학 기업들의 종자 독점이 증가하고 있으며, 일부 국가에서는 비극을 낳는 종.. 2013. 9. 5. 세계 유지종자산업 동향 세계 유지종자산업 동향.pdf 세계 유지종자산업 동향을 대두, 팜, 유채 등 대표 유지종자의 생산 및 소비 현황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1. 유지종자 생산 현황 2. 유지종자 소비 현황 3. 주요 유지종자별 생산 및 소비 현황 4. 유지종자의 국제가격 동향 5. 요약 및 결론 2013. 8. 21. 농부와 종자은행이 토종 종자를 보존하기 위해 힘을 합치다 Farmers and genebanks, an alliance to save traditional crops from Agrobiodiversity Platform on Vimeo. 말레이사아부터 볼리비아의 토착 농경사회와 함께 농민과 종자은행이 토종 종자를 보존하기 위해 협력할 방법을 찾았다. 2013. 8. 20. 유전자변형 식품을 막으려는 가나의 활동가들 과거 한국을 위시한 개발도상국들이 농업의 산업화와 경제성장을 위해 녹색혁명이란 길을 선택했다. 이를 통해 하이브리드 종자, 농약, 화학비료, 농기계가 도입되었고, 결국 엄청나게 생산성을 높이면서 산업화, 경제성장의 목표를 달성할 수 있었다. 이제는 아프리카 대륙을 비롯한 동.. 2013. 8. 8. 중국, 고려인삼 종자 '싹쓸이' 중국에서 인삼 종자를 싹쓸이하고 있다는 소식.한국 인삼이 과연 세계 최고인가? 묻지 않을 수 없는 상황... 항간에서는 인삼을 먹으면 오히려 건강을 해친다는 이야기도 돌고.인삼밭을 하고 나면 땅심이 확 떨어져 몇 년은 농사 못 짓고 그것만 회복시켜줘야 한다고 할 정도이니... 인삼 .. 2013. 8. 5. 유전공학과 육종의 차이는? 유전자변형 작물과 관련하여 그 기술을 어떻게 볼 것인가는 뜨거운 감자이다. 유전공학은 절대 악인가, 아니면 인류를 구원할 신기술인가? 이에 대해서는 여전히 찬반이 팽팽하다. 그러나 확실한 건, 찬성 쪽에서는 반대측을 비과학적이라며 무시하고, 반대 쪽에서는 찬성측을 악당으로 .. 2013. 7. 23. 이전 1 ··· 10 11 12 13 14 15 16 ··· 2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