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농약90

꿀벌 문제가 임계점에 다다랐다 By Claire Thompson Photo: Pesticide Action Network North AmericaAnyone who’s been stung by a bee knows they can inflict an outsized pain for such tiny insects. It makes a strange kind of sense, then, that their demise would create an outsized problem for the food system by placing the more than 70 crops they pollinate — from almonds to apples to blueberries — in .. 2012. 5. 13.
농업노동자는 위험한 농약에 노출되었다 http://www.raleighproductsliabilityattorney.com/2012/01/agricultural-workers-exposed-to-dangerous-pesticides.shtml 농약은 독성노출과 제조책임 의혹을 빈번하게 사는 제품이다. 그리고 노스캐롤라이나는 그러한 농약으로 인한 농업노동자의 상해를 막으려고 주도권을 잡고 법률 제정과 대책본부를 꾸리는 선두에 .. 2012. 3. 20.
농약 사용에 대한 유전자조작 작물의 영향 13Years20091116.pdf 2012. 2. 27.
병충해, 농약, 다양성 상실 요즘 잡곡 농사에서 가장 어려운 것은 새 문제. 조, 기장, 콩... 심어 놓으면 새들이 잔치판을 벌이느라 씨도 건지기 힘들다. 도대체 왜 이리 새판일까? 나름 궁리를 하다 내린 결론, 이 자식들 천적이 없으니까 극성이다! 아마 고라니, 멧돼지가 창궐하는 것도 비슷한 이유가 아닐까? 조사.. 2012. 2. 27.
생태농업으로 행성을 식히고 먹고 살기 망가진 식량체계를 바로잡기 위하여 우린 우리의 맘을 고쳐 먹어야 한다. "고쳐 먹는다"는 것이 무슨 뜻인가? 그걸 이해하려면 이렇게 해보라. "농업"이란 말을 들었을 때 무슨 생각이 떠오르는가? 나무 한 그루나 상추 하나인가, 미국 중서부의 끝없는 밭인가? 만약 네 생각에 떠오르는 첫 번째 것이 드.. 2011. 8. 26.
흰쌀밥에 고깃국 동족상잔이란 처참한 일을 겪은 뒤, 언제부터인지 정확히 모르겠으나 하나의 유령이 남북한을 떠돌아다니게 되었다. 그것은 바로 "흰쌀밥에 고깃국"이란 이름의 신화다. 누가 먼저랄 것도 없이 우리는 흰쌀밥에 고깃국을 먹도록 노력하자고 경주했고, 사람들은 평생 소원이 고깃국에 흰쌀밥을 말아 배.. 2011. 1. 1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