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북한에서는 도대체 무엇을 하고 있는 건가.' 

'화학비료와 농약에 의존하는 농사를 지을 것이 아니라 쿠바처럼 나아가면 안 되는가.' 


이런 생각을 하고 있었드랬다. 그러면서 북한을 한심스럽게 생각하고 있었드랬다.

그런데 이런! 북한에서 <고려 식물성 농약>이란 책을 펴냈다고 한다. 그 책을 참고하여 정리해서 낸 책이 이번에 나온 보리출판사의 <약 안 치고 농사짓기>이다. 

북한을 욕해서 미안하다. 아니, 부끄럽다. 이런 노력을 이미 하고 있었구나. 북한 사회를 만만히 볼 것이 아니라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아무튼 각설하고 본문으로 들어가면 어떤 병해충에 어떤 풀과 나무 들이 효과가 있는지 자세히 분석해 놓았고, 그걸 어떻게 만들 수 있는지에 대해서도 뒤에 다루고 있다. 곧 실용적으로 활용하기에 손색이 없는 좋은 내용이다! 이걸 읽고 앉아 있자니 올해 내 농사에서 무엇이 문제였는데 그걸 어떻게 처리할 수 있을까 궁리하게 되고, 내년에는 책에서 본 대로 직접 해보자는 맘이 모락모락 피어오른다. 얼른 봄이여 오라! 그전에 이 책을 잘 읽고 숙지해 놓아야겠다.

농약 없이 농사짓는 일은 참으로 고단한 일이다. 아무리 생물다양성이니 사이짓기니 뭐니 하는 이야기를 해도 그건 머릿속의 농사일 뿐 현실에선 어김없이 병해충이 찾아온다. 그걸 막거나 피할 수 있는 방법을 찾는 일은 참으로 힘들다. 그래서 농약과 화학비료를 쓰지 않는다는 유기농업에 과학적 방법이 필요한데, 주류의 농업에서는 그에 별 관심을(사실은 돈을) 기울이지 않는다. 사실 어떻게 보면 관행농업보다 유기농업에 더욱 과학적 방법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특히 소규모로 농사를 짓는다면 더더욱 그렇다. 하지만 어디서 조언을 구할 곳이 마땅하지 않다. 유기농업이란 것도 하나의 산업으로 성장하면서 시장을 지향하며 대규모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그런 곳에선 친환경농자재를 생산하는 업체에서 돈을 주고 필요한 자재를 사다가 쓰는 것이 현실이다.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풀과 나무 들에게 필요한 성분을 추출하는 방법을 익히고 준비해 놓는다면 병해충이 창궐했을 때 전멸을 피하고 살아날 길을 찾을 수 있겠다. 본인이 어떤 작물을 심을지 미리 계획을 세우고, 그에 따라 어떤 식물성 농약을 준비하는 것이 좋을지 책을 참고하여 미리 준비해 놓는다면 나중에 허둥지둥거리지도 않을 수 있겠다. 농사는 그냥 닥치는 대로 짓는 것이 아니라, 미리 준비하고 계획을 잘 세우는 일이 중요하다. 어느 일보다도 더욱 그러하다. 그래서 한 해의 기후를 미리 예측하는 방법부터, 심을 작물에 맞게 거름도 준비하고 이런 식물성 농약까지 준비하며, 두둑과 고랑을 어떻게 만들지도 계획하는 것이 필요하다. 


내년 농사는 더 재미지게 지을 수 있겠다. 좋은 책을 소개해주신 지리소 님께 이 자리를 빌려 감사의 인사를 전하고 싶다.



앞으로 보리출판사에서는 보리살림총서라는 이름으로 들 살림, 바다 살림, 산 살림 등의 주제를 다루는 책을 출판하려 한단다. 그 첫 걸음이 바로 이번 <약 안 치고 농사짓기>이다. 앞으로 어떤 책들이 출간될지 기대해 본다. 아래는 출판사에서 이 책을 소개하는 내용이다.






산과 들에서 흔히 구할 수 있는 풀과 나무로 만든 식물성 농약! 


식물성 농약 원료로 쓸 수 있는 식물은 세계적으로 2,000여 종에 이른다. 이 가운데 대표적인 식물로 국화과에 속하는 제충국을 들 수 있다. 제충국은 살충효과가 우수하며 속효성과 분해 기간이 짧아 환경에 안전하다. 이외에도 살충·살균 작용 성분의 페놀과 살리실산이 함유된 볏짚, 설익은 감과 솔잎에 함유된 타닌 성분은 식물의 생장을 조절한다. 이와 같이 천연 식물성 농약은 식물의 뿌리, 잎, 꽃, 열매 등에서 식물에서 필요한 성분을 추출해 만들므로 농작물에 가장 알맞은 여러 가지 장점을 가지고 있으며, 병해충 피해를 미리 막아줄 뿐 아니라 병해충을 없애거나 억제시키고, 병해충 피해를 입은 농작물의 생육 상태를 회복시켜준다.

식물성 농약은 화학 농약과는 달리 병해충에 저항성이 잘 생기지 않으며, 약효가 길고(10~12일) 선택적으로 병해충에 작용하며, 효과가 뛰어나다. 또 원료가 풍부하고 생산과 사용방법이 간단하며, 원가가 적게 들고 손쉽게 만들 수 있다. 그러므로 식물성 농약은 농작물의 씨앗 처리부터 생육 기간에 걸쳐 체계적으로 알맞게 쓰면 확실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문 중에서

이렇듯 《약 안 치고 농사짓기》는 주변의 산과 들에서 흔히 구할 수 있는 식물을 이용해 식물성 농약을 손쉽게 만드는 방법과 다양한 사용방법, 그리고 원료의 채취 시기, 식물의 성분과 작용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고 있다. 특히 ‘주요 식물성 농약’에서는 크게 다섯 부분으로 나누어 82종의 식물 원료에 대해 소개하고 있다. 이제 막 농사에 입문한 초보자나, 유기농법에 관심이 있거나, 좀더 폭넓게 식물성 농약을 활용하고자 하는 분들은 이 책에서 유익한 정보를 얻을 수 있어 농사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옛날 뒷간에 할미꽃을 포기째 갈아 뿌리면 구더기가 생기지 않았다고 한다. 또 독초인 애기똥풀 즙을 뿌려주면 벌레를 퇴치할 수 있었다. 식물의 독을 이용한 병해충 예방기술이 화학 농약으로 없어진 것은 참으로 안타까운 일이다. 농약이 부족한 북녘에서 식물성 농약을 이처럼 정리해놓았다는 것은 반갑기에 앞서 부끄러운 생각마저 든다. 비싼 각종 유기농 자재보다 식물성 농약을 직접 만들어 쓴다면 저투입 친환경 농사 발전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 
- 안철환(전국귀농운동본부 소농학교 교사)


《약 안 치고 농사짓기》와 ‘보리살림총서’ 

환경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요즘, 화학농약보다는 친환경 식물성 농약이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식물성 농약은 자연분해성이 뛰어나 유해성이 적고, 환경 피해가 없으며, 병해충 구제효과가 크다는 장점이 있다. 북녘의 농업종합출판사에서 나온 《고려 식물성 농약》을 우리 실정에 맞게 수정, 보완한《약 안 치고 농사짓기》는 우리의 기초 살림에 보탬이 되면서도 사람이나 집짐승에게 해를 끼치지 않고, 자연생태계를 보호하면서 더불어 사는 길을 찾는 데 큰 도움이 되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펴낸 ‘보리살림총서’ 첫 번째 책이다. ‘보리살림총서’는 ‘나눔과 비움’, ‘생태적 되살림’을 한데 아울러 사람과 자연이 함께 살아가는 세상을 만드는 데 도움이 되고자 하는 시리즈이다.


식물의 뿌리, 잎, 꽃, 열매로 만드는 친환경 식물성 농약의 모든 것!

이 책의 특징은 우리 주위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식물의 뿌리, 잎, 꽃, 열매 등의 식물 원료를 이용해 천연 식물성 농약을 만들어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이다. 우리가 쉽게 지나치는 풀들도 유용한 식물성 농약의 원료가 된다. 이와 같이 《약 안 치고 농사짓기》는 우리 주위에서 구하기 쉬운 재료를 이용해 만들어,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소개하고 있어 실생활에서 폭넓고 유익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식물성 농약을 만들 때와 사용할 때, 그리고 보관할 때의 주의할 점도 유익한 정보가 될 것이다.

《약 안 치고 농사짓기》는 모두 7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장 ‘식물성 농약’에서는 식물성 농약에 대한 개요와 특성, 기본적이고 전반적인 효능 및 장점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제2장 ‘식물성 농약의 작용’에서는 식물성 농약의 살충제·살균제·살초제·식물생장자극제작용·영양성분작용·농작물 보호작용·화학 농약의 효과를 높이는 작용 등 일곱 가지의 기본적인 작용을 농작물에 효과 있는 대표적인 식물 및 성분들을 예로 들어 자세히 설명하고 있다.

제3장 ‘식물성 농약의 원료’에서는 원료의 채취 시기, 가공, 포장, 보관에 이르는 원료의 전반적인 소개를 하고 있다. 또한 뿌리, 잎, 꽃, 열매, 껍질, 나뭇진 등의 원료 종류를 삽화로 그려 좀더 이해하기 쉽게 구성하기도 했다.

제4장 ‘식물성 농약 만드는 방법’에서는 젖은 원료와 마른 원료의 추출 과정과 방법 및 종류, 증발 농축, 가루내기 이외에도 식물성 농약을 산업화할 때 생기는 문제와 고려할 점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제5장 ‘식물성 농약의 사용’에서는 씨앗 처리, 모판 처리, 밭 처리, 낟알 보관 등 임상 경험에 의한 식물성 농약의 다양한 사용방법에 대해 소개하고 있다. 

제6장 ‘주요 식물성 농약’에서는 농업 부산물, 나뭇잎류, 풀류, 해조류, 제품 형태 등에 속하는 82종의 식물성 농약의 성분과 작용, 만드는 방법 및 사용방법에 대해 자세히 소개하고 있다.

제7장 ‘식물성 농약을 쓸 때 주의할 점’에서는 식물성 농약을 생산, 사용, 보관할 때의 주의할 점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728x90
728x90

풀 생태학자 Eric Gallandt 씨느 소규모 유기농업에 이용할 수 있는 물리적 풀 관리의 차이를 설명한다 -그리고 왜 'Weedmaster'에 관심을 기울이는지 나온다











728x90

'곳간 > 영상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흙을 이야기하자  (0) 2012.12.17
흙; 감추어진 자원  (0) 2012.12.07
골타기와 덮개작물  (0) 2012.12.02
농업과 녹색경제  (0) 2012.12.01
공장형 축산을 멈춰요  (0) 2012.11.29
728x90


EU주요국의 유기농업과관행농업비교.pdf



네덜란드 농업경제연구원(LEI)은 올해 들어  ‘Market signals for organic farming'이라는 보고서를 통해 유럽의 유기농업 현황을 진단한 바 있다. 유기농산물 가격과 유기농 생산자의 소득 등에 대한 자료들을 관행농업 부문 자료들과 비교하면서,  유럽 유기농업의 향후 전망을 밝히고 있다.  여기에서는 그 주요 내용을 요약하여 소개한다. 


EU주요국의 유기농업과관행농업비교.pdf
0.25MB
728x90
728x90

cream-of-the-crop-report.pdf



For many of us, the idea of a dairy farm may evoke bucolic images of cows grazing peacefully on acres of green, rolling pasture.

But the reality of U.S. dairy production is making these images increasingly obsolete. In recent years, hundreds of thousands of small pasture-based dairies have disappeared, their production replaced by CAFOs (confined animal feeding operations)—crowded industrial facilities that use methods linked to a variety of health and environmental problems, from antibiotic resistance to "dead zones" in coastal waterways.

Reversing this trend, and promoting healthier, less damaging ways to satisfy our demand for dairy products, should be a policy priority.

Going Organic: A Tale of Three Dairy Farms

The transition from conventional to organic dairy farming is a major undertaking, but the rewards can be significant. Here, the proprietors of three successful organic dairy farms share their stories with UCS.

Organic Dairy: A Healthier Option

Fortunately, an excellent alternative is available: organic dairy farms. on an organic dairy farm, cows graze on pasture during the growing season, eat organically grown feed, and are not treated with hormones or antibiotics. Well-managed organic dairy farms are less harmful to the environment than conventional dairies, and there is evidence that the milk they produce may be better for our health.

Consumers are catching on to these advantages: demand for organic dairy products has risen quickly in recent years, and national sales of organic milk are now at least $750 million annually. As a result, small dairy farmers facing the imperative to "get big or get out" now have another choice: make the transition to organic. This option has allowed many smaller pasture-based dairies to stay in business.

Measuring the Economic Benefits of Organic Dairy

In Cream of the Crop, we looked at financial data from organic and conventional dairy farms in Vermont and Minnesota, two states with prominent organic dairy sectors. The data were used to model specific metrics for the economic benefits of increased dairy sales:

  • Output, the value of an industry's production within the state;
  • Gross state product, the incremental economic value that a sector provides to the state's economy;
  • Labor income, the proceeds from employment, including wages, benefits, and revenue of self-employed business owners;
  • Increase in employment.

The result: in both Minnesota and Vermont, increases in organic dairy sales were shown to result in larger positive impacts across all of these metrics than similar increases in conventional dairy sales.

Policy Barriers

Better for the environment, better for consumers' health, and better for regional economies: choosing organic dairy sounds like a no-brainer.

But current federal farm policies make organic dairy farming more difficult than it needs to be, and tend to reduce organic dairy production and consumption. Lax regulation of CAFOs allows them to take cost-reducing shortcuts that give them a competitive advantage, while federal research and support programs are not structured to help organic dairy farms.

Making matters worse, revisions currently proposed for federal dairy programs would further subsidize the entrenchment of CAFOs, just at a time when we should be prioritizing support for organic dairy farms so that we can reap more of their economic, environmental and health benefits.

Recommendations

The report includes four policy recommendations that can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growth of organic dairy farms:

  1. The USDA should reform minimum-pricing orders to make them more effective for the organic dairy sector. Current dairy pricing policies create a revenue pooling system designed to ensure that all farmers receive an equitable return for the milk they produce. However, this system does not take the differences between organic and conventional dairy into account, and as a result, it tends to reduce the production and consumption of organic milk.
  2. Congress and the USDA should customize risk-management programs to reflect organic milk market conditions. Deliberations on the 2012 farm bill have included proposals for new risk management programs intended to protect dairy farmers from volatile market conditions. As in the case of pricing policies, however, these proposals ignore important differences between conventional and organic dairy, making them largely ineffective for organic dairy farmers. 
  3. Congress should maintain or increase funding for programs that support organic agriculture. A number of programs already exist that help organic farmers in various ways—reducing the cost of organic certification, funding research on organic production systems, or providing technical and financial assistance for conversation measures. Expanding these programs will further support organic milk production and rural economic development.
  4. Congress should fund, and the USDA should implement, programs that support regional food-system development. Organic dairy farms are important components of regional food systems, so programs that promote the expansion of these systems can also support the growth of the organic dairy sector. Farm-to-school programs, for instance, by encouraging schools to do their sourcing from regional farmers, could spur the expansion of organic dairy production in many areas.


cream-of-the-crop-report.pdf
2.09MB
728x90
728x90

외부에 정신이 팔려 우리 것을 우리 스스로가 제대로 돌아보지 못하고 있을 때, 꼭 우리 것의 중요함에 대해선 외부의 시선으로 바라본 사람에 의해서 지적이 된다. 임마누엘 페스트라이쉬라는 사람이 한국의 전통농업과 생활문화가 지닌 친환경성에 대해 지적했다. 이런 지적을 듣지 않도록 우리 스스로 우리의 것을 좀 꼼꼼히 살필 수는 없을까? 아쉽다. 




요즘 페스트라이쉬 경희대 후마니타스 칼리지 교수의 관심은 한국의 선비정신으로 향하고 있다. 그의 관점이 독특하다. 날이 갈수록 유동성이 강해지는 인터넷 시대에 법률이 규제할 수 있는 분야는 극히 제한적이라는 것.


그는 "예(禮)의 본질과 옳고 그름을 탐구하는 예학이 이같은 딜레마에 의미 있는 해법이 될 수 있다"며 "예학은 개인들과의 관계는 물론 정부 기구 간 문제에 대해서도 다양한 잠재적 규범을 제공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한국인보다 예리하게 옛 전통의 가치를 찾아냈고 이를 소셜네트워크 시대의 적합한 윤리관이라고 적시했다.

↑ 임마누엘 페스트라이쉬 경희대 후마니타스 칼리지 교수가 경복궁에서 “포퓰리즘, 빈부격차 등 한국의 여러 사회문제가 국제문제와 연결돼 있다”고 말하고 있다. 김낙중 기자 sanjoong@munhwa.com

그는 한국의 많은 환경운동가나 시민들이 해외 생태 도시 순방에 나서는 것에 대해서도 날카롭게 꼬집었다. "멀리 갈 필요가 없습니다. 한국의 전통가옥과 농가에서 친환경적인 해법과 일상기술이 많이 있습니다. 100년 전의 한양도 환경도시라고 할 수 있었습니다. 조선시대에 정교한 관개(灌漑) 시스템과 유기농업 기술, 음식물 쓰레기를 최소화할 수 있는 전통조리법 등이 있었는데 이것을 다시 찾아내야 합니다."

그는 조선의 풍수 사상도 미신이 아니라 생태계를 고려하고 자연을 보전하는 소중한 유산이었다고 새롭게 해석했다.

페스트라이쉬 교수는 선비 정신도 한국인을 위한 것에만 머물지 않는다고 역설했다. 그는 "세계적으로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이 책임감 없는 엘리트인데 그 해결책을 선비정신에서 찾을 수 있다"며 "예컨대 아프리카 작은 마을에 사는 사람들이 위대한 선비 정신, 독서, 도덕, 실천의 전통을 삶의 신조로 삼게 된다면 선비정신의 국제화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런 관점에서 단기적 수익에만 치중하는 한국 기업의 DNA도 바뀌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한국의 전통에 인간다운 기업문화를 창출할 수 있는 정신적 모델이 존재한다고 강조했다. 우리의 선비정신을 재조명하면서 지식인의 각성을 촉구하는 그의 목소리는 우리 사회를 내리갈기는 '죽비소리'와도 같다.


728x90
728x90

2007년 피델 카스트로는 병석에서 일어난 뒤에 쓴 글에서, 식량을 생물연료로 쓰면서 "세계의 30억 이상이 기아와 갈증으로 너무 일찍 죽고 있다"고 했단다. Viva, Fidel!

 

 


다음은 생물연료로 인해 굶주리는 사람들이 발생하는 현실에서 식량안보가 우선시되어야 한다는 올리비에 드 슈터 씨의 기사. 카스트로의 말이 현실에서 어떻게 일어나고 있는지... (http://www.guardian.co.uk/global-development/poverty-matters/2012/oct/17/world-hungry-biofuels-food-security?CMP=twt_gu).

 

 



쿠바에선 그래서 일찍이 도시농업이 활성화되었다. 소련 붕괴 뒤에 찾아온 경제위기, 수입봉쇄를 해결하는 방안으로 '자급'을 선택한 것이다. <생태도시 아바나의 탄생>으로 유명하다. 

 




농사지을 수 있는 공간은 어떻게든 최대한 활용했다. 그리고 행정당국에서는 제도와 법을 마련하여 도시농업을 지원하기 시작했다(http://blog.daum.net/stonehinge/8726155).

 




1994년, 농업부는 최초로 도시농업을 제도화한다. 이로써 가정의 텃밭부터 대형 협동조합까지 농업부의 지원을 받고, 사람들은 농지를 분양받고 종자와 농사법 교육까지 받을 수 있었다.

 

 

 



쿠바에선 집에 이렇게 텃밭을 가꾸며 산다는... 한국은? 빈땅이 있으면 건물지어 돈 벌어 먹기에 바쁘지. 위기의 순간에 어느 도시가 더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을까? 무슨 말이 필요할까. 

 

 


 


도시농업 협동조합에서는 수많은 일자리도 창출했다. 노인 인력도 그곳에서 부지런히 일하고, 공무원보다 낫다고까지 한단다. 물론 쿠바의 독특한 상황이니까 가능한 이야기지만 말이다. 

 



그렇다고 문제가 없는 건 아니고, 토질이 좋지 않은 점이나 물 부족, 병해충 문제 등의 과제도 있긴 하다고... 또한 여전히 많은 식량을 수입하고 있는 상황이기도 하다.

 

 

 



쿠바라고 하면 입에 거품 물고 비판부터 하거나, 예수라도 본 양 칭송하거나 하는 두 극단이 있다. 그런 극단을 걷어내야지만 쿠바의 온전한 모습을 제대로 볼 수 있으리라. 도시농업에 관련해서도 마찬가지다. 문제는 늘 공존한다. 배울 점은 배우고, 고칠 점은 고치면 되는 것이다. 입에 거품 좀 닦고, 눈에 콩깍지 좀 벗겨라.

 

 

허나 확실히 도시농업이 활성화된 뒤 쿠바인의 식단의 질이 높아진 건 사실이다. 도시농업으로 예전보다 더 많은 신선한 채소를 먹을 수 있게 되었다. 이것이 지역 먹을거리의 힘이다.

 



도시농업이 얼마나 전세계적으로 붐이냐면, 도시문명의 상징 뉴욕에서도 일어나고 있다(http://goo.gl/HKvn7). 


재미나지 않은가, 쿠바의 아바나와 미국의 뉴욕에서 도시농업이 활발히 행해진다는 사실이... 요즘 한국에서도 여기저기 우후죽순처럼 솟아나고 있다. 무럭무럭 잘 자라고 퍼져서 대나무숲을 형성할 수 있을까?


728x90
728x90

작부체계를 바꾸는 것만으로 농약과 화학비료에 대한 의존을 줄일 수 있다는 연구가 발표된 적이 있다. 아이오와 주립대학의 Marsden 농장에서 행해진 실험결과가 그것이다. 약 2,5000평 정도의 농지를 셋으로 나누어 농사를 지었다. 하나는 관행적으로 옥수수-콩 돌려짓기, 다른 하나는 옥수수-콩-귀리 돌려짓기, 마지막은 옥수수-콩-귀리-자주개자리 돌려짓기. 마지막 작부체계에선 자주개자리를 기를 때 가축을 방목하여 똥오줌을 받았다고 한다. 삼포제 농법의 부활이라고도 볼 수 있다. 똑같지는 않지만, 자주개자리를 포함한 마지막 작부체계 전통농법의 하나인 과거 유럽에서 행해지던 삼포제 농법을 새롭게 응용한 방식이라고 평가할 수 있겠다. 자주개자리는 콩과식물인데다가 가축이 그걸 뜯어먹으며 똥오줌을 싸니 밭이 더욱 기름질 수밖에...


그 결과가 아주 재미난데, 새로운 작부체계를 활용하니 옥수수와 콩의 수확량이 늘고, 농약과 화학비료의 사용량은 88%까지 감소했으며, 지하수의 독성물질은 200배 줄었고, 수익에선 큰 차이가 나지 않았다. 물론 좋은 점만 있는 건 아니다. 단점으로 꼽힌 것은 역시 인건비. 인건비가 증가한단다. 이봐라, 왜 현대농업으로 나아갈수록 농민이 가난해지고 농지에서 쫓겨나 도시로 나가는지 엿볼 수 있는 단서다. 아무튼 그래도 낫지 않은가? 담합해서 농민들 땀 묻은 돈이나 뜯어먹는 농약회사, 비료회사, 농협에게 돈다발을 안기기보다는 정직하게 땀흘리며 일하는 농민, 노동자에게 그 돈이 들어간다니 말이다. 인건비 상승, 나쁘게만 볼 것이 아니다.


미국에선 1년에 약 227만 톤의 농약이 사용된다. 많다고 느끼는가? 한국은 OECD 국가 중 농약사용량 1위의 국격 있는 나라다. 작물보호협회(농약이 작물을 보호한다고, 농약이 지닌 나쁜 이미지를 없애고자 만든 이름)에서는 억울하다고 호소한다. 단순히 비교하는 건 의미가 없다고 하면서 말이다. 여기를 보라(http://goo.gl/Mg9It). 핑계를 댄다고 많이 쓰는 게 많이 쓰는 게 아닌 것이 되는 건 아니지 않습니까, 작물보호협회여? 하긴 농업 분야 이외에도 공원, 골프장, 아파트단지 등등의 관리를 위해서도 엄청나게 사용하고 있다. 자살자들도 애용하고...ㅜㅜ


조선의 농법 중에 일본인 농학자들의 혀를 내두르게 한 2년3작식 작부체계가 있다. 이를 유럽의 삼포식 농법과 비교해도 전혀 손색없는 훌륭한 농법이라고 평가했지. 결론적으로 이번 실험결과나 조선의 전통농법이나 일맥상통하는 건 땅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놀려서 최대의 산출을 빼 돈을 벌 것이냐가 아니라, 땅을 얼마나 아기자기하게 놀려서 적당한 산출을 얻으면서도 지력을 유지하도록 할 것이냐다. 


작부체계의 다양성이 증가하면 생산성, 수익성, 환경에 더 이롭다는 연구결과는 여기를 참조할 것(http://goo.gl/S5DaI).


그 실험결과 옥수수 생산량은 평균 4%, 콩은 9% 증가했다. 빨리빨리 옥수수-콩만 돌리는 것보다 시간이 오래걸리니 수익이 떨어질 것이라 예상하겠지만, 수익 면에서는 비슷했다는 점. 농약과 화학비료 사용이 준다는 점이 중요하다. 그런데 이런 재미난 연구는 주목받지 못하고 스탠포드 대학의 유기농을 먹는다고 건강해지는 게 아니라는 연구나 세간의 주목을 받고 말이야(http://goo.gl/HKigg). 


2년3작식이 뭔지 궁금해여? 궁금해여? 궁금하면 500원.




728x90
728x90


In my Tuesday post about California's Prop. 37 ballot initiative that would require the labeling of genetically modified food, I wrote about a "gusher" of agribusiness cash entering the state to defeat the proposition, which will be voted on in the November election. In the first comment below the post, frequent commenter Rachael Ludwick writes that "groups in favor of this proposition have so far outspent Big Ag."

And she's right—but the gap is closing quickly. Here's what I mean.


The California Secretary of State's office compiles and discloses donations to the "yes" and "no" campaigns for each of the state's ballot propositions. In 2012 through June 30, the "No" side of the fight, led by agribusiness firms and food processors opposed to labeling, had raised about $1,002,000; while the "Yes"side, led by the alternative-health web site Mercola.com and an organic-consumer group's 501c(4), raised $2,050,408.67.

So it's really a gusher of organic cash that's swamping the California labeling fight, right? Well, it's a little more complicated than that. The first thing to look at is the "total expenditures" and "ending cash" lines of the above-linked reports for each side. By June 30, the pro-labeling campaign had burned through $1,860,644.22 of its hoard, leaving it with $295,149.52 in cash going forward. The anti-labeling side had spent just $674,713.81, leaving it with a cash wad worth $327,286.19 heading into July.

So even though the "yes" forces raised twice as much cash as the "no" brigades by June 30, the latter entered July with the bigger bank account.

The pro-labeling side has raised $290,000 since the start of July, while the anti side has raised about $971,000.

I asked Stacy Malkan, a spokeswoman for the California Right to Know group, which is spearheading the pro-labeling campaign, why her side had spent so much more than the anti-labeling opposition so far. She told me that the great bulk of fundraising and spending so far had gone into the drive to get the initiative on the ballot in the first place—the effort to gain 504,760 signatures on a petition required by California's ballot-initiative rules. (The pro-label petition drive got nearly 1 million signatures.)

The "yes" side, in other words, has been operating at full throttle all year, actively fundraising and burning cash in a scramble for a place on the ballot, while the "no" side is "just getting started" with both fundraising and spending.  Malkan told me.

And preliminary numbers from July suggest that Big Ag and Big Food are in fact on the verge of swamping the ballot fight with their cash. The California Secretary of State's office adds up spending numbers quarterly, so the most recent summaries we have on spending are the ones linked to above. But the office regularly updates donations between quarterly reports, and by going to this Secretary of State's office web page for the "yes" side and this page for the "no" side, we can see the individual donations that have come in since June 30.

Checking those pages as of Aug. 8, I find that the "yes" has raised $290,000 since the start of July, while the "no" side has raised about $971,000. In other words, as the November election draws close, Big Ag is flexing its muscles.

It's worth drilling down a bit into what entities are giving to each side. Of the nearly $1 million that poured into the "no" effort after June 30, about $750,000 came from the genetically modified seed/pesticide industry, composed of donations from giants BASF ($126,600.), Syngenta ($63,300), and DuPont ($310,100), plus another from the industry trade group Biotechnology Industry Organization ($250,000). The rest came from large-scale processors like Pepsico ($35,494.94), Coca-Cola ($24,081.05), and Nestle ($24,184.46).

These are all massive entities with plenty of capacity to give more as the election draws near.

But even the largest of the "yes" companies, United Natural Foods, is small compared to the agrichemical interests funding the "no" side.

On the "yes" side, by far the biggest giver since the start of July has been the Organic Consumers Fund ($150,000), which is the 501C(4) arm of the Organic Consumers Association. The OCA has long been the scrappy gadfly of the organic-food movement, holding out for a non-corporate view of what organic means. Under federal law, 501C(4) entities don't have to disclose their donors, and OCA director Ronnie Cummins has not returned my email asking for information on donors. Stacy Malkan of California Right to Know told me that the Organic Consumers Fund mainly raises its money from small donors.

Organic food companies like Eden Foods ($10,000), Nutiva ($50,000) made grants to the "yes" side, as did Michael Funk, CEO of United Natural Foods, who gave $50,000. But even the largest of these companies, United Natural Foods, is small compared to the agrichemical interests funding the "no" side. United Natural Foods has annual revenues of about $5 billion, dwarfed by DuPont (annual revenues of $40 billion), Syngenta ($13 billion), and BASF ($90 billion). Eden Foods, with its $44 million in annual revenue, and Nutiva, with its $20 million, don't play in that league.

Then there's trade associations. In addition to the above-mentioned Biotechnology Industry Organization, the "no" side has benefited from the largesse of the Grocery Manufacturers Association, which has so far given a total of $375,000 and has declared that defeating Prop. 37 is its "highest priority" in 2012. GMA—whose members range from Big Food companies like Kellogg, Nestle, and Pepsi to Big Agribiz companies like Monsanto and Syngenta—brought in  $33 million in 2010, according to its last publicly available tax form 990. It's got the corporate resources to pump significant money into beating back the labeling challenge.

In short, while the forces in favor of Prop. 37 have indeed so far raised and spent more cash than the opponents, the situation looks likely to dramatically reverse as the election draws nearer. As Katherine Spiers of Los Angeles' KCET Radio put it recently, "Expect to see plenty of 'Yes on 37' stickers and signs at your local farmers' market between now and November—and even more 'No on 37' commercials on TV."


728x90

'곳간 > 해외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관개용 둠벙  (0) 2012.08.13
건조농법  (0) 2012.08.13
미국에서 누가 소를 소유하는가?  (0) 2012.08.11
2,4-D는 무엇이고 왜 주의해야 하는가  (0) 2012.08.10
멕시코 지역사회가 저수지와 싸운다  (0) 2012.08.10
728x90

수상이 방향을 잡으면 부탄의 푸르른 계곡이 모두 유기농 농장으로 바뀔 수 있다.



작은 히말라야의 나라인 부탄은 단 73만8천 명이 살고 있다 —알래스카의 인구 정도. 그러나 이 작은 내륙의 나라는 세계에서 가장 큰 전업 유기농으로 나아가는 길에 서 있다. 

2012년 6월 지속가능한 발전에 대한 Rio+20 회의에서, 그 왕국의 Jigmi Thinley 수상은 자기 나라의 모든 농경지를 유기농으로 전환할 계획이라고 연설에서 발표하며 "'부탄에서 재배된 것'은 '유기농으로 재배한 것'과 동일하다는 표시가 붙을 것이다"라고 했다.

그 나라는 이미 유기농으로 잘 나아가고 있다: 부탄인의 2/3는 농민이고, 그들 대부분은 화학농업에서 필요한 화학비료와 농약을 구입할 여력이 없어 어쩔 수 없이 유기농으로 농사를 짓는다. 매우 적은 농장만 실제로 유기농 인증을 받았지만, 그 나라는 여러 농민은 반다나 시바 씨의 유기농 교육농장에 공부하러 보냈고, 그들은 지역에서 차례로 유기농으로 전환하려는 농부들을 돕도록 교육하려고 그녀에게 자문을 받았다.

수상은 더 많은 이익과 자급이 그 운동을 뒤에서 추동하는 주요한 두 가지 요인이라고 연설했다. 부탄은 현재 그들이 생산할 수 있는 것보다 더 많은 식량을 수입하는데, 이는 농민이 그들의 주요 수입원을 잃어버린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이웃한 인도는 유기농 식품에 대한 수요가 '기하급수적으로 성장'하고 있다"고 하며, 금방 줄어들지 않을 것 같다고 한다. 

그리고 거기에는 깨끗한 물 문제가 있다. 부탄인의 1/3은 농촌에서 물을 얻는데, 이는 화학비료에 쉽게 오염될 수 있고, 농촌지역에 살고 있는 6~10살의 아이들은 오염된 비위생적인 물에 의해 고통을 받는다. 

그러나 모든 부탄의 농장을 유기농으로 전환하기 위한 운동은 부탄의 4대 왕이 30년 전부터 국민총생산보다 더 중요한 가치라고 주장해 왔던 "국민총행복"을 달설하기를 바라기에 그러한 요인들에 의해 더욱 추동된다. "우리가 농촌의 삶에 동기를 주려는 주요한 이유는 상호의존의 필요, 적극적인 영적인 삶, 일상적으로 다른 생명 및 자연과의 소통에 의해 활기찬 지역사회를 드높이면서 사람들이 행복을 찾을 수 있는 농사에 달려 있다고 믿기 때문이다"라고 말했다.


http://www.rodale.com/organic-farms?cm_mmc=Twitter-_-Rodale-_-Content-RecentNews-_-TinyCountrySupplytheWorld

728x90
728x90


Organic farming methods, including extended crop rotation, may help U.S. agriculture to better cope with climate change.

Reading up on the nation’s deepening drought and failing crops last week, I came across an interesting piece by Jonathan Foley, director of the University of Minnesota's Institute on the Environment

Jonathan FoleyJonathan Foley

The venue was a roundtable of expert opinion in the New York Times, centered on the question, "How Can We Prevent Another Dust Bowl?"

Like most of the other panelists, Foley had the good sense to address a less alarmist and more interesting question, which in his case might be paraphrased like so: “What can Americans learn about growing crops in hotter, drier climate regimes?”

Short answer: a return to older, less industrialized and chemical-intensive farming practices can restore a resilience that been lost in modern methods:

Sadly, much of America’s commodity agriculture is especially vulnerable to climatic extremes – whether droughts, floods, heat waves or cold snaps. In particular, it is hard to imagine a system more susceptible to bad weather than the American corn and soybean belt.... 

You can drive from one end of the Midwest to the other and see almost nothing but corn and soybeans. If either crop fails (in terms of production or price), farmers are doomed. (Imagine a mutual fund that only invested in two companies. Wouldn’t that be incredibly risky?) Diversification – from two crops to dozens – would help guarantee at least some production and income each year.

Adding to the inherent vulnerability of any monoculture, Foley wrote, these particular crops have shallow roots and thus can’t reach for soil moisture that lies below the level of recent rain or irrigation. And they are grown with techniques that rob the soil itself of its ability to capture and store moisture.

The remedies Foley proposes are familiar elements of the agricultural approach often labeled organic or sustainable: Crop diversification and rotation, reduced tillage and enhanced tilth, organic fertilizers and so on. He closes with this provocative (and unanswered) question:

Extreme drought will happen again, guaranteed. Will American agriculture take a cue from this summer and prepare for it? 

A different time, a different take

Let there be no doubt that Foley knows whereof he opines. These points are derived in part from a paper he co-authored last spring in the journal Nature, a meta-analysis of 66 studies comparing yields from conventional and organic farm operations, raising 34 different crop species.

Back then, though, the conclusions that got the most attention were all about theadvantages of industrial ag. Under the headline “Organic farming is rarely enough,” Nature itself rolled out the findings this way:

Crop yields from organic farming are as much as 34% lower than those from comparable conventional farming practices, the analysis finds. Organic agriculture performs particularly poorly for vegetables and some cereal crops such as wheat, which make up the lion’s share of the food consumed around the world.

 Cereals and vegetables need lots of nitrogen to grow, suggesting that the yield differences are in large part attributable to nitrogen deficiencies in organic systems, says [Verena] Seufert [of McGill University in Montreal, the lead author].

 In conventional agricultural systems, farmers apply chemical fertilizers to fields while the crops are growing, delivering key nutrients such as nitrogen when the crops need it most. Organic approaches, such as laying crop residue on the soil surface, build up nutrients over a longer period of time. “There is not the synchrony between supply of nutrients and crop demand,” says Andrew MacDonald, a soil scientist at Rothamsted Research, an agricultural-science institute in Harpenden, UK.

At the time, those findings drew considerable fire from organic-farming advocates — a good example being Tom Philpott over at Mother Jones. He criticized the study for focusing narrowly on yields per acre while dismissing environmental impacts, and pointed out that while industrial ag may indeed look more productive in ordinary times, the authors themselves found a different story when the weather turns extreme:

“Soils managed with organic methods have shown better water-holding capacity and water infiltration rates and have produced higher yields than conventional systems under drought conditions and excessive rainfall.”

 In other words, organically managed soils deal with water better — both in conditions of drought and heavy storms (the frequency of which is also expected to increase as the climate changes). Soil rich in organic matter (well-decayed remnants of plants and other living creatures) bolster soil in weather extremes by helping store water in times of scarcity and by holding together and not eroding away during heavy rains.

 Given the increase in both kinds of weather events that's likely in our changing climate, Philpott wrote,

This raises a key issue: the paucity of funds we invest in organic research. According to the latest numbers I've seen, 4 percent of the food consumed in the United States — and 11 percent of the fruits and vegetables — is organic. How much of the USDA's research budget is devoted to organic research, including projects like developing proper organic seed lines? Less than 1 percent, the National Sustainable Agriculture Coalition's Ferd Hoefner recently told me. The other 99 percent goes to industrial ag — yet another de facto public subsidy to the agrichemical industry.

And it also suggests, at least to me, that the likely answer to Foley’s question  will Americans take a cue from this summer and begin to do things differently?  is not “you betcha!”

Here and there, hopeful signs

On the other hand, I saw some hopeful signs in the trade press  publications that speak to the actual farmers who are making the critical, on-the-ground decisions:

  • Over at Ag Professional, an article promoting a bulletin of the Sustainable Agriculture Research and Education organization that advises farmers on saving water through conservation tillage, crop rotation and improved soil management.
  • In CropLife, a report on achieving better soil quality through organic methods, including extended crop rotation and no synthetic fertilizer. 

Finally, I was impressed by a report on a 30-year, side-by-side comparison of organic vs. conventional cropping conducted by the Rodale Institute, which claims its Farming Systems Trial to be the longest-running test of its kind in America.

Given that the Rodale enterprises were essentially born in organic gardening and farming, it’s no great surprise that organic came out on top. But the methodology seemed fair enough, and the wide range of advantages – equal yields, richer soil, lower energy requirements, better drought tolerance and higher profits – is pretty compelling.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