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유전자조작(GM) 먹을거리는 종종 세계를 먹여살리는 방법이라고 홍보된다. 그러나 이는 얄팍한 속임수이다. 우리가 GM 먹을거리를 거부해야 할 이유가 거기에 있다. 


1. GM 먹을거리는 식량위기를 해결하지 못한다

2008년 세계은행의 보고서는 생물연료 생산의 증가가 식량위기를 증가시키는 주요한 원인이라고 결론을 내렸다.[1] 생물연료는 식량보다 연료를 위해 작물을 재배한다. GM의 거인 몬산토는 생물연료에 대한 로비활동의 핵심이다 —식량위기로 막대한 이윤을 올리는 한편, 그것을 이용하여 GM 먹을거리를 홍보하는 기회로 삼았다!

“기후 위기는 식량위기를 만드는 데 도움이 된 생물연료를 확대하기 위하여 사용되었다; 그리고 현재 식량위기는 GM 산업의 부를 소생시키는 데 쓰이고 있다.” — Daniel Howden, Independent의 아프리카 특파원.[2]

“나는 그들이 식량위기와 연료위기를 공공의제에 다시 GM 작물을 올리는 디딤돌로 사용할 뿐이라고 생각한다. 왜 그들이 그렇게 하는지 이해는 되지만, 그들이 GM 작물이 가뭄 문제를 해결한다든지 세계를 먹여살린다고 주장한다면, 말도 안되는 소리이다.” – 웨일즈 글리모건 대학 생명공학과 교수 Denis Murphy.[3]


2. GM 작물은 수확량을 늘리지 않는다

그들의 약속에도 불구하고, GM은 어떠한 상업적 작물의 수확량도 늘리지 못했다.[4] 사실, 여러 연구들은 가장 널리 재배하는 GM 작물, GM 콩이 수확량 감소에 처해 있다고 밝힌다.[5]

약 20년 동안 발표된 주요 GM 식량/사료 작물인 콩과 옥수수의 수확량에 대한 연구를 검토한 보고서는 20년의 연구와 13년의 상업화에도 불구하고 유전자조작은 미국의 작물 수확량을 증가시키는 데 실패했음을 밝혔다. 저자인 전 미국 EPA와 FDA 생명공학 전문가 Gurian-Sherman 박사는 “전통 육종이 유전자조작을 능가하는” 수확량을 가져온다고 결론지었다.[6]

“명백해졌다. 올해(2008년), 본질적으로 수확량이 증가한 상업화된 GM 작물은 없다. 이와 마찬가지로, 가뭄 저항성이 있고, 화학비료 오염을 줄이거나 토양을 살리도록 조작된 시판중인 GM 작물은 없다. 하나도 없다.” –Doug Gurian-Sherman 박사.[7]


3. GM 작물은 농약 사용을 증가시킨다

미국 정부의 자료는 미국에서 GM 작물이 기존의 작물과 비교하여 농약 사용을 전체적으로 늘렸지 줄이지 않았음을 밝혔다.[8]

“당신들은 화학물질을 덜 사용하고 수확량을 엄청 늘린다고 약속했다. 그러나 그것이 사실이 아니었음을 나에게 말하라.” –Bill Christison, 미국 전국가족농연합 대표. [9]


4. 세계를 먹여살리는 더 나은 방법이 있다

유엔과 세계은행이 자금을 대고 400명의 과학자가 작성하고 58개국이 지지한 보고서는 GM 작물이 세계의 농업, 그리고 빈곤, 기아, 기후변화라는 과제에 기여하는 바가 거의 없다고 결론을 내렸다. 더 나은 대안을 활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보고서에서는 개발도상국들을 위한 지속가능한 방법으로 “농생태학” 농업을 옹호한다.[10]


5. 다른 농업기술이 더 성공적이다

해충을 통제하고 수확량을 높이는 통합해충관리(Integrated Pest Management)와 기타 혁신적인 저투입 또는 유기농법이 훨씬 효율적이고, 특히 개발도상국에서 그렇다고 입증되었다.[11] 유전자 표식에 의한 선발(Marker Assisted Selection)과 같은 다른 식물 육종기술이 GM보다 더 효율적이고 안전하게 세계의 농업생산성을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12] [13]

“작물을 더 잘 이해하도록 돕는 조용한 혁명이 유전자 지도제작에서 일어나고 있다. 이것은 바로 실행할 수 있고, GM보다 농업에 훨씬 큰 영향을 미칠 것이다.” –존 인스 센터(John Innes Centre) 작물유전학과 학장 John Snape 교수. [14]


6. GM 먹을거리는 안전성이 입증되지 않았다

유전자변형은 결과를 예측할 수 없이 외부의 유전물질(바이러스, 박테리아 등)을 작물에 결합시키는 조잡하고 모호한 방법이다. GM 먹을거리는 엄격하고 장기적인 안전성 실험을 거치지 않았다. 그러나 동물실험은 GM 먹을거리가 장기의 비정상적인 변화, 면역체계의 장애, 노화의 가속, 유전자 발현의 변화를 포함하여 독성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밝혔다.[15] 매우 적은 수의 연구들이 GM 먹을거리 섭취가 인간에게 미치는 직접적 영향에 대하여 발표했다. 그러한 연구 가운데 하나는 내장 박테리아에 대한 예상하지 못한 영향을 발견했지만, 결코 후속연구가 나오지 못했다.[16]

미국인들이 몇 년 동안 GM 먹을거리를 먹어왔지만 악영향이 없었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이러한 먹을거리들은 미국에서는 표시도 되지 않고, 아무도 그 결과를 관찰하지 않았다. 트랜스지방과 같은 다른 참신한 먹을거리가 수백만 명의 조기 사망을 일으킨 원인이라는 사실을 깨닫는 데에만 수십 년이 걸렸다.[17]

“우리는 세계의 역사에서 가장 강력한 기술과 직면하고 있으며, 그것은 그 결과가 어떻게 될지 생각할 겨를도 없이 급속하게 퍼지고 있다.” —미국 환경보호청 독물학자 Suzanne Wuerthele 박사.


7. 사람들은 GM 먹을거리를 원하지 않는다 –그래서 그들은 동물사료에 숨긴다

몬산토의 자회사인 Asgrow의 대변인은 "유전자변형된 먹을거리에 표시를 붙인다면, 해골 표시를 붙이려 할 것이다"라고 말했다.[18] GM 산업은 동물사료에 그것을 숨김으로써 소비자의 거부감 문제를 해결해 왔다. 유럽으로 수입된 수백만 톤의 GM 사료로 사육한 육류, 달걀, 유제품은 표시할 의무가 없다. 일부 연구에서는 유전자조작과 식품산업의 주장과 달리 GM 사료로 사육한 동물은 비GM 사료로 사육한 동물과 다르다는 사실을 밝혔다.[19] 또 다른 연구에서는 GM 작물을 동물에게 먹이면, GM 물질이 그 생산물에 나타날 수 있고[20] 동물의 건강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밝혔다.[21] 그래서 이러한 “스텔스(stealth) GMO”의 섭취는소비자의 건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8. GM 작물은 장기적으로 농민에게 경제적 재앙이다

2009년의 보고서는 미국의 GM 종자 가격이 비GM 종자와 유기종자에 비하여 엄청나게 상승하여 GM 작물을 재배하는 농민의 평균 농가소득을 감소시켰다는 사실을 밝혔다. 그 보고서는 “현 시점에서 세계의 식량안보를 위해 입증된 방법이라며 생명공학을 옹호하는 사람들의 숭고한 수사법과 현실 사이의 엄청난 단절이 있는데, 실제로 GM 종자에 의존하여 농사짓는 미국의 농장에서 일어나고 있다.”[22]


9. GM과 비GM은 공존할 수 없다

관행과 유기농 먹을거리에 대한 GM 오염이 증가하고 있다. 현장 시험을 1년만 하여 승인되지 않은 GM 쌀이 미국의 쌀 공급과 종자 재고에 광범위하게 오염시킨 것을 발견했다.[23] 캐나다에서 유기농 유채기름 산업은 GM 유채에 의해 오염되어 파괴되었다.[24] 스페인에서 한 연구는 GM 옥수수가 “이 곡물을 유기농으로 경작하는 면적을 엄청나게 감소시킨 원인이 되었고, 그들의 공존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는 것을 밝혔다.[25]

세계 식량 공급을 GM에 기반하느냐 비GM에 기반하느냐 선택해야 할 시간이다.

“일부 사람들이 GM 먹을거리를 재배하고 판매하고 소비하는 것을 허용한다면, 곧 아무도 GM이 없는 먹을거리나 생태계를 선택할 수 없을 것이다. 호주에 토끼나 두꺼비를 도입한 것과 같은 일방적인 선택이다; 한 번 정하면 되돌릴 수 없다.” –지속가능한 개발 전문가 Roger Levett.[26]


10. GM 기업들을 믿을 수 없다

자신의 GM 먹을거리를 밀어붙이고 있는 거대한 생명공학 회사들은 독성 오염과 대중 기만의 끔찍한 역사를 가지고 있다.[27] GM은 특허권을 통해 그들이 세계의 식량공급을 독점하여 통제할 수 있도록 하기에 그들에게 매력적인 것이다. 그들은 특허받은 종자를 저장하는 "범죄"나 특허받은 유전자를 "도둑질"하는 농민들을 괴롭히고 협박한다 —그러한 유전자가 농민의 농지로 바람이나 곤충에 의해 우연히 오염시키더라도 말이다.[28]

“농민들은 그들이 구입하지 않고 원하지도 않은 GMO를 가질 경우 소송을 당하여 사용할 수도 없고 판매할 수도 없다.” – 노스다코다의 농부 Tom Wiley.[29]



참조

1. Donald Mitchell, 2008. A Note on Rising Food Prices. World Bank. http://image.guardian.co.uk/sys-files/Environment/documents/2008/07/10/Biofuels.PDF

2. Daniel Howden, 2008. Hope for Africa lies in political reforms. The Independent, 8 September. http://www.independent.co.uk:80/opinion/commentators/daniel-howden-hope-for-africa-lies-in-political-reforms-922487.html

3. Rob Lyons, 2008. GM: it’s safe, but it’s not a saviour. Spiked online, 7 July. http://www.spiked-online.com/index.php?/site/article/5438/

4. Jorge Fernandez-Cornejo and William D. McBride, 2002. The adoption of bioengineered crops.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Report, May. http://www.ers.usda.gov/publications/aer810/aer810.pdf

5. R.W. Elmore et al., 2001.  Glyphosate-resistant soyabean cultivar yields compared with sister lines. Agronomy Journal 93, 2001: 408–412.

6. Doug Gurian-Sherman, 2009. Failure to Yield: Evaluating the Performance of Genetically Engineered Crops. Union of Concerned Scientists. http://tiny.cc/eqZST

7. Doug Gurian-Sherman, 2008. Genetic engineering — A crop of hyperbole. The San Diego Union Tribune, 18 June. http://www.signonsandiego.com/uniontrib/20080618/news_lz1e18gurian.html

8. Charles Benbrook, Ph.D., 2009. Impacts of Genetically Engineered Crops on Pesticide Use: The First Thirteen Years. The Organic Center, November. http://www.organic-center.org/science.pest.php?action=view&report_id=159

9. Bill Christison, 1998. Family Farmers Warn of Dangers of Genetically Engineered Crops. In Motion magazine, 29 July. http://www.inmotionmagazine.com/genet1.html

10. N. Beintema et al., 2008. International Assessment of Agricultural Knowledge, Science and Technology for Development: Global Summary for Decision Makers (IAASTD). http://www.agassessment.org/index.cfm?Page=IAASTD%20Reports&ItemID=2713

11. N. Beintema et al., 2008. International Assessment of Agricultural Knowledge, Science and Technology for Development: Global Summary for Decision Makers (IAASTD). http://www.agassessment.org/index.cfm?Page=IAASTD%20Reports&ItemID=2713

12. B.C.Y. Collard and D.J. Mackill, 2008. Marker-assisted selection: an approach for precision plant breeding in the twenty-first century. Philos Trans R Soc Lond B Biol Sci 363: 557–572.

13. J.R. Witcombe et al., 2008. Breeding for abiotic stresses for sustainable agriculture. Philos Trans R Soc Lond B Biol Sci 363: 703–716.

14. John Snape, 2002. Gene mapping the friendly face of GM technology. Farmers Weekly, 1 March: 54.

15. – Memorandum to Linda Kahl on the Flavr Savr tomato (Pathology Review PR–152; FDA Number FMF–000526): Pathology Branch's evaluation of rats with stomach lesions from three four-week oral (gavage) toxicity studies (IRDC Study Nos. 677–002, 677–004, and 677–005) and an Expert Panel's report. F.A. Hines. US Department of Health & Human Services, 1993.
– Witness Brief – Flavr Savr tomato study in Final Report (IIT Research Institute, Chicago, IL 60616 USA) cited by Dr Arpad Pusztai before the New Zealand Royal Commission on Genetic Modification: New Zealand Royal Commission on Genetic Modification, 2000.
– V.E. Prescott, P.M. Campbell, A. Moore, et al. 2005. Transgenic expression of bean alpha-amylase inhibitor in peas results in altered structure and immunogenicity. J Agric Food Chem 53: 9023–9030.
– M. Malatesta, M. Biggiogera, E. Manuali, M.B.L. Rocchi, B. Baldelli, G. Gazzanelli, 2003. Fine structural analyses of pancreatic acinar cell nuclei from mice fed on genetically modified soybean. European Journal of Histochemistry 47: 385–388.
– M. Malatesta et al., 2002. Ultrastructural morphometrical and immunocytochemical analyses of hepatocyte nuclei from mice fed on genetically modified soybean. Cell Struct Funct 27: 173-180
– L. Vecchio et al., 2004. Ultrastructural analysis of testes from mice fed on genetically modified soybean. Eur J Histochem 48: 448-454
– M. Malatesta et al., 2008. A long-term study on female mice fed on a genetically modified soybean: effects on liver ageing. Histochem Cell Biol 130: 967-977
– S.W. Ewen and A. Pusztai, 1999. Effects of diets containing genetically modified potatoes expressing Galanthus nivalis lectin on rat small intestine. The Lancet 354: 1353–1354
– Séralini, G.-E. et al., 2007. New Analysis of a Rat Feeding Study with a Genetically Modified Maize Reveals Signs of Hepatorenal Toxicity. Arch Environ Contam Toxicol 52: 596–602.
– R. Tudisco R, P. Lombardi, F. Bovera et al., 2006. Genetically modified soya bean in rabbit feeding: Detection of DNA fragments and evaluation of metabolic effects by enzymatic analysis. Animal Science 82:193–199.
– F.B. Brasil, L.L. Soares, T.S. Faria et al., 2009. The impact of dietary organic and transgenic soy on the reproductive system of female adult rat. Anat Rec (Hoboken) 292: 587–594.
– A. Pusztai, S. Bardocz, 2006. GMO in animal nutrition: Potential benefits and risks. In: R. Mosenthin, J. Zentek, T. Zebrowska, eds. 2006. Biology of Nutrition in Growing Animals 4: 513–540.
–  G.E. Séralini, D. Cellier, J. Spiroux de Vendomois, 2007. New analysis of a rat feeding study with a genetically modified maize reveals signs of hepatorenal toxicity. Archives of Environmental Contamination and Toxicology 52: 596–602.
–  A. Kilic, M.T. Akay, 2008. A three generation study with genetically modified Bt corn in rats: Biochemical and histopathological investigation. Food Chem Toxicol 46: 1164–1170.
– J.S. de Vendomois, F. Roullier, D. Cellier, G.E. Séralini, 2009. A comparison of the effects of three GM corn varieties on mammalian health. Int J Biol Sci 5:706–726.
– A. Finamore, M. Roselli, S. Britti S et al., 2008. Intestinal and peripheral immune response to MON810 maize ingestion in weaning and old mice. J Agric Food Chem 56: 11533–11539.
–  A. Velimirov, C. Binter, J. Zentek, 2008. Biological effects of transgenic maize NK603xMON810 fed in long term reproduction studies in mice. Familie und Jugend Report, Forschungsberichte der Sektion IV Band 3/2008.
– M. Trabalza-Marinucci, G. Brandi, C. Rondini, et al., 2008. A three-year longitudinal study on the effects of a diet containing genetically modified Bt176 maize on the health status and performance of sheep. Livestock Science 113: 178–190.

16. T. Netherwood et al., 2004. Assessing the survival of transgenic plant DNA in the human gastrointestinal tract.  Nature Biotechnology 22: 204–209.

17. Paula Hartman Cohen, 2006. Trans Fats: The story behind the label. Harvard Public Health Review. http://www.hsph.harvard.edu/review/rvw_spring06/rvwspr06_transfats.html

18. Anil Netto,2000.  Consumer groups for mandatory labelling of GM food. IPS News, 13 March. http://www.twnside.org.sg/title/groups.htm

19. Jack A. Heinemann, PhD, 2009. Report on animals exposed to GM ingredients in animal feed. Prepared for the Commerce Commission of New Zealand, 24 July. http://bit.ly/4HcJuJ

20. – R. Sharma et al., 2006. Detection of transgenic and endogenous plant DNA in digesta and tissues of sheep and pigs fed Roundup Ready canola meal. J Agric Food Chem 54: 1699–1709.
– R. Mazza et al., 2005. Assessing the transfer of genetically modified DNA from feed to animal tissues. Transgenic Res 14: 775–784.
– A. Agodi et al., 2006. Detection of genetically modified DNA sequences in milk from the Italian market. Int J Hyg Environ Health 209: 81–88.
– T. Ran, L. Mei, W. Lei, L. Aihua, H. Ru, S. Jie, 2009. Detection of transgenic DNA in tilapias (Oreochromis niloticus, GIFT strain) fed genetically modified soybeans (Roundup Ready). Aquaculture Research 40: 1350–1357.

21. –  R. Tudisco, V. Mastellone, M.I. Cutrignelli, et al., 2010. Fate of transgenic DNA and evaluation of metabolic effects in goats fed genetically modified soybean and in their offsprings. Animal 4: 1662–1671. 
– Jack A. Heinemann, PhD, 2009. Report on animals exposed to GM ingredients in animal feed. Prepared for the Commerce Commission of New Zealand, 24 July. http://bit.ly/4HcJuJ

22. Charles Benbrook, 2009. The magnitude and impacts of the biotech and organic seed price premium. The Organic Center, December. http://www.organic-center.org/reportfiles/Seeds_Final_11-30-09.pdf

23. E. Neal Blue, 2007. Risky business: Economic and regulatory impacts from the unintended release of genetically engineered rice varieties into the rice merchandising system of the US. Report for Greenpeace. http://www.greenpeace.org/raw/content/international/press/reports/risky-business.pdf

24. Soil Association, 2002. Seeds of doubt: North American farmers’ experience of GM crops. http://www.soilassociation.org/seedsofdoubt

25. R. Binimelis, 2008. Coexistence of plants and coexistence of farmers: Is an individual choice possible? Journal of Agricultural and Environmental Ethics 21: 437–457.

26. Roger Levett, 2008. Choice: Less can be more. Food Ethics magazine 3: 11. http://www.foodethicscouncil.org/node/384

27. See, for example, Marie-Monique Robin’s documentary film, Le Monde Selon Monsanto (The World According to Monsanto), ARTE, 2008; and the website of the NGO, Coalition Against Bayer-Dangers, www.cbgnetwork.org

28. – BBC News online 2000. GM firm sues Canadian farmer, 6 June. http://news.bbc.co.uk/2/hi/americas/779265.stm
 – Center for Food Safety, 2007. Monsanto vs. US Farmers: November 2007 Update.Washington, DC and San Francisco, CA, November.

29. Stephen Leahy, 2004. Monsanto ”seed police” scrutinize farmers. InterPress Service, 15 January. http://www.commondreams.org/headlines05/0115-04.htm



출처 

10reasons.pdf


10reasons.pdf
0.13MB
728x90
728x90

생명공학 산업에 따르면, 유전자조작 작물 덕에 농민들이 "더 적은 투입재로 더 많은 수확량을 올리기에"  인류에게 혜택을 준다며 생명공학 산업단체(Biotechnology Industry Organization)의 홈페이지에 소개한다.

그러한 수사법에 고무된 유전자조작 종자의 거인 몬산토와 그 동료들은 두 가지 주요한 특성을 지닌 옥수수, 콩, 목화의 종자시장이 흥성하도록 관리했다: 제초제 저항성과 살충제 발현 —각각의 식물이 특정 제초제에 견디게 하고, 바실루스 투루지엔시스Bacillus thuringiensis 또는 Bt라는 독성을 내서 곤충을 죽이게 한다.

그러나 BIO의 성명에 나오는 두 주장은 매우 의심스러운 것으로 판명되었다. 워싱턴 주립대학의 연구자 Charles Benbrook 씨는 미국에서 GMO의 순 효과가 독성 화학투입재의 사용을 증가시켰다는 사실을 입증했다. Benbrook 씨는 Bt 특성이 농민들의 살충제 사용량을 극적으로 낮춘 반면, 몬산토의 라운드업 레디 기술에 의한 효과는 몬산토의 라운드업 제초제를 맞은 잡초에 빠르게 내성이 생겨 버렸다고 밝혔다.

그리고 미국 농무부에서 자금을 지원받은 위스콘신 대학의 연구자들이 작성한 새로운 보고서는 기본적으로 "더 많은 식량"이란 주장을 무효로 만든다. 연구자들은 1990~2000년 사이 개발된 다양한 개량종과 일부 유전자조작 옥수수를 가지고 위스콘신 대학의 실험밭에서 수확량을 비교하는 자료를 가지고 판명했다. 일부 GM 품종이 약간의 수확량 증가를 가져왔지만 다른 것은 그렇지 않았다. 심지어 몇몇 품종은 비GM 품종보다 수확량이 낮은 것으로 드러났다. 주로 사용되는 특성 가운데 하나의 예외 —유럽 조명충나방을 죽이도록 설계된 Bt 유형— 와 함꼐, 저자들은 "우린 유전자조작 작물의 수확량 효과를 강하게 확신할 수 없다는 사실에 놀랐다"고 결론을 내렸다. 글리포세이트 저항성(라운드업 레디)과 옥수수 선충에 대한 Bt 특성이 수확량을 떨어뜨리는 원인이다.

그러면 이른바 "다중형질(stacked-trait)" 작물 —그것은 다양하게 추가된 유전자를 함유하도록 변형된 옥수수를 말한다— 예를 들면, 제조제 저항성과 살충제 발현 유전자를 모두 가진 몬산토의 "Smart Stax"라는 제품에 대한 의문이 있다. 저자들은 이러한 작물에서 그들이 "유전자 상호작용"이라 부르는 것을 간파했다 —종종 부정적으로 수확량에 영향을 주는 방식으로 서로 상호작용하도록 삽입된 유전자. 만약 다양한 유전자가 상호작용하지 않는 품종에 추가되면, "다중유전자의 [수확량] 영향은 상응하는 단일유전자 효과의 총계와 같을 것이다"라고 저자들은 썼다. 대신에, 다중형질 작물은 지도에 있었다. "우린 이식 유전자가 하나로 묶일 때 그 특성 사이에 상호작용하는 유전자의 강력한 증거를 발견했다"고 한다. 그러한 효과의 대부분은 부정적이었다 —즉, 수확량이 감소한다.

전반적으로, 그 보고서는 "수확량 감소"로 알려진 것의 증거를 밝힌다 —식물 품종의 게놈을 조작한다는 발상은 덜 생산적이게 되는 원인이 되는 그 성장 방식에 의도치 않은 변화를 일으킨다. 

더 격려하자면, 저자들은 GMO 품종의 작물 수확량이 해마다 더 안정적임을 발견했다 —그것은 수확량이 기존 품종들보다 변동이 적다는 것이다. 이러한 안정화 효과 덕에, 저자들은 "우리의 결과가 어떻게 유전자 이식 기술이 위험한 환경을 처리하는 농민의 능력을 개선시킬 수 있는지 보여주고," 특히 "현재 농업 생산을 불확실하게 만드는 기후변화의 영향에 관한 우려를" 제공한다고 결론을 내린다. 간단히  그들은 라운드업 레디나 Bt 작물을 심음으로써 농민이 수확량 변동이란 위험에 직면하는 일이 줄어든다고 주장한다.

그건 사실일 것이다. 하지만 그것은 "더 적은 투입재로 더 많은 작물 수확량을 올린다"는 데에서 멀어진다. 그리고 기존 종자보다 GMO가 더 이득이라는 것이 명확해지는 것도 아니고, 위험 경감이 유기농업에 의해 제공되는 혜택보다 나은지도 확실하지 않다. 여기 지난해 Nature 에 논문을 발표한 저자의 글을 소개한다:

유기적 방법으로 관리된 흙은 보수력과 물 침투율이 더 좋아, 가뭄이나 호우의 조건에서 관행농업보다 더 많은 수확량을 올린다.



출처 http://goo.gl/W0cIu

728x90
728x90

농민-소비자를 '돈'으로만 연결될 때 농산물은 그저 상품에 지나지 않는다. 

하지만 농민-소비자가 '연대'로 연결될 때 변화가 발생한다. 


당신의 밥상은 안녕하신가요? 




Fridays at the Farm from Coyopa Productions on Vimeo.


728x90

'곳간 > 영상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음식쓰레기와 물 낭비  (0) 2013.02.28
덮개작물의 중요성  (0) 2013.02.25
45일: 육계용 닭의 삶과 죽음  (0) 2013.02.13
신은 공장형 농부를 만들었다  (0) 2013.02.09
혼농임업의 방법 -숲 농업  (0) 2013.02.06
728x90

Organic farming is the best way of reversing the decline in wildlife. Organic farming actually depends on encouraging a diverse ecosystem to maintain soil fertility and to keep pests under control naturally. Important organic farming practices include:

  • Encouraging natural predators by maintaining hedgerows and creating open spaces at side of fields
  • Mixed farming where different crops are planted together
  • Changing the crops planted each season, to keep soil fertile and avoid the need for chemicals

The Soil Association knows that because so many organic farming practices are wildlife-friendly implementing organic farming on a wide scale would reverse this decline.

As well as the Soil Association’s own biodiversity research, a number of organisations have looked at the links between farming and wildlife:

  • A 2005 scientific literature review by English Nature and Royal Society for the Protection of Birds (RSPB) found that there are more birds, butterflies, beetles, bats and wild flowers on organic farms than on conventional farms. This is because the farm as a whole is subject to environmental standards, rather than just limited areas - which occur under agri-environment schemes on non organic farms.
  • A literature review of 66 published comparative studies concluded that on average wildlife is 50% more abundant on organic farms and there are 30% more species than on non-organic farms. ('The effects of organic agriculture on biodiversity and abundance: a meta-analysis', by Swedish researchers (Bengtsson, Ahnström and Weibull), published in the Journal of Applied Ecology, 2005)
  • An extensive survey by the British Trust of Ornithology in 2005 of lowland mixed crop and livestock organic farms in England found that organic farms have almost twice as many numbers and species of plants, about a third more birds and a third more bats than non-organic farms. The researchers believe that the potential of organic farms to support wild animals is actually far greater than this, and that biodiversity benefits are held back because organic farms are currently mostly 'isolated units' in an intensively managed landscape.

The main benefits of organic farming for biodiversity are its non-use of fertilisers, herbicides and synthetic wormers; minimal use of pesticides; lower livestock stocking densities; encouragement of natural predators for controlling pests (and thus maintenance of hedges, field margins and other uncropped areas); higher soil biological activity; mixed crop and livestock systems rather than monoculture. It is the absence of these beneficial factors on most non-organic farms that has accounted for most of the decline in wildlife in Britain's farmed countryside in recent decades.

Yet, while 76% of the UK's land is used for agricultural purposes only 4% of this is farmed organically. 




policy_report_2000_biodiversity_benefits.pdf


policy_report_2000_biodiversity_benefits.pdf
0.1MB
728x90
728x90


Organic Farming Systems and Soil Health - Pat Carr from SC-NRCS & ESRI-SC Partnership on Vimeo.


728x90

'곳간 > 영상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경운 농법과 토양의 건강  (0) 2013.01.30
관행농업의 경운과 토양의 건강  (0) 2013.01.30
토양 관리의 중요성  (0) 2013.01.30
흙 이야기  (0) 2013.01.30
마블링 권하는 사회  (0) 2013.01.21
728x90

In recent decades, organic products have occupied something of a niche market. (Andrew Hyde)

Despite the growing worldwide demand for organic food, clothing, and other products, the area of land certified as organic still makes up just 0.9 percent of global agricultural land. In 2010, the latest year for which data are available, 37 million hectares of land were organically farmed—an area that has grown more than threefold since 1999.

There is large regional variation in the area of land farmed organically. Oceania, which includes Australia, New Zealand, and Pacific Island nations, leads the world in certified organic land, with 12.1 million hectares in 2010. In contrast, North America had 2.6 million hectares of organic land, and Africa had just over 1 million hectares.

Reliable data are lacking for land that is farmed using organic principles but that is not certified organic. Many farmers, particularly subsistence farmers or those selling to local markets, farm organically but do not acquire organic certification. Certified organic products have created a niche market in recent decades, allowing farmers to earn premium prices over conventional products, particularly when selling to supermarkets or restaurants.

The countries with the most certified organic producers in 2010 were India (400,551 farmers), Uganda (188,625), and Mexico (128,826), while the region that added the most organic farmland between 2009 and 2010 was Europe. Overall, the amount of organically farmed land worldwide dropped slightly, by 0.1 percent, between 2009 and 2010—due largely to a decrease in organic land in India and China.



The International Federation of Organic Agriculture Movements defines organic agriculture is a production system that relies on ecological processes, such as waste recycling, rather than the use of synthetic inputs, such as chemical fertilizers and pesticides. The benefits are myriad: organic farming can require up to 50 percent less fossil fuel energy than conventional farming, and boost on-farm biodiversity by an average of 30 percent. It can help soil retain water and nutrients, improving resilience to drought and other harsh weather patterns. And it reduces human exposure to chemicals or toxic residues, which have been linked to a variety of illnesses. Organic land can return higher yields than land farmed conventionally, particularly when the land has been farmed organically for several years running.

The modern organic farming movement emerged in the 1950s and 1960s largely as a reaction to consumer concerns about the rising use of agrochemicals. The period after World War II and through the 1950s is commonly known as the “golden age of pesticides.” But as the health and ecological impacts of agrochemicals began to be understood, governments started to regulate their use and consumers began demanding organically certified foods.

Producing food sustainably, which includes farming without chemicals whenever possible, will be as important as ever in the coming decades, as the global population continues to grow and as climate change affects land quality worldwide. Organic farming has the potential to contribute to sustainable food security by improving nutrition intake and supporting livelihoods in rural areas, while simultaneously enhancing biodiversity and reducing vulnerability to climate change.

Read the full report here


728x90
728x90

아래의 사진과 글은 Robin Turner라는 캐나다의 브리티시 콜럼비아(British Columbia) 대학의 학생이 2003년 대만에서 몇 달 동안 여행하며 조사한 자료다. 이를 캐나다의 "City Farmer"라는 도시농업 단체에 보내서 올려 놓은 내용을 나는 무단으로 가져왔다. (그러니 쉬쉬 하며 조용히 보시길 바란다.)


이 자료는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첫째, 시민에 의한 도시농업이다. 대만의 시민들은 한국과 마찬가지로 유휴지와 상자텃밭 등을 활용하여 집에서 소비할 농산물을 재배하고 있다. 이는 타이페이 같은 대도시보다 그 주변의 도시에서 더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것 같은데, 이것도 한국과 유사한 모습이다.

둘째, 농민에 의한 도시농업, 즉 도시 근교농업이다. 그중에서도 특히 유기농법으로 근교농업을 실행하고 있는 농민을 만나 인터뷰를 하여, 그들이 농사짓는 방법과 대만 특유의 기후 및 농업사 등에 대해 엿볼 수 있어 흥미롭다. 

셋째, 실제 유기농업을 행하고 있는 농민의 농장을 분석한다. 이를 통해 현재 대만의 농민들이 처한 상황 -중국과의 관계 회복으로 인한 자본과 제조업의 유출, 그로 인한 실업자의 발생과 그들의 귀농, 또 자유무역을 기조로 하는 WTO 가입으로 인한 농민들의 시련과 변화 등- 을 알 수 있다.  


대만은 일제에 의한 식민지 지배와 국민당 정부가 건너오면서 세워진 정부가 주도한 '토지개혁'과 이후의 좌우 대립, 그리고 농업 보호무역과 급속도로 이루어진 산업화를 거치는 과정에서 세계시장으로의 편입 등 한국과 매우 유사한 역사적 발자취를 겪었다. 그 때문인지 자연환경은 조금 차이가 나지만 경제적, 문화적 측면에서는 서로 무척이나 닮아 있는 모습을 발견할 수 있다. 

이 글에서 소개하는 도시농업의 모습도 그 연장선에서 이해할 수 있다. 미국과 캐나다 및 유럽 국가들의 도시농업에서 보이는 이질감을 전혀 느낄 수 없다. 어떤 부분에서는 그냥 바로 옆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일을 조사한 것은 아닌지 착각을 일으킬 정도다. 서구 사회는 우리와 지나온 역사도, 문화도, 그리고 자연환경도 크게 차이가 나기 때문에 도시농업이란 부문에서도 유사점을 찾아보기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그런데도 우리는 선진 사례를 배운다며 서구 사회 따라잡기에 열심이다. 물론 그 사회를 보면서 얻을 교훈도 영감도 있기는 하지만, 너무 치우쳤다는 느낌은 지울 수 없다. 아무튼 내가 보기에는 그러한 맹목적 서구 사회 따라잡기보다는 우리와 비슷한 과정을 지나온, 또는 지나고 있는 아시아를 비롯한 라틴아메리카 등지의 신흥 선진국과 제3세계를 살펴보는 것이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더 크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대만은 우리에게 아주 좋은 사례를 제공한다. 아래의 글을 번역하며 읽는 내내 흥미진진하여 잠시도 멈출 수가 없었다. 영어 실력은 엉망이지만 함께 나누어 보고 싶은 마음에 번역을 해보았다. 가장 아래에 출처를 달아놓았으니, 영어를 잘하는 분의 수정을 바라면서 본격적으로 들어가보도록 하자.

--------------------------------------------------  




나는 타이완에 도착하여 타이페이에서 조금 떨어진 Hsintien에 살았다.



당신이 보듯이, 도시는 혼잡하지만 산비탈에는 농사에 활용할 수 있는 공간이 많다. 당신이 볼 수 있는 녹색 공간의 대부분은 식량작물이나 꽃 등의 농사를 짓고 있다. 이 사진은 지역 주민들이 심어 놓은 꽃과 식물로 이어진 광범위한 산책로를 산에서 찍은 것이다. 도심지의 "산업"과 대조적으로, 산은 산책로와, 농막, 운동기구, 의자, 탁자를 포함하는 누구나 활용하는 공공 공간이다.



타이완은 쉽게 자연을 접할 수 있다 -여기는 타이페이시의 오른쪽 변두리다.





2003년 1월 9일 


나는 전에 살았던 곳으로 나갔다. 여긴 다른 구릉 지역으로, 내가 사는 Hsintien에서 지하철로 네 정거장 거리다. 내가 돌아간 이유는 그곳에 대한 기억 때문이다. 



이건 여기에서는 전형적인 주택의 모습이다 -주로 아프트 단지와 높은 빌딩이 많지만 여기서는 아니다. 이런 주택을 찾으면 대개 옥상이나 짜투리 공간 및 화분 등에 식물이나 나무 등을 기르고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공간이 제한적이라 길거리에서 식물이 늘어서 있는 걸 보는 게 이상한 일이 아니다. 확실히 대만인은 녹색 환경을 좋아한다.



여기는 Jingmei에 있는 산에 오르는 입구이다. 여기로 새벽에 운동하러 많이 간다. 옛날에 이 산을 부처님이 왼쪽 발로 밟았다고 하여 부처님의 발자국이라 부른다.



곧바로 산으로 오르니 길 양쪽에 농사짓는 모습이 나타난다.



작은 자투리 땅에 나무와 철사 등으로 울타리를 쳤다. 



산책로를 따라가면 더 많은 텃밭이 나타난다. 



내 다음 임무는 이것이 무엇인지 알아내는 것이다.



흥미로운 구조물이다. 



다시 오른쪽 산책로를 따라서.



단순히 보아도 농사짓는 곳이 많이 보인다. 



산책로 꼭대기에서 본 모습.



참고:

이건 늦은 오후에 가볍게 산책한 것이다. 난 전에 이 산에 자주 왔었지만, 이 텃밭을 돌보는 사람을 거의 보지 못했다. 난 결국 산 아래 쪽에서 할머니 몇 분을 보았다(사진 찍기 거부하셔서 사진은 없음). 그들은 대부분의 사람들이 판매가 아니라 자급용으로 농사짓는다고 하셨다. 한 할머니가 정부가 이런 텃밭을 관리하지 않고 모두 개인적으로 소유한다고 알려줬다. 그녀의 경우, 친구 소유의 이용하지 않는 땅에서 그녀가 채소 농사를 짓는다고 한다.






2003년 1월 23일


어제는 흥미로웠다. 난 타이페이 외곽으로 나가서 Urban Fringe Agriculture에 기사를 쓴 여성인 Zhang Tsan-Ru 씨를 만났다


그녀는 타이페이 주변의 도시 근교 지역에서 세 농장을 안내해 줬다. 그 길에 우린 타이페이 외곽에서 대부분 농업에 종사하는 몇몇 비닐하우스 농장을 지났다. 이 시설들은 온실과 비슷하지만, 더 많은 비와 해를 막기 위해 설계되었다. 이 비닐하우스에서 농민들은 1년에 9~13가지 작물을 재배할 수 있다! 비록 이런 유형의 농업이 화학 투입재에 의존하지만, 정부는 비화학적 병해충 방제를 활용하도록 적극적으로 장려하고 있다. 나중에 더 이야기...



우리가 방문한 첫번째 농장은 콩나물(콩나물인지 모종인지 분별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과 유기농 퇴비 농장이었다. 여긴 내가 본 가장 혁신적인 최첨단 농장이었다. 모종은 온실형 비닐 지붕이 있는 실내의 팔래트 안에서 자란다. 농부는 나에게 캐나다의 온실에 맞먹는, 햇빛과 빗물을 막기 위한 지붕이라고 했다. 콩나물은 물로만 기르고, 핸드폰으로 조작하는 기계에 의해 수확한다. 



수평 빔이 궤도를 따라 움직인다. 그래서 수확에는 노동력이 필요하지 않다. 그러고 나서 나물의 뿌리와 줄기는 퇴비더미에 버려진다. 거기에 왕겨와 달갈 껍질 또는 조개껍질이 추가되고, 트랙터가 뒤집는다. 



이렇게 된다:



그리고 나서 농부는 그 지역의 주로 시설하우스 농업을 하는 다른 농민 에게 퇴비를 팔 수 있다. 




지금 이 순간부터 내 카메라의 사진들을 올리지 않을 것이고, 그래서 나는 Zhang 씨가 나에게 그녀가 찍은 사진을 보내주길 기다려야 한다. 당신이 위의 농장보다 흥미로워 할 두번째 농장의 개요를 소개하겠다. 

두번째 농장은 완전히 유기농 채소를 재배한다. 우리가 그 본관에 들어서자, 몇 사람이 손으로 상자에서 신선한 생산물을 꺼내 비닐로 포장하고 있었다. 약 10명이 이 작업에 참여하는데, 모두 가족이다. 이 농장의 경영자 Chen 씨는 다양한 밭을 구경시켜 주었다. 그들은 위와 비슷한 시설하우스에서 14가지 잎채소를 재배하고 있었다. 양배추, 샐러리, 로메인 상추, 그리고 배추, 중국 샐러리와 몇 가지 중국 상추다.

모든 생산물이 놀랍게도 병이나 벌레 먹은 게 없어 보였다. 일관된 품질이 나를 놀라게 했다. Chen 씨는 그들이 돌려짓기와 닭과 병해충을 방제하기 위한 왕겨 목초액을 사용한다고 했다. 그들은 한 번이나 두 번 작물을 수확한 뒤 다른 작물을 돌려심고, 땅이 1년에 한 번이나 두 번쯤 쉬도록 묵힌다고 한다. 그들은 타이완의 꾸준한 햇빛과 강수량 덕분에 1년에 9~12번 수확한다. 여름에는 강한 햇빛을 줄이고자 시설하우스에 차광막을 덮는다. 5월부터 10월까지 여름에는 노지에서 작물을 재배할 수 없을 정도로 정말 햇빛이 뜨겁다.


그들의 작은 퇴비장을 방문했다. 그들은 태운 왕겨에 유기 폐기물과 달걀 껍질, 쌀겨를 섞어 직접 퇴비를 만든다. 왕겨를 태울 때는 S자 모양의 관을 이용해서 그때 나오는 목초액을 받는다. Chen 씨는 앞서 말했듯이, 이것이 매우 강력한 해충 기피제라고 한다. 해충이 냄새를 감당하지 못한다. 이걸 토양에 200:1로 희석해서 뿌린다. 

돌아오는 길에 시설하우스 몇 동이 있었는데, 여기는 땅을 묵히는 곳이었다. 안에는 살이 오르고 행복해 보이는 닭 몇 마리가 땅을 파헤치고 있었다. 이것이 앞서 언급한 해충 방제 방법이다. 닭들은 1년에 한두 달 시설하우스를 자유로이 돌아다니며 흙에서 작물에 해를 끼치는 곤충과 애벌레를 잡아 먹는다. 

마지막으로 우린 외부의 텃밭을 둘러보았다. 여기에 그들은 당근, 호박, 고구마, 토란, 메주콩, 완두콩, 강낭콩, 야콘 등등을 재배했다. 외부의 작물은 시설하우스의 깔끔한 잎과 달리 벌레가 많이 먹은 전형적인 유기농 채소 같아 보였다. 이 작물들 대부분은 자신과 주변 친구들과 나누어 먹고, 하우스의 작물은 시장에 낸다고 한다. 

Zhang 씨의 업무 가운데 일부는 새로 농업을 시작하려는 사람에게 지원을 제공하여 돕는 것이다. 그녀는 한 달마다 방문하여 그들의 진행 상황을 확인하며, 지속가능하고 수익을 낼 수 있도록 그들을 돕는다. 원래 이 농장은 차를 재배했는데, 차 가격이 크게 떨어져 새로운 무언가를 시도해야 했다. 그들은 현 시점까지 많은 투자를 하여 화학물질에 많이 의존하던 차 재배보다 더 지속가능한 방식으로 해마다 이익을 내기 시작했다.

작물은 모두 유기농 인증을 받아 타이페이의 상점에서 팔린다. Chen 씨는 그 시장이 계속 성장하고 있다고 알려준다 -타이완의 유기농 생산비율은 캐나다의 2~2.5%에 비교하여 약 1%뿐이다. 점점 많은 도시의 사람들이 건강에 관해 생각하고 있다. 농장은 300g 포장의 잎채소 묶음을 소매 특판장에서 약 1.10캐나다달러에 팔고, 결과적으로 약 1.70캐나다달러에 판매하고 있다. 모든 농산물은 농장에서 포장하고, 가게에 도착하는 대로 판매된다. 

하나 더. 농장의 일꾼은 한둘을 제외하곤 거의 모두 가족이다. 그들은 한 명을 빼고 모두 고기를 먹지 않는 불교신자이고, 신앙의 연장선에서 이 농장을 생각한다. Chen 씨는 나에게 자신들은 매일 아침 5시부터 저녁 9시까지 일한다고 했다. 그들이 실제로 임금을 받는지 모르겠으나, 그들은 그냥 농장의 성장에 투자하고 있는 것 같다. 일꾼 중 몇몇은 값싼 노동력을 찾아 기업들이 타이페이에서 중국으로 넘어가면서 첨단 기업에서 퇴직한 사람이다. 그러나 그들은 자신이 선택한 생활방식에 행복한 얼굴을 하고 미소를 띠고 있었다. 타이페이에서 전형적인 사무직 노동자들의 단조로운 얼굴을 본 뒤 나는 전적으로 그렇게 생각한다. 


참고사항:

  • 전체 농장은 약 2500평이고, 그 가운데 주요한 농사는 약 600평에서 짓고 있다. 
  • Zhang은 차에서 나에게  타이완을 떠나는 기업들이 늘어나며 2만 명 이상의 노동자가 다시 농촌의 고향으로 돌아가 농사를 짓는다고 한다. 그들은 WTO의 관세 인하가 농민들을 압박하면 더 큰 충격을 받을 것이다. 

Zhang 씨는 자신의 일에 진정 믿음을 지닌 매우 헌신적이고 활기찬 여성이다. 






2003년 4월 6일


내가 여기에서 마주친 현상 가운데 하나는 비록 도시농업이라 부를 수 있는 많은 사례가 있지만, 캐나다의 도시농업에 비교할 때 매우 소규모라는 점이다. 그뿐만 아니라 농촌이라 부를 수 있는 몇몇 곳은 도시화가 매우 조밀하다. 

지금 나는 타이완의 농업사에 매우 흥미를 가지게 되었다. 특히 중국 본토에서 국민당이 1949년에 섬으로 건너온 뒤의 토지개혁이다.

타이완의 토지개혁은 시행한 지 10년 안에 순수 식량수출국이 되면서 역사에서 경제적으로 가장 성공한 하나의 사례로 판명되었다. 토지개혁은 또한 가난한 국가가 산업화와 개발로 나아가기 위한 기반을 제공하여  꾸준하고 안정적인 수입을 가져다 주었다. 

기본적으로 토지는 분할되어 원래 농사짓던 사람들에게 주어졌다. 소작료가 37.5%로 감소하고, 정부의 대출이 토지를 구입하는 데 제공되었으며, 농지 규모가 1인당 최대 1,2000평으로 축소되었다. 또한 한 해에 농사짓는 추가 작물에는 세금이 적용되지 않았고, 이는 생산성과 농민 소득의 향상을 촉진했다.

토지개혁은 신중한 계획과 관리, 적극적인 참여만이 아니라 보호주의의 형태에 필요한 정부의 지원을 받으며 실행되었다. 벼를 포함한 많은 작물의 무역을 완전히 금지하고, 모든 수입 농산물에는 무거운 관세를 매겼다. 비록 이러한 조치가 타이완에 세계 평균보다 비싼 물가를 가져왔지만, 이 가난한 섬나라에 완전한 식량안보만이 아니라 높은 소득을 올릴 수 있게 했다. 

당연히 타이완은 현대화로 나아감에 따라 자신의 모든 관심을 무역과 산업에 초점을 맞춘 반면, 한때 국가의 생계수단이었던 농업은 GDP의 단 3%만 차지하며 뒷자리로 물러났다. 현재 WTO에 가입하면서, 농업 부문은 늘 별로 보호되지 않는다. 그것은 관세 감소로 농산물 가격의 급락과 동시에 농민 소득의 손실을 가져왔다. 12월 타이페이에서 12만 명의 농민이 결집해 맹렬히 항의했지만, 아무 소용이 없었다. 

타이완 농업의 이러한 새로운 장애물에 대한 몇몇 개인의 이해를 알아보고자, 나는 Hsintien에 있는 지역 농민회와 접촉했다. 나는 이러한 중요한 조직에서 타이완 농민을 위한 신용기관, 교육센터, 자문위원회, 협동조합, 정치적 교섭 창구로 활동하는 나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사람을 찾는 데 시간을 보냈다. 결국 나는 농민들과 함께 작물 전략과 그들의 수요에 가장 적합한 농법을 개발하고 있는 Ye 씨를 만났다. 그는 50년 동안 Hsintien의 근교에 있는 농지에서 농사를 지은 농민을 만나게 해주었다.




Lau 씨와 나는 이웃 농민의 창고에서 차를 마시는 한편, Ye 씨 뒤에서 이웃 농민과 이야기를 나누었다. 나는 현재와 비교하여 과거 농업에 좋았던 시절의 이야기를 듣고 싶었고, 적당한 사람을 찾았다. Lau 씨는 그의 아버지와 함께 어린 시절부터 Hsintien의 농지에서 일했다. 그는 예전에 어땠는지에 대해 기억하고 있었다. 처음에 그들은 3가지 작물만 재배할 수 있었다: 고구마, 순무, 양배추. 화학비료나 농약을 살 돈이 적어서 이러한 튼튼한 작물만이 식탁에 올리거나 시장에 낼 수 있는 보장을 받았다. 그들이 해충을 방제하는 유일한 방법은 손으로 벌레를 잡는 것이었다! Lau 씨와 그의 아버지는 지역의 지주에게서 토지(6000평)를 빌렸고, 그들 작물의 2/3를 임대료로 지불했다. 고생스럽게 살았다! 또한 이는 농민들 주머니로 매우 적은 이득만 들어갈 수 있게 함으로써 농민들이 생산성을 향상시키거나 다각화를 모색하지 못하도록 절망시켰다. 그러고 나서 Lau 씨는 정부에서 지주에게 토지를 팔도록 하고, 소작료를 작물의 37.5%로 낮추도록 강요한 토지개혁과 함께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 이야기했다. 그와 함께 작물 다각화, 돌려짓기, 해충 방제를 위한 방법을 촉진하는 데 훨씬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그뿐만 아니라 농약과 화학비료가 저렴한 가격에 제공되었다. 생산량이 폭증했고, 그들은 튼튼한 3가지 작물에서 지금과 같은 주로 고부가가치의 잎채소 품종인 13가지 이상의 작물로 빠르게 나아갔다.




우리는 Lau 씨의 300평(10m x 100m) 규모의 시설하우스를 둘러보았다. 그는 나에게 이게 60~70년대에 타에완에서 매우 수익성 좋은 사업이었다고 알려줬다. 사람들이 농업으로 소득과 함께 번영을 누리고, 상업과 더 많은 음식에 대한 수요가 인구와 함께 성장했다. 수입 금지는 농민이 매우 편안한 생계수준을 누릴 수 있고, 농민이 농업을 유지하는 것이 합당했음을 뜻한다. 그는 나에게 농산물의 적재와 함께 시장에 나가고 정오까지 다 팔 수 있다고 말했다. 자신의 사업을 돌보는 데 하루의 나머지를 쓴다. 이렇게 번 돈으로 그는 타이완에서 가장 일반적인 시설하우스의 하나를 지을 수 있었다. 여름의 집중호우와 뙤약볕을 막기 위해 비닐로 마감한 이곳은 관개용 파이프도 갖추고 있다.




사진 뒤에 보이는 땅은 1년마다 한 달씩 묵히는 땅이다. 작물 돌려짓기는 똑같은 작물을 재배하면 병해충이 조장되기에 일반적으로 활용하는 방법이다. 

작물의 식별은 모두 중국식 이름뿐이어서 나에게 늘 어려운 일이었다.




크고 건강한 머리라는 뜻의 Da Bai Cai(이는 로메인 상추의 잘못으로 보임).



중국 본토에서 Dalu Mei라 부르는 작물



옛 시절보다 훨씬 많은 품종. 


우리의 방문을 마무리지으면서 창고에서 차를 좀 더 마시고,  Lau 씨는 현재 타이완에서 농민들은 훨씬 큰 어려움에 처해 있다고 이야기했다. 시련의 대부분이 WTO의 가격 인하를 동반한 낮은 가격이란 문제로 다가온다. 그러나 그는 자매국가인 중국 본토와 다시 관계를 맺으면서 공장과 자본이 사라졌다고도 비난을 퍼부었다. 타이완에서 식량 가격은 떨어지고 있는 반면, 돈은 또한 놀라운 속도로 공장과 일자리들과 함께 중국으로 떠나고 있다. "타이완은 자신의 농민을 지원하기 위해 더 많은 소비할 사람이 필요한 때인데, 재정적 어려움으로 사람들이 진열대에서 가장 싼 물건만 찾고 있다. 그 결과 타이완 농민들이 힘든 것이다."


그것이 Lau 씨의 이야기다. 다음은 시장에 낼 허브와 꽃을 재배하는 그의 이웃에 대한 이야기를 올리겠다. 그는 WTO 이후 타이완의 낮은 가격이란 환경에서 살아남고자 노력을 하고 있는 농민으로서 방향의 지표가 된다. 






2003년 4월 24일

Liang Shan 씨의 유기농 농장이 지닌 구성요소


1. 인간: 이것은 아래의 지역사회 부분에서 살펴볼 것이다. 간단하게, 이 유기농 농장은 노동집약적이고, 농장을 유기하기 위해 오랜 시간을 일할 수 있는 가족과 친척들의 진정한 노력 없이는 살아남을 수 없을 것이다. 파종부터 수확과 포장까지, 이 농장에서는 거의 모든 일이 손으로 이루어진다. 전기로 가동하는 파종기, 로터리를 치는 경운기, 퇴비를 뒤집는 굴착기 빼고 모든 일이 손으로 이루어진다.


2. 흙과 퇴비와 영양소: 유기농 농장이기에, 여기 투입되는 모든 것이 유기적이어야 한다. 그리스에서 수입된 퇴비에는 왕겨재(타이완산)를 섞는다. 일본산 생선 수용액으로 질소를 추가할 뿐만 아니라, 유통기한 지난 두부로 보충한다. 모종을 위한 흙도 네덜란드에서 수입한 질소질이 낮은 것이다.


3. 시설하우스와 관개 체계: 대부분의 재배가 그물망을 덧씌운 비닐을 덮은 시설하우스 안에서 이루어진다. 옆면은 벌레를 막는 촘촘한 그물망이고, 윗부분의 그물망은 다른 광선이 아닌 강한 햇빛만 차단한다. 또한 일부 빗물은 들어오지만 호우철에 작물을 보호한다. 관개는 전기로 운영한다.


4. 해충 방제: 해충은 다양한 방법을 활용하여 처리한다. 먼저, 흙은  타이완의 경우 산도 6.5의 매우 강한 산성이라 왕겨재를 넣는다. 이는 흙을 깨끗이 하는 데 도움이 되고, 왕겨재의 냄새가 해충을 쫓는다. 한편 강한 산도는 병균의 번식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둘째, 왕겨를 태우면서 연기를 증류하여 목초액을 모은다. 목초액은 물과 1:800의 비율로 섞어서 작물에 뿌린다. 그것은 완전히 유기적이고 비독성이면서, 그것이 지닌 강한 냄새를 많은 해충들이 기피한다. 병원균을 살포해서 잎채소에 아주 성가신 애벌레를 억제하는 데 쓴다. 이 병원균은 곤충의 척수와 신경계를 공격하여 매우 빨리 죽이지만 인간에게는 전혀 해가 없다. 

땅은 1년에 한 달 정도 묵히고, 그때 닭을 자유로이 다니도록 풀어놓아 땅에서 벌레를 잡아먹게 한다. 이것이 땅에서 하는 "봄철 청소"이고, 새로운 농사철을 준비한다. 이들 닭은 고품질 유기농으로 다른 농산물과 함께 팔린다.


5. 포장, 마케팅, 유통: 채소는 농장에서 일꾼들이 250g씩 신경 써서 손으로 포장한다. 소비자는 농장에서 약 1.20캐나다달러에 직거래로 살 수 있다. 또는 정부가 인증한 유기농산물 매장에서 살 수 있다(타이페이에만 약 20곳). 그 당시, 이러한 방법이 약간의 폐기물과 함께 농장에서 재배한 모든 채소를 팔기에 충분했다. 


6. 정부 지원: 정부는 재정적 지원과 전문기술을 모두 제공하며 이러한 농장의 설립에 적극적이었다. 이 시점에서, 그 농장은 자립하기 시작하여 지원을 받지 않을 수 있었다. 정부는 대출과 유기농인증 농민을 위한 교육을 제공할 것이다. 


Liang Shan 씨 유기농 농장을 표현한 도표



농장에게 지역사회는 어떤 의미인가?

농장은 사돈을 포함하여 친척에 의해 운영된다. 그들 모두는 불교신자이고 모두 고기를 먹지 않는다. 불교신자의 윤리는 매우 엄격하여 술을 마시는 것도 허용되지 않고, 그들은 일찍 자고 일찍 일어나면서 하루 종일 열심히 일하는 생활습관을 가져 농사일에 아주 적합하다. 농장 주인은 가족 구성원이 아니지만 그도 엄격한 불교신자이고, 나는 이것이 농장의 탄생에 필수 요소였다고 느꼈다. 기본적으로 농장은 큰돈을 만드는 사업이 아니고, 일꾼의 헌신과 희생이 필요하다(오랜 시간 일하고 보수가 적으며, 땅에 기반을 둔 전원적 생활양식을 보답으로 받는다는 면에서) 정부에게 재정적 지원을 받고, 불교신자인 지주에게 땅을 빌렸다. 내가 땅을 소유한 농장 관리인에게 물었을 때, 그는 "여긴 신의 땅이다"라고 답했다. 그의 수양아들이 나에게 나중에 알려준 그 말의 의미는, 주인과 일꾼 사이의 불교라는 공통적 결속 없이 농장은 존재하지 않을 것이라는 뜻이다. 무엇보다 영성으로 살아가는 것이다. 이 농장 주변의 땅이 대부분 그렇게 쓰이듯이 이곳에서 농약과 비료 집약적인 차 농장을 운영하면 훨씬 큰 돈을 쉽게 벌 수 있는데, 소유주 스스로 큰 희생을 하고 있는 셈이다.

이 농장이 지닌 또 다른 지역사회의 요소는 Liang Shan 씨가 농산물을 판매하는 유기농 생협을 매개로 연결된 타이완의 성장하고 있는 유기농산물 소비자들이다. 농장에서 나의 친구 Zhen Zhong 씨는 많은 사람들이 농장을 보려고 몇 시간을 운전해 와서  그 농산물이 깨끗한 유기농산물임을 확인한다고 이야기해주었다. 첫 번째 방문 이후 대부분이 농장에 방문하는 걸 즐거워하기 때문에 또 방문한다고 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농장의 가족들이 확대된 연결망을 만드는 것 같다. 


어떻게 농장의 체계가 자신의 물리적/생물학적 환경 설정(농생태학/토지 지킴이)에 관여하는가? 기후, 경관, 토양, 식생, 야생생물을 포함시키는가?

농장은 소규모 직물공장, 도로, 차 농장 사이에 끼인 5000평 정도의 토지에 위치해 있다. 비록 매우 작은 규모지만, 실제 재배는 아마 이 공간의 1/6에서 이루어진다. 모든 잎채소는 집약적인 생산이 가능한 시설하우스에서 유기농법으로 재배한다. 타이완의 기후 때문에, 전형적인 시설하우스에서 연간 9~13번 재배하여 놀라운 양을 생산한다. 위에서 이야기했듯이, 모든 투입재는 유기농 자재이고, 따라서 주변 환경에 나쁜 영향을 거의 미치지 않는다. 집약적인 농산물 생산 덕분에, 물론 많은 나비와 애벌레 개체수가 있어서 새들의 먹이가 된다. 그 농장의 시설하우스가 아닌 땅의 절반은 뿌리채소를 재배하고, 나머지 절반은 숲이다. Zhen Zhong 씨는 농장 주변의 숲에 여러 종류의 새들과 함께 부엉이가 산다고 알려주었다. 

앞서 지적했듯이, 정부는 인증과 전문기술의 형태로 유기농업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이런 지원의 주요한 이유 가운데 하나는 공장과 화학물질 집약적 농업에 의해 황폐해진 타이완의 자연환경 보호 때문이다. 당신이 상상하듯이, 1년에 13번의 재배를 가능하게 하는 기후는 곧 13번의 제초제, 살충제, 화학비료 살포를 의미하고, 따라서 생태계에 악영향을 미친다. Liang Shan 씨의 농장은 확실히 개별 유기농 농민은 토지의 "청결"함에 의존하여 먹고 살기 때문에 독립적인 토지 지킴이를 홍보하는 좋은 사례이다 -그리고 타이완에는 이러한 일에 대한 장려책은 없다.


정부의 국내(공급 관리)와 국제 정책(NAFTA와 GATT)은 낙농업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10%)

타이완이 외국과의 경쟁에 농산물 시장을 개방함으로써 일부 상품, 특히 쌀에서 이웃 국가들과 경쟁할 수 없음을 간단히 꺠달았다. 그래서 정부는 한때 경제의 토대였던 농업 부문이 최대한 가장 싼 채소와 과일을 생산할 것이 아니라, 타이완 시장에 더 선별성을 갖춘 고품질의 농산물을 생산하도록 바꾸고 특화해야 한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안전한 농산물에 더 많은 돈을 지불할 수 있는 부유한 타이완인들에게서 현재 유기농산물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정부에서는 농민들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환경을 보호하는 방법으로 이 관심을 촉진시키고 있다. 따라서 나는 WTO가 지역의 유기농업을 촉진하는 데 많은 영향을 주었다고 말하고 싶다. 

이와 함께 WTO는 농산물의 수입 관세를 낮춤으로써 정부가 국내의 식량 공급을 보호하려는 시도를 약화시키고자 최선을 다하고 있다. 그리고 WTO 때문에 유기농업에 대한 정부의 지원이 있을 수 있는 한편, 전반적인 식품 가격이 떨어지고 있어 그를 재배하여 살아가는 사람들을 위태롭게 한다. 과거에 농민은 더 많은 돈을 벌고자 유기농업으로 이동했지만, 지금은 살아남기 위해서 그러고 있다. 사람들은 유기농산물에 프리미엄을 지불할 의사가 있지만 거기에는 한계가 있으며, WTO가 모두를 위해 판매가를 낮추고 있다. 다시 말하지만, 소비자의 승리는 그들이 승리함으로써 단지 유해한 농법을 사용하고 있는 외국의 농장을 지원하는 것이지, 진정한 승리인가??





출처 http://www.cityfarmer.org/taiwan.html


728x90

'농담 > 농업 전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의 텃밭농사를 볼까  (0) 2013.01.18
셰일가스와 질소비료의 연결고리  (0) 2013.01.18
음식물쓰레기 침출수 문제  (0) 2013.01.15
악양들  (0) 2013.01.12
27년 만의 한파와 우리의 밥상  (0) 2013.01.07
728x90

벼농사를 지어 쌀을 주식으로 삼은 한국인에게 논은 다양한 의미를 지닌다.


먼저 논은, 당연히 먹을거리를 주는 공간이다. 그런데 지금이야 '논=벼'라는 공식을 떠올리지만, 원래 예전의 논은 벼만 사는 곳이 아니었다. 논에는 물장군도 살고, 물방개도 살고, 개구리도 살고, 올챙이도 살고, 우렁이도 살고, 거머리도 살고, 드렁허리도 사는... 즉 다양한 생물들이 함께 어우러져 살던 공간이었다.


드렁허리는 이렇게 생겼다. 처음 보는 사람은 징그러워 할 수도 있는 생김새... 하지만 이 놈이 사는 논은 그만큼 건강하고 깨끗한 생태계라고 할 수 있다. 예전에 농민들은 이 놈을 귀찮은 존재로 인식했다. 그도 그럴 것이 물을 담는 것이 중요한 논두렁에 드렁허리가 구멍을 파고 살기 때문이다. 이게 구멍을 파면 그리로 귀한 논의 물이 빠져나가기 때문이다. 그런 구멍은 다시 논흙이나 풀더미 등으로 얼른 틀어막아야 한다. 그러지 않다가는 논의 물이 다 빠져나가기 십상이다. 얼마전 드렁허리와 관련하여 좋은 다큐멘터리가 방송되었다. 시간과 돈이 허락하는 분은 꼭 한 번 보시길 바란다(http://goo.gl/fpHKh)



그러던 것이 독성물질(농약)을 사용하는 농법이 퍼지면서, 또 농수로 등을 시멘트로 포장해 버리면서 그네들의 서식지가 사라져 논에서는 벼만 사는 공간이 되었다. 물론 지금도 풀이 자라고, 이러저러한 동물들이 깃들어 살기는 한다. 그런데 예전처럼 그들은 논의 '주인'이 아니라 '방문객'을 면하지 못하고 있다. 그나마 친환경 농업이 퍼지면서 그러한 논에서는 다양한 생물들이 돌아오고 있다는 반가운 소식이 들리기는 한다(http://blog.daum.net/stonehinge/8724728). 하지만 여전히 그 비율은 미약할 뿐이다. 유기농 인증을 받아 출하되는 곡류의 무게가 단 4만4000톤(http://goo.gl/CQ6xn). 곡류 전체를 아우르는데 그래도 쌀이 대다수일 테니 그 전체를 쌀이라고 놓고 봐도 통계청에서 발표한 2011년 전체 벼 생산량 422만4000톤의 1% 정도밖에 안 된다. 앞으로 그 비율이 더 높아지면 논에서도 훨씬 다양한 생물들이 함께 살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논은 홍수를 막는 댐의 역할을 수행한다. 한국은 여름에 집중호우가 쏟아진다. 이걸 모르는 한국인은 없을 것이다. 그런데 이렇게 여름철 집중적으로 쏟아지는 비가 벼에게는 생명의 물이 된다. 그 장마비를 쭉쭉 빨아먹으면서 쑥쑥 자라는 것이 바로 벼의 생장 특징이다. 그래서 논은 그 시기에 많은 물을 담는 것이 유리하다. 물론 그렇다고 논에 계속 물을 대놓기만 하면 안 된다. 뿌리도 한 번씩 콧바람을 쐬면서 숨을 쉬어야 튼튼하고 건강하게 자랄 수 있다. 아무튼 그렇게 논이 붙드는 물의 양이 2000년의 논 면적을 기준으로 연간 26.2억 톤이라 한다. 이게 어느 정도의 양이냐면, 소양강댐과 대청댐의 저수량과 같은 양이다. 그러니까 논만 잘 보존하고 농사를 지어도 대형 댐을 몇 개 짓지 않아도 되는 셈이다. 그런데 요즘 논이 여러 이유로 사라지고 있다. 개발 바람에 그러기도 하고, 논농사가 수지타산이 맞지 않으면서 논을 밭으로 바꾸고 있기도 하다(http://blog.daum.net/stonehinge/8727371). 그렇게 되면 우린 또 다시 대형 댐을 지어야만 할지도 모른다. 댐이 생기면 수몰되는 마을과 농경지가 생기고, 거기에 살고 있던 사람과 여러 생물들이 쫓겨난다. 지금도 이런 일은 비일비재하게 일어나고 있다. 여기 내성천에 영주댐이 만들어져 수몰된다는 마을과 사람들의 이야기를 보라 (http://goo.gl/7KcCW).




또한 수질을 개선시키고 산소를 공급하며 뜨거운 여름철 한낮의 열기를 식혀주는 역할도 한다. 하나하나 모두 이야기하기가 손가락이 아프다. 이 글은 이런 논의 공익적 기능을 이야기하려고 시작한 것이 아니지 않은가! 이 글은 바로 추어탕을 이야기하려고 시작했다. 추어탕!


추어, 즉 미꾸라지는 아주 재미난 생물이다. 아가미 말고 장으로도 숨을 쉴 수가 있어 물이 마른 곳에서도 진흙만 있으면 그리로 파고들어가 살아남을 수 있다. 또 그 미끌미끌한 몸통을 쥐는 감촉이란... 잡아보지 못한 사람은 말을 하지 말자. 

어린 시절 반도를 하나 들고 개울가나 농수로에 가서 돌덩이를 옮겨다가 물길을 막는다. 그러면 물이 점점 줄어들고 거기로 반도를 들고 뛰어들어가 고기몰이를 시작하는 것이다. 여기저기 수풀이 우거진 쪽을 발로 쑤시고 덤벙덤벙 뛰면서 반도가 있는 쪽으로 고기를 몰아서 결정적 순간 팍 들어올리면... 반도 위에 고기들이 펄떡펄떡 뛴다. 재수가 좋은 날은 메기를 잡기도 했다. 그렇게 잡은 고기로 매운탕을 끓여먹는 것이 여름철 동네 아이들의, 그리고 어른들의 재미이자 좋은 영양 공급원이 되었다. 굳이 개를 잡지 않아도 필요한 열량을 그렇게 섭취했다. 물론 그래도 어른들에게 최고의 보양식은 개였다. 그건 부인할 수 없다.


그렇게 미꾸라지를 잡기도 했다. 하지만 미꾸라지의 참맛은 논에서 잡는 것이었다. 논은 앞에서도 말했듯이 항상 물을 채워놓는 것이 아니다. 그렇게 농사짓는 사람은 초짜이거나 게으른 농부다. 진정한 농부는 벼의 상태를 봐가면서 '중간물떼기'라는 것을 한다. 중간에 한 번씩 물을 빼서 뿌리가 공기를 만나 숨을 쉬면서 더 뻗어 나가도록 하여 벼가 잘 자라도록 돕는 행위다. 그렇게 물을 뗄 때가 바로 논에서 다양한 먹을거리를 장만하는 때이기도 하다. 미꾸라지를 잡기도 하고, 붕어를 잡을 수도 있다. 미꾸라지를 잡아 먹기에 적당한 때는 이들이 겨울을 나려고 살을 찌우는 가을철이다. 특히 늦가을에는 진흙 속으로 파고들어가 겨울을 날 수 있도록 포동포동 살을 찌운다. 그렇게 살을 찌워 먹기 좋은 시점이 바로 벼를 베는 무렵과 겹친다. 보통 7월부터 먹을 수 있고 11월이 끝물이다. 곧 가을이 제철인 셈이다. 그래서인지 미꾸라지를 뜻하는 한자인 자는 물고기에 가을을 뜻하는 한자를 조합해서 만들었다. 즉 미꾸라지는 바야흐로 가을을 상징하는 대표적인 물고기인 셈이다. 그건 다른 여느 물고기보다 그 무렵에 먹는 것이 제맛이기에 그럴 것이다.


논바닥에서 꿈틀꿈틀거리는 미꾸라지를 보라. 이 어찌 징그러운가, 먹음직스럽지. (사진 http://goo.gl/FYavy) 



미꾸라지를 일부러 논에서 키우지는 않았지만, 생명이 어우러지는 논에서는 당연하게 만날 수 있는 생물이었다. 논에서 일부러 물고기를 양식하는 형태의 농법도 있다. 이를 바로 '벼논양어'라고 한다. 중국의 한 소수민족은 그렇게 논에서 잉어를 양식하여 시장에 내다팔기도 하고, 자신들이 먹을 양식을 마련하기도 한다. 이에 대한 '슈퍼피쉬'라는 훌륭한 다큐멘터리가 있으니 참고하시길 바란다(http://goo.gl/QnxrV). 

한국에서도 그런 방식을 활용하여 먹고 살아왔다. 논에서 벼만 재배하여 수확해 먹은 것이 아니라, 붕어도 잡고 다슬기와 우렁이도 잡아서 국도 끓여 먹으며 살아왔다는 말이다. 그리고 그 가운데 하나가 바로 추어탕이란 말씀이다. 지금 이러한 방식을 되살려서 논에서 벼도 재배하면서 미꾸라지도 길러 농가소득도 꾀하고 논의 생태계도 건강하게 하려는 움직임이 있다(http://blog.daum.net/stonehinge/8726973). 여기는 언젠가 꼭 찾아가서 취재를 하려고 생각중인 곳이다. 그때 더 자세한 이야기를 올리도록 하겠다. 그 방식의 장점은, 벼 이외의 미꾸라지를 소득원이자 영양 공급원으로 삼을 수 있다는 점만이 아니다. 바로 논도 건강하게 만들어 벼가 농약이나 비료에 의존하지 않아도 잘 자랄 수 있게 한다는 데에 큰 장점이 있다. 미꾸라지가 다니면서 흙탕물을 일으키면 작은 풀들이 제대로 자라기 어려워진다. 또 벼에 해를 주는 작은 벌레를 잡아먹고 소화를 시켜 똥을 사면, 그 똥이 자연스레 거름이 되어 벼가 먹고 자란다. 누이 좋고 매부 좋고, 도랑 치고 가재 잡고, 일석다조의 효과가 일어나는 것이다. 참, 이들이 모기의 유충을 잡아먹어서 인간에게 병을 옮기는 것도 예방하고 줄일 수 있다는 점도 잊지 말자.


모두 먹고 살자고 하는 짓 아닌가. 미꾸라지가 참 좋은 역할을 하지만 그것도 먹어야 제맛이다. 논농사가 전국 각지에 퍼져 있는 만큼 미꾸라지를 이용한 추어탕도 지역에 따라 다양한 요리방법이 있다. 크게는 남원을 중심으로 한 전라도식, 원주를 중심으로 한 강원도식, 그리고 서울 깍쟁이들이 즐기던 서울식, 털래기라고도 부르는 경기도식, 청도 또는 대구를 중심으로 한 경상도식으로 나뉜다. 하지만 크게 나누었을 때 그렇다는 말이지, 마을마을마다 집집마다 자신들만의 요리법과 즐기는 방법이 천차만별이다. 그래서 그걸 한데 묶는 것이 잘못된 것은 아닐까 하는 생각도 든다.



잡아라, 잡아라, 미꾸라지 잡아라!


 

남원을 중심으로 한 전라도식 추어탕이 현재 한국에서 가장 대중화된 추어탕이라 할 수 있다. 그건 바로 전라도 사람들이 농사를 지을 수 없게 되면서 서울로 많이 이주한 것과 깊은 연관이 있다. 떠난 사람이 많은 만큼 서울로 올라온 사람이 많고, 그들이 서울에서 남원식 추어탕을 만들어 먹으면서 가장 널리 퍼졌기 때문이다. 이 전라도식 추어탕은 들깨가 들어간 구수하고 걸쭉한 국물이 특징이다. 처음 시작은 1959년 경남 하동 출신의 서삼례 할머니가 남원의 광한루 옆에 있는 예전 육남시장 근처에서 추어탕 식당을 시작하면서 퍼졌다고 한다. 지금도 남원의 그 부근에 가면 수많은 추어탕 집이 영업을 하고 있으니 즐겨 보시길 바란다. 전라도식은 미꾸라지 육수에 된장과 다진 마늘, 생강즙을 넣고 끓인 다음 시래기와 파, 미나리, 부추, 토란대, 숙주 등을 넣은 뒤 들깨를 충분히 넣어 걸쭉하게 만들고 들기름을 넣어서 향을 더하는 것이 특징이다. 

 

경상도에서도 추어탕을 널리 즐겨 먹었다. 그런데 경상도식이 퍼지지 않은 것은 앞서 이야기했듯이 이주민이 적었기 때문이다. 지금도 경상도는 그냥 그 동네에서 살아가도 충분하지 않은가. 인구 비율에서 전라도의 몇 배나 되는 크기를 자랑할 정도로 말이다. 추어탕 요리법이 전국적으로 널리 퍼지지는 못했지만, 그게 역설적으로 그 동네가 먹고 살만했기 때문이라는 점을 보여주니 참 재밌는 역사다. 경상도식은 1950년대 초 상주 출신의 천대겸 할머니가 문을 연 대구의 상주식당과 1963년 청도의 김말두 할머니가 문을 연 의성식당이 그 시작이라고 꼽는다. 이 경상도식 추어탕은 미꾸라지를 으깨거나 미꾸라지 외에 여러 민물고기에다 된장을 풀고 우거지나 배추를 넣은 맑은 국물이 특징이다. 부산이나 경남 지역에서는 우거지나 배추말고도 토란대와 부추, 산초나 방아잎 등을 넣기도 한단다. 방아잎은 여름이 덥고 습한 경상남도에서 많이 활용하는 향신료이다. 일본에 가도 이와 비슷한 모습을 흔히 볼 수 있다. 아마 덥고 습하여 질병을 예방하거나 벌레를 쫓기 위하여 강한 향이 나는 음식을 먹는 듯하다. 동남아 사람들의 체취를 맡아 본 적이 있다면 쉽게 이해할 것이다. 참, 청도식은 미꾸라지보다 여러 민물고기를 더 많이 사용한단다. 청도는 역시 논보다는 계곡이 더 발달했기에 그럴지 모르겠다. 논이 있어도 저 큰 하천 옆에 들이 넓은 곳에 발달한 논과는 흙의 성질이 다를 것이다.


사진만 봐도 침이 꼴깍... 먹고 싶다... 청도식 추어탕...(http://goo.gl/2nqQF)



경기 북부 지방에서 발달한 경기도식 추어탕은 미꾸라지 털래기라고도 부른다. 그쪽에서는 추어탕보다 털래기라고 해야 알아듣는다는 사실을 잊지 말자. 이건 미꾸라지 매운탕의 일종으로, 무와 다시마를 우려낸 육수에 미꾸라지나 민물고기를 통째로 넣고 고추장을 풀어 끓인 다음에 여기에다 수제비나 소면을 넣어 어죽과 비슷하게 만들어 먹는다. 털래기는 여러 재료를 털어 넣고 끓여서 먹는다는 데에서 유래했다는 믿거나 말거나 하는 이야기가 있다. 

 

서론이 너무나 길었다. 사실 원주 가서 추어탕 먹고 왔다는 자랑을 하려고 글을 시작했는데 쓸데없이 주르륵 길어졌다. 이런 제길.

 

50년의 역사를 지닌 원주식 추어탕의 원조는 원주 복추어탕 집이라고 한다. 이 집의 특징은 된장 외에 묵힌 고추장을 풀어 미꾸라지의 잡내를 없애는 점이다. 거기에 강원도에서 흔하게 농사지어 구할 수 있는 감자와 미나리, 버섯, 시래기, 부추, 다진 마늘 등이 들어간다. 원래는 미꾸라지를 통채로 사용하는 것이 원주식이라는데, 손님의 기호에 따라 갈아서 내주기도 한다. 아무튼 다른 곳과 달리 '감자바우'라고 불리는 강원도라는 걸 내세우는 양 추어탕에 감자가 들어간다는 점이 매우 이채롭다. 감자가 들어간 추어탕=원주식이라고 생각해도 좋다.


밑반찬이 아주 깔끔하게 나온다. 겉절이도 맛있고, 열무김치도 일품이다. 뭐니뭐니 해도 살짝 얼은 동치미는 그 맛이 캬! 동치미 사랑해요. 엉엉. 



추어탕이 나오기 전까지 튀김을 시켜 먹었다. 아주 합리적인 점이 반 접시(6000원)만 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솔직히 두세 명이 가서 한 접시를 먹기에는 양이 좀 부담스러운데 이 정도 양은 별 부담없이 즐길 수 있어서 참 좋았다.


 

보이는가, 이 원주식 추어탕의 위엄이! 경배하라! 과연 된장만으로 맛을 낸 것이 아니라 고추장을 푼 모습을 빛깔로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버섯과 감자가 동동 떠 있는 모습을 보라. 이것이 바로 원주식 추어탕이다.



이 원주 복추어탕의 위치는 원주시 개운동에 자리하고 있다(주소 : 강원 원주시 개운동 406-13). 원주에 간다면 꼭 한번 먹어보시길 권한다.


728x90
728x90

한국의 친환경 쌀 생산량은 2010년 기준 무농약 22만9230톤, 유기농 2만5491톤으로 총 39만5752톤이다. 이는 전체 쌀 생산량 429만5000톤 가운데 9.2%를 차지한다. 그런데 그 가운데 유기농의 비율만 따지면 전체 생산량의 0.6% 정도뿐이다. 이렇게 생산된 유기농 쌀은 대부분 생협 등으로 유통된다.


현재 유기농 시장의 소비자는 크게 환경과 농업을 고려하거나 농민운동 등에 뜻을 두고 소비하는 사람들과 일부 프리미엄 건강식품의 개념으로 구매하는 사람으로 나뉘는 듯하다. 유기농업의 확산에는 결국 어떻게 생산비 절감하여 가격을 낮추느냐가 관건이라고 볼 수 있다. 운동 차원에서 유기농산물을 사서 먹는 데에도 한계가 있기 때문에 일반 소비자들에게 매력적으로 다가가려면 결국에는 몸에도 좋고 가격도 싼 그런 상품이 될 수밖에 없을 것이다. 그런데 그게 쉽지 않다는 것이 또한 현실이다. 그렇다고 관행농처럼 생산방식을 가져갈 수는 없는 노릇이다.


하지만 당장 유기농업의 확산을 이야기하는 건 배부른 소리일 수도 있다. 2011년 기준 현재 한국의 곡물자급률(사료곡물 포함)은 1990년 43.1%에서 22.6%로 급락했다. 이는 OECD 국가 중 최하위에 해당하는 수준으로서, 선진국들이 대개 식량자급률 100% 이상인 것에 비교하면 암담하다. 더구나 국내에서 생산되는 쌀(밥쌀용·가공용 포함)의 자급률이 83%까지 떨어졌고, 밥쌀용 쌀의 자급률도 94.8%로 떨어졌다. 즉 위기의 순간이 찾아오면 우리 중 일부는 밥도 먹지 못한는다는 뜻이다.


거기에 우려를 더하는 것이 1995년 220만ha였던 한국의 농지면적이 점차 감소하여 2010년 182만ha로 줄었다는 사실이다. 올해 상반기에만 다른 용도로 전용된 농지면적이 7018ha(여의도 면적의 약 8.3배)에 달하는데, 해마다 이렇게 많은 농지가 사라지고 있다. 즉 농사를 짓고 싶어도 농사지을 수 있는 땅이 없다는 것이다. 사실 농촌에 가보면 놀고 있는 땅이 꽤 많기는 하다. 그런데 그런 곳은 기계가 들어가기 어려운 곳, 즉 편하게 농사짓기 쉽지 않은 곳이 대부분이다. 이런 곳은 기계를 사용할 수 없어 천상 손이나 축력으로 농사지을 수밖에 없는데, 지금 그렇게 농사지었다가는 굶어죽기 십상이다. 이런 곳은 그냥 자신이 먹는 걸 생산하는 자급농에게나 어울리는 땅이지 농업을 하는 사람에게는 너무 불리한 곳이다.


땅이 있어 농사짓는다고 해도 어려움은 남는다. 바로 수입산 농산물과 관련된 문제 때문이다. 2010년 배추 가격이 급등하자 이명박 정부에서는 그를 막기 위해 신선농산물에 할당관세를 예외없이 적용했다. 이를 통해 외국산 농산물이 값싸게 한국 시장으로 들어올 수 있었다. 당장 배추 가격 상승이라는 발등의 불은 껐지만, 그로 인해 위기에 몰린 국내 농업은 벼랑으로 떠밀렸다. 국내 농산물 가격의 상승을 수입 농산물의 유입으로 막는다는 처방은 오히려 국내 농산물 시장에 혼란을 야기했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한국은 2002년 칠레와 FTA 협상을 맺은 이후 지난 10년 동안 45개국과 8개의 FTA를 체결했다. 특히 농업 강국인 EU를 비롯한 미국과의 FTA로 농업 분야에 피해를 입기 시작했다. 여기에 끝판왕이라 할 수 있는 한중 FTA의 체결이 기다리고 있다. 농협경제연구소와 농촌경제연구원 등에 따르면, 한중 FTA 체결로 고추, 마늘, 양파, 배추, 인삼 등 13개 과수와 채소 품목의 10년간 피해액이 최대 12조원에 달하고, 임산물은 연평균 4211억원, 양돈업은 최대 2607억원의 피해가 예상된다고 한다. 그래도 정부에선 FTA를 멈출 생각이 없고 계속하여 강력히 추진 중이다. 이 문제는 문재인 후보가 대통령이 되었다고 해서 크게 달라지지 않으리라 본다. 그동안 국책사업이라고 하는 대형 사업에 민주당이 대처한 것을 보면 더욱 그렇다. 노무현 대통령 때 새만금 사업과 대추리 미군기지 이전 문제를 보라. 이미 진행이 되고 있는 국익을 위한다는 사업에 민주당도 새누리당과 다를 바 없이 대처했다. 그래서 난 FTA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일 것이라 본다.


자, 그럼 이제 할 수 있는 일은 무엇이 있을까? 망했다고 복창하고 농촌을 떠나 도시로 이주하자. 슬프지만 방법이 없다. 물론 정부에서 FTA대책으로 돈을 투입한다지만 그 돈으로 혜택을 보는 건 분명 소수의 지역유지들일 테고, 농업은 급속히 구조조정이 들어갈 것이다. 식량자급률이란 건 개나 줘야 할지도 모를 일이다. 아니면 이제 한국의 농민들도 유럽의 농민들처럼 되는 길이 있다다. 이른바 농업선진국이 되는 것이다. 이는 농업경쟁력 강화라는 이름으로 적극 추진되고 있다. 하지만 겉보기에는 화려하나 속은 글쎄... 농업은 강해질 것이다. 그러나 농촌은 사라질 것이다.


오늘은 시장에 나가서 국산 들깨가루를 사려고 돌아다녔는데 모두 중국산뿐이었다. 가게 주인의 말에 따르면 가격에서 배 이상 차이가 나니 손님이라면 그 비싼 걸 사겠느냐고 반문한다. 그래서 상인들도 국산이 아닌 중국산만 가져가 놓는다고 한다. 중국산이 얼마나 싸냐면, 고추를 예로 들면 국산 고추가 600g에 1,5000원 정도인데 중국산은 4000원밖에 하지 않는다. 거의 4배 정도 차이가 난다. 우리가 착한 가격을 좋아하며 착한 소비를 할 때, 한쪽에서는 나가 떨어지는 농민이나 생산자가 있을 것이다. 착한 건 다 이유가 있다. 맛 좋고 값싼 식당이 있을까? 아마 원재료가 싼 걸 쓸 것이다. 그리고 그건 대개 중국산일 것이다. 식당 주인들도 남는 게 있어야 먹고 살 테니 어쩔 수 없는 구조다.


중국산 고추에 밀리면서 한국의 고추 재배면적은 여느 해의 4만8913ha에서 2011년에는 4만2574ha로 감소했다. 이에 따라 고추자급률도 2000년 91%에서 2010년 51%로 급락했다. 이는 앞으로 일어날 기후변화로 더욱 떨어질 전망이다. 몇 십 년 동안 농사지은 베테랑 농부들도 지금의 기후변화에는 두 손 두 발 다 들 정도로 대처할 방법이 없다고 한다. 그래서 지금 농촌에서는 조금 무리해서라도 빚을 내서 고급 시설하우스 재배로 돌아서고 있다. 300평짜리 시설하우스 하나 설치하는 데에 1억은 우습게 넘는 비용이 들어간다. 거기서 사시사철 보일러를 때면서 공장처럼 농산물을 생산해야 이익을 남길 수 있는 구조다. 그를 설치하는 데 드는 비용 이외에 온실가스라든지 토양악화와 같은 문제로 인한 비용은 아예 고려하지도 않았다. 그런 것까지 감안한다면 엄청난 고투자 고에너지 소모 사업이다.


조만간 우리는 국산 농산물을 구하고 싶어도 구하기 힘든 그런 날이 올지도 모르겠다. 이미 정부의 농업정책에서도 농업경쟁력이란 이름으로 유기농에 국산이라는 프리미엄까지 붙은 초고급 식재료를 생산하는 쪽으로 방향을 잡은 듯하다. 박근혜 정부의 농업정책을 통해 이러한 흐름은 더욱 거세고 더욱 빨라질지도 모르겠다. 그나마 문재인 후보의 공약이 조금 더 나았는데, 현실에서 어떻게 풀어낼지 알 길이 없음으로 일단은 묻어두기로 하자.

벼농사도 어려움이 존재하기는 마찬가지다. 2005년 300평 규모로 논농사를 지으면 54만5776원을 벌었는데, 2010년에는 43만4162원으로 11만1614원이 줄어들었다. 이를 소비자 물가상승률을 고려하여 계산하면 벼농사의 소득이 40% 정도 떨어진 셈이다. 그렇다고 규모를 더 늘려서 생산량을 늘릴까? 이는 어불성설이다. 화성에서 논 9만평을 빌려서 농사짓는 분이 트랙터나 콤바인 같은 농기계에 사용되는 기름값만 1년에 2000만원이 넘는다. 여기에 비료, 농약, 종자 등 농자재를 포함하면 1년에 5천만원은 넉넉히 들어간다. 규모가 큰 만큼 쌀을 많이 생산하지만, 추곡수매제도가 폐지되어 스스로 판로를 개척해야 하고, 이외에 농기계가 고장난다든지 기후변화로 인한 자연재해가 닥치는 등의 가외비용이 발생하면 본전도 뽑기 어려워지는 것이다.


물론 그에 대비하여 농작물 재해보험이라든지 논농사에는 직불금이란 게 있는데, 특히 직불금 제도는 이명박 정부의 장관 예정자 청문회에서도 터졌듯이 실제로 농사짓는 사람이 아니라 지주가, 그것도 부재지주가 꿀꺽해도 모른다는 맹점이 있다. 또한 농작물 재해보험도 가입할 수 있는 작물의 품목이 한정되어 있다. 아무튼 농민들 땀 묻은 돈 뺏어먹는 인간들은 진짜로 나쁜사람이다. 결국 농사지어도 돈이 안 되는 건, 요즘 석유가격 상승으로 인해 생산비 자체가 급등한 것이 한 원인이다. 농약이니 비료니 농기계니 모두 석유에 기반하여 굴러가는 것이다. 거기에 농산물이 물가상승의 원흉으로 지목되는 등 미친 듯이 오르는 생산비만큼 수익을 뽑지 못하는 구조가 또 하나의 원인이다. 세번째는 기후변화의 영향도 빼놓을 수 없다. 앞에서 언급했듯이 노농들도 날씨를 종잡을 수 없어 농사짓기 힘들다고 혀를 내두를 정도로 지금의 기후변화는 심각하다. 도시민들에겐 그냥 비가 많이 오나 보다 하는 정도일지 몰라도 농사짓는 사람들에겐 그것이 치명적인 피해를 입힌다.


이제는 농사는 아무나 짓는 일이 아닌 세상이다. 할일이 없으니 농사나 지으라는 말을 함부로 하지 말아야 한다. 그리고 농사짓는 사람을 우습게 여기는 언행도 삼가해야 한다. 그래도 농민은 아직까지는 누구보다 어렵고 귀한 일을 하는 사람들이다. 그들은 여전히 누군가의 먹을거리, 곧 생명을 책임지는 사람들이다.

728x90
728x90

eOrganic authors:

Michelle Wander, University of Illinois

Nick Andrews, Oregon State University

John McQueen, Oregon State University

This article provides an overview of key concepts in organic fertility management, a review of essential macro and micronutrients, and a listing of nutrient amendments approved for use in organic farming systems. It summarizes strategies used to build and manage fertility on organic farms and provides tips on soil testing and use of nutrient budgets.

Introduction: Soils as the Foundation of Organic Farming
Supplying and Managing Nutrients
Methods Used to Build Soils
Soil Tests and Nutrient Budgets
References and Citations
Further Reading

Introduction: Soils as the Foundation of Organic Farming

Soil health is the foundation of organic farming systems. Fertile soil provides essential nutrients to plants, while supporting a diverse and active biotic community that helps the soil resist environmental degradation. Organic producers face unique challenges in managing soil productivity. Current guidelines on nutrient management for organic farmers are fairly general in nature. Organic farmers rely on intuition and observation, advice from vendors, conventional soil tests, and their own experience to make decisions about the quantity and types of soil amendments to apply. As a result, there is tremendous variability in both the quantities of nutrients applied and the resulting soil fertility status on organically managed farms. Organic farmers seek to "build the soil" or enhance its inherent fertility by using crop rotations, animal and green manures, and cover crops. Crop rotation and tillage practices must provide an appropriate seedbed and pest control while minimizing erosion. Nutrient stocks are maintained through use of natural (non-synthetic) substances and approved synthetic substances listed on the National List of Allowed and Prohibited Substances. This list includes a few approved synthetic fertility inputs, such as elemental sulfur, aquatic plant extracts, liquid fish products, potassium chloride, and sodium nitrate. Many substances on the National List have restrictions, or annotations, on their use, source, or rate of application. Organic farmers are advised to check with their certifying agent before purchasing or applying any synthetic inputs. See Can I Use this Input on My Organic Farm? for more information. In addition, organic growers must document their soil management practices in their organic farming system plan as part of their certification, and keep records of all inputs purchased and applied.

Although the following sections address nutrient management and soil building practices separately, these two apects of management are intimately connected through a system of management. Organic farms that achieve their goals maintain soils and protect the environment while using modest amounts of inputs. Soil tests and simple budgeting tools can help producers maintain balance to achieve success.

Supplying and Managing Nutrients

Although crop nutritional requirements are the same for organic and conventional farms, organic producers apply natural materials and emphasize practices that retain and recycle nutrients within the soil. Sixteen elements are consistently found to be necessary for plants to complete their life cycles (Tables 1 and 2). Additional elements (Table 3) are listed as essential for some species and for animals relying on plants for their nutrition.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account for about 95% of plant biomass, are supplied from carbon dioxide and water. The other macronutrients with concentrations greater than 500 micrograms/g plant include nitrogen, phosphorus, potassium, sulfur, calcium, and magnesium (Table 1). Micronutrients taken up in lower abundance are no less neccessary but are not limiting to growth in most situations. Sandy soils with inherenly low nutrient contents are an exception. Micronutrients include iron, zinc, manganese, copper, boron, chlorine, and molybdenum.

Table 1. Macronutrients essential for plant growth.

ElementCationicAnionicOther
NitrogenNH4+NO2-, NO3-organic
Phosphorus-HPO4-2, H2PO3-, polyphosphatesorganic
PotassiumK+--
CalciumCa+2--
MagnesiumMg+2--
Sulfur-SO4-2, S2-2organic

Table 2. Micronutrients essential for plant growth.

ElementCationicAnionicOther
IronFe, Fe+2, Fe+2-organic-chelated
ManganeseMn, Mn+2-organic-chelated
CopperCu, Cu+2-organic-chelated
ZincZn, Zn+2-organic-chelated
Molybdenum-Mo, MoO4--
Boron-Bo, B(OH)4-, H3BO3H3BO3
Chlorine-Cl--
NickelNi, Ni+--

Table 3. Micronutrients essential to support animal health.

ElementCationicAnionicOther
CobaltCo+2--
Selenium-SeO4-2, SeO3-2, Se-2organic
SodiumNa+--
Silicon-SiO2-2-

Organic farmers use natural materials or, when possible, exploit biological processes to supply needed nutrients to soils. Organic fertilizers are needed in larger quantities than are conventional fertilizers because nutrient concentrations tend to be lower. Organic fertilizers can be more expensive, more bulky and less uniform than conventional counterparts. Before applying anything to your field, you should know what the nutrient analysis of the material is, and be certain the substance is allowed by your certifier. See Can I Use this Input on My Organic Farm? for more information.

Table 4. Some of the most commonly used NOP-approved amendments are summarized below. Nutrient contents are listed as proportion of N:P2O5:K2O.

Fertilizer TypeDescriptionComments/Issues
Alfalfa meal or pelletsContain around 3 percent nitrogen and are commonly used as an animal feed.Commonly used for high-value horticultural crops but rather expensive for field crops.
AshWood ash (0–1–3) contains P and K, is a good source for micronutrients and acts as a liming agent.Commonly used in gardens; avoid over-application which can cause alkalinity and salt build up; avoid ash from treated wood or from the burning of manure.
Biological amendmentsWhile not fertilizers per se, there are a number of biological amendments used to promote biological activity or microbial associations between plants and soils with the intent of increasing plant nutrient uptake.A separate article covering this is under development.
Bone mealTypically a mixture of crushed and ground bone that is high in phosphorus. N contents vary depending upon handling. Range from 4:12:1; 1:13:0; 3:20:0.5.Permitted as a soil amendment but can not be fed to animals in certified production. Blood, bone and meat meal are prohibited in many countries in Europe and Japan because of BSE transmission risk.
Blood mealDried blood, is a soluble source of nitrogen. Typical N:P:K contents are 13:1:0. Solubility can vary. Should be used carefully, release of ammonia can burn plants and lead to loss through volatilization.Use limitations are the same as bone meal above. Recently Canada, with the support of IFOAM, proposed to prohibit cattle wastes as fertilizer at the UN Codex Alimentarius session in Montreal, 2004. Allowed under National Organic Program (NOP) regulation.
Calcium sulfate (Gypsum)CaSO4.2H2O. Contains about 23% Ca, is a mined deposit that is used to reclaim alkali soils, lower soil pH, and adjust cation balance.Good source for sulfur; useful for alkaline soils with high sodium content. Avoid gypsum from recycled sheetrock.
Cocoa ShellsCocoa shells (1:1:3) are available in some regions. They are used as a source of potassium and are popular due to their slow release properties.Also used as a mulch.
Dolomitic lime (Calcium-magnesium carbonate)CaCO3–MgCO3 is about 24% Ca and 20% Mg, is a very effective lime source. Over application is perceived to be a problem in horticultural systems. Under application is an issue in some field crop systems. Has a lime equivalent of 1900 lb/ton.Labs following the cation balance theory avoid the use of dolomitic limes, KCl, and oxide forms of trace elements.
Feather meal(13:0:0) a by-product of the poultry processing industry, which contains 15% N as non-soluble keratin has been promoted as a slow release N source.Feather meal can transmit the Avian flu, A(H5N1) virus, which is relatively easily transmissible to animals and people.
Fish emulsion(Ranges in content from 4:1:1 to 9:3:0); suitable for foliar feeding of starts and the spot treatment of transplants; is reputed to prevent stress, stimulate root growth and provide cold protection.Fish emulsion may be fortified with chemical fertilizer, so be suspicious of any product with a phosphorus content in excess of 4%. Fish products may also contain synthetic preservatives, stabilizers and other products prohibited under the NOP. Fish meal can also contain high levels of PCB’s.
Granite DustGranite dust is available in some regions. It is used as a source of potassium that is popular due to its slow release properties.Availability varies regionally.
Greensand (Glauconite)A mined sandstone deposit (typically 0:0:3 or 0:0:6) used as a source of potassium. Also contains iron, magnesium, silica and other trace minerals.Is a common ingredient in potting mixes.
High calcium lime (Calcium carbonate)Limestone containing 0–5% magnesium carbonate.Rapid reacting due to high solubility, valued source of Ca and liming where magnesium abundance is a concern and soil is not alkaline.
Hydrated limeHigh quality Ca(OH)2 is a dry powder produced by reacting quicklime with a sufficient amount of water to satisfy the quicklime's natural affinity for moisture.The National Organic Standards Board approved use of calcium hydroxide as a component of Bordeaux mix and lime sulfur for fungicide use, but does not allow its use as a soil amendment.
Manures and compostsNutrient contents vary widely, it is recommended they be applied on the basis of phosphorus need. Use as an N source leads to over application of P.Manure- and compost-based P has high plant availability, ranging 70–100% available. Compost, if produced according to NOP requirements, can be applied any time during the growing season. Animal manure can only be used on crops for human consumption if it is incorporated into the soil at least 120 days prior to harvest for crops that contasct the soil or 90 days prior to harvest for crops that do not contact the soil.
Potassium SulfateK2SO4 is a mined fertilizer not widely available. It has been used as a food preservative.This is allowed under the NOP rules if you can prove you are using a mined source that has not been treated with acid or any other chemical reaction to make the potassium more available. This is a good choice for high Mg soils, but it is fairly reactive and must be used carefully.
Rock phosphatesRock phosphates are frequently divided into hard rock and colloidal or soft rock forms. Rock phosphate typically has lower availability than colloidal P, which is low (2%) compared to materials like bone meal (11%). Marine sediments are typically ground and cleaned. Availability is low where soil pH is above 6 and biological activity is low. Addition of manures can increase solubility. Contains Calcium and acts as a liming agent.Phosphate rock is most effective at supplying P in soils with low pH (less than 5.5) and low calcium concentrations. Phosphate rock applications made to soils with pH greater than 5.5 may not be effective because of reduced solubility.
Sea weed and Kelp(Ranges from 1:0.2:2 to 1.5:0.5:2.5) Also high in micronutrients, Fe, Cu, Zn, Mo, Bo, Mn, Co. and Alginic acid (26%). Is used as a soil conditioner. Several kinds of sea weed and kelp are on the market. Kelp meal can be applied directly to the soil or in starter fertilizer.Can be high in salts and metals. Other reputed benefits are hormones or hormonal activity. Claims to protect plants from stress:  cold, drought and insect pressure. Expensive, so best suited for high value crops.
Seed meal(Ranges from 6:1.5:2 to 6:2:2); cotton seed and soybean seed meal have been popular.Now that generically modified crops are so wide-spread sourcing GM free meal can be difficult. Check with your certifier about the needed documentation.
Sodium nitrate(16:0:0) Historically an important component of fertilizers, and a raw material for the manufacture of saltpeter. It is a mined product that is about 16–20 percent nitrogen and highly reactive. It acts more like a synthetic fertilizer and can cause sodium buildup in the soil. Can contain medium to high levels of Boron.The NOP stipulates that the nitrogen obtained from sodium nitrate must account for no more than 20 percent of the crop’s total nitrogen requirement. This can be used cautiously when rapidly available nitrogen is needed. It is prohibited by the Farm Verified Organic and Organic Crop Improvement Association-International Federation of the Organic Agriculture Movements accredited levels of certification. European organic standards consider it to be the equivalent of a synthetic fertilizer because it is highly soluble and leaches readily from the soil. Check with your certifier before using.
Soybean meal(8:0.7:2) Useful to augment N and P.Often used as a feed additive; medium N release rate; may inhibit germination of small seeds. Check with your certifier before using, due to widespread use of GM soybeans.
Sulfate of potash (sul-po-mag and K mag or langbeinite)(0:0:21 with 11 Mg) Naturally occurring crystalline product commonly used to supply potassium.This and calcium sulfate are allowed under the NOP if you can prove you are using a mined source that has not been treated with acid or any other chemical reaction to make the potassium more available. Potassium sulfate is the better choice for high Mg soils, but it is fairly reactive and must be used carefully.

One of the simplest things a producer can do is maintain optimal soil pH levels. This is critical as pH influences nutrient solubility, microbial activity, and root growth. High pH favors weathering of minerals an increases the release of cations but reduces the solubilty of salts including carbonates and phospates. Lower pH values favor fungi and high pH favors bacteria. Soil pH can also affect the plant’s ability to take up nutrients directly. At very low pH values (<3), cell membranes are impared and become leaky. For most crops, soil pH levels are optimal between 6.0 and 7.0. Lime can be applied to raise the pH of acidic soils (pH <6) and supply calcium. Alkalinity, which is more difficult to correct, typically requires the use of sulfur and this remedy is typically temporary and more expensive than liming. When adjusting the pH, it is important to know the crop’s pH requirement since optimum pH levels vary by crop.

Nitrogen, is abundant in the environment yet remains the most frequently limiting nutrient for crop production. Organic farms frequently acquire N through nitrogen fixation by legumes. Legume cover crops, green manures, and legume sods can be an excellent sources of N. Vigorous stands of alfalfa, red clover, crimson clover, or hairy vetch can provide between 100-200 lbs N, which should be most, if not all, of the needed N for subsequent crop. About half the N in a green manure is released during decomposition following incorporation. Nitrogen needs are often supplimented by the addition of animal manures, either composted or raw, or other more concentrated sources of nitrogen. These include blood meal, fish emulsion, fish protein, kelp and seaweed, and vegetable meals. Mined nitrates, such as sodium nitrate (NaNO3, bulldog soda, or Chilean nitrate) may be used, but are limited to a maximum of 20 percent of the crop’s total N requirement. Certifiers frown on use of imported N sources because these share the problems of conventional N sources. Ideally, organic systems will rely on rotations that supply most, if not all, of their N needs.

Phosphorus is another macronutrient that is frequently limiting in sandy soils and/or where systems do not receive additions of animal wastes. Soil P is found in organic and in inorganic forms that are slowly available. Phosphorus availability is sensitive to soil pH and organic matter decay rates. Important sources of P include manure, bone meal, fish and poultry meal, and rock phosphate. High levels of phosphorus are a risk associated with use of manures and some composts.

Potassium is taken up from soil solution and is abundant in soils rich in illitic clays. Mineral weathering can be an important source of K in some soils. Potassium is weakly held on the exchange and so can be depleted where leaching rates are high. Manure additions and plant meals are good sources for K.

Common sources for nutrients are:

  • Potassium: manure, alfalfa meal, kelp meal, greensand, wood ash, potassium sulfate, and granite dust
  • Sulfur: acid rain, manures
  • Calcium: lime, colloidal phosphate, bone meal, gypsum, and wood ashes
  • Magnesium: dolomitic lime and langeinite
  • Micronutrients: mineral weathering, manure, compost, and liming amendments. The National Organic Program requires that micronutrients not be used as defoliants, herbicides, or dessicants. Micronutrients made from nitrates or chlorides are prohibited. Soil deficiencies must be documented by soil or tissue testing.

Methods Used to Build Soils

Bare fallow

Bare fallow can be used with fallow periods occurring between harvested crops. Fallows commonly occur over the winter in temperate zones or during the dry season in Mediterranean or tropical zones. Use of bare fallow to accumulate water and, at times to control weeds only works to enhance the soil where it concentrates resources enough to increase overall crop productivity. If bare fallow is used, soil erosion must be prevented.

Crop rotation

Crop rotation varies plant species in time and space and is an important strategy for organic farmers. Goals are to keep the soil surface covered with a growing crop for most of the year. Key elements of rotations include the breaking of disease and pest cycles and the inclusion of soil building cover crops or cropped fallow periods. By selecting effective cover crops or perennial crops farmers can maintain or increase soil organic matter content and nutrient availability during periods when cash crops are not grown. For most organic farmers, fertility is based on the rotation and not the amendment.

Cover crops

Cover crops include annual, biennial, or perennial herbaceous plants grown in pure or mixed stands. Annual covers occupy the rotation for part of the year. Perennial crops may be referred to as ley or pasture phase or as a plant-fallow. Cover crops provide soil cover and can help loosen compacted soil through the growth of roots. They enhance soil physical condition and improved water filtration. Legume cover crops provide nitrogen while non-legumes can increase nutrient availability to subsequent crops by taking up nitrogen, phosphorus, and potassium that might otherwise leach or become unavailable to plants.

Diversification

Diversification through rotation and use of covers or lay crops can reduce crop insect pests and diseases, if the cover crops are not alternate hosts. Both covers and perennial lay covers help maintain or increase soil organic matter if they are allowed to grow long enough to produce sufficient biomass. These also help prevent soil erosion caused by both water and wind, and suppress weeds. The management of residues within rotations can be quite sophisticated. For a good example, see the video of a living mulch system for soil fertility featuring Helen Atthowe of BioDesign Farm.

Helen Atthowe of BioDesign Farm describes using a living mulch to achieve slow release fertility
Video 1. Helen Atthowe of BioDesign Farm describes using a living mulch to achieve slow release fertility. Video credit: Alex Stone, Oregon State University, Weed Em and Reap Part 2 Living Mulch System Soil Fertility video.

For more information on rotation and cover crops see the ATTRA publication Overview of Cover Crops and Green Manures and the SARE publication Managing Cover Crops Profitably.

Judicious use of tillage

Tillage is an integral part of many organic systems. Management of soil tilth, organic matter, and fertility is an important aspect of a successful organic farming system. Current organic systems usually require tillage prior to planting and cultivation after planting, especially for corn and soybean production, to control weeds and reduce the incidence of seedling diseases and insect pests. However, tillage destroys the organic matter that is critical in improving soil fertility and soil water-holding capacity. Tillage should be performed when soil moisture is low enough to prevent compaction. Since primary tillage operations are usually performed at least a month before a crop is planted, this requires careful planning and the ability to take advantage of periods of dry weather. No-till agriculture in organic systems is starting to be used in parts of the country. TheRodale Institute has experimented with no-till organic farming using cover crops and tractor-mounted rollers to kill the cover just before planting into it. Ron Morse at Virgnina Tech and Nancy Creamer at North Carolina State University have been adapting these systems for organic vegetable production. Watch Weed Em and Reap Part 2 for more information.

Organic amendments

Organic amendments can be an important resource. Soil fertility and physical condition can be effectively maintained with rotation and appropriate use of organic amendments. Application should be made based on soil testing and/or use of budgets. Manures and composts are the most common organic resources where livestock is in the vicinity. Estimating nutrient contents and availability is neccessary for organic materials. For a farmer's perspective on using organic amendments, watch the video of Steve Pincus of Tipi Produce.

Steve Pincus of Tipi Produce in Wisconsin explains how fertility is not a matter of NPK

Video 2. Steve Pincus of Tipi Produce in Wisconsin explains how fertility is not a matter of NPK and how bulky organic matter is managed to improve tilth and maintain nutrient supply on his farm. Video credit: John Marlin, Agroecology and Sustainable Agriculture Program, University of Illinois.

Problems associated with nutrient over-addition

There is such a thing as too much of a good thing. Off-site problems caused by over-application of nutrients are better recognized than are problems caused on-site. Conventional agriculture is the primary source of non-point source and P pollution that contributes to myriad environmental and health risks. Problems of over-application in organic systems vary; probably P over-additions are most widespread where manure is readily accessible. This is because the ratio of P to N in manure exceeds that required by the plant. Avoid over-reliance on animal manures, in addition to accumulation of excess phosphorus, concentrations of copper, and zinc, which may accumulate in soils. Over-addition of N, particularly in readily available forms, is a common problem. Over-addition of N and P in organic systems can occur in situations where leaching is restricted (eg: in greenhouses) or after N rich cover crops or manures are applied. The notion that N surplus promotes microbial activity and works against organic matter storage and suppresses plant-microbe associations is finally being accepted as an additional downside of over-fertilization. Excess nutrients can also increase plant susceptibility to pathogens and arthropod pests and can also lead to increased weed competition. Tendency toward nutrient leaching and ability to hold and retain nutrients varies with soils and climatic conditions. Texture and CEC are related to this, with nutrient storage capacity increasing with soil clay and silt contents and cation exchange capacities.

Soil Tests and Nutrient Budgeting

To manage nutrients effectively you can use soil testing and nutrient budgeting. Soil tests are used by organic farmers for several reasons:

  1. to ensure that pH and nutrient levels and proportions are in appropriate ranges;
  2. to justify the application of micronutrients and other approved fertilizers to a certifier, or to comply with other certification requirements;
  3. to identify soil nutrients in excess, so soil and fertility management strategies can be manipulated to a) reduce levels of excess nutrients over time, or b) mitigate the impacts of the excess nutrients on crop, soil, and environmental quality; and/or
  4. to track trends in nutrient content, pH, and soil organic matter content over time to ensure soil improvement is taking place.

The National Organic Program regulations require that micronutrients and other fertilizers be applied only when soil or tissue tests indicate a deficiency. Because of this language, some certifiers may require soil and possibly other tests. Contact your certifier for its testing requirements. See the related article Organic Certification of Vegetable Operations.

Frequency of soil testing will depend on your purpose in testing and your situation. To track trends in macronutrients, pH and soil organic matter content, testing once every two or three years, or at a specific point in your rotation cycle, may be sufficient. However, if you are just starting to manage your soil’s fertility with organic practices, or adopting new soil or nutrient management practices, you might want to test more frequently.

Timing of testing will also depend on the purpose of the test. To determine nutrient status of your soil for the upcoming season, test your soil in early spring. To test contents of nutrients with potential to leach over the winter, test in late summer.

A typical soil test evaluates your soil’s pH, CEC, and content and proportion of macronutrients—calcium, magnesium, potassium, phosphorus, and sulfur—which are required by plants in relatively large quantities. Soil organic matter content may not be a routine test, but can be requested. Soils can also be tested for micronutrients (nutrients required by plants at relatively small quantities).

Soil testing laboratories use different soil testing methods that may generate different results.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methods used to generate your test results and use interpretation information that corresponds to that testing method. In addition, using the same testing laboratory for all your testing over time will allow you to compare your test results from year to year and track trends. A soil test is only as good as the soil sample it evaluated. It is important to take a representative sample of the field and the soil volume the crop plant roots will explore to obtain nutrients.

References and Citations

Further Reading

  • Agricultural Marketing Service—National Organic Program [Online].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Available at: http://www.ams.usda.gov/nop/ (verified 10 March 2010).



http://www.extension.org/pages/18565/organic-soil-fertility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