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By Mark Lynas, author of "The God Species: How the Planet Can Survive the Age of Humans". Original post here.

It is a truth universally acknowledged - amongst my friends and relations at least - that organic agriculture is better for the planet. Environmentally-conscious consumers typically are prepared to pay a hefty premium for organic meat and vegetables, whilst baby foods are nearly all organic these days - reflecting the equally widespread belief that organic is healthier due to the absence of synthetic pesticides and fertilisers. Everyone wants the best for their young children, and the best must surely be the most natural.

These beliefs are remarkably persistent, despite strong scientific evidence which refutes them. That natural necessarily equals more safe than artificial is a fallacy. In 2009 a major study for the UK Food Standards Agency found that there was no nutritional or health benefits to organic. Indeed there is strong counter-evidence, as relatives of those who died from eating organic bean sprouts in Germany last year can attest - as I understand it, the bean sprouts likely harboured toxic e-coli bacteria passed on via animal manure added to the parent plant. This use of manure rather than synthetic fertilisers is celebrated by organic proponents, but likely caused dozens of deaths and thousands of injuries in this instance. (Imagine if the sprouts had been GMO!)

I got into an argument on Twitter about this at the end of last week, because I retweeted a document discovered by David Tribe (a.k.a. GMO Pundit) revealing the funding sources behind the proposition for mandatory labelling of GMO foods in California - Big Organic and Big Quacka ('natural health' types) have poured $100,000s into the campaign, far outspending the biotech and grocers campaigns who oppose the proposition. The idea that consumers have a 'right to choose' and therefore GMOs should all be labelled irritates me - so I tweeted that organic should be labelled with an environmental warning due to its relative land-use inefficiency. This was picked up by Simon Singh, whose tweet was called "pathetic" by the Soil Association's presidentMonty Don. (Simon has now blogged about this, posing two important questions for Monty Don to answer - no response as of yet.)

Lots of organic enthusiasts tweeted back at me that I had my facts wrong, or was not considering wider issues. I asked for references, and one proponent sent me the link to a piece in Nature by Verena Seufert, Navin Ramankutty and Jonathan Foley (Nature485, 229-232, 10 May 2012, doi:10.1038/nature11069) - which I had just tweeted myself as support for my own proposal. The paper is entitled 'Comparing the yields of conventional and organic agriculture' and is a meta-study looking at the relevant published literature on yield comparisons world-wide (typically evidence is cited from a single farm). Here is the major conclusion:

The average organic-to-conventional yield ratio from our meta-analysis is 0.75 (with a 95% confidence interval of 0.71 to 0.79); that is, overall, organic yields are 25% lower than conventional.

This is just the overall average, however: as the figure below shows, there is considerable variability amongst different crops.


Figure 1: Influence of different crop types, plant types and species on organic-to-conventional yield ratios

As Seufert et al write,

The performance of organic systems varies substantially across crop types and species. For example, yields of organic fruits and oilseed crops show a small (-3% and -11% respectively), but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o conventional crops, whereas organic cereals and vegetables have significantly lower yields than conventional crops (-26% and -33% respectively).

This largely seems to be because organic perennial systems do better than annuals, perhaps because of nutrient shortages in systems with a higher turnover - indeed, the authors conclude the nitrogen limitation in organic systems is probably the key factor. The study also shows great variability amongst soil types and water management strategies - for the latter organic yield is -35% compared to conventional for irrigated systems, but only -17% under rainfed conditions.

Equally,

when only the most comparable conventional and organic systems are considered the yield difference is as high as 34%.

Even then, I was concerned that this might be understating the case. In conventional systems nitrogen is captured from the air via synthetic fertilisers, whilst in organic systems additional nitrogen must either be grown in situ with leguminous crops - thereby forgoing a fruit or cereals harvest on the land for part of the time in rotation - or imported from elsewhere via animal manures. Were these indirect land footprint issues considered?

The question did not seem to be answered by the Nature paper, so I emailed Jonathan Foley (who I know; Jon then shared with his co-authors) to ask directly. His reply, and that of lead author Verena Seufert, is worth quoting in detail:

Jon Foley (Institute on the Environment, University of Minnesota, USA):

- The original study in Nature did not consider the *land* requirement for growing organic and conventional crops. only the yield differences on the two different kinds of farming systems.

- Farms also have a "shadow" amount of land use, which is associated with the inputs they use -- whether it's the land used to generate nutrient inputs, biocidies, energy, etc. Just think of the footprint of land needed to make the stuff you use on the farm.

- As you already figured out, the organic systems probably have a fairly large amount of "shadow" land, particularly if they use manure from other fields as an input on their own fields. That is extremely hard to quantify right now, as we often do not know (at larger scales, especially) where the organic nutrients are coming from. Further, the organic nutrients might be a mix of cover crops (legumes), compost (from on farm wastes -- but this is a mostly closed material cycle), and manure from another field or farm.

- You can imagine that, for manure based systems, that the amount of shadow land is quite large indeed. Perhaps even larger than the organic farm field itself. But for other organic nitrogen sources, it could be far smaller.

- Compared to industrial nitrogen, organic nitrogen sources are probably much more land intensive -- although of course they are less energy intensive, probably better for the environment in other ways, etc.

So it is fair to say that organic systems use more land than their conventional counterparts: some of this has been quantified (the *direct* land use difference, which is roughly 20-30%, but varies by crop) and some of this has not (the *indirect* land use effects, counting where the nutrients ultimately came from).

We have been thinking about this, and hope to address this in a future paper.

Verena Seufert, Department of Geography and Global Environmental and Climate Change Center, McGill University, Montreal, Canada:

We did indeed so far only look at the direct land use, i.e. the productivity per unit area, not accounting for indirect land use to produce nutrient inputs (e.g. animal manure) for organic or conventional systems. What we did account for (at least to some degree) is the influence of non-food crop rotations in organic systems (e.g. a rotation of alfalfa in between cash crops to provide nutrients and to incorporate as green manure). Our study showed that organic systems that had a longer period of non-food crops in their rotation compared to their conventional counterparts (e.g. when an organic corn-soybean-alfalfa rotation was compared to a conventional corn-soy rotation) had a similar yield difference to conventional systems (i.e. yield ratio) as those organic systems that had a similar length of non-food crops as the conventional system (e.g. when an organic wheat-sunflower rotation was compared to a conventional wheat-sunflower rotation).

We conclude from this result that the yield of organic systems does not depend on whether they use longer non-food crop rotations than conventional systems or not. It thus appears possible to design productive organic systems without needing longer periods of non-food crops.Of course if organic systems do not implement a non-food crop rotation they need to get their nutrients from other sources, e.g. cover crops (which have no additional land costs), animal manure (which has additional land cost for growing animal feed) or compost (which could come from on-farm recycling or from municipal waste and does not necessarily require additional land).

The question how much land organic or conventional agriculture would require is an interesting question and a natural next step to the yield analysis. So far a couple of studies have discussed the issue, e.g. Badgley et al. tried to quantify the nutrient availability from leguminous cover crops, arguing that these could provide sufficient nutrient inputs; or David Connor, who criticized the Badgley analysis in a 2008 paper in Field Crops Research 106, 187-190, arguing that the main cost of organic agriculture is the additional land it requires to grow organic N inputs. But both of these papers have I think not yet given a satisfying answer to the question of organic land requirements.

But as Jon pointed out, any comparison of total organic and conventional land use also needs to take into account the land needed to produce conventional inputs. If we discuss indirect land use we need to be fair and assess this for both systems we are comparing.

So I think my case is made. Organic agriculture is significantly less efficient in land-use terms than conventional. (And the picture could be even worse than -34% in comparative terms, given that indirect land use was not taken into account in the Nature study.) on the other hand, there is no compelling scientific evidence that GM crops are in any way more dangerous than their conventional alternatives, and therefore they do not require labelling.

Having said that, starting a fight between organic enthusiasts and those who care about land use is not the point - we need to avoid zero-sum, black-and-white thinking, and take the best from both systems. Moreover, we need to bear in mind trade-offs in all the 'planetary boundary' areas - including water, greenhouse gases (emitted by artificial nitrogen production), eutrophication of water ecosystems due to chemical fertiliser overuse and so on. Verena Seufert puts is very well at the end of her email reply:

In any case, I think that the question of total land required to feed the world conventionally or organically also somehow risks leading into a polarized either-or debate. While in fact I don't think there will be a one-size-fits-all solution. We try to argue in our paper that instead of looking for a 'winner' in the organic vs. conventional debate, we should learn from the successes and failures of both systems. Thats why we try to emphasize the results of our categorical analysis rather than the overall yield difference in our paper. It's much more interesting to learn that organic systems have a relative yield advantage in rainfed systems or that they are often nitrogen limited than to know that overall the yield difference between organic and conventional is around 25%.

This allows us to learn that organic management and increased soil organic matter can be beneficial under rainfed conditions or that we need to improve organic nutrient management to increase organic productivity. By learning from these successes and failures of the different farming systems we can improve organic and conventional management or we can create hybrid systems that can potentially balance the benefits of organic & conventional management.

   Like what you see? Subscribe to our RSS feed here...


728x90
728x90


농촌진흥청 영농활용 메뉴얼.pdf


농촌진흥청 영농활용 메뉴얼.pdf
7.64MB
728x90
728x90


지역단위 물질순환과 친환경농업 발전방향.pdf


지역단위 물질순환과 친환경농업 발전방향.pdf
0.39MB
728x90
728x90


FSTbookletFINAL.pdf





1981년에 수립한 작부체계 실험Farming Systems Trial(FST)은 관행농과 유기농을 나란히 비교하는 미국에서 가장 오래 운영된 실험이다. 이 프로젝트는 유기농의 생산과 경제적, 환경적인 복합성과 에너지 보존의 실행가능성을 보여준다. FST는 우리의 흙과 물을 개선하는 동시에 관행농과 비슷하거나 더 나은 작물 수확량과 유통 이익을 발생시킨다는 유기농업의 잠재력을 밝혔다.



실험에 관하여

우리는 연구의 초점으로 특히 우리 지역과 중서부에 널리 심고 있는 옥수수/콩 생산을 선택했다. 그 작물들은 동물의 사료작물로 열심히 생산하고 있다. 그 오랜 역사 동안 FST는 각각 다양한 관리 방법을 특색으로 하는 세 가지 핵심 농업체계를 함유한다 : 거름에 기반한 유기농 체계, 콩과식물에 기반한 유기농 체계, 합성물질에 기반한 관행농 체계. 각 핵심 체계의 기본적인 가이드라인은 다음과 같이 특징지을 수 있다:

거름 유기농

이 체계는 유기적인 유제품이나 소고기 사업을 대표한다. 그것은 연간 먹이인 곡식 작물과 계속 반복되는 사료 작물을 모두 포함하는 오랜 돌려짓기를 특색으로 한다.  그 체계의 비옥도는 콩과작물과 주기적인 거름 공급에 의해 제공된다. 이런 다양한 돌려짓기는 또한 해충을 방어하는 주요한 line를 만든다.

콩과식물 유기농

이 체계는 유기농 돈벌이 곡식 체계를 대표한다. 그것은 연간 곡식 작물과 덮개작물로 구성된 중간 길이의 돌려짓기를 특색으로 한다. 그 체계의 유일한 비옥도의 원천은 해충을 방어하는 주요한 line이 제공하는 콩과작물과 돌려짓기이다.

합성물질 관행농

이 체계는 미국에서 주요한 곡식 농사를 대표한다. 그것은 비옥도를 위한 합성 질소에 의존하고, 풀은 펜실베니아주의 지도사업이 추천하여 적용하는 합성 제초제로 억제한다. 


몇 가지 주요 결과:

수확량
  • 실험의 27년에 걸쳐 옥수수 수확량은 유기농과 관행농 체계가 맞멎었다.
  • 콩 수확량은 거름과 관행농 체계가 같았고, 오직 콩과 체계가 조금 떨어졌다.
  • 5년의 4번 보통의 가뭄에서, 유기농 체계는 옥수수 수확량이 관행농 체계보다 꽤 높았다(31% 높음).
  • 유기농 체계에서 옥수수와 콩 작물은 관행농이란 상대보다 풀과의 경쟁에서 훨씬 더 잘 견뎠다. 반면 수확량은 비슷하게 생산했다.

1995년 건조한 여름철에 유기농 콩과(왼쪽)와 관행농(오른쪽) 체계에서 옥수수. 둘은 같은 날 똑같은 품종을 심었다. 하지만 오직 관행농의 옥수수만 물 부족 현상이 나타났다. 유기농 옥수수의 수확량은 관행농보다 그해 29% 높았다.

  • 토양의 탄소와 질소는 유기농 체계에서 크게 늘어났다. 하지만 관행농에서는 그렇지 않았다.
  • 2009~2010년 예비적인 토양 표본자료에 기반하여, 유기농 체계는 실험을 시작한 이래 토양 탄소가 가장 많이 증가했다.
  • 탄소 격리의 조건에서 거름 체계는 콩과식물 체계에 뒤이어 선두였다.
  • 토양 탄소의 증가는 우선 실험의 13년 가장 컸다. 토양 탄소는 1994년 이후 15년 동안 두 유기농 체계에서 지속적으로 커졌다. 그러나 처음 15년보다는 더 느린 비율이었다. 
  • 관행농 체계는 최근에 와서 탄소의 손실을 보여주었다.
  • 각 체계를 통해 수량의 스며듦은 관행농 체계보다 유기농 체계에서 15~20% 더 높았다. 유기농의 관리에서 지하수가 차고 유거수가 감소되는 것이 나타났다.
  • 종합적으로, 질산성 질소의 침출은 상당히 낮았고 모든 체계가 같았다.
  • 유기농과 비교한 음료수에서 관행농의 침출수 표본이 질산성 질소 농도에서 법적 허용치 10ppm을 더 빈번하게 초과했다.
  • 제초제는 오직 관행농 체계에서 수집한 물 표본에서만 검출되었다. 관행적인 돌려짓기로 옥수수에 이어 또 옥수수를 몇 년 동안 심었는데, 그러면서 2년 연속 atrazine이란 제초제를 뿌렸다. 침출수에서 아트라진 수치가 EPA에서 음료수 기준으로 정한 최대 오염물질 3ppb를 초과할 때가 있었다. 모든 관행농의 표본에서 아트라진Atrazine은 0.1ppb를 초과했다. 그런 농도는 개구리의 기형을 초래하는 것을 보여주었다(Hayes et al., 2002).
에너지
  • 유기농 체계에서 총 에너지 사용은 관행농 체계에서보다 적었다.
  • 관행적인 옥수수-콩 체계에서 에너지 사용은 질소비료와 제초제 투입에 의해 높아졌다. 반면 씨앗과 연료 사용은 유기농 체계에서 가장 큰 에너지 수요를 발생시켰다.
경제
  • 실험 초기 년도의 몇몇 경제적 연구(1980년대와 1990년대)는 콩과식물과 관행농 체계란 두 곡물 사업에서 유통 이익이 같음을 보여주었다(모든 농업 생산물이 시장에서 똑같은 값을 받는다고 가정하고).
  • 씨앗값과 장비 비용은 콩과식물 체계에서 더 높은 반면, 관행농 체계에서 비료와 농약이 가장 비용이 많이 드는 투입재였다(이러한 경제적 분석은 거름 체계를 포함하지 않았다; 오직 돈벌이 곡물 체계만 비교했다).
  • 심지어 전환비용(시작 초기의 수확량의 잠재적 손실과 같은)과 가족의 노동력 비용을 포함해도, 유기농과 관행농의 수익을 같게 만드는 데 필요한 유기농의 가격 프리미엄은 관행농 생산물보다 단 10%만 높아도 된다. 1990년대 전반에 걸쳐, 유기농 가격 프리미엄이 그 수준에서 초과 이익을 얻었고, 프리미엄의 범위는 65~140% 사이였다.




FSTbookletFINAL.pdf
1.29MB
728x90
728x90



기후가 따뜻해지고 폭염과 가뭄 같은 "극단적인" 사건이 더 일반적이 됨에 따라, 식량 생산은 어떻게 될 것인가? 지난 수요일에 발표된 내 지난 글(http://blog.daum.net/stonehinge/8726143)에서 이를 검토하기 시작했다. 목요일 New York Times 1면 기사는 왜 그 주제가 중요한지 완전히 상기시킨다. Times의 Monica Davey 씨는 보고한다:

이미 일리노이와 미주리에서 일부 농민들은 바싹 말라 성장이 저해된 농지의 작물 수확을 포기했다. 국립 전문가들은 인디애나, 켄터키, 오하이오를 포함하는 옥수수를 재배하는 다섯 주의 일부가 심각한 또는 극단적인 가뭄 상태를 겪고 있다고 한다. 그리고 적어도 9개 주에서 옥수수 농지의 1/5에서 절반의 상태가 흉작이나 대흉작일 것이라고 이번 주 연방 당국은 불과 한달 전의 높은 기대치에서 주목할 만한 변화를 보였다.

중서부에서 나타난 메시지는 명확하다: 화학물질 집약적, 공업형 규모의 농업은 고온건조한 날씨에 취약하다 —그 조건의 일부는 기후가 따뜻해짐에 따라 일반적이 될 것이라 예상할 수 있다. 나의 지난 글에서, 미국의 정책입안자들이 선호하는 이 문제에 대한 해결책 —"가뭄 저항성"을 위해 조작된 새로운 씨앗과 함께 공업형 농업의 활성을 유지하기 위한— 이 아마 제대로 작동하지 않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어떻게 하는가? 난 몬산토의 재정지원을 받은 일부 대학 연구소의 밖과 바로 우리의 발 밑에 해답이 있다고 생각한다: 흙에. 또는 더 정확히 농민이 어떻게 자신의 흙을 관리하느냐에.

얼마 전 난 2012년 Nature에 실린 유기농업과 공업형 농업 체계의 생산성을 비교하는 보고서에 관하여 썼다. 그 연구에선 평균적으로 공업형 체계가 유기농업보다 작물 수확량이 25% 더 높다는 것을 발견했다. (나는 그 결론에 전제되어 있는 가정에 일부 문제를 제기했다.) 그러나 극단적 날씨라는 조건에서는 모든 게 변한다:

유기농법으로 관리된 토양은 보습력과 물의 침투율이 더 좋아져 가뭄과 폭우라는 조건에서 관행농업 체계보다 더 많은 수확량을 올린다는 것이 밝혀졌다.

다시 말하여, 유기적으로 관리된 토양은 가뭄과 폭풍우의 상황 모두에서 물을 더 잘 처리한다는 것이다(기후변화로 그 빈도는 또한 더욱 빈번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유기물이 풍부한 토양(식물과 다른 생물체가 잘 부숙되고 남은)은 물이 부족할 때는 물을 저장하는 걸 돕고 잘 붙들고 있으며 폭우가 올 때는 침수되지 않게 만든다. 


1995년 가뭄 기간에 심고 6주 뒤의 콩과식물에 기반한 옥수수밭(좌)과 관행농의 옥수수밭(우). 관행농 옥수수는 물이 부족한 징후를 보이고 있다.  Photo and caption: Rodale Institute


왜 유기적으로 관리된 토양이 더 많은 유기물을 함유할까? 그건 관행농과 유기농 농부들이 흙에 거름을 주는 방식과 관련이 있을 가능성이 있다. 

당신이 관행농 농부라면, 아마 1년 동안 무수암모니아의 형태로 인공적인 질소비료를 땅에 줄 것이다. 이는 어떠한 유기물도 없는 분리된 식물의 먹을거리이다. (비타민 알약을 복용하는 것과 같다 —실제 음식이 아닌 순수한 영양분.) 유기물은 농지에 남겨두는 작물 부산물에서만 발생한다. 이는 편리함이란 이점을 가져온다 —작물 영양분은 농지에 효율적으로 살포할 수 있는 탱크에서 온다. 그리고 또한 작물에게 빨리 사용할 준비가 된 질소를 공급한다. 

당신이 유기농 농부라면, 토양에 질소를 곧바로 퍼주는 사치를 부리지 못한다. 영양분을 보충하기 위하여 유기물에 질소를 함유하고 있는 물질적 원료가 있어야 한다 —퇴비나 똥을 생각하라. 또한 대기중에 있는 질소 성분을 토양에 식물이 이용할 수 있는 형태로 고정시켜주는 콩과식물을 덮개작물로 기를 수 있다. 이러한 사례에서 또한 당신은 덮개작물이 땅위에서 썩어 식물의 형태로 질소와 함께 좋은 유기물을 땅에 넣게 된다. 그리고 관행농 농부처럼 농지에 남아 있는 작물 부산물로 혜택을 본다.

이러한 차이의 결과로, 유기적으로 관리된 토양은 토양에 더 많은 탄소를 붙든다 —그리고 그 모든 탄소는 이러한 토양이 물과 영양분을 더 잘 붙들 수 있게 만든다. (안정된 형태로 토양에 저장된 탄소는 대기에서 열을 붙들고 행성을 따뜻하게 만드는 그런 탄소가 아니라는 것에 주의하자. 그래서 유기적으로 관리된 토양은 농민이 단지 기후변화에 적응하도록 돕는 것만이 아니다 —그들은 또한 기후변화를 완화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


유기적으로 관리된 토양은 관행농의 그것과 비교하여 눈으로 보기에 더 짙은 색이고 떼알구조가 살아있다.  Photo and caption: Rodale Institute


유기농법과 관행농법을 비교하는 가장 오래된 미국의 실험밭인 펜실베니아의 로데일 연구수(Rodale Institute) 농지는 이를 확증한다. 1981년에 시작하여 나란히 놓고 실험한 것에 대한 최근 보고서에서 Rodale은 "유기농 옥수수 수확량이 가문 해에는 관행농보다 31% 높다"는 것을 발견했다. 연구자들은 이것이 유기농 농지가 해마다 지속적으로 더 많은 탄소를 저장하는 반면, 관행농의 농지는 최근 몇 년 동안 탄소를 상실한 것을 보여주기 때문이다"라고 이론화했다. (아이오와주립대학의 장기간 농생태학적 연구실험(Long-Term Agroecological Research Experiment)이라는 다른 장기 연구도 비슷한 결과를 발견했다.) 여기 로데일에서 탄소가 어떻게 역할을 하는지 묘사한 것이 있다:

탄소는 식물 영양분의 저장소, 떼알구조의 고리, 토양 온도의 유지, 미생물에게 먹이원 제공, 중금속과 농약의 구속, 보수력과 공극에 대한 영향 등과 같은 많은 중요한 기능을 수행한다. 

현재 이러한 통찰이 우리의 식량안보가 의존하는 중서부의 광대한 옥수수와 콩 농지를 관리하는 농민들이 곧바로 미 농무부의 인증을 완료하고 곧바로 유기농으로 전환한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그러나 이러한 농민들이 유기농법에서 무언가 중요한 것을 배울 수 있다: 토양에 거름을 주는 것이 분리된 질소로 후려치는 것보다 훨씬 낫다. 그건 또한 현명한 똥의 활용, 퇴비에 대한 더 큰 관심, 작물다양성(콩과 옥수수만을 돌려짓기하는 게 아니라), 겨울철 덮개작물 작부체계에 새로이 전념함을 필요로 한다. 농업경제학의 신뢰할 수 없는 구렁텅이에 빠지지 않고, 미국 농업정책의 중대한 접근 없이 이런 일은 전혀 일어나지 않을 거라고 단언할 수 있다. 

이는 내 겸손한 제안이다. 현재 의회에서 하듯이 5년에 1번 농업법을 논의할 것이 아니라 기후변화의 빠른 진행에 발맞추도록 하자: 농민이 더 많은 옥수수, 콩, 몇몇 다른 환금작물을 재배하도록 재촉하는 농업정책의 활용을 그만두고, 지금과 예측할 수 있는 미래를 위하여 토양에 더 많은 탄소를 저장하는 방법에 기반한 농업에 보조금을 주기 시작하자. 로데일Rodale의 결과가 보여주듯이, 작물 수확량은 중서부의 토양이 유기물을 얻음으로써 처리될 것이다.

곧, 기후에 준비된 농업 체계는 농업생명공학산업의 특효 기술의 형태로 선물포장되어 이르지 않을 것이다. 오히려 우리가 그것을 달성한다면, 농민이 집단으로 자신의 토양에 탄소를 흡수하도록 어떻게 납득시킬지 알아냈기 때문이다.



http://www.motherjones.com/tom-philpott/2012/07/what-organic-ag-teaches-us-about-feeding-ourselves-while-planet-heats

728x90
728x90

그린피스에서 강조하는 바가 나의 생각과 같네. 그린피스, 좋아하지 않을 수가 없단 말이여. 





‘그가 좋아하는 음식을 해주는 것이 사랑을 받는 지름길이다’라는 반어적인 옛 속담이 있다. 그에 대한 광범위한 사회적 진실이 있다: 사람들은 잘 먹고 영양이 풍부하게 해주면 생활에 더욱 만족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대형 농기업에게 이러한 오래된 격언이 근본적으로 뒤집히고 있다. 이들 기업은 현재 자사의 제품이 세계를 먹여살린다고 -또는 적어도 그들을 살 수 있게 한다고 사람들을 설득하고자 대규모 홍보 전쟁을 치르고 있다. 농기업은 사람의 위를 만족시켜서 전 세계의 정치인과 소비자들을 사로잡고자 한다. 

현재 이런 위선적인 홍보가 아프리카보다 더 적극적으로 이루어지는 곳이 없다.  

2007~2008년의 식량위기 이후, 세게적 농기업들은 아프리카의 기아를 끝내는 해결책으로 자신의 생산기술을 선전하는 데에 더 힘을 쏟았다. 기본 전제는 '지속가능성의 강화'라는 가면을 쓰고 구체적으로 소규모 식량 생산자를 대상으로 한 새로운 정책과 투자 프로그램을 통해 생산성을 높이는 것이다. 

이러한 기업들이 지속가능성의 강화와 함께 조장하고 있는 건 실제로는 그들의 제품을 대륙 전체에 판매하려는 것이다: 그건 특허받은 종자 품종(유전자조작 작물을 포함하여)과 농화학제품.

아프리카의 소농과 지속가능성에 대한 신젠타 재단의 보고서에서 이를 살펴보자: “아프리카의 생산성 성장의 낮은 수준과 침체는 관개, 화학비료, 개량종 작물의 사용이 제한된 결과라 할 수 있다 –아프리카 ‘녹색혁명’의 부재.”

흠. 게다가 종자회사 Pioneer에서는 이런다: “세계 농민의 약 1/3인 4억5000만 명이 새로운 녹색혁명으로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수동 농기구와 화학비료나 현대의 투입재를 적게 또는 전혀 쓸 수 없는 어떤 지역에서는 선진국에서 농민들이 생산하는 양의 단 20%만 수확하고 있다.”

그래서 무엇이 문제인가? 아프리카의 소농이 낮은 생산성과 개선된 기술과 생산방법에 제대로 접근할 수 없어 고통을 받고 있다는 건 의심할 나위 없는 사실이다. 문제는 그들이 조장하는 게 첨단기술, 고투입, 고비용 모델이라 아프리카의 대부분에게, 그리고 전 세계의 소농에게는 사실 그리 적절한 방법이 아니라는 점이다. 농업의 강화를 추진하고 수십 년 뒤, 더 많은 사람들이 예전보다 굶주리게 되었다. 국제 NGO 단체인 GRAIN에서 지적했다: “식량체계에 대한 농기업의 통제가 확대되고 20년 이후 더 많은 기아가 발생했다r –20년 전보다 2억 명이 더 굶주리게 되었다. 그들은 생계를 파괴했다 –오늘날 8억의 소농과 농업노동자가 충분한 음식을 먹지 못한다.”

우린 특허받은 개량종과 결합된 화학비료와 농약의 집약적 사용이 환경적으로 지속가능하지 않고, 경제적으로 비싸며 사회적 불평등을 악화시킨다고 믿는다.

걱정스럽게도 수십억 달러에 이르는 농기업의 로비가 작용하고 있다. 지속가능성의 강화는 현재 주요한 기부기관, 다자적 개발은행, 대형 자선재단만이 아니라 국제적 공공 작물연구기관 등 모든 범위에 뻗쳐 있다. 지속가능성의 강화란 용어는 6월에 열릴  리오 +20 Earth Summit협정 초안에도 사용되었다. 

아프리카의 농업은 앞으로 심각해질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더 악화될 것이다. 의심의 여지 없이 소농은 그에 적응해야 하지만, 농기업의 해결책은 황금 조리법보다 오히려 실패했음이 입증되었다. 해결책은 지역에 적응된 농법과 훈련 및 생태적 농법의 개선에 달려 있다. 그래서 만약 지속가능성의 강화가 거짓된 해결책을 표현한다면, 여전히 질문이 남아 있다: 어떻게 아프리카 농업이 사람들의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을까?

이번 주 잠비아에서 고무적인 회담이 열려 아프리카 대륙 전역에 걸친 공동체의 생계와 식량안보, 지속가능성이란 과제를 충족시키는 유기농업과 생태농업의 다양한 성공 사례를 강조했다. 우린 이 회담에서 강조한 사례와 국가의 농림부, 국제기관, 기부자, 재단, 사적 부문의 투자를 늘려 지원을 해 나아가야 한다고 지적한 그와 비슷한 사례들 을 믿는다.

지속가능성의 증대란 용어는 근본적으로 녹색이란 가면 아래에서 해결책으로 자신들의 제품을 시판하고, 예전과 똑같은 화학물질 재포장하려는 농기업에 의해 시도되고 있다. 그러나 사실 문제의 대부분은 그들의 책임 때문이었다.

하지만 아프리카와 세계 여러 곳의 많은 농민단체와 농촌개발조직이 깨달은 바는 농생태학적 강화를 지원하는 투자로 거대한 전환을 이루어야 한다는 점이다. 우리는 우리가 지원하고 있는 활동을 계속하려고 하는 것이 전망이다.

그린피스가 제안하는 생태적 해결책에 관해 더 알고 싶다면.

Julian Oram 박사: 그린피스 인터내셔날의 지속가능한 농업 수석 정치고문


728x90
728x90


s15.pdf



아프리카에서의 농업 성공: 아프리카 남부(말라위, 탄자니아, 모잠비크, 잠비아, 짐바브웨)에서 거름나무 체계의 사례

저자: Ajayi, Oluyede Clifford; Place, Frank; Akinnifesi, Festus Kehinde; Sileshi, Gudeta Weldsesemayat


Abstract:

아프리카 남부에서 여타의 개발 과제 외에 식량불안과 같은 일을 야기하는 토양비옥도의 감소와 부정적 영향에 대응하여 거름나무 체계(Fertilizer Tree Systems)가 지속가능한 방식으로 토양 유기물과 비옥도를 높여 소농을 돕기 위한 기술혁신으로 개발되었다. 이 논문에서 우린 역사적 배경을 추적하고, 기술의 개발 단계와 결과를 조명한다. 그 종합은 거름나무 체계가 작물 수확량을 엄청 높이고, 식량불안을 줄이며 환경 서비스와 농생태학의 회복력을 강화시키는 저렴한 기술임을 보여준다. 거름나무 체계와 함께 기록된 대부분의 성취는 몇몇 핵심 요소로 추적될 수 있다: 서로 다른 가구와 생태적 환경, 기술 개발에서 여러 기관과 분야 사이의 협력, 적응 과정에서 농부의 혁신에 대한 적극적인 장려와 농업 공동체에서 기술을 확대하기 위한 협력 기관의 여러 합작에 능동적인 참여라는 범위에서 적절한 기술적 선택군의 유용성. 만약 농촌개발 입안자가 서로 다른 비옥도를 보충하는 접근법의 장점을 강조하고 '유기 대 비유기' 논쟁에 초점을 맞추기보다 거름나무 체계와 무기비료 사이의 시너지 효과를 취한다면 소농이 혜택을 볼 것이라 권한다. 


s15.pdf
0.21MB
728x90
728x90

Check out this recent article by David Biello in the Scientific American, where he discusses a new report by environment scientists at McGill University that examines organic agriculture’s ability to feed a population of 9 billion people.

Organic agriculture can boost yields and protect the soil. (Photo credit: Bernard Pollack)

The report suggests that although organic agriculture can protect soils by retaining water and can result in large yields of certain crops, such as alfalfa or beans, when it comes to major cereal crops, such as corn or wheat, and vegetables, such as broccoli, conventional methods delivered more than 25 percent more yield.

But high yields are not the only important quality of an effective agricultural system. Rather than depending on synthetic fertilizers that can be damaging to the environment, organic agriculture relies on ecological processes that promote biodiversity, healthier soils, and reduced groundwater pollution, among other benefits, all of which contribute to a healthier and more sustainable agricultural system overall.

As with all major environmental problems, there is no simple solution as to how to address our growing food needs. Report  author Verena Seufert argues that “Given the current precarious situation of agriculture, we should assess many alternative management systems, including conventional, organic, other agroecological and possibly hybrid systems to identify the best options to improve the way we produce our food.” And we also need to make the most of the food that we already produce: According to the UN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FAO), abouta third of food produced for human consumption is lost or wasted, amounting to over 1.3 billion tons annually.

Click here to read the full article and here to read the full study.

To purchase State of the World 2011: Innovations that Nourish the Planet please click HERE. And to watch the one minute book trailer, click HERE.

728x90
728x90


food sovereignity and its discontents .pdf





food sovereignity and its discontents .pdf
0.21MB
728x90
728x90

유기농업이란 방식도 시장에 급속히 흡수되어 그 정신은 희미해졌음을 엿볼 수 있는 씁쓸한 기사... 유기농업이 퍼지긴 퍼졌지만 정신은 사라지고 껍데기만 남았다.


[한미 FTA발효] <6> 친환경은 선택 아닌 필수 처음엔 비용 대비 효과 적지만 난관 뚫고 나가면 고소득 결실 전체 6%뿐인 친환경 농가, 고소득 농가의 14% 차지


[이미지 크게 보기]

"이리 와서 냄새를 맡아 보세요. 향긋해요."

농부 이옥신(59)씨가 갑자기 코앞으로 퇴비를 들이민다. 일순 멈칫했지만 호기심에 코를 대보니 정말 향기가 난다. "퇴비 하면 이상한 냄새가 날 것 같죠? 잘 발효되면 이처럼 꽃향기가 나요. 봄이 되면 꽃으로 착각하고 벌이 날아들기도 하죠. 이런 건 먹어도 돼요."

전남 곡성에서 유기농으로 포도와 인삼을 재배하는 그의 퇴비에 대한 자부심은 남달랐다. 그는 화학 물질을 넣지 않고, 낙엽과 우드칩(woodchip·톱밥) 등을 원료로 자연 퇴비를 만들어 쓴다. 그는 "지렁이 같은 땅속 벌레가 잘 살 수 있도록 해주는 퇴비가 좋은 퇴비"라고 말했다. 벌레가 돌아다니면서 땅속에 구멍을 내 작물의 뿌리가 쉽게 숨 쉬게 하고, 벌레 배설물은 천연 비료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농약과 화학비료가 사용되지 않는 이씨의 인삼은 200그램(g)당 7만5000원에 팔린다. 일반 인삼의 3~4배에 이르는 가격이다. 그는 "친환경으로 재배하다 보니 물량이 많지 않고, 가격이 비싼데도 주문이 계속 들어온다"고 말했다.

◇OECD 국가 중 농약 사용량 1위 불명예

수십년간 뿌려진 농약과 화학비료로 우리 땅이 병들고 있다. 이런 땅에서 키워진 농산물은 우리 몸까지 병들게 할 수 있다. 우리나라 농약 사용량(단위 면적 기준)은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회원국 중 1위이고, 화학비료 사용량도 5위에 올라 있다. 이는 우리 토양과 지하수를 회복 불가능할 정도로 오염시키고 있으며, 이대로라면 농업도 지속불가능하다.

따라서 친환경 농법은 선택이 아니고 필수라고 전문가들은 지적한다. FTA(자유무역협정)로 외국에서 밀려들 수입 농산물과의 험난한 경쟁에서 우리 농촌이 이길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기도 하다.

경북 영천에서 친환경 농법으로 배 농사를 하는 안홍석(65)씨는 지난해 1억5000만원의 소득을 올렸다. 45톤의 배를 생산해 모양이 좋은 것은 출하를 하고, 상품성이 떨어지는 것은 배즙으로 만들어 공급한다. 안씨는 "제초제 같은 건 전혀 쓰지 않고 자연 퇴비를 만들어 쓴다"며 "이 같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일반 배보다 5배 이상의 가격을 받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FTA가 두렵지 않다. 오히려 기회로 본다"고 했다. "지금은 내수 위주로 공급을 하고 있는데 미국 FDA(식약청) 승인을 얻어 미국 시장을 본격 공략해 볼 계획입니다."

◇전체 농가의 6.1%만 친환경 농법

친환경 재배 농가는 꾸준히 늘고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벼를 친환경 재배하는 농가는 2010년 현재 3만2963가구로 5년 전의 약 3배, 10년 전에 비하면 약 8배 수준이다. 채소를 친환경 재배하는 농가도 최근 5년 새 약 3배로 늘어났다.

하지만 친환경은 아직 우리 농업의 대세와는 거리가 멀다. 전체 농가 중 친환경 재배를 하는 농가는 6.1%(7만5002가구)에 불과하다. 농약과 화학비료 도움 없이 농사를 지으려면 육체적으로 워낙 힘든 데다 열매도 덜 열려 비용 대비 산출 효과가 무척 떨어지기 때문이다. 웬만한 인내심이 아니고선 친환경 농법을 계속하는 것은 엄두도 내지 못한다.

전남 담양에서 친환경으로 채소를 경작하는 김상식(48)씨는 채소에 붙은 진딧물을 제거하기 위해 비닐하우스 안에 무당벌레 서식지를 만들었다. 무당벌레는 진딧물의 천적이면서 채소에는 피해를 주지 않는다. 그는 1996년 처음 무당벌레 영농법을 시도할 때 무당벌레를 구하기 어려워 포기할까 생각도 했다고 한다. 하지만 동네 아이들에게 마리당 40원을 주면서 잡아 오라고 시키는 등 각고의 노력 끝에 비닐하우스마다 무당벌레 서식지가 조성됐고, 이제 진딧물은 더 이상 그의 고민거리가 아니다. 그는 "친환경 영농을 하려면 곤충·지질 등 자연환경에 대해 속속들이 알아야 한다"며 "난관이 무척 많다"고 말했다.

하지만 난관을 뚫고 성공하면 고소득이란 결실로 돌아온다. 통계청에 따르면 연소득이 5000만원 이상인 농가 중 친환경 농가의 비중은 14.2%(2007년 기준)를 차지했다. 전체 농가 중 친환경 농가의 비율은 6.1%에 불과한데, 고소득 농가 중 친환경 농가의 비중은 훨씬 높은 것이다.

☞ 친환경 농법

농약과 화학비료를 덜 쓰거나 안 쓰는 농법을 말한다. 정부는 친환경 농법을 크게 네 단계로 나누어 인증한다. ①농약을 허용치의 50% 이하만 쓰는 저(低)농약농법 ②농약은 쓰지 않되 화학비료를 기준치 30% 이하로 뿌리는 무(無)농약농법 ③농약이나 비료를 3년 이상 쓰지 않고 미생물제재 등을 쓰는 유기농법 ④미생물제재조차 쓰지 않고 오로지 자연의 힘만 사용하는 자연농법이 그것이다. 뒷번호일수록 높은 단계이다.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