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농업123 고랭지 농사는 지속가능할까? 한 베트남 농부가 카사바 농사를 기가 막히게 잘 지어서 왜 그런가 살펴보았더니, 카사바 농사에 풀과 콩과식물의 작은 나무를 활용하는 것이 비결이었다는 이야기. 그도 그럴 것이 카사바를 주로 산비탈에 심는데 엄청난 급경사도 있고 그렇단다. 그래서 토양침식도 빈번하고 그런 상황.. 2016. 8. 5. 조선반도의 농법과 농민/ 영농실태조사/ 전남 순천군/ 황귀연 씨 전라남도 실태조사/ 순천 황귀연 씨/ 중오정 논 440평의 논벼 재배법 앞그루 쌀보리는 음력 5월 5일에 베어 거두고, 이튿날 쟁기질한다. 쟁기질은 자기가 한나절 걸려 하는데, 쟁기 말고도 삽 1개와 쇠스랑 1개를 쓴다. 쟁기질한 뒤 써린다. 쟁기질 방법 : 두그루짓기를 하는 땅일 경우에는 .. 2015. 11. 11. 토종 씨앗 지킴이 여성 농민은 "씨앗 지킴이"입니다. 실제로 농촌을 돌아다녀보면, 만약 여성이 없다면 씨앗을 심고 가꾸어 다시 씨앗을 받는 행위가 사라질 수도 있겠구나 하는 생각이 절로 들 정도입니다. 그런데 이는 한국만이 아니라 세계 곳곳의 농사짓는 곳이라면 어디에서나 마찬가지입니다. 즉, 동.. 2015. 3. 9. 전통 농법의 중요성 다음은 돌려짓기, 사이짓기, 섞어짓기 같은 전통농업에서 활용하던 농법이 왜 중요한지 설명하는 동영상이다. 다양한 작물을 돌려가며 어우러지게 재배함으로써 결국 토양의 건강을 증진시키고, 그것이 농사가 잘 되도록 이어진다는 것이 핵심이다. 돈에 미쳐서 한 가지 작물만 비료의 .. 2015. 1. 25. 대규모 단작에 대한 대안이 되는 생태농업 “Agroecology does not mean going back to the Stone Age; on the contrary, it is based on high-level scientific concepts,” says one of the interviewees in Crops of the Future – How agroecology can feed the world, the last film by the French researcher Marie-Monique Robin, who visited the country in late November and presented the film together with her last book (which .. 2014. 1. 24. 전통농법이 꽤 좋은 농법이란 사실이 밝혀지고 있다 물고기와 벼농사를 지으려면 옛날 방식이 좋다. 새로운 종류의 신기술이 나타나기 전 과거 수천 년 동안 인간이 먹고살아 왔던 방법을 기억하는가? 옛날 방식을 한번 돌아볼 필요가 있다. 유엔은 최근 여러 생물의 멸종 속도를 늦추기 위하여 115개국과 함께 생물다양성과 생태계 서비스.. 2013. 12. 11. 이전 1 2 3 4 5 ··· 2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