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통농업123

섞어짓기를 활용한 유기농업의 영양 가치 반다나 시바 씨가 대표로 있나, 아무튼 인도의 나브단야라는 단체에서 조사한 바에 따르면, 대규모 단작 방식의 농업과 섞어짓기를 활용한 유기농업에서 생산된 산물의 영양가에서 차이를 보인다. 아주 흥미로운 결과가 아닐 수 없다. 머리로는 이해하지만 실제로는 어떤지 확인할 길이 .. 2013. 4. 18.
<농업이 문명을 움직인다> 역자 후기 이제 역자 후기가 새로 실리니, 나중에 여기로 가서 책을 삽니다. http://bit.ly/10gOzn5 농업이 문명을 움직인다 대학교에 다니던 시절 봄, 여름마다 농촌활동을 가곤 했다. 그때 우리가 내세운 구호 가운데 하나는 “먹어야 산다”는 것이었다. 그렇다. 인간은 먹어야 산다. 먹지 않고 살 수 있.. 2013. 4. 1.
필리핀의 벼논양어 필리핀 Hueva Ecija의 Guimba에서 벼논양어 체계 필리핀 Guimba는 천수답과 관개답에서 벼농사를 짓는 곳이다. 천수답 지역에서 벼는 우기에 재배하고, 1년의 나머지 기간에는 묵힌다. 관개답 조건에서 벼는 우기 동안 재배하고 건기에도 이어서 벼를 재배한다. 벼논양어는 일부 농민들이 실천.. 2013. 3. 21.
중국의 벼논양어 중국의 벼논양어 체계 중국의 오래된 전통농법인 벼논양어는 1700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가지만, 현재는 거의 무시되고 있다. 중국에서 벼논양어는 일반적으로 네 가지 측면으로 특징지을 수 있다. (1)토지 이용의 확대 (2)적은 투입재 (3)낮은 수확 (4)벼논양어 생산물의 자가소비 . 중화인민.. 2013. 3. 21.
인도네시아의 벼논양어 인도네시아에서 벼논양어는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농민들은 현재 존재하고 있는 체계를 개발해 왔다. 서자바 지역에서는 벼논양어를 널리 행하고 있다. 동자바의 해안 지역에도 minapadl와 penyelang, palawija, 특히 sawak tambak이라고 부르는 체계가 존재한다. . 논에서 생산된 물.. 2013. 3. 20.
말레이시아의 벼논양어 http://goo.gl/QvMJo 말레이시아의 관개 지역에서 저투입 벼논양어 체계 벼논양어 체계는 말레이시아 반도 페라 주의 North Kerian 지역에서 행하는 오래된 전통이다. 이 지역은 충적 해안 범람원이며 Tasik Merah 저수지에서 관개용수를 공급받는다. 토양은 일부 산도 문제가 있는 주로 점토이다. 벼.. 2013. 3. 1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