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The concept of companion planting, in which one plant helps the other, is the basic idea behind the Three Sisters, but focusing on this alone glosses over many of the nuances in native garden traditions.

Photo By Rob Cardillo Photography




Considering how corn, beans, squash and other “New World” foods have changed the course of human culture, the time is ripe to take a fresh look at Native American gardening. Here, within easy reach, is one of the greatest horticultural treasures — a system of gardening that is, by definition, an icon of biodiversity. Offering a rich array of unusual tastes and textures, the Native American garden is part and parcel of what I consider the “soul” of American food. And yet the full story is not exactly a happy one.


Years ago I had the pleasure of chatting with the late Gladys Tantaquidgeon (1899-2005), a Mohegan anthropologist with whom I discussed some of the pressing issues facing Native American gardening. She expressed frustration about Mohegan garden seeds not being preserved during the 19th century, and how this loss is reflected by what Mohegans — tribespeople from upstate New York and later Connecticut — grow in their gardens today.

Chief James “Lone Bear” Revey (1924-1998) of the N.J. Sand Hill Band of the Delaware Nation also devoted many hours to passionate discussion with me on the seed losses taking place among his people. The causes have been many — inroads of changing lifestyles, poverty, government programs forcing native peoples into a mainstream mold, the loss of foodways and native religions — and the results have at times been devastating.

But much has survived. There are perhaps two distinct Native American gardens: the stereotypical one many of us envision, consisting of just the “Three Sisters” (corn, beans and squash), and a more complex one that served not only as a source of food for native peoples, but was also an extension of their religions. For many tribes, each plant was assigned a specific spiritual role, and each part of the plant (the roots, stems, leaves and flowers, as well as the fruits) was imbued with deep meaning and a role in native healing practices.

Reproducing a Native American garden isn’t easy, which is why I’d like to make this a clarion call to find a way to preserve this heritage. This imperative is especially urgent given the spread of genetically modified corn and the radical manner in which it has transformed corn from the nurturing “mother” of Native American culture into a largely inedible, industrial material. The innate spirituality of this graceful plant has been grossly denatured. Planting a Native American garden is a rewarding way to recapture this connection with the Earth.



The Real Three Sisters Garden


The concept of companion planting, in which one plant helps the other, is the basic idea behind the Three Sisters, but focusing on this alone glosses over many of the nuances in native garden traditions. Growing plants to work together symbiotically — using hills of corn to serve as poles for beans, and interplanting this with squash to keep down invasive weeds — is as much about compatibility and harnessing nature to do part of the work as it is a study in what we take from nature and what we give back. Modern agribusiness is based on yields extracted from the land as though strip mining. The Native American garden, which was actually a form of small-scale farming, made the land richer — one reason why early settlers were eager to seize Native American fields.

Some of the earliest illustrations that have survived of Native American fields — depictions of patches of corn and squash from the 1580s — show no evidence of Three Sisters gardening. They do show a clear understanding of the separation of corn varieties so they tassel at different times and thus do not cross-pollinate. Some native peoples farmed with other mixes of plants. The Hopi introduced a fragrant wildflower into their gardens to attract pollinators. Other peoples intermingled their corn and beans with sunflowers, which make wonderful “poles” for beans that grow too tall to climb up cornstalks.

Native American gardens were fine-tuned to their local micro-climate, and this is a feature often overlooked by gardeners today. one seed does not fit all gardens. Native peoples maintained a wide selection of plants because they often moved around, so what may have worked well in North Carolina among the Cherokee may not have been successful on the Great Plains. The Pawnee of the Midwest, for example, maintained four sacred corn varieties, of which their white-flour corn, called “Mother Corn,” was the most highly venerated. If one failed, they had others they could rely on.

Native American Corn

Native corns are heartier and generally more drought-resistant and adaptable than modern-day industrial varieties. Choosing the right corn to grow in your region is important, especially because the corn more or less serves as the “framework” for a Native American garden. If you plan to save seed for next year, choose one variety of corn to grow at a time in a given area to prevent cross-pollination.


Pure strains of native corns are difficult to distinguish unless they’ve been carefully grown in isolation, such as those sold by Native Seeds/SEARCH, a nonprofit headquartered in Tucson, Ariz. Some Native American cultural museums sell seeds connected with their cultures, and Seed Savers Exchange in Decorah, Iowa, has many members who offer seeds believed to have come from Native American sources in its annual yearbook.

I have been growing native corns for many years and recently began large-scale grow-outs at Mill Hollow Farm near Edgemont, Pa. Two corns in particular — ‘Tutelo Strawberry’ (a short-eared flint) and ‘Delaware Indian Puhwem’ (flour corn) — have done extremely well, and seeds are available directly from the farm (see the chart key in Seed Varieties for Your Native American Garden). In the future, I plan to offer some Seneca corns, particularly ‘Ha-Go-Wa’ (hominy corn) and ‘Blue Bear Dance,’ as well as ‘Tuscarora’ flour corn.

Native American Squash and Beans

Locating authentic Native American squash for your garden will prove extra challenging, because many of the squash varieties have been “improved” over the years by plant breeders looking for characteristics that appeal to present-day cooks. ‘Early White Scallop’ and ‘Yellow Summer Crookneck’ are examples of this kind of improved plant stock. While both can be documented to the 18th century and earlier, they are somewhat different from the Native American originals. The old-style plants were vining rather than bush in habit, for example.

Aside from pattypan squash, finger squash and a few others, not many varieties of squash and pumpkins have survived from early Native American gardens, especially in the eastern part of the United States. I have been involved in a project in my own garden to recover Nanticoke “maycocks,” an old native name for summer squash eaten green. These squash probably represent a range of what native peoples were looking for in squash, as some are good for cooking fresh, some for drying, some for seed oil, and others for long-term storage.

There are a great many Native American beans, but few of them are preserved under their original Native American names. After quite a bit of research and some luck, I discovered that the meaty ‘Ohio Pole Bean’ — a favorite of mine — was actually an old variety grown by the Delaware, Potawatomi, Shawnee and Miami living in the vicinity of Ft. Wayne, Ind., in the 1790s. The ‘Amish Nuttle’ bean is another Native American variety that has come down to us under several non-native names. The chart in Seed Varieties for Your Native American Garden has many more recommended varieties.


 http://www.motherearthnews.com/organic-gardening/native-american-gardening-zm0z13fmzsto.aspx?page=3#ixzz2Iav870GO

728x90
728x90



코스타리카에서 실험하고 있다는 '수상 텃밭'. 영어로는 "Aquatic agriculture"라고 하여 호수나 연못 등지에서 농사짓는 방법이라고 한다.


정말 재밌는 발상이다. 물이 많고 땅이 부족한 곳에서 실천하면 좋겠다. 


이런 방법이 전통농업 가운데 있기는 하다. 

<농업이 문명을 움직인다>에 보면 "거대한 도시를 부양한 물 위의 채소밭" 장이 있는데 그 내용이 이와 상통한다. 

http://goo.gl/Dl4GZ


이러한 방법이 전통적으로 중남미에서 행해졌고, 위의 실험은 그걸 계승, 발전시키는 차원이라고도 볼 수 있는 것이다. 아무튼 세상에 완전히 새로운 건 없다. 그래서 어떤 학문이든 그 역사를 공부하고, 흐름을 익히고, 어떤 방향으로 나아갈지 살피는 것이겠지.

농사도 마찬가지다. 


아래는 가디언에 뜬 이 방법을 연구 중인 사람과의 인터뷰 내용이다(http://goo.gl/kUgc4).



코스타리카 대학의 water science 교수 Ricardo Radulovich 씨는 아프리카는 물이 부족하여 관개가 제한적이고, 빗물 의존 농업은 긴 건기와 변화무쌍한 우기의 강우량에 영향을 받는다고 지적한다. 그에 해당하는 서아프리카의 사헬 지역은 점점 가뭄이 빈번해지고, 지난해에는 기근을 막기 위해 긴급구호가 필요했다. 

허나 Radulovich 씨는 아프리카의 호수가 아프리카 대륙의 농업문제를 해결하는 새로운 대책의 일부가 될 수 있을 거라 본다. 몇몇 아프리카 국가에는 호수가 있는데, 일부는 매우 넓어서  15만 평방킬로미터 이상인 곳도 있다. 그는 왜 거기서 고기잡이 외에 식량과 수생식물을 기르지 않는지 의문을 가지며 물 과학자가 된 10년 전부터 고민을 시작했다. 

"핵심 문제는 물이다"라고 전화 인터뷰에서 Radulovich 씨가 말했다. "우리는 땅은 있지만, 물은 제한적인 요소이다. 물만 있으면 농사를 지을 수 있다. 호수 표면을 작물과 수생식물을 재배하는 데 활용할 수 있다면, 물을 낭비하지 않아도 된다."

Radulovich 씨와 Schery Umanzor 씨가 포함된 팀은 이미 2001년 니코야Nicoya 만의 바다에서 행한 실험의 연장선으로 니카라과의 호수에 뗏목을 띄우고 상추, 토마토, 오이, 머스크멜론 등을 재배하는 모범이 되는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토마토 뿌리는 물속으로 뻗거나 화분에 매단 면으로 된 줄을 따라 물속으로 뻗을 수 있다. 

뗏목의 크기는 6평방미터까지 다양하게 만들 수 있고, 예를 들면 페트병 같은 걸로 쉽고 값싸게 만들 수도 있다. 원예로 인하여 물이 오염된 곳에서는 화훼를 하면 된다. 물에서 작물을 재배하는 일의 장점 가운데 하나는 노지에서 기르는 것보다 벌레가 꼬이지 않는다는 점이다. 

그 팀의 선구적 기술은 캐나다 정부가 자금을 지원하는 위대한 도전(Grand Challenges Canada)에서 10만 달러를 받았다. 개발도상국의 혁신을 대상으로 하는 위대한 도전은 그들의 발상이 효율적이라고 입증되면 100만 달러의 자금을 추가로 제공할 것이다.

또한 Radulovich 씨와 그의 동료들은 큰물개구리밥, 부레옥잠, 악어풀 같은 수생식물의 잠재력에 주목한다. 그는 수로를 어질러놓는 잡초라고 치부되기 일쑤인 그런 식물이 생물다양성을 풍부하게 하고, 큰 물고기를 끌어들이는 작은 물고기들와 달팽이의 영양원이자 서식지라고 본다. 예를 들어 부레옥잠은 잉어와 가축 같은 초식성의 먹이로 활용할 수 있고, 심지어 가루의 형태로 인간이 먹을 수도 있다고 한다. 


위의 사진이 바로 부레옥잠이다. 우리의 냇가나 연못가에 자라는 부레옥잠과 크기가 다르다! <농업이 문명을 움직인다> 중남미 편을 보면, 이미 인디오들이 수로에서 자라는 부레옥잠을 다양하게 활용했던 모습을 볼 수 있다. 이미 그때부터 이걸 가져다 사료로 쓰거나 아니면 거름더미에 넣어 거름으로 활용해 왔다. 그도 그럴 것이, 수로에다 흙을 돋워서 밭을 만들어 농사를 짓는데 농사지으면서 어쩔 수 없이 물로 흘러들어가는 영양분이 있을 것이다. 그렇게 흘러들어가는 양분을 부레옥잠 같은 물풀이 먹고 자라고, 그걸 가져다 다시 거름을 만드는 것이다. 또 부레옥잠 같은 물풀이 다양해질 수록 거기에 깃들어 서식하는 물고기들도 많아지기에 물고기가 좋은 단백질 공급원이자 시장에 내다팔 수 있는 상품이 되기도 한다. 


"현재 수로를 어지럽힌다며 골칫거리로 여겨지는 그들의 꽃을 수확하여 활용하는 새로운 추세로 나아가려 한다"고 Radulovich 씨는 말한다. "새로운 추세는 그것을 재배해야 한다. 이들 모두는 선발과 유전자 개량 프로그램을 시작하지 않아도 몇 년 안에 농업 개선에 일부가 쓰이는 것으로도 엄청난 발전을 이끌 수 있다."

Radulovich 씨는 특히 줄에 벼를 매달아 농사짓는 가능성에 들떠 있다. "물에 산소 함량이 낮아도 1년에 3번 벼농사를 지을 수 있다. 다만 경제적으로 그렇게 할 수 있는지는 모르겠다"고 한다.

우간다, 에티오피아, 필리핀, 말라위를 포함한 몇몇 국가는 수상 농업에 관심을 표현했다. 그러나 Radulovich 씨는 도전을 시작하기에 앞서 큰 장애물이 될 식습관 등을 포함한 문화적 변화를 기술적인 문제라고 본다. 

"만약 사람들이 그것이 필요하고 그렇게 한다면, 물 환경은 생물학적, 환경적 혼란이 없을 정도로 변화시키며 지능적으로 활용되어야 한다."


강연도 올라와 있음.


728x90
728x90


A wall supporting a hillside terrace used for farming outside Petra. 



(Phys.org)—A team of international archaeologists including Christian Cloke of the University of Cincinnati is providing new insights into successful and extensive water management and agricultural production in and around the ancient desert city of Petra, located in present-day Jordan. ongoing investigations, of which Cloke is a part, are led by Professor Susan Alcock of the Brown University Petra Archaeological Project (BUPAP). Ads by Google Tours & Hotels in Jordan - Guided Tours in Jordan for Groups and Individuals, Hotels, Car Rental - www.nawafir-tours.com Using a variety of tools and techniques, including high-resolution satellite imagery and optically stimulated luminescence (OSL) dating of soils, Cloke, a doctoral student in the Department of Classics at UC, and Cecelia Feldman, classics lecturer at UMass-Amherst, have suggested that extensive terrace farming and dam construction in the region north of the city began around the first century, some 2,000 years ago, not during the Iron Age (c. 1200-300 BC) as had been previously hypothesized. This striking development, it seems, was due to the ingenuity and enterprise of the ancient Nabataeans, whose prosperous kingdom had its capital at Petra until the beginning of the second century. The successful terrace farming of wheat, grapes and possibly olives, resulted in a vast, green, agricultural "suburb" to Petra in an otherwise inhospitable, arid landscape. This terrace farming remained extensive and robust through the third century. Based on surface finds and comparative data collected by other researchers in the area, however, it is clear that this type of farming continued to some extent for many centuries, until the end of the first millennium (between A.D. 800 and 1000). That ancient Petra was under extensive cultivation is a testament to past strategies of land management, and is all the more striking in light of the area's dry and dusty environment today. Cloke and Feldman will present their findings Jan. 4 at the Archaeological Institute of America Annual Meeting in Seattle, in a paper titled on the Rocks: Landscape Modification and Archaeological Features in Petra's Hinterland." Their research efforts are contributing to a growing understanding of the city, its road networks, and life in the surrounding area.

AGRICULTURAL SUCCESS FOLLOWED BY ANNEXATION Dating the start of extensive terrace farming at Petra to the beginning of the common era has important historical implications, according to Cloke, because this date coincides closely with the Roman annexation of the Nabataean Kingdom in A.D. 106. He explained, "No doubt the explosion of agricultural activity in the first century and the increased wealth that resulted from the wine and oil production made Petra an exceptionally attractive prize for Rome. The region around Petra not only grew enough food to meet its own needs, but also would have been able to provide olives, olive oil, grapes and wine for trade. This robust agricultural production would have made the region a valuable asset for supplying Roman forces on the empire's eastern frontier." Ads by Google Hydraulic Fracturing - The oil story no one's telling. How to invest in hydraulic fracturing - EnergyandCapital.com/Fracturing In other words, said Feldman, successful terrace farming and water management when Petra was at its zenith as a trading center added not only to the city's economic importance but to its strategic military value as well, because there were limited options in the region for supplying troops with essential supplies. TERRACES FOR FARMING AND DAMS FOR WATER MANAGEMENT on large stretches of land north of Petra, inhabitants built complex and extensive systems to dam wadis (riverbeds) and redirect winter rainwater to hillside terraces used for farming.   Rainfall in the region occurs only between October and March, often in brief, torrential downpours, so it was important for Petra's inhabitants to capture and store all available water for later use during the dry season. Over the centuries, the Nabataeans of Petra became experts at doing so. The broad watershed of sandstone hills naturally directed water flow to the city center, and a complex system of pipes and channels directed it to underground cisterns where it was stored for later use. "Perhaps most significantly," said Cloke, "it's clear that they had considerable knowledge of their surrounding topography and climate. The Nabataeans differentiated watersheds and the zones of use for water: water collected and stored in the city itself was not cannibalized for agricultural uses. The city's administrators clearly distinguished water serving the city's needs from water to be redirected and accumulated for nurturing crops. Thus, extensive farming activity was almost entirely outside the bounds of the city's natural catchment area and utilized separate watersheds and systems of runoff." These initial conclusions from the first three seasons of BUPAP fieldwork promise more exciting discoveries about how the inhabitants of Petra cultivated the outlying landscape and supported the city's population. The presence of highly developed systems of landscape modification and water management at Petra take on broader significance as they offer insight into geopolitical changes and Roman imperialism.

Read more at: http://phys.org/news/2013-01-unearths-terrace-farming-ancient-city.html#jCp


728x90
728x90

벼농사를 지어 쌀을 주식으로 삼은 한국인에게 논은 다양한 의미를 지닌다.


먼저 논은, 당연히 먹을거리를 주는 공간이다. 그런데 지금이야 '논=벼'라는 공식을 떠올리지만, 원래 예전의 논은 벼만 사는 곳이 아니었다. 논에는 물장군도 살고, 물방개도 살고, 개구리도 살고, 올챙이도 살고, 우렁이도 살고, 거머리도 살고, 드렁허리도 사는... 즉 다양한 생물들이 함께 어우러져 살던 공간이었다.


드렁허리는 이렇게 생겼다. 처음 보는 사람은 징그러워 할 수도 있는 생김새... 하지만 이 놈이 사는 논은 그만큼 건강하고 깨끗한 생태계라고 할 수 있다. 예전에 농민들은 이 놈을 귀찮은 존재로 인식했다. 그도 그럴 것이 물을 담는 것이 중요한 논두렁에 드렁허리가 구멍을 파고 살기 때문이다. 이게 구멍을 파면 그리로 귀한 논의 물이 빠져나가기 때문이다. 그런 구멍은 다시 논흙이나 풀더미 등으로 얼른 틀어막아야 한다. 그러지 않다가는 논의 물이 다 빠져나가기 십상이다. 얼마전 드렁허리와 관련하여 좋은 다큐멘터리가 방송되었다. 시간과 돈이 허락하는 분은 꼭 한 번 보시길 바란다(http://goo.gl/fpHKh)



그러던 것이 독성물질(농약)을 사용하는 농법이 퍼지면서, 또 농수로 등을 시멘트로 포장해 버리면서 그네들의 서식지가 사라져 논에서는 벼만 사는 공간이 되었다. 물론 지금도 풀이 자라고, 이러저러한 동물들이 깃들어 살기는 한다. 그런데 예전처럼 그들은 논의 '주인'이 아니라 '방문객'을 면하지 못하고 있다. 그나마 친환경 농업이 퍼지면서 그러한 논에서는 다양한 생물들이 돌아오고 있다는 반가운 소식이 들리기는 한다(http://blog.daum.net/stonehinge/8724728). 하지만 여전히 그 비율은 미약할 뿐이다. 유기농 인증을 받아 출하되는 곡류의 무게가 단 4만4000톤(http://goo.gl/CQ6xn). 곡류 전체를 아우르는데 그래도 쌀이 대다수일 테니 그 전체를 쌀이라고 놓고 봐도 통계청에서 발표한 2011년 전체 벼 생산량 422만4000톤의 1% 정도밖에 안 된다. 앞으로 그 비율이 더 높아지면 논에서도 훨씬 다양한 생물들이 함께 살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논은 홍수를 막는 댐의 역할을 수행한다. 한국은 여름에 집중호우가 쏟아진다. 이걸 모르는 한국인은 없을 것이다. 그런데 이렇게 여름철 집중적으로 쏟아지는 비가 벼에게는 생명의 물이 된다. 그 장마비를 쭉쭉 빨아먹으면서 쑥쑥 자라는 것이 바로 벼의 생장 특징이다. 그래서 논은 그 시기에 많은 물을 담는 것이 유리하다. 물론 그렇다고 논에 계속 물을 대놓기만 하면 안 된다. 뿌리도 한 번씩 콧바람을 쐬면서 숨을 쉬어야 튼튼하고 건강하게 자랄 수 있다. 아무튼 그렇게 논이 붙드는 물의 양이 2000년의 논 면적을 기준으로 연간 26.2억 톤이라 한다. 이게 어느 정도의 양이냐면, 소양강댐과 대청댐의 저수량과 같은 양이다. 그러니까 논만 잘 보존하고 농사를 지어도 대형 댐을 몇 개 짓지 않아도 되는 셈이다. 그런데 요즘 논이 여러 이유로 사라지고 있다. 개발 바람에 그러기도 하고, 논농사가 수지타산이 맞지 않으면서 논을 밭으로 바꾸고 있기도 하다(http://blog.daum.net/stonehinge/8727371). 그렇게 되면 우린 또 다시 대형 댐을 지어야만 할지도 모른다. 댐이 생기면 수몰되는 마을과 농경지가 생기고, 거기에 살고 있던 사람과 여러 생물들이 쫓겨난다. 지금도 이런 일은 비일비재하게 일어나고 있다. 여기 내성천에 영주댐이 만들어져 수몰된다는 마을과 사람들의 이야기를 보라 (http://goo.gl/7KcCW).




또한 수질을 개선시키고 산소를 공급하며 뜨거운 여름철 한낮의 열기를 식혀주는 역할도 한다. 하나하나 모두 이야기하기가 손가락이 아프다. 이 글은 이런 논의 공익적 기능을 이야기하려고 시작한 것이 아니지 않은가! 이 글은 바로 추어탕을 이야기하려고 시작했다. 추어탕!


추어, 즉 미꾸라지는 아주 재미난 생물이다. 아가미 말고 장으로도 숨을 쉴 수가 있어 물이 마른 곳에서도 진흙만 있으면 그리로 파고들어가 살아남을 수 있다. 또 그 미끌미끌한 몸통을 쥐는 감촉이란... 잡아보지 못한 사람은 말을 하지 말자. 

어린 시절 반도를 하나 들고 개울가나 농수로에 가서 돌덩이를 옮겨다가 물길을 막는다. 그러면 물이 점점 줄어들고 거기로 반도를 들고 뛰어들어가 고기몰이를 시작하는 것이다. 여기저기 수풀이 우거진 쪽을 발로 쑤시고 덤벙덤벙 뛰면서 반도가 있는 쪽으로 고기를 몰아서 결정적 순간 팍 들어올리면... 반도 위에 고기들이 펄떡펄떡 뛴다. 재수가 좋은 날은 메기를 잡기도 했다. 그렇게 잡은 고기로 매운탕을 끓여먹는 것이 여름철 동네 아이들의, 그리고 어른들의 재미이자 좋은 영양 공급원이 되었다. 굳이 개를 잡지 않아도 필요한 열량을 그렇게 섭취했다. 물론 그래도 어른들에게 최고의 보양식은 개였다. 그건 부인할 수 없다.


그렇게 미꾸라지를 잡기도 했다. 하지만 미꾸라지의 참맛은 논에서 잡는 것이었다. 논은 앞에서도 말했듯이 항상 물을 채워놓는 것이 아니다. 그렇게 농사짓는 사람은 초짜이거나 게으른 농부다. 진정한 농부는 벼의 상태를 봐가면서 '중간물떼기'라는 것을 한다. 중간에 한 번씩 물을 빼서 뿌리가 공기를 만나 숨을 쉬면서 더 뻗어 나가도록 하여 벼가 잘 자라도록 돕는 행위다. 그렇게 물을 뗄 때가 바로 논에서 다양한 먹을거리를 장만하는 때이기도 하다. 미꾸라지를 잡기도 하고, 붕어를 잡을 수도 있다. 미꾸라지를 잡아 먹기에 적당한 때는 이들이 겨울을 나려고 살을 찌우는 가을철이다. 특히 늦가을에는 진흙 속으로 파고들어가 겨울을 날 수 있도록 포동포동 살을 찌운다. 그렇게 살을 찌워 먹기 좋은 시점이 바로 벼를 베는 무렵과 겹친다. 보통 7월부터 먹을 수 있고 11월이 끝물이다. 곧 가을이 제철인 셈이다. 그래서인지 미꾸라지를 뜻하는 한자인 자는 물고기에 가을을 뜻하는 한자를 조합해서 만들었다. 즉 미꾸라지는 바야흐로 가을을 상징하는 대표적인 물고기인 셈이다. 그건 다른 여느 물고기보다 그 무렵에 먹는 것이 제맛이기에 그럴 것이다.


논바닥에서 꿈틀꿈틀거리는 미꾸라지를 보라. 이 어찌 징그러운가, 먹음직스럽지. (사진 http://goo.gl/FYavy) 



미꾸라지를 일부러 논에서 키우지는 않았지만, 생명이 어우러지는 논에서는 당연하게 만날 수 있는 생물이었다. 논에서 일부러 물고기를 양식하는 형태의 농법도 있다. 이를 바로 '벼논양어'라고 한다. 중국의 한 소수민족은 그렇게 논에서 잉어를 양식하여 시장에 내다팔기도 하고, 자신들이 먹을 양식을 마련하기도 한다. 이에 대한 '슈퍼피쉬'라는 훌륭한 다큐멘터리가 있으니 참고하시길 바란다(http://goo.gl/QnxrV). 

한국에서도 그런 방식을 활용하여 먹고 살아왔다. 논에서 벼만 재배하여 수확해 먹은 것이 아니라, 붕어도 잡고 다슬기와 우렁이도 잡아서 국도 끓여 먹으며 살아왔다는 말이다. 그리고 그 가운데 하나가 바로 추어탕이란 말씀이다. 지금 이러한 방식을 되살려서 논에서 벼도 재배하면서 미꾸라지도 길러 농가소득도 꾀하고 논의 생태계도 건강하게 하려는 움직임이 있다(http://blog.daum.net/stonehinge/8726973). 여기는 언젠가 꼭 찾아가서 취재를 하려고 생각중인 곳이다. 그때 더 자세한 이야기를 올리도록 하겠다. 그 방식의 장점은, 벼 이외의 미꾸라지를 소득원이자 영양 공급원으로 삼을 수 있다는 점만이 아니다. 바로 논도 건강하게 만들어 벼가 농약이나 비료에 의존하지 않아도 잘 자랄 수 있게 한다는 데에 큰 장점이 있다. 미꾸라지가 다니면서 흙탕물을 일으키면 작은 풀들이 제대로 자라기 어려워진다. 또 벼에 해를 주는 작은 벌레를 잡아먹고 소화를 시켜 똥을 사면, 그 똥이 자연스레 거름이 되어 벼가 먹고 자란다. 누이 좋고 매부 좋고, 도랑 치고 가재 잡고, 일석다조의 효과가 일어나는 것이다. 참, 이들이 모기의 유충을 잡아먹어서 인간에게 병을 옮기는 것도 예방하고 줄일 수 있다는 점도 잊지 말자.


모두 먹고 살자고 하는 짓 아닌가. 미꾸라지가 참 좋은 역할을 하지만 그것도 먹어야 제맛이다. 논농사가 전국 각지에 퍼져 있는 만큼 미꾸라지를 이용한 추어탕도 지역에 따라 다양한 요리방법이 있다. 크게는 남원을 중심으로 한 전라도식, 원주를 중심으로 한 강원도식, 그리고 서울 깍쟁이들이 즐기던 서울식, 털래기라고도 부르는 경기도식, 청도 또는 대구를 중심으로 한 경상도식으로 나뉜다. 하지만 크게 나누었을 때 그렇다는 말이지, 마을마을마다 집집마다 자신들만의 요리법과 즐기는 방법이 천차만별이다. 그래서 그걸 한데 묶는 것이 잘못된 것은 아닐까 하는 생각도 든다.



잡아라, 잡아라, 미꾸라지 잡아라!


 

남원을 중심으로 한 전라도식 추어탕이 현재 한국에서 가장 대중화된 추어탕이라 할 수 있다. 그건 바로 전라도 사람들이 농사를 지을 수 없게 되면서 서울로 많이 이주한 것과 깊은 연관이 있다. 떠난 사람이 많은 만큼 서울로 올라온 사람이 많고, 그들이 서울에서 남원식 추어탕을 만들어 먹으면서 가장 널리 퍼졌기 때문이다. 이 전라도식 추어탕은 들깨가 들어간 구수하고 걸쭉한 국물이 특징이다. 처음 시작은 1959년 경남 하동 출신의 서삼례 할머니가 남원의 광한루 옆에 있는 예전 육남시장 근처에서 추어탕 식당을 시작하면서 퍼졌다고 한다. 지금도 남원의 그 부근에 가면 수많은 추어탕 집이 영업을 하고 있으니 즐겨 보시길 바란다. 전라도식은 미꾸라지 육수에 된장과 다진 마늘, 생강즙을 넣고 끓인 다음 시래기와 파, 미나리, 부추, 토란대, 숙주 등을 넣은 뒤 들깨를 충분히 넣어 걸쭉하게 만들고 들기름을 넣어서 향을 더하는 것이 특징이다. 

 

경상도에서도 추어탕을 널리 즐겨 먹었다. 그런데 경상도식이 퍼지지 않은 것은 앞서 이야기했듯이 이주민이 적었기 때문이다. 지금도 경상도는 그냥 그 동네에서 살아가도 충분하지 않은가. 인구 비율에서 전라도의 몇 배나 되는 크기를 자랑할 정도로 말이다. 추어탕 요리법이 전국적으로 널리 퍼지지는 못했지만, 그게 역설적으로 그 동네가 먹고 살만했기 때문이라는 점을 보여주니 참 재밌는 역사다. 경상도식은 1950년대 초 상주 출신의 천대겸 할머니가 문을 연 대구의 상주식당과 1963년 청도의 김말두 할머니가 문을 연 의성식당이 그 시작이라고 꼽는다. 이 경상도식 추어탕은 미꾸라지를 으깨거나 미꾸라지 외에 여러 민물고기에다 된장을 풀고 우거지나 배추를 넣은 맑은 국물이 특징이다. 부산이나 경남 지역에서는 우거지나 배추말고도 토란대와 부추, 산초나 방아잎 등을 넣기도 한단다. 방아잎은 여름이 덥고 습한 경상남도에서 많이 활용하는 향신료이다. 일본에 가도 이와 비슷한 모습을 흔히 볼 수 있다. 아마 덥고 습하여 질병을 예방하거나 벌레를 쫓기 위하여 강한 향이 나는 음식을 먹는 듯하다. 동남아 사람들의 체취를 맡아 본 적이 있다면 쉽게 이해할 것이다. 참, 청도식은 미꾸라지보다 여러 민물고기를 더 많이 사용한단다. 청도는 역시 논보다는 계곡이 더 발달했기에 그럴지 모르겠다. 논이 있어도 저 큰 하천 옆에 들이 넓은 곳에 발달한 논과는 흙의 성질이 다를 것이다.


사진만 봐도 침이 꼴깍... 먹고 싶다... 청도식 추어탕...(http://goo.gl/2nqQF)



경기 북부 지방에서 발달한 경기도식 추어탕은 미꾸라지 털래기라고도 부른다. 그쪽에서는 추어탕보다 털래기라고 해야 알아듣는다는 사실을 잊지 말자. 이건 미꾸라지 매운탕의 일종으로, 무와 다시마를 우려낸 육수에 미꾸라지나 민물고기를 통째로 넣고 고추장을 풀어 끓인 다음에 여기에다 수제비나 소면을 넣어 어죽과 비슷하게 만들어 먹는다. 털래기는 여러 재료를 털어 넣고 끓여서 먹는다는 데에서 유래했다는 믿거나 말거나 하는 이야기가 있다. 

 

서론이 너무나 길었다. 사실 원주 가서 추어탕 먹고 왔다는 자랑을 하려고 글을 시작했는데 쓸데없이 주르륵 길어졌다. 이런 제길.

 

50년의 역사를 지닌 원주식 추어탕의 원조는 원주 복추어탕 집이라고 한다. 이 집의 특징은 된장 외에 묵힌 고추장을 풀어 미꾸라지의 잡내를 없애는 점이다. 거기에 강원도에서 흔하게 농사지어 구할 수 있는 감자와 미나리, 버섯, 시래기, 부추, 다진 마늘 등이 들어간다. 원래는 미꾸라지를 통채로 사용하는 것이 원주식이라는데, 손님의 기호에 따라 갈아서 내주기도 한다. 아무튼 다른 곳과 달리 '감자바우'라고 불리는 강원도라는 걸 내세우는 양 추어탕에 감자가 들어간다는 점이 매우 이채롭다. 감자가 들어간 추어탕=원주식이라고 생각해도 좋다.


밑반찬이 아주 깔끔하게 나온다. 겉절이도 맛있고, 열무김치도 일품이다. 뭐니뭐니 해도 살짝 얼은 동치미는 그 맛이 캬! 동치미 사랑해요. 엉엉. 



추어탕이 나오기 전까지 튀김을 시켜 먹었다. 아주 합리적인 점이 반 접시(6000원)만 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솔직히 두세 명이 가서 한 접시를 먹기에는 양이 좀 부담스러운데 이 정도 양은 별 부담없이 즐길 수 있어서 참 좋았다.


 

보이는가, 이 원주식 추어탕의 위엄이! 경배하라! 과연 된장만으로 맛을 낸 것이 아니라 고추장을 푼 모습을 빛깔로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버섯과 감자가 동동 떠 있는 모습을 보라. 이것이 바로 원주식 추어탕이다.



이 원주 복추어탕의 위치는 원주시 개운동에 자리하고 있다(주소 : 강원 원주시 개운동 406-13). 원주에 간다면 꼭 한번 먹어보시길 권한다.


728x90
728x90

인도 북부 펀잡 지역에서는 5억 명이 해마다 쌀과 밀을 먹고 산다. 그곳에선 농지에 남은 볏짚에 불을 지르는 전통농업의 농법이 있다. 그를 통해 이산화탄소 등이 배출되는 문제를 생각할 수 있다. 세계의 농업이 온실가스 배출에 30% 정도 기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더 지속가능한 방향으로 나아가야 하지 않을까? 그런데 어떻게? 아래 사진들을 보면서 그 대안을 고민해보자.




11월의 펀잡 지역, 농민들은 밀이나 채소의 씨앗을 심는다; 먼저, 농지를 정리하기 위해 불을 지른다. 이 사진은 동에서 서로 250km 이상 수천 곳에서 불을 지르고 있는 모습이다. 연기가 퍼져 위성의 카메라를 가리고 있다. 




펀잡의 Sangrur 근처에 사는 벼농사 농민이 자신의 수확물을 살펴본다. 이 지역에선 해마다 벼를 생산한 뒤 곧바로 밀 농사를 지어 약 5억 명이 먹고 산다.  펀잡 지역은 인도의 전체 농지 가운데 단지 약 1.6%를 차지할 뿐인데, 비옥한 흙과 발전된 농업 덕분에 인도에서 생산되는 밀의 약 1/5을 생산한다. 




농민은 벼를 수확하는 데 2주일 정도 걸리는데, 벼를 수확하고 밑둥이 한국보다 길게 남는다. 거기에 밀을 심는 것이다. 거기에 불을 질러 작물을 먹는 해충을 죽이고 볏짚이 거름으로 전환된다. 하지만 그때 발생하는 연기가 심혈관이나 호흡기 질환을 일으킬 수 있다.




수확하고 남은 볏짚을 불태울 준비를 하는 농민. 해마다 펀잡 지역에선 약 100만 헥타르의 볏짚이 2주일에 걸쳐 불타오른다.




값싸고 효과적으로 농지를 정리하는 방법이지만 –1헥타르를 재로 만드는 데 10분이 안 걸림– 12메가 톤의 이산화탄소와 기타 온실가스가 발생한다.




연기에는 이산화탄소만이 아니라 농약잔류물에 의한 독성 화학물질이 포함되어 있다. 그것이 토양비옥도를 감소시키는 원인이 되고 장기적으로 펀잡 지역의 벼-밀 돌려짓기 작부체계의 지속가능성을 위협하고 있다. 




대안은 있다: 행복한 파종기(Happy Seeder)로 알려진 이 트랙터가 끄는 파종기는 벼 밑둥을 베어서 덮개로 만드는 동시에 밀을 심는다. 그러나 주 정부에서 보조금정책을 펴고 있지만 대부분의 농민들에게는 기계값이 너무 비싸다.




손으로 수확해 탈곡하는 것과 같은 저차원적 기술 대안도 도움이 될 수 있다. 손으로 수확하면 볏짚을 최대한 길게 베어 농지에 밑둥을 거의 남기지 않기에 태울 필요도 없어진다. 그러나 탈곡한 뒤에 볏짚이 많이 남고, 그래서 몇몇 사업에서는 펀잡 지역에서 발생하는 이러한 볏짚을 수거하여 바이오매스의 에너지원으로 전기를 생산하거나 가축의 먹이로 활용하고 있다.




볏짚을 활용할 별다른 대안이 없는 사람은 여전히 그걸 태워버린다.





뉴델리의 인디아 게이트가 볏짚을 태우는 연기와 매연과 안개로 뒤덮였다.




http://www.guardian.co.uk/global-development/gallery/2012/dec/07/farming-sustainable-india-in-pictures?CMP=twt_gu#/?picture=400653863&index=9

728x90
728x90

미국의 농업이 지금처럼 대규모 단작 방식으로 변모하기 전, 그러니까 가족농이 농촌에 살면서 인력과 축력을 중심으로 농사를 짓던 그 시절...

호랑이가 담배 먹던 그 시절의 모습이다.


지금이야 대형 농기계를 타고 다니며 땅을 갈고 수확하며 하늘에선 비행기가 날아다니며 농약을 뿌리는 그런 시대이지만, 과거 미국도 사람들이 힘을 모아 농사짓던 그런 날이 있었다. 


그때 탄생한 농기구이다. 제.초.기!

과거 조선에 일제가 가지고 들어왔던 논 제초기가 여기서 힌트를 얻은 것일까? 아니면 동시다발적으로 세계 곳곳에서 이런 형태의 농기구가 만들어진 것일까? 

음, 아마도 서양에서 먼저 만들어지고 일본에서 그걸 보고 논농사에 알맞게 개량한 것이 아닐까 한다.


그럼 제초기를 어디 한 번 보자.



<The Garden Magazine>, 1919년



"혁신적인 농기구의 진화" <The Garden Magzine>, 1919년



"힘든 김매기의 고역을 없앤다." <The Garden Magazine>, 1919년


728x90
728x90





Sustainable Tillage - Beech Grove Farm, Trout Run, PA - University of Vermont Extension 2007 - - University of Vermont Center for Sustainable Agriculture. http://uvm.edu/~susagctr/ Uploaded with permission. Noncommercial use only. Eric and Anne Nordell, Beech Grove Farm, Trout Run PA *Ridge Till and Cover Crops. Vegetable Farmers and their Sustainable Tillage Practices. A 45-minute educational video featuring 9 farms in 4 northeastern states. Produced by: Vern Grubinger, University of Vermont Extension. With funding from: Northeast Sustainable Agriculture Research and Education (SARE) Program, U.S.D.A.


728x90

'곳간 > 영상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흙; 감추어진 자원  (0) 2012.12.07
유기농업을 위한 풀 관리법  (0) 2012.12.02
농업과 녹색경제  (0) 2012.12.01
공장형 축산을 멈춰요  (0) 2012.11.29
다양성의 씨앗  (0) 2012.11.29
728x90

At Anne and Eric Nordell's Beech Grove Farm in north-central Pennsylvania, horses, cover crops, and reduced tillage add up to "bio-extensive market gardening"



Photo courtesy of the Penn State Agroecology On-Farm Undergraduate Internship Program



Bio-extensive market gardeing at work: Draft horses, alternative tillage techniques and cover crop rotations are all part of the mix on Beech Grove Farm.



Posted January 7, 2005:Imagine assembling a self-contained, regenerative farming system… and making a living doing it. Impossible, you might say—but over the last 20 years Anne and Eric Nordell of Beech Grove Farm in Trout Run, Pennsylvania, have been doing just that. What’s their secret? Draft horses, alternative tillage techniques, and a time-tested rotation of cash and cover crops. They call their system “bio-extensive market gardening."

Although neither Anne nor Eric was raised on a farm, together they’ve turned a 6-acre market garden into an ecologically sustainable enterprise. Their fields are divided into 12, half-acre plots roughly 120 yards long by 20 yards wide. Each plot follows a single-run cropping system consisting of rows 34 inches apart. “The shape of the fields reflects my experience growing corn more than anything,” Eric explains. “It lends itself to using horses.”

Because of the farm’s rural setting in north-central Pennsylvania, the Nordells began by growing cool-season, non-perishable crops such as roots, alliums, and medicinal herbs. Before long, requests from local upscale restaurants for dependable supplies of high-quality leafy greens led the Nordells to add leaf and fruit vegetables to the mix. In the beginning, Anne recalls, “the last thing we wanted to grow was perishable crops."



Photo by Steve Vanek, courtesy of the Northeast Organic Network (NEON)

Over the last three years, gross sales can be analyzed as follows:

gross sales by 
market type
leaf & fruit veggies
root veggies
farmers' markets
65%
66%
34%
stores
14%
75%
25%
restaurants 
14%
75%
25%
individuals 
(bulk orders on-farm)
7%
50%
50%



Although the type of produce they grow has changed over the years, the Nordells' objectives are still the same: utilize on-farm resources, remain a two person operation, and stay debt-free by minimizing costs. Rather than chase gross income, Anne and Eric have sought to do what is right for the land, their customers, society, and themselves.

Beech Grove Farm has been certified organic since 1988. The Nordells first sought certification because their wholesale accounts—two growers’ coops, two distributors, and Walnut Acres, a mail-order business—began demanding it. As their sales shifted from predominately wholesaling out of the area to direct marketing more locally, certification became less important. But despite some reservations about federal involvement, the Nordells have chosen to maintain their certification because it distinguishes them at the farmers’ market, it allows them to sell to local stores, and it helps to educate both growers and consumers about organic practices. Contrary to some farmers’ experience, they say certification takes less time and paperwork today than it did before creation of the National Organic Program. Because of the cost-share program, it’s more economical as well. And since the Northeast Organic Farming Association of New York already had a rigorous certification program, the federal standards have not been difficult for the Nordells to meet.





Photo by Steve Vanek, courtesy of the Northeast Organic Network (NEON)




“One of the nice things about horse farming is that the horses are constantly producing fertility.”


When Anne and Eric began farming, they used tractors for some tasks and horses for others. But over time they found that the tractor just didn’t pay. “I didn’t think that horse farming alone would even be possible,” admits Anne.

Today they keep four draft horses, an experienced pair and a pair in training. Although the Nordells have to purchase feed (oats, hay and minerals) and bedding (straw and other materials) for the horses, these off-farm inputs result in more than just feed and bedding. They equal fuel and fertility. “One of the nice things about horse farming is that the horses are constantly producing fertility,” Eric says with a smile.

The Nordells have developed an innovative method for composting the horse manure to control temperature and stabilize nitrogen. Peat moss and straw are spread at the rear of the stalls to absorb urine and manure. Since the horse stalls are located near the pig pens, the soiled straw and peat moss can easily be moved into one of three 'composting' pig pens. The rooting instinct of pigs is harnessed by drilling some feed into a hole in the used bedding. The pigs root in the pile, turning the compost and helping to control temperature and odors. Through intensive pig composting, manure can be applied to the field in just six to eight weeks.




Happy as a pig in...well...: The Nordells have discovered their hogs are the key to an innovative composting method.



The Nordells only compost and apply manure generated by their own four horses. Compared to many market gardens, the rate of application per acre is low. But unlike traditional market gardeners, the Nordells apply compost to cover crops, not their cash crops. The cover crops contribute to soil health and in turn fertilize the cash crops. This also avoids flushes of weeds during cash crop years due to nutrient excesses or imbalances.

The compost that isn’t applied to the fields is further turned and worked by laying hens. The action of the chickens scratching creates a fine potting mix. The Nordells raise their own seedlings in an innovative, energy-efficient hothouse heated by a woodstove. The stove's flue pipe runs beneath the propagation table, surmounted by a layer of rock that acts as a thermal sink. The Nordells simply make a fire at night and go to bed. Because the rocks absorb the heat and hold it over night, there’s no need to stoke the fire in the wee hours. The system combines convenience and economy. "It only costs us $70 every two years to heat the hothouse with slab wood,” says Anne.


The bio-extensive market garden


Each field rotates between a cash crop and cover crops every other year. The cash crops alternate between early and late, while the cover crops rotate between winter-kill and over-wintering. Winter-kill cover crops, like oats and peas, precede early cash crops, while over-wintering cover crops, such as rye and vetch, precede late cash crops. The following sequence is a template for a four-year rotation:


Year 1
springrye
summerbare fallow
falloats and peas (winter kill)
Year 2
springearly crops
summer

clover

fallclover
Year 3
springclover
summerbare fallow
fall

rye and vetch

Year 4
springrye and vetch
summerlate crops
fallrye



At first glance, you’ll see that the cover crop years incorporate a six-week summer fallow. Deep plowing and successive tillage create a series of stale seedbeds, which germinate and terminate annual broadleaf weeds. These same weeds would compete with cash crops the following year, but are now eliminated from the soil’s weed seed bank. When preparing beds for cash crops in spring, the Nordells use shallow tillage to prevent new seeds from being brought to the surface.

What the above rotation plan doesn’t show are the various alternative tillage techniques used at Beech Grove Farm. The Nordells have made a firm decision not to use irrigation. Instead, they seek to conserve existing soil moisture. This is largely done by minimizing the depth of tillage.




Their alternative tillage techniques include mulch-tilling, ridge-tilling, no-tilling, and skim plowing. Mulch-tilling shallowly incorporates mature cover crops, leaving a mulch of cover crop residues on the soil surface.Ridge-tillinginvolves forming ridges and seeding them to cover crops the preceding fall. In the spring, the winter-killed cover crop is knocked off the top of the ridge, leaving a narrow strip of clean soil for direct seeding. No-tilling for the Nordells means slicing a narrow furrow into a cover-cropped ridge and transplanting or hand planting into the furrow. Skim plowing is used to shallowly incorporate over-wintering cover crops. Each of these alternative tillage techniques preserves the soil structure created by the cover crops' root systems, controls erosion, minimizes evaporation, and improves water infiltration, creating a large reservoir of moisture for cash crops.

Each alternative tillage technique is used with specific cover crops to coincide with target planting windows. Again, the cover crops are divided into winter-killed and over-wintering species; the planting windows can be generalized as early, mid-season and late. The following chart lists the tillage/cover crop regimes in chronological order:




Photo courtesy of the Penn State Agroecology on-Farm Undergraduate Internship Program



“a weed management plan involves prioritizing what weed is a problem, understanding its life cycle, and then targeting that specific weed.”



winter-killed cover crops
Tillage type
Cover crop
Planting window
ridge-till
oats & peas
early direct-seeded
no-till
oats & peas
early transplant
mulch-till
oats & peas
OR
sorghum-Sudan & forage soybeans
early transplant & mid-season direct-seeded

 


over-wintering cover crops
Tillage type
Cover crop
Planting window
skim-plow
rye & hairy vetch
OR
Italian ryegrass & clover
mid-season transplant & direct-seeded.
ridge-till
rye
mid-season transplant & late direct-seeded
mulch-till
rye & vetch
late transplant



Each combination adds more options to the original four-year rotation by fine-tuning planting conditions for a handful of growing windows. The Nordells follow a simple principle: Find the tillage/cover crop regime that allows the cover crop to be killed and tilled six to eight weeks before planting. This provides enough time for the breakdown of cover crop residues before planting and allows the soil to gather moisture for the cash crop.

Reduced tillage has presented a couple of problems at Beech Grove Farm, namely weeds and slugs. We’ve already seen how summer bare fallows and dominant cover crops address warm-season weeds. The Nordells are now experimenting with a spring bare fallow the year before early planted no-till crops to reduce cool-season weeds, like chickweed. Eric explains that “a weed management plan involves prioritizing what weed is a problem, understanding its life cycle, and then targeting that specific weed.”


The Nordells use trap crops and chickens to deal with slugs. Trap crops are plants used to attract pests away from valuable cash crops. For example, since slugs seem to prefer legumes, the Nordells have had some success planting beans in the pathways between carrots. The slugs naturally gravitate towards the beans and leave the carrots alone. Even more effective are the free-range chickens which the Nordells have worked into their cover crop rotation. During a fallow year, laying hens are grazed on cover crops and naturally feed on any slugs. For example, the clover in an Italian ryegrass and clover mix acts as a trap crop, attracting slugs from neighboring cash crops. The chickens clear the fallowed field of slugs, leaving a clean field for the following cash crop.

Who would have thought that a regenerative, in some ways old-fashioned agricultural system could meet the needs of a modern market? The Nordells’ Beech Grove Farm is proof that it’s possible. Rather than reap short-term profits through industrial efficiencies, they’ve sought to invest in long-term sustainability through ecological efficiencies. The farm's horses, complex rotations, and reduced tillage methods are not industrial technologies, but rather ecological technologies, truly sustainable and technologically appropriate. It's hard not to come away with an impression of Beech Grove Farm as a model of what sustainable farming could be. 




Its round-up time in slug country, partner: The Nordells free-range chickens are an integral part of their cover crop rotation for slug control.



Kyle Holzhueter has studied natural approaches to agriculture in Japan and environmental design in Australia. He hopes to develop a demonstration homestead and further the eco-village movement throughout North America after his current apprenticeship at the Camphill Village Kimberton Hills in Kimberton, PA.


728x90
728x90


토종 곡식 씨앗에 깃든 우리의 미래 

농부가 세상을 바꾼다 귀농총서 | 32 

백승우 , 김석기 지음 | 들녘 | 2012년 11월 30일 출간


목차

여는 말_ 잡곡이 살아야 농업이 산다 _5 

1부 농사꾼이 들려주는 토종 씨앗 이야기 _백승우 
대표적인 불량식품, 밀 _12 
가장 작은 곡식, 조 _18 
열 사람이 지어서 한 사람 먹인다, 기장 _24 
일찍 심으면 일찍 먹고, 참깨 _30 
팥, 좋아서 심는다기 보다도 _38 
콩농사, 알고 지으면 거둘 게 많다 _44 
쉬우면서도 어렵다, 율무농사 _53 
가난한 농사꾼들의 호사(豪奢), 수수 _61 
고생고생 사람잡던 보리농사 _71 

2부 농부와 토종 씨앗의 동행 _김석기 
새로운 비상을 꿈꾸다, 토종 앉은뱅이밀 _84 
밀은 밀인데? 토종 호밀 _111 
그 맛이 궁금하도다, 기장 _125 
자식만큼 손이 많이 가는 농사, 토종 참깨 _145 
추위를 몰아내는 기운, 토종 팥 _164 
전통농업의 주인공, 토종 콩 _188 

맺음말_ 잡스러운 세상이 건강하다 _219

책속으로

큰 산 하나만 넘고 강물 하나만 건너도 비바람이 다르고 햇살이 다르고 땅과 흙이 다르니 지역마다 잘되는 씨앗이 따로 있었을 테고, 사람마다 취향이 다르니 고집 세고 긍지 높은 농사꾼들, 아마도 제 맘에 맞는 씨앗도 다 따로 있었을 것이다. 
맛이 있는가? 수량은 얼마나 나는가? 모양이 예쁜가? 빛깔이 고운가? 가뭄에 잘 견디는가? 비바람에 쓰러지지 않는가? 갑작스러운 추위에 견디는가? 병은 없는가? 벌레가 꼬이지는 않는가? 저장도 잘되는가? 두루두루 따져보고, 이웃이 심은 밭을 여러 해 동안 지켜본 뒤에 어렵게 말 꺼내서 조금 얻어온 씨앗. 한꺼번에 왕창 심었을 리도 없다. 조심스럽게 조금 심어보고 씨 받아 늘리면서 확신이 선 뒤에야, 물려받은 씨앗을 그만두고 새로운 씨앗을 심었을 것이다. 이웃이 청하면 또 조금 나누어 주고……. 
이렇게 이 땅에서 오랜 시간 여러 대에 걸쳐서 선별되고 고정된 씨앗을 ‘토종’이라 부를 수 있을 것이다. 그래서 밀의 원산지는 아프가니스탄 지역이지만 ‘앉은뱅이밀’의 원산지는 한반도가 된다. 우리 땅과 하늘과 비와 바람이 농사꾼의 손을 빌어 선택한 씨앗, 이것이 토종이다. 
- ‘여는 말_토종이 살아야 잡곡이 산다’ 중에서 

마을로 내려와서 동네 사람들이 참깨농사를 짓는 모습을 보니 “씨앗을 제대로 못 붙이는” 집이 많았다. 자신들은 도마재에서 괭이로 골을 타고 아궁이 재에다 참깨 씨앗을 섞어서 뿌리는 방법을 개발하여 참깨를 세우지 못하는 일이 전혀 없었다고 한다. 우리가 흔히 보듯이 참깨는 씨앗이 잘다. 그 자잘한 씨앗을 적당히 고르게 뿌리는 일이란 여간 어렵지 않다. 
“너무 많이 뿌려도 (솎느라) 힘들고, 아예 적게 뿌리면 (싹이 잘) 안 난다. 많이 뿌려 깨를 솎아내고 앉아 있다가는 다른 농사를 못 짓는다.” 
그래서 생각해낸 방법이 처음에는 흙이나 모래에 참깨 씨앗을 섞어서 뿌리는 것이었다. 그러나 흙과 모래는 무거워서 그런지 별로 신통치 않았다고 한다. 그러던 어느 날, “재는 거름도 되고 가볍고” 하니까 여기다 섞어서 뿌려보자는 생각에 그렇게 해보았다. 역시 생각했던 것처럼 씨앗과 섞기에도 맞춤하고, 심고 나서 싹도 잘 났다. 그 이후 참깨를 심을 때에는 늘 재에다 씨앗을 섞는 방법을 썼다고 한다. 이런 방법이 옛날에도 아예 없는 것은 아니었다. 다카하시 노보루 박사의 「조선반도의 농법과 농민」을 보면, 재뿐만이 아니라 재에다 똥을 버무린 똥재를 말렸다가 가루로 부숴 조나 밀 등의 씨앗과 섞어서 뿌리는 방법이 자주 나타난다. 조나 참깨같이 씨앗이 작고 가벼운 것들은 그것만 들고 뿌리기에는 어렵고 흙을 덮어주는 일도 곤란하다. 미리 재나 똥재와 같은 가벼운 알갱이와 섞어서 뿌리는 것이 더욱 수월할 것이다. 
(중략) 
안석자 님이 기르는 참깨는 시어머니 때부터 내려오던 씨앗이다. 분명 신품종을 쓰면 수확량이 더 많을 텐데 왜 바꾸지 않고 토종 참깨를 그대로 이어오신 걸까? “옛날에 쓰던 걸 내려오다 보니까 계속 심어요. 맛은 아마도 옛날에 먹던 게 더 낫다고 생각하구요”라는 그녀의 답에선 아무 특별한 까닭을 찾을 수 없다. 수확이 더 난다든지, 맛이 특별히 더 좋다든지, 농사짓기가 훨씬 수월하다든지 하는 색다른 까닭은 아무것도 없다. 그저 옛날부터 심어오던 것이니까, 별 문제가 없으니까 심어 나아갈 뿐이다. 어떻게 보면 습관이라고나 할까. 
그런 습관이 또 하나 있다. 씨앗을 준비하는 행위이다. 
“일단 씨앗부터 좋은 종자를 골라서 남기고, 나머지를 팔고 먹고 그래요. 옛날에는 씨를 안 받으면 어디서 구하지를 못했어요. 씨앗을 미리 마련해두고 나머지를 팔아야 살 수 있으니 알뜰히 한 거지요. 나는 특히 마을사람들이 우리 집으로 씨앗을 받으러 다 와서 늘 일부러 넉넉히 뒀어요. 먹는 건 좀 덜 먹어도 씨앗을 넉넉히 뒀지요. 옛날부터 씨앗을 많이 두는 사람을 넉넉하고 마음이 좋은 사람이라고 했어요. 그만큼 씨앗이 최고 중요한 거예요.” 
그러나 지금 농사는 그렇게 이루어지지 않는다. 최대한 많이 수확해서 싹싹 긁어서 내다 팔아 돈을 만들고, 다음에 농사지을 때에 쓸 씨앗은 종묘상에서 사다가 심는 식의 농업으로 전환된 지가 오래되었다. 이제는 씨앗을 받아 심는 사람도, 그걸 대를 이어 물려받을 사람도 사라진 시대다. 최고 중요하다는 씨앗은 이제 농업 관련 기업에서 전적으로 생산하여 판매한다. 
- ‘자식만큼 손이 많이 가는 농사, 토종 참깨’ 중에서 

현재 토종 씨앗은 전통농업의 소멸과 함께, 그리고 농민의 죽음과 함께 사라지고 있다. 농사가 더 이상 집에서 먹을거리 위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산업의 하나로 편입이 되면서 그러한 경향은 더욱 빨라지고 심화하였다. 산업화의 과정을 거치면서 집에서 먹을거리를 농사짓던 사람들은 경쟁에서 밀려 도시로 이주해야 했고, 그나마 농 더보기

출판사 서평

토종 씨앗 한 톨에 담긴 농부의 땀과 삶 
예로부터 잡곡농사는 쉬우면서도 쉽지 않은 농사였다. 잡곡은 쌀이 아니라는 이유로 ‘잡스러운’ 취급을 당했지만, 쌀의 빈자리를 채워준 고마운 존재였다. 예부터 벼농사가 잘 안되면 대신 짓기도 하고, 귀한 쌀을 대신해 가난한 농민들의 끼니로 부족한 영양까지 메워주었다. 밀, 참깨, 조, 팥, 율무, 콩, 보리, 기장 등을 계절, 땅을 나누어 기르고 때가 되면 거두어 먹었다. 잡곡의 ‘힘’을 사람들이 알게 된 건 참살이(웰빙) 바람이 불면서였다. 옛날에는 천대받았지만 오늘날은 건강식으로 아주 귀한 대접을 받는다. 그러나 우리 땅에서 나고 자란 ‘토종’ 곡식은 별로 없다. 농촌에서 사람이 사라진 탓이다. 아직 농촌에 남은 나이 든 농부들은 팔기보다는 집에서 먹으려고 토종 곡식을 기른다. 
같은 곡식이라도 농부마다 농사짓는 방법이 다 다르다. 경험을 통해 얻은 자기만의 비법이 존재한다. 더구나 오랜 시간 우리 땅의 특성에 적응한 토종 곡식에는 그것에 맞는 특별한 재배방법이 있다. 하지만 더 이상 농촌에 사람이 없고, 곡식을 기르지 않아 긴 세월 쌓인 농부들의 지식은 사라지고 있다. 또한, 곡식을 기르고 거두고 탈곡해서 먹는 과정에서 썼던 농기구 등도 찾아보기 어렵다. 앞으로는 각 지역에서 그 곡식으로 해 먹었던 음식조차 맛보지 못하게 될 것이다. 농경문화의 소멸이다. 농촌에 사람과 문화가 없어진다는 것은 씨앗도 남지 않는다는 걸 의미한다. 
이 책은 이대로 가다가는 정말 사라질지도 모르는, 현역 농부들의 노하우를 담은 책이다. 역시 농부인 저자들이 이 땅 구석구석을 찾아다니며 토종 곡식을 기르고 먹는 농부들을 만나 이야기를 들었다. 할머니 농사꾼들이 대부분이지만, 그중에는 도시에 좋은 먹을거리를 공급한다는 마음으로 토종 곡식을 기르는, 아직 젊은 농부들도 있다. 착하고 끈기 있는 농부들은 토종 곡식을 어떻게 잘 기르고, 잘 먹는지 등 긴 세월 쌓은 지식을 아무 아낌없이 퍼준다. 실용적인 지식을 담았지만, 가만히 들여다보면 토종 곡식과 어우러진 농부의 삶 이야기가 가득하다. 닫기


728x90
728x90

외부에 정신이 팔려 우리 것을 우리 스스로가 제대로 돌아보지 못하고 있을 때, 꼭 우리 것의 중요함에 대해선 외부의 시선으로 바라본 사람에 의해서 지적이 된다. 임마누엘 페스트라이쉬라는 사람이 한국의 전통농업과 생활문화가 지닌 친환경성에 대해 지적했다. 이런 지적을 듣지 않도록 우리 스스로 우리의 것을 좀 꼼꼼히 살필 수는 없을까? 아쉽다. 




요즘 페스트라이쉬 경희대 후마니타스 칼리지 교수의 관심은 한국의 선비정신으로 향하고 있다. 그의 관점이 독특하다. 날이 갈수록 유동성이 강해지는 인터넷 시대에 법률이 규제할 수 있는 분야는 극히 제한적이라는 것.


그는 "예(禮)의 본질과 옳고 그름을 탐구하는 예학이 이같은 딜레마에 의미 있는 해법이 될 수 있다"며 "예학은 개인들과의 관계는 물론 정부 기구 간 문제에 대해서도 다양한 잠재적 규범을 제공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한국인보다 예리하게 옛 전통의 가치를 찾아냈고 이를 소셜네트워크 시대의 적합한 윤리관이라고 적시했다.

↑ 임마누엘 페스트라이쉬 경희대 후마니타스 칼리지 교수가 경복궁에서 “포퓰리즘, 빈부격차 등 한국의 여러 사회문제가 국제문제와 연결돼 있다”고 말하고 있다. 김낙중 기자 sanjoong@munhwa.com

그는 한국의 많은 환경운동가나 시민들이 해외 생태 도시 순방에 나서는 것에 대해서도 날카롭게 꼬집었다. "멀리 갈 필요가 없습니다. 한국의 전통가옥과 농가에서 친환경적인 해법과 일상기술이 많이 있습니다. 100년 전의 한양도 환경도시라고 할 수 있었습니다. 조선시대에 정교한 관개(灌漑) 시스템과 유기농업 기술, 음식물 쓰레기를 최소화할 수 있는 전통조리법 등이 있었는데 이것을 다시 찾아내야 합니다."

그는 조선의 풍수 사상도 미신이 아니라 생태계를 고려하고 자연을 보전하는 소중한 유산이었다고 새롭게 해석했다.

페스트라이쉬 교수는 선비 정신도 한국인을 위한 것에만 머물지 않는다고 역설했다. 그는 "세계적으로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이 책임감 없는 엘리트인데 그 해결책을 선비정신에서 찾을 수 있다"며 "예컨대 아프리카 작은 마을에 사는 사람들이 위대한 선비 정신, 독서, 도덕, 실천의 전통을 삶의 신조로 삼게 된다면 선비정신의 국제화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런 관점에서 단기적 수익에만 치중하는 한국 기업의 DNA도 바뀌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한국의 전통에 인간다운 기업문화를 창출할 수 있는 정신적 모델이 존재한다고 강조했다. 우리의 선비정신을 재조명하면서 지식인의 각성을 촉구하는 그의 목소리는 우리 사회를 내리갈기는 '죽비소리'와도 같다.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