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Story at-a-glance

  • A new study found bees given access to two commonly used agricultural pesticides were adversely affected in numerous ways, including a higher death rate among worker bees and an increased likelihood of colony failure
  • Neonicotinoid pesticides, in particular, affect insects' central nervous systems in ways that are cumulative and irreversible, and are now being suggested as a cause of disappearing honeybees
  • Bayer CropScience – a leading manufacturer of the neonicotinoid pesticides at the heart of the CCD debate (lawsuits against Bayer from beekeepers are ongoing) – plans to open the North American Bee Care Center by July 2013; Monsanto, the leader in genetically modified crops (and their associated pesticides), has also purchased a bee research firm
  • A full one-third of the U.S. food supply depends on pollination from bees, so if bee colonies continue to be devastated by colony collapse disorder major food shortages could result; other important innovations made from honeybee products (such as propolis for cancer treatment and honey for wound healing) could also disappear



By Dr. Mercola

Serious honey bee die-offs have been occurring around the world for the past decade, which is an alarming trend considering one of every three bites of food you eat depends on the good graces of the honey bee.

They pollinate at least 130 different crops in the United States alone, including fruits, vegetables and tree nuts. Without honey bees, farmers would have to resort to pollinating their crops by hand, which would be an incredibly expensive and labor intensive undertaking, if it could even be done on the same scale.

No one knows exactly why the bees are disappearing, but the phenomenon, dubbed Colony Collapse Disorder (CCD), is thought to be caused by a variety of imbalances in the environment, secondary to current agricultural and industrial practices.

Bees are sensitive to the constant flood of manmade chemicals into their environment and bodies, especially pesticides, many of which accumulate over time … and now new research has provided some of the strongest evidence supporting this theory to date.

Pesticide Exposure Proven to Impact Bee Colonies

Exposure to pesticides has been associated with changes in bee behavior and reductions in colony queen production, both of which could have detrimental impacts on the life of the colony. However, the impact of pesticides on individual bee behavior, and its subsequent impact on the colony as a whole, had not yet been determined … until now.

You see, bee colonies are like living cities, and each individual bee plays a crucial role. A healthy hive is occupied by a collection of overlapping generations. Tasks are divided up according to age and colony needs via a very intricate system of communication:

  • Younger worker bees (nurse bees) tend to the queen and the baby bees.
  • Older worker bees forage for food and water for the colony, convert nectar into honey, construct and clean wax cells, and guard the hive from invaders. Worker bees develop stingers to defend the eggs lain by the queen.
  • Drones have only one purpose—to mate with the queen. In fact, the queen will leave her hive only once in her lifetime, in order to mate with several drones and store up enough sperm to last the rest of her life.1

Researchers explained:2

"Social bee colonies depend on the collective performance of many individual workers. Thus, although field-level pesticide concentrations can have subtle or sublethal effects at the individual level, it is not known whether bee societies can buffer such effects or whether it results in a severe cumulative effect at the colony level.  Furthermore, widespread agricultural intensification means that bees are exposed to numerous pesticides when foraging, yet the possible combinatorial effects of pesticide exposure have rarely been investigated."

This is what the new study set out to determine, and it was revealed that bees given access to two commonly used agricultural pesticides were adversely affected in numerous ways, including:

  • Fewer adult worker bees emerged from larvae
  • A higher proportion of foragers failed to return to the nest
  • A higher death rate among worker bees
  • An increased likelihood of colony failure

The researchers said:

"Here we show that chronic exposure of bumble bees to two pesticides (neonicotinoid and pyrethroid) at concentrations that could approximate field-level exposure impairs natural foraging behaviour and increases worker mortality leading to significant reductions in brood development and colony success.

We found that worker foraging performance, particularly pollen collecting efficiency, was significantly reduced with observed knock-on effects for forager recruitment, worker losses and overall worker productivity. Moreover, we provide evidence that combinatorial exposure to pesticides increases the propensity of colonies to fail."

Leading Pesticide Makers Heading Up Bee Research?

Pesticide manufacturers are likely none too pleased about the recent accusations hurled against their products, so they've taken matters into their own hands and purchased leading bee research firms, ostensibly to study colony collapse disorder and other bee research.

Monsanto, which is the world leader in genetically modified (GM) crops (and the pesticides and herbicides that go along with them), recently bought Beeologics, a company whose primary goal is finding a solution to the colony collapse disorder.

Beeologics states their mission is to become the "guardian of bee health worldwide." Monsanto bought the company in September 2011, just months before Poland announced it would ban growing of Monsanto's genetically modified (GM) MON810 maize, noting, poignantly, that "pollen of this strain could have a harmful effect on bees."3

The ongoing blight of GM crops has been implicated in CCD for many years now. In one German study,4 when bees were released in a GM rapeseed crop, then fed the pollen to younger bees, scientists discovered the bacteria in the guts of the young ones mirrored the same genetic traits as ones found in the GM crop, indicating that horizontal gene transfer had occurred.

Further, the newer systemic insecticides, known as neonicotinoids, have become the fastest growing insecticides in the world. Two prominent examples, Imidacloprid and Clothianidin, are used as seed treatments in hundreds of crops. Virtually all of today'sgenetically engineered Bt corn is treated with neonicotinoids.

Bee colonies began disappearing in the U.S. shortly after the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allowed these new insecticides on the market. Even the EPA itself admits that "pesticide poisoning" is a likely cause of bee colony collapse.

These insecticides are highly toxic to bees because they are systemic, water soluble, and very pervasive. They get into the soil and groundwater where they can accumulate and remain for many years and generate long-term toxicity to the hive. They enter the vascular system of the plant and are carried to all parts of it, as well as to the pollen and nectar. Neonicotinoids affect insects' central nervous systems in ways that are cumulative and irreversible. Even minute amounts can have profound effects over time.

One of the observed effects of these insecticides is weakening of the bee's immune system. Forager bees bring pesticide-laden pollen back to the hive, where it's consumed by all of the bees. Six months later, their immune systems fail, and they fall prey to secondary, seemingly "natural" bee infections, such as parasites, mites, viruses, fungi and bacteria. Indeed, pathogens such as Varroa mites, Nosema, fungal and bacterial infections, and Israeli Acute Paralysis Virus (IAPV) are found in large amounts in honey bee hives on the verge of collapse.

In addition to immune dysfunction and opportunistic diseases, the honey bees also appear to suffer from neurological problems, disorientation, and impaired navigation. These effects have great consequence, as a bee can't survive for more than 24 hours if she becomes disoriented and unable to find her way back to the hive.

Bayer is Now Heading Up Bee Research, Too

Interestingly, Bayer CropScience – a leading manufacturer of the neonicotinoid pesticides at the heart of the CCD debate (lawsuits against Bayer from beekeepers are ongoing) – plans to open the North American Bee Care Center by July 2013. The Center is intended to be a research hub as well as promote "the active promotion of bee-responsible use of Bayer products along with communication activities worldwide."5

Clearly, the forthcoming research from Beeologics and the North American Bee Care Center may now be tainted with regard these companies' products and their impact on bee populations.

Already, in 2010 a study by Montana bee researcher Dr. Jerry Bromenshenk found that CCD was not caused by pesticides but rather a combination of fungus and virus, found in all collapsed colonies, may be the culprit … what was not widely reported in the media, however, was that Dr. Bromenshenk received a significant research grant from Bayer to study bee pollination – a massive conflict of interest that is likely to be carried over into any upcoming research from Bayer and Monsanto.

Losing Bees is About More Than Just Honey

When most people think of honey bees, they think honey. But honey is only a small part of the useful work bees do for us in the United States. Honey bees are critical components of U.S. agriculture, used to pollinate nuts, fruits and vegetables. The California almond crop alone requires 1.3 million colonies of bees, and bees actually add an estimated $15 billion in value to crops like these.

A full one-third of the U.S. food supply depends on pollination from bees. Apple orchards, for instance, require one colony of bees per acre to be adequately pollinated. So if bee colonies continue to be devastated by colony collapse disorder -- or whatever is causing them to die -- major food shortages could result. If honey bees disappear, so, too, will all of these other innovations and any new developments that may be honey bee-inspired in the future. And that's not all. Bees also contribute to many other areas of human health, including:

  • Playing an important role in human medicine; raw honey, which has potent anti-inflammatory and anti-infective properties, is being used for wound healing and treating coughs, while "stun" chemicals from bee stings are being looked at as an effective anesthetic for humans
  • Propolis, the "caulk" honey bees use to patch holes in their hives, may slow the growth of prostate cancer and has powerful immune-modulating effects, along with potent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on, and healing, analgesic, anesthetic, and anti-inflammatory properties
  • Bee pollen, which is often referred to as a superfood because it contains a broad range of nutrients required by your body. About half of its protein is in the form of free amino acids that are ready to be used directly by your body and can therefore contribute significantly to your protein needs.
  • Honey bees have helped make scientific discoveries in many fields, including the aeronautics industry, which used the design of the six-sided honeycomb to help design aircraft wings; honeybee communication systems have even been adopted by computer programmers to help run Internet servers more efficiently6

You Can Take Action to Help Honey bees



The documentary film Vanishing of the Bees recommends four actions you can take to help preserve our honeybees:

  • Support organic farmers and shop at local farmer's markets as often as possible. You can "vote with your fork" three times a day. (When you buy organic, you are making a statement by saying "no" to GMOs and toxic pesticides!)
  • Cut the use of toxic chemicals in your house and on your lawn, and use only organic, all-natural forms of pest control.
  • Better yet, get rid of your lawn altogether and plant a garden. Lawns offer very little benefit for the environment. Both flower and vegetable gardens provide excellent natural honeybee habitats.
  • Become an amateur beekeeper. Having a hive in your garden requires only about an hour of your time per week, benefits your local ecosystem, and you can enjoy your own honey!

If you are interested in more information about bee preservation, the following organizations are a good place to start.

  • Pesticide Action Network Bee Campaign7
  • The Foundation for the Preservation of Honey Bees8
  • American Beekeeping Federation9
  • Help the Honey Bees 10


728x90
728x90

By Mara Schechter

살충제는 비싸고 종종 인간의 건강과 환경에 해를 끼친다. 개발도상국에서 농민들은 때로 보호장구 없이 독성 화학물질을 사용하다가 건강문제를 일으킨다. 그리고 때로는 해충이 살충제에 내성을 갖게 되어 더 많은 양의 —그리고 효과가 떨어지는— 살충제를 쓰게 된다. 


프로젝트의 연구자들은 우간다 농민들에게 현장 실험을 통하여 IPM의 방법이 살충제를 쓰는 것보다 "더 좋고, 안전하고, 값싸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Photo credit: Shanidov)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미국 국제개발처(USAID)의 지원을 받고 Virginia Tech의 Office of International Research, Education, and Development (OIRED)의 관리를 받는 통합 해충관리 공동연구지원 프로그램(IPM CRSP)은 인간이나 지구에 해를 주지 않고서 해충에 의한 손실을 줄이는 방법을 찾고자 농민, 대학 들과 함께 작업했다.

USAID, IPM CRSP에 의해 설정된 여덞 가지 공동연구지원 프로그램의 하나는 대안농업의 접근법인 통합 해충관리(IPM)의 채택을 확산하기 위하여 33개국에서 연구와 교육을 지원한다. 

통합 해충관리는 해충이 재생산되는 기회를 줄이고자 "숙주가 없는 시기"에 몇 개월 동안 재배를 기다리고, 해충 저항성 작물 품종을 심고, 익충과 같은 유기적 통제를 사용하는 등 화학적 투입재를 줄이기 위한 다양한 방법을 포함한다. 아주 필요한 경우 농민은 임시로 저독성 농약을 쓰기도 한다.

IPM CRSP에게 지원받는 프로그램에서, 미국의 연구자는 지역의 과학자, 대학, 농민에게 IPM에 관한 지식과 기술을 전수한다. 예를 들어 우간다 Kampala에서, IPM CRSP는 Makerere 대학에서 토마토 재배자들에게 어떻게 살충제 사용을 75%까지 줄이는지 보여주기 위하여 지역의 과학자들과 함께 일했다.

토마토는 우간다에서 가장 고부가가치의 돈벌이작물로서 지역에서 소비하고, 농민들은 다른 어떤 작물보다 토마토에 일반적으로 살충제를 사용한다. 지역 농민에게 지역의 기술과 문제에 대해 배움으로써, IPM CRSP 연구자들은 두 가지 해충이 토마토 재배자에게 중요한 문제를 일으킨다는 것을 알아냈다: 토마토 잎을 먹는 벌레인 파총채벌레(onion thrips)와 1845년 아일랜드에 감자 기근을 일으켰던 역병인 잎마름병(late blight).

프로젝트의 연구자들은 우간다 농민들에게 현장실험과 현지조사를 통해 IPM 방법이 농약을 치는 것보다 “더 좋고, 안전하고, 값싸다”는 걸 보여줬다.  

채벌레의 개체수를 관찰하고 더 효율적인 살충제 응용을 타겟팅하여, 농민이 어떻게 노란 접착 덫을 사용할지 보여주었다. IPM CRSP는 또한 농민에게 잎마름병 저항성 토마토 품종을 제공하고, 격자구조와 지주를 이용해 토마토를 땅에서 떨어지도록 하여 습한 곳에서 세균이 자라는 걸 줄임으로써 잎마름병을 통제하도록 도왔다. 

현재 농민들은 더 적은 농약을 사용할 뿐만 아니라, 살충제 사용을 73%까지 줄이고 더 많은 수확량으로 1년에 200%의 소득을 더 올린다. 그리고 지금 그들은 이러한 변화가 자신의 생활과 생태계를 강화하는 걸 계속 지켜보고 있다. 


Mara Schechter is a media intern with the Nourishing the Planet Project.


728x90
728x90

잔류농약 관리체계 개선을 위한 방안으로 포지티브리스트 시스템 도입을 놓고 찬반 양론이 팽팽히 맞서고 있다. 일각에서는 먹거리 안전을 위해 현행 네거티브리스트 시스템을 포지티브리스트 시스템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반면, 다른 쪽에서는 현 제도도 포지티브리스트 시스템에 준하는 것으로 식품 안전을 보장하는 데 큰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다.


 포지티브리스트 시스템이란 사용이 등록된 농약의 경우 잔류허용 기준을 설정해 검사하지만, 등록되지 않은 농약에는 불검출 수준의 일률적인 기준(0.01㎎/㎏ 이하)을 적용하는 제도다. 등록되지 않은 농약은 사용을 허가하지 않는다는 의미다. 이에 비해 네거티브리스트 시스템은 사용금지된 농약 이외에는 검출한계 내에서 사용할 수 있는 체계다.

 국회 입법조사처는 최근 발간한 ‘농산물의 잔류농약 관리현황과 개선방향’ 보고서에서 “기후 및 농업환경이 변하면서 세계 각국에서는 다양한 농약을 사용하고 있어 현행 네거티브리스트 시스템으로는 수입농산물의 잔류농약을 관리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며 “포지티브리스트 시스템을 도입해 잔류농약에 대한 안전관리를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일본의 경우 2006년 포지티브리스트 시스템으로 전환한 후 잔류농약 관리체계가 강화됐다는 점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밝혔다.

 이러한 주장은 우리나라의 경우 농산물 수입 의존도가 갈수록 높아져 소비자들의 먹거리 안전이 위협받고 있다는 인식에서 출발했다. 올해만 해도 맹독성농약이 다량 함유된 중국산 산양삼 사건, 허용치를 20배나 초과한 인도산 고추 사건 등이 발생해 소비자들을 불안하게 만들었다는 것이다. 또 포지티브리스트 시스템은 한·중 자유무역협정(FTA) 추진에 따라 향후 중국산 농산물에 대한 ‘비관세장벽’ 역할을 할 수도 있다는 설명이다.

 잔류농약 관리체계를 담당하고 있는 식품의약품안전청은 포지티브리스트 시스템 도입에 적극적이다. 당초 2014년 도입한다는 계획은 무산됐지만 이를 중기과제로 선정해 현재 도입을 위한 준비를 진행하고 있다. 

 농약업계도 포지티브리스트 시스템 도입에 찬성하는 분위기다. 농약업계 관계자는 “현재의 잔류농약 관리 시스템을 유지하는 것은 농업인들에게 등록되지 않은 농약을 사용해도 된다는 의식을 고착시킬 우려가 크다”며 “농약산업을 발전시키고 안전한 농약사용을 정착시키기 위해서는 포지티브리스트 시스템을 빨리 도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다른 농약 전문가는 “한ㆍ중 FTA 협상이 진행중인 가운데 안전성이 떨어지는 중국산 농산물의 무분별 수입을 제도적으로 막기 위해서라도 선진화된 포지티브리스트 시스템 도입을 서둘러야 한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포지티브리스트 시스템 도입을 반대하는 목소리도 만만치 않다. 현재 우리나라의 잔류농약 관리체계가 표면적으로는 네거티브리스트 시스템이지만 사실상 준 포지티브시스템이라는 것이 이유다.

 농촌진흥청 관계자는 “등록돼 있지 않은 농약에는 국제식품규격위원회(CODEX)에 규정돼 있는 잔류허용기준을 적용해 등록된 농약처럼 사용할 수 있게 하거나, 상추와 취나물처럼 비슷한 작물에 서로 다른 농약을 사용하면서 그중 하나만 등록돼 있는 경우 다른 하나에도 같은 기준을 적용(유사기준 적용)하는 등 지금도 포지티브리스트 시스템에 가깝게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그러면서 “포지티브리스트 시스템을 도입하면 검사해야 할 농약 항목이 대폭 증가해 검사 인력과 장비, 시간 등이 늘어나며 무엇보다 농산물 생산 자체가 위축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농약의 경우 병충해의 변화나 새로운 병충해의 출현에 따라 새로운 농약을 계속 개발해야 하는데 그럴 때마다 등록을 위해 많은 비용과 시간을 들이는 절차를 거쳐야 한다는 설명이다. 

 또 소규모로 재배하는 작물의 경우 등록된 농약 자체가 거의 없어 농업인들의 생산 활동에 지장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는 것이다.

 이 관계자는 “포지티브리스트 시스템으로 가기 위해서는 농업인들이 사용할 수 있는 농약이 충분히 등록돼야 한다”며 “그렇지 않을 경우 괜한 범법자만 양산할 가능성이 있다”고 강조했다. 일본의 경우 포지티브리스트 시스템 도입 전 3년여간의 준비 기간 동안 250개이던 등록 농약을 799개(현재 824개)로 대폭 늘렸고, CODEX 기준을 받아들였다. 

 서륜 기자


728x90

'곳간 > 문서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친환경 농산물 생산 추이  (0) 2012.12.16
참깨, 오관돌파  (0) 2012.12.12
먹고, 보고, 즐기는 호박  (0) 2012.12.04
미래를 대비한 벼 생산기술 - 직파재배  (0) 2012.12.04
겨울을 이기는 과일, 배  (0) 2012.12.04
728x90




어느 아름다운 날, 옥수수밭에서 시작할 것이다 —지난 여름 아이오와의 옥수수밭이라 부를 것이다. 옥수수는 키가 크다. 대기가 반짝이고 있다. 단 하나 잊은 것이 있다 —그건 매우 중요하다...


... 중요하지만, 아직은 말하지 않겠다.


대신 돌아가보자. 잠시 뒤 옥수수밭으로 돌아올 것이지만, 재미를 위해 남아프리카 케이프타운에 있는 공원으로 날아가겠다. 그곳에서 금속제 큐브가 잔디밭에 놓여 있는 걸 볼 것이다.


그 큐브는 사진작가 David Liittschwager 씨가 놓아둔 것이다. 그는 몇 년 동안 세계를 여행하면서 정원과 공원, 숲, 바다 등 사진을 찍는 곳에다 큐브를 하나씩 놓았다. 딱정벌레, 귀뚜라미, 물고기, 거미, 벌레, 새 —눈으로 볼 수 있을 만큼 큰 건 사진을 찍었다. 24시간 뒤 그가 케이프타운의 큐브에서 발견한 것은 다음과 같다:





0.02평의 잔디밭에서 30가지의 식물과 약 70가지의 벌레가 있다. 그리고 영국 가디언 연구자가, "큐브를 집어들고 10걸음을 걸어가면, 50% 이상 다른 식물 종을 만날 수 있었다. 그걸 언덕 위로 옮기면, 그 종을 찾아보지 못할 것이다." 개체군이 거리에 따라 크게 변했다 —눈에 보이지 않는 곰팡이나 미생물, 자그마한 것들은 세지도 않았다.


또 다른 사례: 여기 코스타리카의 해발 30m 지점에 사는 무화과나무 밑에 큐브를 놓았다. 여기에서 아래로 계곡이 보인다.





웬일인가? 150가지 이상의 식물과 동물이 0.02평의 공간에 살거나 지나다녔다: 새, 딱정벌레, 파리, 나방, 벌레, 벌레, 벌레, 벌레...





하바드대의 생물학자 E.O. Wilson 씨는 David Liittschwager의 사진집의 서문에서 그건 보통 우리의 이목을 끄는 큰 동물이라고 했다. 무릎을 굽혀 작은 부분까지 관찰하면 "점차 더 작은 서식지, 더 막대한 수를 가리기 시작할 것이다."


그들은 흙을 만들고 공기를 통하게 하며, 수분을 시키고, 잡동사니를 제거하는 생물이다. 이들은 엄청나게 많이 있다. 


옥수수밭으로 돌아가자.


아이오와로 돌아가 나의 동료 Craig Childs 씨와 모험을 하기로 결정했다. 그는 자신의 새 책에서 얘기했듯이, Angus라는 친구를 고용해 함께 Grundy County에 있는 73만4500평의 밭 한가운데에서 사흘을 보내기로 했다. 그들의 계획은 옥수수밭 사이에서 살고 있는 옥수수 이외의 생물을 찾는 것이다. 곧 Liittschwager와 같은 개체수 조사다.


그러나 옥수수밭은 국립공원이나 원시림과 같지 않다. 옥수수 농민은 옥수수를 옹호한다. 옥수수를 먹는, 옥수수를 해치는, 옥수수를 방해하는 어떠한 것이든 죽인다. 그들의 옥수수는 해충을 방제하며 재배된다. 땅에다가 살포한다. 줄기에다가도 또 살포한다. "무얼 찾을 수 있을 것인가?"





그 답에 놀랐다. 그는 거의 아무것도 발견하지 못했다. "나는 아무것도 듣지 못했다. 새 소리도, 벌레 울음소리도."


거기에는 벌도 없었다. 대기와 대지는 텅 비어 있었다. 그는 개미 한 마리를 발견했는데 "너무 작아 표본으로 만들지도 못했다." 잠시 뒤, 다른 두둑으로 기어가서 버섯을 발견했다. 그건 "사과 씨앗만 했다(아래 그림의 하나)." 그러고 난 뒤 거미줄의 거미가 꾸정모기를 (딱 한 마리) 먹고 있었다. "먼지만 한" 한 마리 빨간 진드기가 "황급히 메마른 땅 위로 지나갔다." 메뚜기 몇 마리 그게 다이다. 여기저기 기어다녔지만 그가 발견한 건 더 없었다. 


"완전히 다른 행성에 온 느낌이었다." 벌거벗은 세계.




그러나 100년 전, 이 밭이 있던 이곳 평원은 300종의 식물, 60종의 포유류, 300종의 조류, 수천 마리의 곤충들이 살던 곳이었다. 이곳의 흙은 미국에서 가장 기름지고 좋았다. 그런데 지금 이곳에선 거의 아무것도 살지 않는다. 우리가 모두 없애 버렸다. 


물론 우린 인구를 부양해야 한다. 그러나 우리에게는 지구 위에 사는 모든 생명을 위한 작디작은 창조물도 필요하다. 의도적으로 식량을 생산하기 위해 생물학적 사막을 만들어 버리는 이상한 종이 하나 있다: 바로 우리들이다. 그래, 그게 효율적이다. 개미가 사라지고, 벌이 사라지고, 새들이 떠나버리는 그런 효율이다. 여기에는 무언가가 없다. 우리의 옥수수밭은 너무 조용하다.




http://goo.gl/sbtR9

728x90
728x90




수분은 미국 경제에서 핵심인데, 미국 양봉업자들은 군집붕괴 -꿀벌의 대량 죽음- 가 해마다 80%에 이른다고 주장한다. Pesticide Action 네트워크의 Paul Towers 씨는 "우리가 먹는 음식의 세 가지 중 하나는 수분매개자에 의존한다."고 말한다. Towers 씨는 왜 미국 농업과 경제가 위기에 처했는지 Earth Focus와 이야기한다. 

더 많은 정보는 http://linktv.org/earthfocus


728x90

'곳간 > 영상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장형 축산을 멈춰요  (0) 2012.11.29
다양성의 씨앗  (0) 2012.11.29
토종, 전통농법이 대안  (0) 2012.11.16
다국적 농기업의 GM 종자와 인도 농민의 죽음  (0) 2012.11.07
의혹을 기르고 있다  (0) 2012.10.26
728x90

작부체계를 바꾸는 것만으로 농약과 화학비료에 대한 의존을 줄일 수 있다는 연구가 발표된 적이 있다. 아이오와 주립대학의 Marsden 농장에서 행해진 실험결과가 그것이다. 약 2,5000평 정도의 농지를 셋으로 나누어 농사를 지었다. 하나는 관행적으로 옥수수-콩 돌려짓기, 다른 하나는 옥수수-콩-귀리 돌려짓기, 마지막은 옥수수-콩-귀리-자주개자리 돌려짓기. 마지막 작부체계에선 자주개자리를 기를 때 가축을 방목하여 똥오줌을 받았다고 한다. 삼포제 농법의 부활이라고도 볼 수 있다. 똑같지는 않지만, 자주개자리를 포함한 마지막 작부체계 전통농법의 하나인 과거 유럽에서 행해지던 삼포제 농법을 새롭게 응용한 방식이라고 평가할 수 있겠다. 자주개자리는 콩과식물인데다가 가축이 그걸 뜯어먹으며 똥오줌을 싸니 밭이 더욱 기름질 수밖에...


그 결과가 아주 재미난데, 새로운 작부체계를 활용하니 옥수수와 콩의 수확량이 늘고, 농약과 화학비료의 사용량은 88%까지 감소했으며, 지하수의 독성물질은 200배 줄었고, 수익에선 큰 차이가 나지 않았다. 물론 좋은 점만 있는 건 아니다. 단점으로 꼽힌 것은 역시 인건비. 인건비가 증가한단다. 이봐라, 왜 현대농업으로 나아갈수록 농민이 가난해지고 농지에서 쫓겨나 도시로 나가는지 엿볼 수 있는 단서다. 아무튼 그래도 낫지 않은가? 담합해서 농민들 땀 묻은 돈이나 뜯어먹는 농약회사, 비료회사, 농협에게 돈다발을 안기기보다는 정직하게 땀흘리며 일하는 농민, 노동자에게 그 돈이 들어간다니 말이다. 인건비 상승, 나쁘게만 볼 것이 아니다.


미국에선 1년에 약 227만 톤의 농약이 사용된다. 많다고 느끼는가? 한국은 OECD 국가 중 농약사용량 1위의 국격 있는 나라다. 작물보호협회(농약이 작물을 보호한다고, 농약이 지닌 나쁜 이미지를 없애고자 만든 이름)에서는 억울하다고 호소한다. 단순히 비교하는 건 의미가 없다고 하면서 말이다. 여기를 보라(http://goo.gl/Mg9It). 핑계를 댄다고 많이 쓰는 게 많이 쓰는 게 아닌 것이 되는 건 아니지 않습니까, 작물보호협회여? 하긴 농업 분야 이외에도 공원, 골프장, 아파트단지 등등의 관리를 위해서도 엄청나게 사용하고 있다. 자살자들도 애용하고...ㅜㅜ


조선의 농법 중에 일본인 농학자들의 혀를 내두르게 한 2년3작식 작부체계가 있다. 이를 유럽의 삼포식 농법과 비교해도 전혀 손색없는 훌륭한 농법이라고 평가했지. 결론적으로 이번 실험결과나 조선의 전통농법이나 일맥상통하는 건 땅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놀려서 최대의 산출을 빼 돈을 벌 것이냐가 아니라, 땅을 얼마나 아기자기하게 놀려서 적당한 산출을 얻으면서도 지력을 유지하도록 할 것이냐다. 


작부체계의 다양성이 증가하면 생산성, 수익성, 환경에 더 이롭다는 연구결과는 여기를 참조할 것(http://goo.gl/S5DaI).


그 실험결과 옥수수 생산량은 평균 4%, 콩은 9% 증가했다. 빨리빨리 옥수수-콩만 돌리는 것보다 시간이 오래걸리니 수익이 떨어질 것이라 예상하겠지만, 수익 면에서는 비슷했다는 점. 농약과 화학비료 사용이 준다는 점이 중요하다. 그런데 이런 재미난 연구는 주목받지 못하고 스탠포드 대학의 유기농을 먹는다고 건강해지는 게 아니라는 연구나 세간의 주목을 받고 말이야(http://goo.gl/HKigg). 


2년3작식이 뭔지 궁금해여? 궁금해여? 궁금하면 500원.




728x90
728x90

http://blog.ohmynews.com/hum21/tag/%EB%86%8D%EC%95%BD%EC%A4%91%EB%8F%85




이제 거의 두 달에 걸친 '우기'가 지난 것 같습니다. 농민들은 그간 미뤄둔 방제작업이 한창일텐데요. 여기 농약살포 작업과 농민의 건강문제에 관한 글을 싣습니다. 이 글은 제가 2000년 '농약에 의한 농업인의 건강장해와 대책'이란 제목으로 농촌생활과학회지(2000; 21(2):68~76)에 게재한 것입니다. 10년이 지난 글입니다만 안탑깝게도 여전히 유효한 부분이 많은 것 같기에 다시 찾아 올립니다. 


한 농민이 SS기로 과수원 방제작업을 하고 있다. <사진, http://www.applenet.jp/~ringoshi/orchard/orchard.html >



                  농약에 의한 농민의 건강장해와 대책


머 리 말

어떤 농약이 잔류기준을 몇 배 초과하여 검출되었다는 식의 보도를 우리는 늘상 접할 수 있다. 학교의 환경관련 교재를 보아도 ‘농약은 생물학적 농축을 통해 생태계의 균형을 깨뜨리며 ..’ 로 이어지는 대목은 빠지지 않는 단골메뉴가 되었다. 환경문제 하면 ‘농약 범벅이된 농산물을 먹고 매연이 가득한 거리를 걷는...’으로 시작되는 일장연설을 이제 초등학교 아이들에게서도 쉽게 기대할 수 있다. 우리는 어찌되었든 농약의 순기능보다는 역기능을 먼저 생각하게 된 것 같다. 한편, 농약 업체들과 일군의 전문가들은 이러한 분위기를 ‘근거없는 위험론’으로 보고 이를 무마하려 하거나 혹은 대응 논리를 펴기도 한다. 
이처럼 감각적 혐오가 아니면 자구적이거나 또는 안일한 안전론이 오늘 우리사회의 농약을 보는 주된 입장이 되어 있다. 다른 스펙트럼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가운데 정작 가장 피해를 보고 있는 측은 ‘농약 범벅’이 되었다는 식품을 먹는 소비자도 아니요 ‘안전한’ 농약을 파는 농약업체는 더욱 아니다. 무엇보다 문제는 바로 농약을 직접 다루면서 이에 노출되고 있는 농업인들일 것이다. 농업인들의 농약으로 인한 건강장해는 그다지 관심을 받지 못하고 있으며 오히려 농업인들은 스스로 가해자라는 자괴감을 갖기도 한다. 이와같이 회피되었던 농약으로 인한 농업인의 건강영향에 대한 이해는 농업인을 위해서도 중요한 일이지만 잔류기준의 준수여부로만 집약되고 있는 우리의 좁은 농약에 대한 인식의 폭을 넓히고 체계적인 농약관리를 도모함에 있어서도 중요성을 갖는다고 할 수 있겠다. 


농약의 정의

일반적으로 농약은 ‘수목 및 농림산물을 포함한 모든 농작물을 해하는 균, 곤충, 응애, 선충, 바이러스, 기타 동식물의 방제에 사용되는 살균제, 살충제, 제초제와 농작물의 생리기능을 증진 또는 억제하는데 사용되는 생장조정제 및 약효를 증진시키는 성분’을 가리킨다. 전세계적으로 1,200 가지 이상의 화학물질이 농약으로 등록되어 있고 매년 대략 2,500,000 ton 이 살포되고 있다. 농약의 조성은 복잡하여 한 두 가지의 유효성분외에도 유기용제, 계면활성제, 유화제, 보존제 등의 보조제가 함유되어 있다. 농약은 화학구조 또는 용도에 따라 몇 가지 종류로 분류할 수 있으며 이들의 화학적 특성은 곧 건강영향의 특성과 관련되어 있다. 

농약 노출

<표 1>과 같이 농약에 대한 노출은 대표적으로 직업적 노출과 비직업적 노출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직업적 노출이 절대량에서 압도적으로 높다. 직업별로는 농업인이 가장 높으며 농약제조업 노동자, 정원이나 골프장 방제사, 기타 농약첨가 원료를 가지고 작업하는 사람의 순서로 노출이 높다. 비직업적인 노출군으로는 항공방제지역 거주인, 농약이 오염된 식수음용 인구집단 그리고 농약잔류 식품 섭취군 등의 순으로 노출량이 높다고 알려져 있다. 

기후, 살포 기기, 작업장의 밀폐여부 등과 같은 조건과 증기압과 같은 농약의 물리적 특성에 따라서 노출되는 경로와 농도와 같은 특성이 달라진다. 구체적으로 노출 특성은 현장에 살포할 때는 주로 농약의 상품제형과 살포방법에 따라 그리고 농약을 제조하는 사업장에서는 제조 유효성분에 따른다. 농약은 사람의 호흡기, 피부, 입 또는 눈의 점막 등을 통해 노출된다. 호흡기는 물질의 입자가 폐로 들어가는 통로이며 외기와의 가스교환 과정을 통해서 물질은 혈류로 들어갈 수 있다. 피부에 농약이 묻게 되면 피부의 지질층에 녹으면서 침투하여 피하의 혈관으로 들어간다. 대부분의 농약은 증기압이 극도로 낮고 지질용해성분이 있어 피부노출을 통한 침투가 주요한 통로라고 알려져 있다. 더구나 농작업조건은 극심한 서열환경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피부 표면과 점막을 통한 농약침투가 용이한 조건이 된다. 소화기계를 통한 중독은 거의 빈도가 없으나 배제할 수는 없는데 오염된 옷이나 손으로 음식을 먹거나 담배를 피울 때 입을 통해 농약이 들어갈 수 있다. 분무기 노즐을 입을 대고 바람을 불어 청소하는 일이 있는데 이 또한 큰 위험요인이 된다. 농약용기가 따로 구별되어 있지 않아서 다른 사람에게 노출을 유발하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농약노출과 건강영향


전세계적으로 매년 최소 3 백만 명의 급성 또는 심각한 농약중독 환자가 발생(1/3; 직업적 노출, 2/3 자살의도)하며 2 만 여명이 직업적(자살외) 농약노출로 사망하고 있는 것으로 집계되었다(WHO, 1990). 1994년 국제노동기구의 추정에 따르더라도 2 백에서 5 백만 명이 매년 직업적으로 중독되고 있고 이 중 4 만 여명이 사망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어 농약에 의한 중독은 전세계적으로 주요한 사망원인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는 보고체계가 제대로 갖춰지지 않은 상태에서 조사된 것으로 과소평가를 전제로 하고 있으며 증상은 만성적인 영향은 포함되지 않은 것이라 문제의 규모가 훨씬 더 클 것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제 동물대상의 연구에서 많은 농약들이 발암성, 생식독성, 만성 신경독성과 면역독성과 같은 만성독성에 대한 충분한 근거를 보여주고 있다. 만성영향은 사람에게도 기능장해나 암과 같이 회복이 불가능한 만성질환을 나타날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성이 있다. 

급성 건강영향 

유기염소계(organochlorine) 농약들은 긴 환경잔류성으로 사용이 금지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람이나 포유류에 대한 독성은 낮지만 먹이사슬을 통한 생물농축이 일어나 상위포식자에게 해를 주게된다. 이것이 바로 유기염소계 농약이 폐지된 주요한 이유였다. 아이러니하게도 이들은 환경잔류성은 훨씬 적지만 병해충과 그외 생물 모두에게 아주 높은 급성독성을 갖는 일군의 농약들로 교체되었다. 이 일군의 농약들이 바로 유기인계(organophosphate)와 카바메이트계 (carbamate) 농약이다. 급성중독발생은 거의 대부분 이들이 원인이 되고 있다. 급성중독으로 인한 사망과 관련하여 일본에서 1,000 명의 중독환자를 대상으로 조사한 연구결과를 보면, 제초제인 파라콰트와 다이콰트(paraquat/diquat)에 의한 중독의 경우 76 % 가 사망하였고 유기인계와 카바메이트계에 의한 중독환자의 24 % 가 사망하였다. 그리고 기타 다른 농약에 의한 급성중독환자는 3 % 정도만이 사망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서 파라콰트 등은 용도가 제초제라 실제 작업으로 인한 급성노출의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작다는 것을 고려하면 직업적 노출에서 유기인계와 카바메이트계의 급성독성에서의 영향을 짐작할 수 있을 것이다. 이들 두 종류의 농약의 급성영향의 기전은 공히 신경계의 Acetylcholinesterase의 억제이다. 이 효소는 신경계에서 주요한 신경전달물질인 Acetylcholine을 가수분해하는 효소인데 Acetylcholinesterase가 유기인계 농약에 의해 활성이 저해되면 Acetylcholine이 신경전달 역할을 수행하고 나서 분해되지 못하고 계속 축적되게 된다. 이렇게 되면 신경전달 수용체를 과잉 자극하게 되고 분비물의 증가, 근육강직, 심혈관계 영향, 동공축소 증상과 같은 중추 및 말초신경계 이상을 나타내게 되는 것이다<표 2>. 
아주 많이 노출되면 기관지 협착, 기관계 분비물 증가, 횡경막 수축, 뇌의 호흡중추 억제 등이 동시에 일어나면서 호흡곤란으로 사망하게 된다. 유기인계에 급성중독환자에게는 이 종류 농약의 신경독성에 대한 길항작용을 가진 아트로핀(atropine)이나 옥심(oxime)을 치료에 사용할 수 있다. 카바메이트계 농약은 아주 짧은 순간 효소의 작용을 억제하기 때문에 급성중독 치료시 아트로핀을 사용할 수는 있으나 억제된 효소를 활성화 시키기 위해 옥심을 처방할 필요는 없으며 오히려 사용하면 역효과가 있을 수 있다. 

만성 건강영향

농약에 대한 관심은 생태계에 대한 영향과 사람에 대한 급성영향에서 차츰 만성영향 쪽으로 그 초점이 옮겨지고 있다. 제 2차 대전이후 농약이 급속히 많이 사용되어 온 이래로 일정한 잠복기간을 거치면서 사람에 대한 만성적인 건강영향에 대한 근거자료들이 이제 윤곽을 드러내고 있기 때문이다. 물론 농약이 사람에게 저농도로 장기간 노출 되면 만성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음에 대한 가능성에 대비한 만성 독성시험이 농약 등록과정에도 포함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만성독성 시험을 통해 동물에 대한 최대무작용허용량(NOEL; No Observed Effect Level)을 구하고 이를 기초로 일일허용섭취량(ADI ; Acceptable Daily Intake)와 잔류허용기준을 만들어 규제의 기준으로 활용하게 된다. 이것은 바로 만성적인 영향을 염두에 둔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여기에는 불확실성이 내포되어 있다. 대표적으로 사람과는 수명이나 물질대사에서 차이점이 많은 동물에 대한 실험결과라는 점이다. 불가피하게 동물실험 결과를 사람에 적용하는 것이다. 그리고 사람에게 암을 일으키지 않는다는 확신이 없는 상태에서 발암성이 아닌 물질에 사용하는 임계모델(threshold model;독성물질이 일정 노출이상에서만 영향을 준다는 이론)을 독성물질에 대한 양-반응모델(dose-response model)로 임의로 채용하여 최대무작용허용량을 정하고 있다. 안전계수를 두어 이러한 가정에서 오는 위험성을 제거한다고는 하나 불확실성은 여전히 남는다. 그러나 ‘구더기 무서워서 장 못 담그랴?’ 농약이 인간에게 제공하는 효용을 전적으로 무시할 수는 없으며 식량부족으로 인한 영양결핍과 위생해충으로 인한 전염병 창궐은 오히려 저농도의 농약노출보다 위험할 수 있다는 논리에서 불확실성이 존재하지만 잠정적인 예방관리 기준을 일종의 면죄부로 사용된다. 이러한 정황을 겸허하게 인정한다면 불확실한 관리기준에 대한 맹신을 강요할 수는 없다. 때문에 농약이 세상에 나오면서 사람이나 생태계에 어떤 예측치 못한 영향을 주고 있는지에 대한 감시의 병행이 요구된다. 이러한 감시의 수단으로 대표적인 연구조사방법이 바로 역학조사이다. 역학이란 간단히 말하면 인간집단을 놓고 질병과 그 원인으로 의심되는 요인과의 인과관계를 보기 위해 원인 요인에 노출된 집단과 비노출군을 대상으로 상병의 발생율을 비교하는 것이다. 조건에 따라 다양한 역학적 방법론이 사용되며 결론은 해당 노출과 질환 사이에 상관성의 유무로 나타난다. 이것은 인간에 대한 독성실험을 수행할 수 없기 때문에 비교적 노출이 많고 노출력이 뚜렷한 노동자군을 대상으로 노출과 건강영향 관계를 추적 조사하거나 질환발생을 역추적하는 방법으로 수행되어 왔다. 농약 또한 마찬가지로 등록과 사용 이후에 농업인과 농약 제조업 노동자들을 대상으로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농약은 2 차 대전 이후로 사용이 본격화 된 것으로 농약의 건강영향에 대한 역학조사가 수행되고 결과가 나오게 된 것은 일반적인 산업장에서 쓰이는 화학물질과 비교해서는 비교적 최근의 일이다. 농약은 식품을 통해 일반인에도 노출될 수 있다는 점에서 농업인의 농약으로 인한 만성 건강영향에 대한 연구는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는 농업인들이 많은 농약에 동시에 노출된다는 점, 그리고 이러한 노출을 평가하기 힘들다는 부분 때문에 수행에 있어 어려움이 따른다. 따라서 수행된 많은 역학연구가 농업인 일반을 농약 노출군으로 묶고 건강영향을 평가하였다. 먼저 사망률, 암 발생에 관한 연구로부터 시작해서 최근에는 신경독성, 면역독성, 생식 독성 등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 암 >

많은 연구들이 전세계적으로 수행되었다. 역학연구는 한 두 번의 연구결과를 통해 병인론이 확정되기 보다는 동일한 질병-요인 관계에 대한 반복적인 여러 연구결과들이 있어야 비로소 확실성 있는 인과관계를 얻을 수 있다. 이제는 정설로 확증된 담배와 폐암에 관한 연구도 많은 역학연구의 결과물이다. 이러한 과정에서 물론 직접적인 인과관계 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관련된 요인들에 대한 조사가 추가되면서 병인론에 관한 더 많은 정보을 얻을 수 있기도 하다. 농약에 장기 노출된 농업인을 대상으로 암 발생에 관한 역학연구들을 종합하여 보면 <표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임파 및 혈액암, 순암, 위암, 흑색종 그리고 피부암, 전립선암, 뇌암, 고환암, 연조직육종 등이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농업인 이외에 농약에 노출되는 다른 직업군에서도 발암의 경향은 폐암을 제외하고는 농민들에서와 같은 경향으로 나타난다. 폐암은 건물의 위생해충 방제요원, 농약 제조업 노동자들이 높게 나타나는데 이것은 이들 집단이 밀폐된 공간에서 작업을 하기 때문에 폐로의 흡입 가능성이 더 높은 것이 원인일 것으로 추정된다. 여성 농업인이나 가족들(남성 농업인 제외)은 남성 농업인 만큼 광범하게 평가되지 못했다. 그러나 남성에서 나타나는 것과 비슷하게 임파 및 혈액암, 순암, 위암 등이 많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난소암 비율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 
한편 이 분야에서 개별 농약의 영향을 연구한 사례는 드물다. 농업인들이 한가지 농약에만 노출되지는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한계에도 불구하고 수행된 몇 몇 연구의 결과들을 보면 페녹시계 및 트리아진계 제초제, 비소계 살충제, 유기염소계 살충제 및 유기인계 살충제 등이 발암효과를 가진다는 증거들이 발견되고 있다. 

< 기타 만성 건강영향 >

발암성 이외에 농약의 사람에 대한 만성 건강영향으로 일부 밝혀지고 있거나 또는 의심이 되고 있는 것들로 생식 및 발달 장해, 신경계 장해, 면역기계 장해 등이 있다. 
최근에 금지된 농약 dibromochloropropane(DBCP)는 동물실험에서 고환이상을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화학물질에 노출된 농업인들 및 제조 노동자에서 정자수의 감소와 유의한 불임을 보였다. 이것은 사람들에게서 영향이 밝혀진 몇 안되는 내분비교란물질(일명, 환경호르몬)로 유명하다. 이것은 호르몬 기전에 영향을 주어 생식기계 이상을 유발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Chlordecone(Kepone)와 ethylene dibromide(EDB)도 남성 불임 작용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사용이 금지되었다. 관련 연구는 지금까지는 남성 불임에 한정되었으나 차츰 여성의 불임, 임신에 걸리는 경과시간, 자연유산, 저체중아, 선천성 기형 등의 여러 가지 생식 및 발달 장해에 대한 조사가 진행되고 있다. 개별 농약에 대한 평가가 어렵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농약 일반에 대한 직업적 노출력이 많은 농업인과 대조군으로 조사하거나 chlordimeform, carobofuran, dikushuang, kitazin와 2,4-D, 2,4,5-T에 불순물로 일부 함유된 다이옥신(TCDD)에 노출된 바가 있는 집단을 대상으로한 연구를 통해서 보면 노출집단에서 생식 및 발달 장해가 유의하게 발생했음을 보이고 있다. 현재까지 진행된 연구를 가지고는 아직 명확한 추론은 어렵지만, 남성 또는 여성 농업인의 농약 노출이 모두 생식 및 발달 장해를 유발할 수 있다는 증거가 점차 많아지고 있는 것은 분명하다. 

유기인계 농약은 주로 신경계에 대한 급성독성으로 유명하지만 최근 연구결과들을 보면 비교적 명확하게 신경계에 만성적인 장해를 유발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유기인계 급성 중독이 있은 뒤에 회복한 환자를 장기 추적 조사한 결과 급성중독증이 반드시 가역적인 것은 아니라는 사실이 밝혀졌다. 신경계에 비교적 지연되어 나타나는 유기인계농약에 의한 지연성다발성신경증(organophosphate-induced delayed polyneuropathy; OPIDP)이 대표적인 예이다. OPIDP는 가장 잘 알려진 말초신경계 장해로 다리와 팔의 마비와 같은 감각신경계의 변화로부터 시작해서 다리 경련과 허약 그리고 심한 경우 사지근육의 마비로 이어질 수도 있다. OPIDP는 유기인계농약이 NTE 효소(neuropathy target esterase)를 일정수준(70%)이상 인산화하여 억제시키면 효소의 변성이 일어나 증상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유기인계와는 달리 카바메이트계는 아직까지 비가역적인 말초 신경계 장해와는 관련이 없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 
유기인계 농약은 사용규모가 크고 2 차 대전 당시 실제로 신경가스 무기로의 가능성이 검토되었던 것으로 유기인계 농약의 중추신경계 장해에 대한 연구는 관심의 대상이 되어 왔다. 중추신경계에 대한 만성 건강영향 연구에서 기간의 중독 경험이 있는 사람을 대상으로 비교적 타당도가 있는 시험안(battery)을 가지고 조사한 결과 이들이 만성적으로 경계와 집중력, 정보 처리, 기억, 언어 능력 이상과 같은 인지적 장해와 신경심리적 장해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면역계 영향은 비교적 뒤늦게 관심이 모아진 분야이다. 면역기계에 이상이 생기면 암이나 혹은 기타 감염성 질환에 쉽게 이환될 수 있다. 면역기능이 저하된다는 점에서는 AIDS와 그 영향이 유사하다고 할 수 있다. 농업인은 실제 사망률과 대부분의 암이 일반인구 집단보다 낮게 나타나고 있으나 호지킨병(Hodgikin's disease), 비호지킨 병( non-Hodgikin's disease), 백혈병, 골수종, 흑색종 등과 같이 모두 면역계와 관련된 암이 일반인구 집단 보다 많이 발생하고 있다는 점에서 관련 연구자들은 농약 노출이 면역학적인 기전을 통해 암을 유발하고 있을 가능성에 대하여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실제로 지금까지 농약에 노출된 농업인에 대한 면역학적인 여러 조사에서 임파구 세포의 수적 감소나 변이, 기능의 감소 등이 유의한 것으로 관찰되었다. 이는 또한 실험실 및 기타 야생의 동물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면역독성은 농약의 등록과정에서 평가항목이 아니다. 

농약관리 사례 - 미국의 예

설명한 바와 같이 농약은 급성으로 많은 사상자를 만들고 있고 만성적으로도 심각한 문제를 야기할 수 있는 충분한 개연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많은 국가에서는 농약에 대한 특별한 관리를 법제화하고 있다. 이것은 농약의 개발, 제조, 유통 및 사용 그리고 사용후 잔류 혹은 이동 등에 관한 규정을 담고 있다.
현재 전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농약의 개발과 사용이 이루어지고 있는 미국은 이미 1910 년부터 관련법을 제정하여 농약관련 전 과정에 대한 관리를 체계화하고 있다. 미국에서 농약은 FIFRA(Federal Insecticide, Fungicide, and Rodenticide Act)와 FFDCA(Federal Food, Drug, and Cosmetic Act) 등의 관련법이 있고 EPA(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가 관장한다. FIFRA에서는 EPA가 농약에 농약등록 권한을 부여하고 있으며 그 사용환경을 미리 규정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FFDCA에서는 EPA가 식품에서의 농약잔류의 최고허용수준(Maximum acceptable level)을 결정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관련법은 EPA가 농약의 사용환경을 결정할 때, 농약이 보건과 환경에 줄 수 있는 위험에 대비하여 농약사용으로 인한 효과를 평가하도록 정하고 있다. 등록신청자는 EPA에 독성 및 기타 보건관련 정보를 제공 해야하는데 모두 같은 절차를 밟는 것은 아니고 그 사용 패턴, 고유한 독성 등에 따라 약간씩 달라지긴 하지만 대략 <표 4>와 같은 항목에 대한 자료를 제출해야한다. 주목할 부분은 재출입 기준설정을 위한 시험이다. 이것은 비교적 독성이 강한 농약원제를 등록할 때는 현장에서 방제후 어느정도의 시간이 지나고 다시 들어가서 일해도 좋은지를 결정하는 것이다. 한편, 항공방제나 기타 살포반경이 큰 기기를 이용해 살포할 때 목적외 생물이나 이웃한 주민들에게 줄 수 있는 영향을 평가하고 규제하기 위한 자료도 요구된다. 과거에 이미 등록되어 사용되고 있는 농약은 등록 시험안이 추가되면 관련자료를 EPA에 제출하여 등록 지속여부를 재검토 받아야 한다. EPA와 전문가 위원회(SAP; Scientific Advisory Panel)에 의해 위험과 효용에 관한 평가를 통해 환경 및 사용자에 대한 영향이 큰 것으로 평가되는 농약은 생산이 금지되거나 또는 ‘제한사용(restricted use)'으로 규제가 가해진다. ’제한사용‘ 농약은 위험이 크지만 대체물질이 없는 경우 그 사용을 규제하는 방법이다. ’제한사용‘ 농약은 반드시 인증 받은 사람(certified applicator)이 사용해야 한다.


최근에 미국은 농약관리에서 아주 중요한 법안을 통과시켰는데, FQPA(Food Quality Protection Act)는 농약과 관련한 기존의 두 개의 법, FIFRA와 FFDCA에 대한 일대 개정을 선언한 것이다. 이 법에서는 기존의 관리기준설정에서의 맹점을 최소화하기 위해 향후 기준의 설정 및 평가과정에서는 모든 경로를 통한 화학물질 노출을 합산과 태아나 어린이의 민감성 및 내분비 교란 효과를 고려할 것을 법제화 하고 있다. 이 법에서는 또한 모든 농약이 앞으로는 주기적으로 재등록과정을 밟도록 정하고 있다. 이 기준은 농약관리에서 아주 중요한 변화라 할 수 있다. 이것은 명확히 미국이 향후 농약사용의 감축으로 정책적인 선회를 기하고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기도 하다. 한편, EPA는 시판되어 사용중에 있는 농약에 대한 감시의 일환으로 사람에 대한 농약의 독성관련 정보를 수집하고 있다. 현장의 임상의사들에게 관련 환자에 대한 보고를 권고하고 있고 환례를 알고 있는 의사들은 제조회사나 EPA로부터 도움을 얻을 수 있다. 특히, 캘리포니아주는 보고를 강제규정으로 하고 있어 그 보고자료들은 대표적인 사후독성평가 자료로 전 세계적으로도 활용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EPA는 독성이 비교적 강한 농약에 대해서는 현장 농업인들에 대한 노출측정을 통해 노출한계(margin of safety) 초과여부를 감시하고 이를 농약 재등록평가 과정에 반영하고 있다. 한편 노출측정은 상시화 되어 있어 일련의 데이터베이스(PHED; pesticide handler's exposure database)로 만들어지고 있어, 예방사업을 위한 중요한 자료로 이용되고 있다. EPA 만이 아니라 미국산업안전보건연구원(NIOSH, National Institute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에서는 1980년대부터 농업에 대한 안전보건연구를 위해 미국 전역 10 곳에 농업안전보건연구센터를 설립하고 농업안전보건문제의 규모파악 그리고 예방을 위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가장 대표적으로 엄청난 농업인구집단을 대상으로한 역학조사인 ‘농업보건연구사업(Agricultural Health Study)’이 진행되고 있으며 이 결과가 나오면 이 분야에서 그간 알 수 없었던 많은 사실을 알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우리의 현황과 전망

WHO와 ILO 는 공히 개도국 농업인들을 농약노출과 중독에 가장 취약한 집단으로 상정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단위면적당 세계 2위( ‘98 OECD)의 농약사용량을 가지고 있는 상황에서 상황이 좋은 미국의 관련 사정을 단순 비교할 수 없음에도 모든 농약에 대한 사전정보와 사후 감시자료를 차용하고 있는 형편이다. 우리나라에서 그 동안 진행된 농업인의 급성 농약중독에 관한 조사에 따르면 연구에 따라 약간씩 차이는 있지만 대략 조사대상 농업인의 20 - 40 % 가 농작업과 관련된 급성중독 경험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 만성영향에 대해서는 관련한 연구가 전무하여 알 수 없으나 급성독성의 빈도가 높은 점 그리고 우리나라의 농약 사용규모가 많다는 점 등을 고려할 때 만성영향의 문제 또한 심각한 수준일 것으로 짐작된다. 그러나 ’농업인의 직업적 농약사용과 만성적인 건강영향‘을 조사하고 관리하기 위한 체계가 없다. 농약관리법을 비롯한 관련법에서 이것을 다룰 수 있는 여지는 현재로는 없다. 아마 그것은 너무나 큰 욕심일지 모르겠다. 왜냐하면 법을 바라기에 앞서 그러한 개념을 담은 적당한 언어조차 없다. 우리나라에서는 낯설기 때문이다. ‘농약안전사용기준’은 잔류기준을 초과하지 않도록 수확과 방제를 조절하는 것을 이르는 개념으로 고착되어 있고 농약의 위험성에 관한 관심사는 온통 농산물의 농약잔류문제로 향해 있다. ‘환경호르몬’ 소동에서도 마찬가지였다. ‘환경호르몬’의 64% 이상이 농약이라는 사실이 농업인들이 자신의 건강영향 가능성에 긴장하도록 하기 보다는 더욱 삼엄해질 잔류검사에 애태우도록 만들고 있다.
향후 대안에 있어서 일반적인 보건문제의 해결을 위한 방법론을 적용할 것을 다음과 같이 권고하기란 어렵지 않다. 농업인의 직업적 농약노출 문제로 인한 규모를 파악하기 위해 보고체계를 만들고 모니터링을 상시화하며 잠정적인 안전관리기준을 제시하고 이를 현장 농업인들에게 교육하고 그 결과를 평가할 수 있는 일련의 체계를 갖추는 것이라고 말이다. 그러나 이렇게만 말하고 보면 참으로 무책임하다는 생각이 든다. 중요한 것은 농업, 농촌이라는 특수한 현실 상황에서 이것을 어떻게 가능하도록 할 것이냐 하는 구체방법론이 빠져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점에서 가능한 구체적 방법의 예를 당면 한국농업의 미래방향이라고 하는 ‘환경농업’이 농업인의 농약으로 인한 건강영향문제와 어떤 관련성을 지닐 수 있는 지를 통해 찾아보고자 한다. 일단 ‘환경농업’이 실천되기 위해 필요한 것은 가장 중요한 주체인 농업인의 문제의식과 필요성에 대한 자각이다. 그러나 현 상황은 이것이 농업인 전반에 확산되었다고 보기 힘들다. 연구에 따르면 농업인들은 환경문제에 대한 인식과 실천이 도시인들에 비해 떨어지는데 농약중독의 경험이 있는 농업인들은 그렇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농업인들은 농약과 건강의 문제를 통해 환경문제를 인식하고 실천하기가 쉽다는 것이다. 여기서 ‘환경농업’의 목적을 토양보존이나 식품안전성 확보만이 아니라 농업인의 건강보호라는 목적을 명확히 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농업인들은 자신의 토지가 황폐화갈 뿐만 아니라 자신의 건강도 황폐해 가고 있음을 알 때 ‘환경농업’ 실천에 더 적극적일 것이며 이것이 명실상부한 ‘환경농업’일 것이다. 이러한 자발적인 참여가 가능하도록 유도하는 과정 속에는 농약으로 인한 농민의 건강영향에 대한 더 많고 다양한 국내의 연구와 농업인에 대한 교육의 확대가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



※ 이 글은 제가 2000년 '농약에 의한 농업인의 건강장해와 대책'이란 제목으로 농촌생활과학회지(2000; 21(2):68~76)에 게재한 것입니다.


728x90
728x90




많은 사람들처럼 나도 전에는 RoundUp이 안전하다고 믿었다. 내가 생태학과를 졸업했던 1980년대로 돌아가면, 그걸 실험포장에서 풀을 제거하기 위한 "안전한" 제초제로 선택하곤 했다. 


몬산토는 계속하여 그들의 주력 제품이 안전하다고 믿도록 만들려고 했지만, 자료는 점점 그 반대의 면을 말해주었다. 최근엔? RoundUp —현재 선천적 결손증(birth defects)에 연결된— 이 우리의 물과 대기에 어김없이 나타나기에, 광범위하게 노출되었음이 거의 확실하다.


, RoundUp의 주요 성분인 글리포세이트Glyphosate는 미시시피와 아이오와 주에서 정부기관 연구자들이 실시한 최근 연구에서 채취한 모든 하천과 대기의 샘플에서 발견되었다. 그리고 그런 상황은 다른 주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미국 전역에 걸쳐, 그 농약은 2007년 옥수수, 콩, 면화, 벼의 농사에서 약 8만1천~8만4천 톤 이라는 양이 일상적으로 사용되었다 —다른 어떤 농약보다 더 많은 양.


그것이 농장에서만 쓰이지 않는다. RoundUp은 전국의 가정과 정원에서 가장 일상적으로 사용되는 농약 가운데 두 번째이다.


과학자들이 몬산토의 안전신화를 부수다


글리포세이트는 최근 선천적 결손증*에 연결되어 있고, 매우 낮은 수준에서 태반세포를 죽이고 인간의 호르몬체계를 교란시킬 수 있다고 한다. 그러나 규제당국은 여전히 지하수를 오염시키는 잠재성에만 신경쓰고 있다


SafeLawns은 최근 환경보호청(EPA)이 글리포세이트를 고독성으로 분류해 놓지 않았는데, 그걸 흡입하면 인간의 소화체계에서는 발암물질로 알려진 N-nitrosoglyphosate로 변화하여 고독성이 될 수 있다고 지적한다. 


최근 미시시피와 아이오와에서 수집된 그러한 종류의 자료를 보지 못했다는 이유로, 대기와 물에 있는 농약을 시험하는 일이 비용이 많이 든다고 할 수 있다. 건강에 대한 영향을 독립적으로 시험하는 것도 사치스러울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어떠한 제품을 지속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명확히 해야 하는 부분이다. 우리는 노출되었는가? 해는 없는가? 아이들의 건강과 성장에 어떤 영향을 주는가?


상싱적인 해결책 하나: 제조업체는 시장에서 그들의 농약을 꾸준히 팔고자 한다면 그러한 시험 기금을 조성해야 한다.


결국 EPA는 조치를 취하는 데 동의하다


EPA는 글리포세이트를 계속 판매할지 사용에 어떠한 제한을 둘지 결정하기 위해 2015년을 설정했다 .


우린 과학이 그 농약이 인간의 건강에 해롭다는 걸 명확히 밝혀도 규제과정이 한심스럽게도 느릴 수 있음을 알고 있다. 그러나 이는 대중운동의 노력을 위해 하나의 중요한 선례를 남길 것이다. 한편 몬산토의 가장 잘 팔리는 제품이 심각한 위협을 일으킨다는 것을당신 자신과 친구들에게 알리고, 딱 잘라서 없앨 수 있도록 인민의 목소리를 조직하는 걸 돕자.


글리포세이트에 더 많은 혐의가 있다 —인간의 건강에 대한 추가적인 충격부터 식물과 토양의 건강(내 전공)에 심각한 충격을 준다는 것까지. 계속 지켜보자.


* 편집자 주: In a previous version of this blog, we mis-characterized the link between RoundUp and birth defects by stating that exposure is "known to cause" birth defects. While the referenced report does provide evidence linking RoundUp exposure to birth defects in laboratory animals, the translation of this evidence to effects on humans at real world exposure levels is still unclear. We regret any confusion. 


출처 http://www.panna.org/blog/roundup-roundup-everywhere


728x90
728x90

 

그린피스에서 제작한 글리포세이트 성분의 제초제 Roundup과 그에 저항성을 가진 유전자조작 작물 이야기...

 

 

제초제저항성과GM작물.pdf

제초제저항성과GM작물.pdf
2.45MB
728x90

'곳간 > 문서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녹조현상  (0) 2012.08.08
전국 생협 매장  (0) 2012.08.07
식물공장과 LED 조명의 과학적 고찰 (5)  (0) 2012.08.03
한국 육류소비량  (0) 2012.07.29
육류 소비구조의 변화와 전망  (0) 2012.07.29
728x90

1. Use of pesticides is intensified in Brazil
2. The problem of secondary pests


NOTE: The use of pesticides continues to rise in Brazil as GM crop planting increases, according to an article (item 1 below) published in the country's leading economics and finance newspaper, Valor Economico.

A man from Brazilian agribiz consulting firm Celeres tries to mitigate the damage caused by these findings by claiming that without GM crops, the rise in pesticide use would have been even greater.

And a man from the pesticide industry association Sindag claims that prior to this trend, Brazilian agriculture was suffering from pesticide "under-dosing"! This creative argument strikes us as equivalent to claiming that someone who has cancer was suffering from a shortage of chemotherapy before they fell ill.

A second article from Valor Economico (item 2 below) reports that Brazil's Bt maize crop, engineered to kill Armyworm caterpillars, has been threatened with infestation by aphids. only a return to chemical insecticides saved the crop.
---
---
1. Use of pesticides is intensified in Brazil
By Gerson Freitas Jr. | Sao Paulo
Valor Economico (Brazil)
July 30, 2012
English translation of Portuguese original, "Uso de defensivos e intensificado no Brasil"
http://www.valor.com.br/empresas/2768478/uso-de-defensivos-e-intensificado-no-brasil
Access to article by subscription only at http://www.valor.com.br/

Brazilian farmers are using more pesticides on their crops. Despite the significant growth of the area cultivated with transgenic seeds, a technology that promises to reduce chemical use in agricultural production, sales of these products increased by over 72% between 2006 and 2012 - from 480,100 to 826,700 tons – according to data from Sindag, the association that represents pesticide manufacturers in the country.

In the same period, the area planted with grains, fiber, coffee and sugar cane grew by less than 19%, from 68.8 million to 81.7 million hectares, according to the National Company for Supply (Conab). This means that the average consumption of pesticides, which was little more than 7 kilograms per hectare in 2005, rose to 10.1 kilograms in 2011 - an increase of 43.2%.

Trend is kept

In spite of increase of GM crops, sales of pesticides continue to grow.

Genetically modified crops increase in the country
 
Adoption of biotechnology by States from 2005 to 2011 in million hectares

Chart - Genetically modified crops increase in the country
 
Soy leads
 
Main GM crops in the country in million hectares

 



Among the major categories of products, sales of fungicides were the fastest growing. Between 2006 and 2011, the annual use of the product to combat diseases like soybean rust more than tripled, from 56 thousand to 174 thousand tons. Sales of insecticides advanced almost 84% from 93,100 to 170,900 tons. In turn, supplies of herbicides, chemicals used to fight weeds, reached 403,600 tons - an increase of 44% compared to 279,200 tons recorded in 2006.

Sales of pesticides turned nearly $8.5 billion in Brazil in 2011 - twice the number found in 2005. This is the second largest market in the world, behind only the United States.

The significant increase in the use of pesticides occurred in the same period in which the cultivation of GM crops gave its big leap in the country. Since 2005, the year Brazil enacted its Law on Biosafety, the area planted with genetically modified seeds has more than tripled, from 9.4 million to 32 million hectares. only the cultivation of GM maize with Bt technology - which protects the crops from the attacks of caterpillars and avoids the use of insecticides for this purpose - jumped from zero to nearly 10 million hectares, according to the latest data from consultancy Celeres.

Anderson Galvao, Celeres CEO, says there is no contradiction in increased sales of both transgenic and pesticides. "While biotech assume a lower use of pesticides, the baseline is very low," he explains. He argues that until the middle of last decade - lean years in Brazilian agriculture - farmers applied less chemicals than necessary to combat pests in crops because of the need to cut costs. With rising incomes in recent years, however, producers were able to invest more in dealing with plantations. "Were it not for biotechnology, this growth would have been even greater," he says. "The fact is that the technological intensity of production is growing. What we had before was a problem of under-dosing," says Ivan Sampaio, manager of information at Sindag.

Narciso Barison Neto, president of the Brazilian Association of Seeds and Seedlings (Abrasem), states that part of the increase in pesticide use due to the arrival of Asian soybean rust in the past decade. "The control of the disease required a greater number of applications. And then it is immaterial whether soy is genetically modified or not, because we do not have a product that is immune to rust," he adds.

Anyway, the benefits of biotechnology in relation to the use of pesticides in the plantations are still marginal. According to Celeres, the planting of transgenic seeds spared the use of 4900 tons of pesticides in the 2010/11 crop - less than 1.5% of the total volume sprayed. As from the season of 1996/97, time when the first transgenic arrived in Brazil, the cumulative savings did not exceed 14,500 tons.

Celeres project, however, that the gains will be more significant in the next decade, with the consolidation of technology and the arrival of new varieties in the country, such as soybeans resistant to insects. At the end of season 2020/21, Brazil will have left to consume just over 146 thousand tons of pesticides, they estimate.

Corn and cotton, which account for approximately 22% of pesticides sold in the country, are the crops that have most benefited by the adoption of biotechnology. According to Celeres in the 2010/11 crop, GM maize crops of Parana, insect resistant and herbicide tolerant, required 24.7% less pesticides in the harvest of summer than conventional tillage (4.5 pounds compared to 6.2 kilograms per hectare). In Mato Grosso, in transgenic cotton plantations (also insect resistant and herbicide tolerant), the reduction was 2.8% (13.6 pounds compared to 14 kilograms per hectare) on average.

However, transgenic soybean crops - a crop that alone uses 48% of all pesticides sold in the country - require more intensive use of pesticides than conventional soybeans. In Parana, for example, the fields with the Roundup Ready Technology (RR) of Monsanto consumed an average of 3.6 kilograms per hectare of agrochemicals, 16.2% more than the 3.1 kilograms consumed in conventional [soy] crops. The advantage to the producer is the management: in RR crops, they replace several herbicides by one product, glyphosate, but in larger doses.

Other factors contribute to offset the potential positive effects of biotechnology on pesticide use, such as the increasing resistance of weeds to glyphosate and the emergence of secondary pests (see article below). "The fungal disease has never been a big concern as regards the maize crops because the focus has always been the control of the caterpillar. Since this problem was solved with GMOs, producers now have to worry about [fungal disease]. Therefore there is likely to be an increase in sales of fungicides for corn in the coming years," Galvão predicts.
---
---
2. The problem of secondary pests
English translation of Portuguese original, "O problema das pragas secundarias"
By Janice Kiss | São Paulo
Valor Econômico, July 30, 2012

The maize-aphid (Rhopalosiphum maidis), an insect that sucks plant sap and leaves malformed cobs, never posed a threat to farmers in Jatai (State of Goias), one of the major production centers of winter maize in the country. But in April, the pest showed indication of its danger when it was about to attack a good part of the 150,000 hectares of the 2011/12 [Bt corn] crop in the region. "It was one of those scares," recalls Luis Batista, an agronomist at Pioneer.

The damage was only averted - did not affect 10% of the harvest that was completed earlier this month - because farmers received the alert, from the company itself and producer associations, that they should spray their crops at full flowering stage, with application of insecticide at a cost of $ 40 per hectare. only it would end in a mess that was to come," says the agronomist.

The worry of the growers in Jatai was proportional to the scale of adoption of Bt corn, which reached 85% this season's crops, and tends to reach its entirety next year. The crop is resistant to the caterpillar (Spodoptera frugiperda, Fall Armyworm), the main pest attacking conventional crops and is caused damages in the past in the order of USD 400 million per year according to Embrapa Maize and Sorghum (MG).

"The technology has allowed the producer to suspend the application of insecticide to combat the caterpillar - three to four sprays when the crop was conventional," says Batista. But the aphid, which is considered a secondary pest, took advantage of the absence of the product. "Luckily, only one application was enough to keep the crops unharmed," says the agronomist. According to him, this will be the recommendation from now.

The worries of the producers of Goias is one more case that casts the reputation of GM crops into doubt, with the question of how such a cutting-edge technology, which took a number of years of research and hundreds of millions of dollars to be developed, can be susceptible to secondary pests such as the maize aphid. In Luiz Batista's assessment, the producers were lulled into a false sense of security by the claimed advantages. "They failed to take into account that agriculture is not an exact science," he says.

Eltje Loman, a producer in Ponta Grossa (PR) and general manager of the ABC Foundation, a research institution formed by the Parana Agrofarming Cooperatives Capal (Arapoti), Batavo and Castrolanda, shares the opinion of the agronomist. "When GM emerged, many producers believed that agriculture would be simplified," he says.

As an agronomist engineer, he knows there is no easy job in this area. one must remain alert to the attack of pests, understand that the area of refuge serves to decrease the incidence of resistant pests, and continue to deal with weeds such as Buva (Conyza bonariensis) and Bitter Grass (Elionurus candidus), which have proven resistant to glyphosate used in connection with Roundup Ready (RR) soy, the most commonly used herbicide in the world, and which have propagated wildly in plantations in Rio Grande do Sul and Paraná. They became a problem for the technology that promises to facilitate handling and reduce the use of pesticides, the reasons for its advantage being to provide gains of up to $66 per hectare, according to studies carried out by the Institute of Agricultural Economics (IEA).

To control them, the researchers insist on the ABC Foundation's guidelines for operating the farm: rotation of crops, use of herbicides with different active ingredients (so that the weeds do not grow resistant to them), observing the timetable for applications and 10% of safe haven (refuge areas) in the case of soybeans, as required by law. "Those who did not observe the use of refuges, spent about $150 per hectare, with two or three applications of pesticides to control the presence of weeds," says Loman.

The advantages propagated regarding transgenic crops, which promise a yield 10% higher on average took a while to convince the 2350 producers belonging to the ABC Group, formed by the same cooperatives that make up the foundation. They saw no reason to abandon the cultivation of conventional soy. "We thought that the transgenic varieties made available at the time were not as efficient," recalls Eltje Loman.

Since 2008, genetically modified crops (soybeans and Bt corn later) began to make advances in the region. Today, they occupy 70% of 100,000 hectares belonging to the group. For Loman, the late adoption of technology helped to understand it better and he does not believe that it alone would solve traditional problems of agriculture - such as resistance to pests and weeds. The region now produces 3,400 kilograms of grain per hectare, above the national average of 3000 kilograms.

The researcher Dionysius Gazziero Pisa, of Embrapa Soja (Paraná) studies weeds since the 1970s and knows that in order to contain them, there is no recipe to replace the crop rotation with wheat and oats for the South and the use of herbicides with different mechanisms of action. "This is the basic manual of agriculture, no matter the technology used," he analyzes. But the researcher recognizes that it is not easy to change the double soy/maize crop to a less profitable crop such as wheat. "Economic pressure leaves no other alternative," he says.

The above articles were published in Brazil on July 30, 2012. The English translation prepared by Cert ID is to inform the buyer market in Europe and other regions about the ongoing situation of agriculture in Brazil, particularly soy, and the use of pesticides in the country.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