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농부가 어떻게 자이zai와 등고선 둑이 토양 유실을 막는지 설명한다(Niningui - 부르키나파소)



 우리의 RIO+20 행동요구(Call-to-action), CGIAR는 악화된 환경과 생태계를 회복하고 잘 관리하기 위해 현재 할 수 있는 광범위한 선택지를 지원하기를 촉구한다. CGIAR는 이러한 선택지를 확대하고 북돋기 위하여 지역사회에서 설계된 프로그램을 채택하기를 요청한다.

우린 "변경의 생태계"에서 그들의 작업에 대한 실례를 얻고자 3명의 선임 CGIAR 직원과 인텁뷰를 했다. William Dar (반건조 열대지역 국제 작물연구소 소장 - ICRISAT), Mahmoud Solh (건조지역 국제 농업연구센터 센터장 – ICARDA), Bruce Campbell (기후변화, 농업, 식량안보에 대한 CGIAR 연구프로그램 감독 - CCAFS).

여러분 각각은 악화된 환경 또는 위협받는 생태계에서 광범위하게 일하고 있다.

William Dar: 네, 우리의 일은 남아시아와 동남아시아,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의 반건조 –건조지역- 열대의 악화된 토지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Bruce Campbell: 마찬가지로 CCAFS는 동아프리카와 서아프리카, 남아시아와 같은 기후변화에 많은 영향을 받는 지역에서 일합니다. 

Mahmoud Solh: ICARDA의 일은 중동부터 북아프리카와 사하라 이남의 아프리카 일부 및 아시아 대부분에 걸쳐 있는 세계의 비열대 건조지역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우린 또한 이러한 지역에서 비롯하는 보리, 렌즈콩, 누에콩을 포함한 특정 작물을 개발하기 위한 국제적 권한을 갖는다. 

그러한 지역에서 어떻게 농업이 환경을 악화시키는가?

William Dar: 사하라 이남의 아프리카에서 가난하고 토지가 없는 농민들이 식량작물을 심기 위해 숲과 호랑이 덤불숲(http://en.wikipedia.org/wiki/Tiger_bush)을 개간하여 토양 악화가 만성적으로 순환된다. 이는 토양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악화되면서 악순환에 빠지고, 이러한 지역은 결국 버려지고 농민은 새로운 땅을 찾아나선다. 이는 작은 지역에서 가축을 방목하거나 초목을 위협하면 더욱 가중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인해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에서 토양 악화와 사막화가 70% 정도 일어났다고 추정된다.

Bruce Campbell: 네, 이러한 순환이 매우 빨라질 수 있다. 부르키나파소 북부에서 농민들이 나에게 해준 이야기가 있다. 두 세대 전에는 숲이 풍요로웠지만, 집약적 농업과 과잉 방목 및 유일한 연료원인 나무의 남용이 어떻게 그곳의 풍경을 지금은 건조지역으로 바꾸어 버렸는지 말이다. 비옥한 겉흙이 쓸려가 버렸다. 

Mahmoud Solh: 그리고 토양 악화만이 문제가 아니다. 건조지역의 적어도 15개국이 세계에서 1인당 물 공급량이 가장 적은 국가이다. 문제는 현재 75% 이상의 물이 할당되어 있는 농업이 가정과 산업 부문의 확대로 인해 물을 놓고 경쟁해야 한다는 사실 때문에 더욱 복합적이다. 
통제되지 않는 지하수 개발은 지하수면을 떨어뜨리고, 우물을 바닥내고, 샘을 말리고 소금물의 침입을 이끈다. 우리의 연구는 농업에서 사용하는 물 -빗물과 관개- 의 생산성을 개선시키는 데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농경지를 확대할 기회가 최소이기에, 새로운 생산성은 우리가 식량생산 체계의 '지속가능성 강화(sustainable intensification)’라 부르는 것을 통해 가능할 것이다. 이는 악화된 생태계의 제약에 직면한 똑같은 면적의 토지에서 더 많은 식량을 생산하기 위하여 혁신적인 기술과 정치의 결합한다는 것을 뜻한다. 이걸 행하는 길은 환경에 해가 되면 안 된다. 이것이 우리의 과제이다. 

이 모든 이야기가 어두운 전망 같다. 이런 악순환을 뒤엎는 걸 상상하긴 어려운가.

Mahmoud Solh: 식량공급에서 지속가능성의 증가는 빗물과 관개 농업 모두의 생산성 증가를 통해서 이루어져야 한다. 바꾸어 말하면: 토지와 물의 각 단위를 최대한 활용 – 극한 기온과 가뭄과 질병에 저항성을 지닌 새로운 작물의 결합.
우린 또한 농업에 사용하는 물과 토지의 생산성을 개선해야 한다. 이는 농업생산성의 핵심일 뿐만 아니라 건조지역 생태계의 건강에도 중요하다. 기존 작물의 성과를 개선하는 데 기여하는 협력자와 함께 ICARDA의 작업은 기존 작물의 성과를 개선하는 데 기여할 뿐만 아니라, 농민들이 그들의 돌려짓기에 새로운 작물을 추가함으로써 작부체계의 다각화를 꾀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곡물농사 체계에 콩과작물을 넣는 것이다. 이는 토양비옥도를 높이고, 기후 충격으로 인한 흉작의 위험을 줄이며, 또한 농가의 영양 상태를 개선한다. 

William Dar: 전망이 어두워 보일 수 있지만, 실제로는 상태를 악화시키지 않고 환경을 보존하거나 한정된 자원을 더 잘 쓰기 위한 과학적 해결책이 풍부하다. 예를 들어, 사하라 이남의 아프리카에서 우린 여성의 참여로 악화된 토양의 생물교정을 실행하고 거름의 microdosing을 통해 악화된 토양의 생산성을 개선하고 있다. 우리의 작업은 또한 악화된 토양의 비옥도를 재건하는 걸 포함하며, 물 관리와 일반적 토지는 가뭄 저항성 나무를 사용하여 개간하고 있다.  
ICRISAT와 협력자들은 여성들에게 어떻게 효과적으로 뿌리를 내리도록 하며 흙이 질척거리지 않도록 관리하는지와 같은 작물을 심는 데 유리한 조건을 만드는 법에 대해서 가르쳤다. 여성 농민들은 우기 이후에 장기간 물을 유지하는 자이 구멍으로 알려진 작은 저수지 또는 심는 구멍을 사용하여 어떻게 농사에 쓸 빗물을 모으는지 배웠다. 자이zai 구멍은 또한 지역에 적합한, 깊이 뿌리를 내리고 영양가가 많은 Pomme du Sahel, Ziziphus Mauritania, Moringa와 같은 과일과 채소의 성장을 돕는 토양과 거름을 붙든다.

이건 무지 간단한 해결책인 것 같다. 이것이 새로운 기술인가?

Bruce Campbell: 아니다l. 농민들은 조건을 바꾸기 위해 활용하는 방법이 있다. 그들은 이를 수천 년 동안 해왔다. 그러나 “기후변화”는 완전히 새로운 수준의 위험과 예측불가능한 상황을 뜻한다. 몇몇 기후변화는 어떠한 지역의 특성을 완전히 바꾸어 버렸다. 우린 특정 지역의 미래 기후가 어떻게 될지 상상하기 어려운 것을 극복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했다. 그 아날로그 도구는 '시간을 여행하는' 우리를 도울 것이고, 전 세계의 각지에서 의미있는 적응법과 정치를 확인하고 시험하고 실증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Mahmoud Solh: 어떤 지역에서, 예를 들어 근동과 북아프리카에서, 우린 수백 년 전으로 돌아가 "qanat"라고 하는 고대의 집수 체계에 관한 토착지식을 개발했다. 또 다른 사례로는, 등고선 둑과 같은 간단한 간섭 -유실을 붙드는 고랑과 함께 쌓은 작은 흙둑 – 과 나무를 위한 작은 집수를 도입했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남아시아에서 잘 알려진 빗물을 모으는 사례의 집수를 참조하라.

ICARDA는 요르단, 이집트, 리비아와 시리아의 일부 같이 최소의 강우가 내리는 나라에서 한 단계 나아가 작업하고 있다. 우리는 지상관측과 함께 위성지도를 결합하고 지역사회가 살고 있는 곳 근처에서 새로운 수원을 제공하는 새 '작은 저수지'를 확인하는 방법을 개발했다. 이는 세계의 가장 건조한 지역에 있는 한계농지에 사는 사람들을 위한 새로운 식량안보 전략에 중요하다.

Bruce Campbell: 또한 물을 붙들기 위한 비슷한 기술이 사헬에서 사용되었다. 예를 들어 물과 겉흙을 보호하는 자이zaï 기술...

Mahmoud Solh: 우린 또한 가파른 비탈에서 잘 사는 마초, 목초, 관목, 나무의 새로운 조림과 재생과 수분 결핍 지역에서 작은 나무를 기르기 위한 침투 구멍과 함께 흙둑으로 둘러싸인 작은 연못의 사용을 연구한다. 가시 없는 선인장 -Opuntia- 은 방목지에서 마초를 추가로 제공할 뿐만 아니라 침식과 악화에서 토지를 보호하기 위하여 사용되었다. 이는 몇 가지 사례일 뿐이다. 우린 에티오피아, 이란, 요르단, 모로코와 사하라 이남의 몇몇 나라에서 전국에 있는 협력자들과 함께 일하면서 서로 다른 작물과 작부체계에 최적화된 보충적 관개 묶음을 개발했다.

...보충적 관개 묶음(Supplemental irrigation packages)?

Mahmoud Solh: 근본적으로 수확량을 개선시키고 안정화하기 위하여 강수량이 떨어지는 기간에 식물이 정상적으로 성장하는 데 충분한 수분을 제공하려고 빗물에 의존하는 작물에 적은 양의 물을 적용시키는 관개이다. 그것이 농민들이 최소의 관개용수를 써서 최적의 수확량을 얻게 한다. 작물을 빗물에 의존하여 심을 수 있고, 관개는 수확량을 유지할 필요가 있는 임계 기간 동안만 이루어진다. 이것이 기후변화와 연관하여 강우 패턴이 변하는 데 적응하는 한 방법이다. 

이것이 어떤 결과를 가져왔는가?

Mahmoud Solh: 내가 언급했던 국가에서 물 생산성이 보충적 관개를 통해 2.5 kg/m3이 되었는데, 빗물에 의존하는 조건에선 1 kg/m3이고 완전한 관개를 하는 곳에선 0.75 kg/m3이다. 현장 실험은 보리와 밀 수확량을 꽤 높이는 결과를 낳았다: 시리아에서는 3000평에 1.25~ 3톤; 모로코에서는 4.6~5.8톤; 이란에서는 2.2~3.4톤.

William Dar: 그것만이 아니라 기존 작물의 생산성도 증가했다는 것이 핵심이다. 시장은 또한 어떠한 지역에서 일반적으로 재배하지 않는 작물을 대상으로 개발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옥수수가 전통적인 작물인 아프리카의 동부와 남부에 우린 가뭄 저항성이 있는 수수와 조를 다시 도입시키고 있다. 이와 함께 우린 이러한 작물을 수확량이 더 많고 병해충에 더 잘 저항하며 영양적으로도 우수하게 개선시키고 있다. 이런 방법으로 이러한 작물에 대한 더 많은 수요를 불러오고 더 좋은 가격으로 시장에 낼 것이다. .

반건조지역에서 작물의 선택으로, 예를 들어 옥수수에서 수수와 조로 전환하는 건 매우 간단해 하겠다?

William Dar: 물론 이 일은 듣는 것보다는 더 어렵다. 농민은 그들이 팔지 못하는 건 재배하지 않으려 한다; 그것만큼은 간단하다. 포괄적인 시장 지향형 개발의 패러다임에서 우린 건조지의 농민들에 의해 재배되는 작물을 위한 시장을 파악하고 개발하는 것이 핵심이란 걸 깨달았다. 가난한 사람들을 위한 시장 연계와 가치사슬 개발은 건조한 열대지역에서 번영을 가져오는 걸 도우려는 우리 작업의 핵심이다.


728x90
728x90


씨앗은 상실, 통제, 의존, 부채와 관련된 이야기의 하나가 되었다. 그건 진정한 비용이 아니라 식량체계를 통해 막대한 이윤을 얻으려고 하는 사람들에 의해 작성되었다. 이제 그 이야기를 바꿀 때이다.


The Gaia Foundation과 African Biodiversity Network의 역사적 영상 

Jeremy Irons가 해설. 

자유의 씨앗(Seeds of Freedom)은 지금은 지구적 식량체계를 독점하고자 사용되어 강력한 상품으로 변질되었지만, 전 세계에 걸쳐 전통적이고 다양성이 풍부한 농업체계의 핵심에서 그 근간이 되는 씨앗의 이야기를 보여준다. 이 영상은 공업형 농업체계의 확장, 그리고 특히 유전자조작(GM) 종자가 농사를 시작한 이후 전 세계의 농민과 공동체가 함께 발전시켜온 광대한 농업생물다양성에 타격을 준다는 것을 강조한다.

자유의 씨앗은 유전자조작에 찬성하는 로비꾼들이 조장하는 대규모 공업형 농업이 세계를 먹여 살릴 수 있는 유일한 길이라는 주문에 도전하고자 한다. 씨앗 이야기를 추적하면서 어떻게 기업의 의제가 막대한 이윤을 만들고 세계의 식량체계를 통제하려고 추동하는지 명백하게 밝혀진다.

Vandana Shiva  박사와 Henk Hobbelink과 같은 국제적 전문가와의 인터뷰 및 아프리카 농민의 목소리를 통하여 이 영상은 어떻게 토종 종자들의 상실이 생물다양성과 그와 관련된 전통지식의 상실로 이어지는지, 문화적 전통과 실천의 상실로 이어지는지, 생활수단의 상실로 이어지는지, 식량주권의 상실로 이어지는지 밝힌다. 그러한 압박이 수천년 동안 소규모 농민이 육종해왔던 다양하고, 영양이 풍부하고, 지역에 적합하며 씨앗을 받을 수 있는 종자를 유전자조작 종자의 대규모 단작으로 대체시키고 있다.

이 영상은 토착 농경공동체의 이야기꾼과 함께 Navdanya의 반다나 시바 박사, GRAIN의 행크 호버린크, Zac Goldsmith MP(영국 보수당), 캐나다의 농부 Percy Schmeiser, 그린피스의 Kumi Naidoo, 아프리카 생물다양성네트워크의 Gathuru Mburu, 가이아재단의 Liz Hosken Caroline Lucas MP(영국 녹색당)와 같은 세계적 전문가와 활동가가 등장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 영상은 The Gaia Foundation과 African Biodiversity Network가 공동으로 제작했다. GRAIN, Navdanya International,  MELCA Ethiopia가 협력했다. 

사진은 Andrew Ogilvy가 찍은 Jeremy Irons.


728x90
728x90


Mountain rice terracing is practised widely in parts of the Asia-Pacific. Rice terraces are deeply intertwined with indigenous cultures, traditional practices and the ecology of many mountainous areas.

Recently, the threat of climate change looms ever larger and is widely projected to impact the frequency and intensity of extreme weather events. The expected increase in extreme rainfall and resultant water cycle changes are likely to test the existing capacity of rice terraces.

One such collection of terraces under threat are the picturesque Ifugao Rice Terraces in the Philippines. These terraces are the ancestral domain of indigenous Ifugao peoples (recognized as including several subgroups such as the Banaue, Bunhran, Mayayao, Halipan, Hapao, and Kiangang). The Ifugao peoples are not only custodians of the forest and rice terraces, but also experts in harmoniously managing local ecosystems and natural resources. They mainly live at high elevations between 800 and 1,500 metres above sea level in the south, central and western areas of Ifuago province.

Located in a tropical rain forest zone rich in agrodiversity and fertile soils, the Ifugao rice terraces create an impressive landscape and provide good examples of water management. Unsurprisingly, they were listed as a UNESCO World Heritage site in 1995.

There are two seasons in the area: a long dry period from November to May and a wet season from June to October. To maintain the terraces’ complex water cycles and forests, the peaks to the middle parts of the mountainous areas are conserved as watersheds that are designated for protection and conservation of natural resources such as pine and mossy forests, medical herbs, wild animals, etc. This necessarily limits human activities in these areas, and woodcutting is especially prohibited. The people are, however, permitted to harvest forest timber and forest products from the lower mountainous areas down to the terraces.





Part of the image collection of the International Rice Research Institute (IRRI).

There are thirteen major water bodies in the Ifugao province, which primarily come from surface run-off water and ground water, and these are used to irrigate the rice terraces and meet domestic water needs. The unique systems that developed over time to manage water resources for rice cultivation are balanced by carefully managing seepage, evaporation, and rainfall. The seepage from higher elevated paddies is recycled and helps in replenishing the lower paddies.

The Ifugao peoples also retain water by constructing walls and dikes made of compact soils and stones, conserving soil from erosion and creating wet fields for intensive rice cultivation. Furthermore, these communities have created many rice varieties to meet the different water regimes and temperature conditions of the mountainous landscapes. Typically, each family plants more than three rice varieties from which they harvest the seeds for the next season. 

Facing economic growth and climate change threats

Despite their sustainable management of the rice terraces, 56 percent of the local Ifugao population of 162,000 were recognised as poverty-stricken by the national government in 2000. The income in most households comes from farm activities including rice, the main crop, supplemented by vegetables and fruits.

Indigenous peoples who maintain the rice terraces do not derive any of the benefits of economic growth that the country may experience, especially from the tourism industry. However, this situation is transforming slowly as many younger Ifugaons prefer to work in the industrial and tourism sectors and are refusing to work in rice terraces.

Climate projections in the Ifugao province suggest an increase in temperature of 0.9°C by 2020 and 1.9°C to 2.1°C by 2050.

While it is potential economic opportunities in urban areas that threaten the continuity of the traditional knowledge that has sustained the Ifugao, the ecological functions of rice terraces are very much vulnerable to climate and other environmental changes. Climate change is expected to increase rainfall intensities and lengthen the duration of the dry season, resulting in shortages of water supplies, landslide disasters and terrace collapses.

Even though there are inconsistencies and uncertainties in climate projections that make it difficult to design adaptation strategies to climate change, based on previous studies forecasts by different global climate change models present more or less consistent patterns of predicted temperature changes. Future climate projections in the Ifugao province suggest an increase in temperature of 0.9°C by 2020 and 1.9°C to 2.1°C by 2050, as well as differences in the projected rainfall. The highest increases in rainfall are predicted during June and August, while decreasing trends in rainfall are expected during the hottest periods around March and May.

Centuries of knowledge plus science

Climate change-induced alterations in the weather pattern will therefore have seriousimplications for rice production. The United Nations University Institute for Sustainability and Peace (UNU-ISP) “Comparative Studies on Development Strategies considering Impacts of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project (a partnership with several universities and supported by Mitsui & Co. Ltd) has recently assessed the impact of climate change on rice production in irrigation and rain fed areas of Nueva Ecija Province, located in the south and southeast of the Ifugao rice terrace areas.

Future climate trends were downscaled to local levels using what is known as Statistical Downscaling Model (SDSM) with the aim of estimating impacts on rice production. The models found that existing rice yields during the wet season of the 2080-2090 period would decrease by up to 25% in light of increases in mean daily temperature of 1.17 and 0.89 for two separate scenarios.

In fact, about 15,000 hectares of the Ifugao rice terraces have been abandoned due to low productivity over the last 50 years.  No wonder then that in 2001, the Ifugao Rice Terraces were listed on the List of World Heritage Sites in Danger due to the human induced threats and climate impacts.

Despite their sophisticated water management regimes, the abilities of indigenous rice terracing systems to adapt to especially extreme weather events are not well developed. For now, the Ifugao peoples have continued to plant their native rice varieties, which are more sensitive than introduced varieties.

Sooner, rather than later, indigenous peoples will need to cope directly with these uncertainties by drawing in part on centuries of their own knowledge. But they will also require the benefits of scientific knowledge to enable them to develop ecosystem-based adaptation strategies to enhance resilience of their rice farming system against floods and drought risks and investigate alternative water management schemes for the future.

In response to this challenge, UNU-ISP — in another project in partnership with University of the Philippines Diliman, Yunnan Normal University and Southwest Forest University (China), with the support of the Asia Pacific Network — is initiating a new study. The study aims to develop ecosystem-based adaptation measures and provide a generic method to strengthen resilience of traditional rice terrace farming systems in the Asian monsoon region, and reduce the risk of flood and drought through case studies in the Ifugao Rice Terraces in the Philippines and the Hani Rice Terraces of China.

The project will propose climate and ecosystem change adaptation measures to improve the livelihoods of the local farmers, and will synthesize research results into training modules for capacity development in local communities, government and postgraduate education.

In today’s world, with ecological challenges and climate change threats mounting and yet with heightened consciousness of the need for systems-oriented approaches, it is the melding of such mutually reinforcing techniques as science and local knowledge that will yield truly sustainable solutions.


728x90
728x90

중남미의 전통농업에서 주로 이용하는 작물은 옥수수와 덩굴콩, 호박을 섞어짓기하는 것이다. 키가 큰 옥수수밭의 두둑에는 덩굴콩을 심고, 그 고랑에는 호박을 심는다. 자그마한 공간 하나도 놓치지 않고 작물을 심어 활용하는 것으로, 옥수수는 키가 크고, 덩굴콩은 그 옥수수를 지주 삼아 타고 오르며, 호박은 고랑에서 넓게 퍼져 풀을 잡는 효과까지 노리고 있는 농법이다. 그리고 햇빛이 먼저 옥수수에 닿기에 콩과 호박에는 그것만 심었을 때보다는 덜 미치지만, 둘이 자라서 열매를 맺기에는 충분할 만큼이다. 멕시코인들은 이 세 작물을 사이좋은 '세 자매'라 불렀다.


한국의 경우에는 식문화에서 활용도가 높은 콩밭에다가 옥수수나 수수를 드문드문 심는다. 이는 중남미는 옥수수가 주식이라 옥수수밭에다 콩과 호박을 심는 것과 다른 형태이다. 하지만 이는 둘의 식문화가 다른 데서 기인하는 것일 뿐, 공간의 활용도를 높이고 서로 다른 작물 사이의 성질을 이용한다는 점에서는 마찬가지이다.


728x90
728x90

식량주권과 종자주권... 소농과 토종 씨앗



Untitled from sab inee on Vimeo.



728x90
728x90

매일경제 신문에 이런 기사가 떴다. "인도 농업에도 기회 있다" 무슨 소리인지 들여다 보았지. 아래는 기사의 원문...


"한국에서 몇 년 전 중국의 동북지역에 대단위 농업생산단지를 개발하고자 하는 계획이 생각났다. 인도에서도 외국 자본으로 토지를 매입해서 곡물을 대량 생산한 뒤 갖고 나가는 데 아무런 제약이 없다고 한다. 그러나 정작 실행하려고 하면 여러 가지 문제가 나타난다. 특히 물을 적절하게 공급할 여력이 없다는 점은 중요한 문제다. 

대부분 지역에서 6월 말부터 몬순이 시작돼 어떤 경우에는 9월까지도 지속되는데 폭우가 내리기는 하지만 가뭄이 이어지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거의 땅바닥이 말라 있는 상태가 되기도 한다. 그해에 내린 비의 양에 따라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크게는 2%까지도 달라진다. 
그러면서도 댐을 건설하는 것에 대해서 인도인들이 꽤나 민감하게 반응한다. 비가 항상 내리는 곳이 아닌 인도에서 물을 가두어 두는 댐을 건설하는 것은 몹시 중요하다. 그러나 댐에 대한 인식이 제대로 돼 있지 않아 토지의 원활한 운용이 되지 않는 것은 물론 지역에 따라서는 수질관리가 제대로 되지 않는다. 댐을 건설해서 발생하는 환경문제를 거론하지만 물을 제대로 확보하지 못하기 때문에 생기는 환경문제가 더 심각하다."

일단 여기까지. 인도의 물 문제를 지적하고 있다. 인도는 우리와 마찬가지로 계절풍 기후에 크게 영향을 받는 곳이다. 우리도 그래서 벼농사를 장마와 태풍에 맞추어 모를 기르고 모내기를 하다가, 이후 수리시설을 근대적으로 갖춘 다음부터 벼농사가 대규모로 변했다. 그전까진 계곡의 논이 오히려 물을 대기도 좋고 하여 인기가 있었으나, 수리시설이 갖추어지면서 너른 들판으로 내려오기 시작했다. 
그런데 문제는 이 사람이 지적하는 물을 공급하기 위하여 댐을 건설하자는 이야기이다. 참, 어이가 없다. 인도는 나름대로 전통적인 방식으로 물을 모으고 활용하는 방법을 가지고 있었다. 그에 대해서는 이곳을 참조하라(http://blog.daum.net/stonehinge/8723820). 댐을 건설하면 무엇이 좋고, 무엇이 나쁠까? 
먼저 댐은 대규모로 물을 가둘 수 있는 시설이다. 일단 건설 경기가 부양이 되겠지. 그리고 댐이 완성되면 거기에 모인 많은 물로 대규모 단작 농업이 가능해질 것이다. 그럼 농업 경기도 부양이 되겠지. 그런데 그 혜택을 누가 보는가는 문제이다.
그 지역에 살던 사람들은 수몰 지역이 되면서 자신들의 삶터를 빼앗기고 말 것이다. 그리고 댐을 건설하는 단순노동자가 되거나 도시의 빈민으로 몰리게 될 것이다. 또한 대규모 단작 농업은 이 사람이 이야기하는 우리나라 기업 같은 거대 회사가 장악하고 관리하는 농업이다. 그럼 이 지역에 살던 사람들은 그 회사에 소속된 단순 농업노동자로 전락하겠지. 결국 지역민들에게 댐을 건설하면 이렇게 우리가 잘 살 수 있다고 선전하지만, 그 실상은 자본이 거의 모든 이윤을 독점하게 된다는 소리다.
그런 방식보다는 인도의 전통적인 물 관리법인 조하드 같은 적정기술을 활용한 방법은 지역민들의 수준에서도 감당하고 받아들일 수 있는 진정으로 사람에게도 자연에게도 지속가능한 발전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음 단락으로 넘어가 보자.

"인도 농촌 전반의 뿌리 깊은 구조적 문제 때문에 인도 농민의 자살문제는 최근 인도에서 사회문제화할 정도다. 유전자 변형 작물도 이러한 사태를 더욱 심각하게 만들고 있다. 면화가 대표적인데 유전자가 변형된 종자를 심으면 병충해에 대한 저항력이 커져 생산력도 늘어나게 된다. 이 때문에 많은 사람이 이를 구입해 파종을 하게 되는데 생산량이 늘어난 만큼 수확 이후 가격이 폭락하게 된다. 가장 심한 곳이 마하라슈트라 지역인데 매년 이 때문에 자살하는 농부가 많다. 면화뿐 아니라 다른 농산품에서도 이런 문제가 나타나고 있다. 
한국인이 현실적으로 인도 농업에 진출하기 쉽지 않지만 인도인이 손대기 힘든 분야에서는 성공할 수 있다고 본다. 가령 인도 과일은 그다지 품질이 좋지 않다. 기후 등의 문제도 있지만 경험과 규모의 문제도 있다. 한국 농업이 현지에 진출해 고급 사과나 거봉과 같은 포도를 히말라야산맥 서쪽 기슭에서 재배하는 것도 생각해 볼 수 있다. 특히 기온 차이가 커야 제대로 맛있는 품종을 재배할 수 있는 경우에는 넓은 인도에서 적당한 곳을 찾아서 대규모로 재배할 수 있다. 다만 인도 농업 분야에 진출하는 것은 일반인이나 대기업만으로는 힘들 것이다. 한국농어촌공사나 한국수자원공사가 중심이 돼 다른 기업이 참여하는 선단(船團)형으로 진출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어렵게 생산해낸 농산품을 소비지까지 파손 없이 옮기는 문제도 어려운 과제다. 도로 사정도 좋지 않은 데다 냉동처리 시설도 제대로 갖춰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인도 정부도 최근 양파 파동 이후 이 문제에 대한 인식은 갖게 됐지만 해결이 쉽지 않다. 생산된 농산품이 중간에 파손되지 않게 소비자에게 전달할 수 있는 방법까지 고려해서 진출할 필요가 있다."

유전자조작 작물 이야기가 뜬금없이 나오지만, 뭐 그냥 넘기자. 이 사람이 지적한 대로 인도에서는 유전자조작 작물이 도입된 뒤,  1997년 이후 10년 동안 자살한 농민이 17만 명에 달한다. 일 년은 365일, 10년 이면 3650일, 그럼 하루에 몇 명이 죽었다는 소리인가? 약 50명 꼴이다. 끔찍한 일이다. 50명 규모의 학교의 한 반이나 회사의 부서를 가정해 보자. 그 한 반 전체, 부서 전체가 자살로 죽었다는 이야기이다. 함께 어디 소풍이나 관광을 가다가 버스가 전복되어 전원이 사망한 것도 아니고, 자살로!
아무튼 이 사람은 인도 농업의 틈새시장을 공략하자고 한다. 과일을 예로 들면서 말이다. 인간의 삶에서 과일이 중요한가? 식량이 중요한가? 물론 식량이다. 경제성장이 이루어지고 수입이 증대되면 과일과 육류 소비가 늘겠지. 하지만 그건 근본적인 것이 아니다. 그런 산업에 개인 자격이 아니라 국가의 지원을 등에 업고 진출하자고 꼬드기는 꼴이라니... 나라 망신이다.
한마디로 이 기사는 식량과 농업에 대한 본인의 낮은 인식 수준, 돈만 생각하는 입장을 잘 보여준다.



728x90
728x90

도입


인도는 인구의 70%가 농업이나 관련 직업에 종사하는 농경국가이다. 1960년대 인도는 인구폭발과 함께 식량 유용성과 안보의 측면에서 암울한 시나리오에 직면했다. 아사자와 대규모 기근이 예상되었다. 그 해결책으로 녹색혁명이 제시되었다. 1967~1977년 이어진 녹색혁명은 식량이 부족한 나라에서 세계 최고의 농업국으로 인도를 바꾸어 놓았다.



녹색혁명과 그 이후의 영향


생산성을 강화하기 위한 녹색혁명의 중요한 구성요소는 화학비료, 농약, 더 많은 물이 필요한 다수확 하이브리드 종자이다. 인도의 자급과 잉여생산을 만들기 위한 융자는 녹색혁명으로 나아갔지만, 20년 뒤 고투입 농업은 부작용을 보이기 시작했다. 녹색혁명의 최상과 최악의 효과가 나타난 펀잡Punjab의 사례에서 알 수 있다. 녹색혁명 기간 동안 기본적으로 '종자와 화학비료 패키지'였다; 펀잡에서 화학비료 소비 30배 증가했다. 펀잡에서 몇 년 동안 대풍년이 온 뒤, 질소-인-칼륨 화학비료를 아낌없이 사용했지만 여러 곳에서 흉작이 보고되었다.


왜 이런 일이 생겼는가?


사실 식물은 질소, 인, 칼륨 이상의 것이 필요하다. 그들은 아연, 철분, 구리, 마그네슘, 망간, 몰리브덴, 붕소 등과 같은 미량영양소가 필요하다. 펀잡에서 아연 결핍이 가장 널리 퍼진 미량영양소 결핍이다. 토양 질병과 결핍의 결과, 질소-인-칼륨의 늘어난 사용에도 그에 상응하는 쌀과 밀의 수확량이 나오지 않았다. 밀과 쌀의 생산성은 화학비료의 사용을 늘렸음에도 오르락내리락 했고, 심지어 펀잡 대부분의 지역에서 감소하기까지 했다. 녹색혁명은 기존의 밀, 옥수수, 수수, 기장, 콩과작물, 유지작물과 같은 다양한 작물의 섞어짓기 돌려짓기를 대신하여 밀과 벼농사(토양침하 작물로 알려진)의 대규모 단작을 불러왔다. 콩과작물(땅심 유지 작물)의 감소는 토양의 자연 거름 중개자를 빼앗는 것을 의미한다. 밀과 벼의 이어짓기는 토양 영양분의 소모를 뜻한다. 콩과식물에서 밀과 벼로 농경지 이용의 변화는 황무지로 만들었다.

그에 따라 집약적인 관개가 녹색혁명의 중요한 구성요소가 되었다. 이러한 물 수요가 펀잡의 지하수 자원을 압박했다. 오늘날 펀잡 지하수 자원의 90%가 농업에 쓰인다. 이는 전국 평균인 20%를 훨씬 웃도는 수치다. 게다가 지나친 물을 배수하는 걸 적절히 고려하지 않아 위험할 수 있다. 물이 빠지는 속도보다 더 빨리 차면 지하수면이 오른다. 침수는 다른 문제와 연관되어 있다 -염류축적. 염류오염은 흙의 생산성을 약화시키고, 극단적인 경우 영원히 망쳐버린다. 이러한 상태 -침수와 염류축적- 는 사막화를 불러올 수 있다. 오늘날 펀잡의 풍부한 충적 평원은 녹색혁명 농업을 가능하게 만든 지나친 관개수의 도입으로 인한 사막화로 심각하게 고통받고 있다. 

관개 이외에, 녹색혁명 유형의 농업은 화학물질과 기술집약적인 투입재가 필요하다 -예를 들어, 새로운 씨앗, 더 많은 화학비료와 농약, 트랙터와 기타 농기계와 관개. 또한 이러한 투입재와 기술을 써 먹을 수 있는 상당한 크기의 토지소유가 필요하다. 전통적으로 대개의 농업 투입재는 자유롭게, 또는 돈 없이 지역에서 교환되었다. 대부분의 농민이 저렴하게 쓸 수 있었다. 그러나 녹색혁명으로 그러한 투입재는 어쩔 수 없이 시장에서 사와야 하게 되었고, 많은 농민은 그럴 만한 여유가 없었다. 그래서 기존의 불공평이 증가했다. 따라서 녹색혁명의 이득은 사회에 고르게 퍼지지 않았다. 오직 특정 작물, 지역, 농민만이 녹색혁명의 혜택을 받았다. 



Beej Bachao Andolan


Jardhargaon는 Uttranchal의 Tehri Garhwal에 있는 전형적인 히말라야 마을이다. 인도에서 1960년대의 녹색혁명 이후 이 산간 지역의 농민들은 생산성 향상을 위하여 고투입 집중형 기술 농업을 쓰기 시작했다. 다수확 품종인 새로운 '개량된' 종자가 농약, 화학비료, 다른 외부 투입재와 함께 여기에 도입되었다. 현대화를 위한 경주에서 그들은 급속하게 자신들의 지속가능한 전통농업 체계를 잃어 버렸다. 역설적이게도 투자와 투입재가 늘어났지만 토양비옥도, 곧 토지생산성은 서서히 떨어지기 시작했다. 이러한 자각은 새로운 방법에서 멀어지고 더 지속가능한 농사 방식인 전통적인 방법으로 돌아가는 운동에 착수하게 만들었다. Beej Bachao Andolan(BBA)로 알려진 그 운동은 토종 종자를 보전하는 것만이 아니라, 농업생물다양성, 지속가능한 농업, 지역의 전통을 촉진하고 있다. 

그 일은 쉽지 않았다. 몇몇 전통 농법과 종자는 이미 '사라졌다.' 필요한 열쇠의 하나는 이것들의 부활이었다. 종자를 구하는 운동이 기본이었다. 농부이자 활동가 Vijay Jardhari이 이끄는 Jardhargaon의 마을사람 모임이 토종을 찾기 위해 외떨어진 마을을 방문하기 시작했다. 집중적인 활동 이후 모임은 지역에서 영원히 사라졌던 벼 250품종, 강낭콩 170품종 정도와 많은 다른 종자를 모았다.이러한 조사 과정으로 처음으로 풍부한 정보가 문서화되었다. 예를 들어 그들의 조사 기간 동안 Beej Bachao Andolan 활동가는 Ramasirain 계곡에서 chardhan(네 가지 곡물)이라 부르는 독특한 붉은 벼 품종을 기르는 농부를 발견했다. 그 벼는 영양가가 높고 막대한 외부 투입재가 필요 없다. 농민들은 또한 thapchini, jhumkiya, rikhwa, lal basmati이라 지역에 알려진 다른 토종 벼를 재배하고 있었다.  농업은 이제 좋은 수확량을 올리는 화학비료, 농약의 사용에서 완전히 자유로워졌다. 

또 다른 주목할 만한 전통 농법은 baranaja라고 알려진 12가지 작물을 한 밭에 동시에 심는 법이다. 이는 대규모 단작을 피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토양비옥도를 회복시키고 식량안보를 보장한다. 

전통적인 섞어짓기인 baranaja(문자 그대로 12가지 곡물이란 뜻) 체계에서 12가지 또는 그 이상의 작물을 사이짓기한다. 곡물, 편두, 채소, 덩굴식물, 뿌리채소를 복합적으로 기른다. 그러한 12가지 작물은 서로 조화를 이루며 자랄 수 있다. 콩과의 덩굴식물은 자연 지지대로 곡식을 휘감아 자라고, 한편 곡물의 뿌리는 토양을 단단히 붙잡아 토양침식을 막는다. 그들의 질소고정 능력 덕에 콩과작물은 다른 작물이 쓰도록 영양분을 돌려준다. 외부의 화학재 투입 없이 호두와 님 나무의 잎을 써서 해충을 억제하고, 재와 소의 오줌을 준다. 이런 생태농업의 체계는 생태학적 균형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되고, 농민은 일부 작물이 손실을 입어도 다른 품종으로 혜택을 얻을 수 있게 한다.

산간 지역에서 대부분의 소농 가족은 매우 제한된 토지를 소유한다. 따라서 주요 식량작물을 따로따로 심을 수 없다. 이런 맥락에서 또한 12가직 곡물 체계란 개념은 과학적이고 지속가능하다. 서로 다른 작물을 여러 작은 밭에다 심어서 1년 동안 서로 다른 시기에 수확하여 가뭄이나 흉작이 들었을 경우를 대비해 식량 부족을 방지한다. 작물의 다양성은 또한 토양비옥도를 유지하고 질소를 보충하는 데 도움을 준다. 한편 작물의 다양성 덕분에 또한 영양분도 다양하게 제공한다. 기장은 칼슘, 철분, 인, 비타민이 풍부한 반면, 콩은 풍부한 단백질의 원천이다.

그 운동에서 그들은 baranaja의 이러한 측면과 어떻게 되살릴지를 강조했다. 그들은 젊은이와 여성을 포함한 지역의 농민들과 전통농법 체계를 논의하고, 효과적으로 전통농법과 토종을 사용하는 이득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었다. 활동가들은 또한  현대적 농법과 하이브리드 종자의 사용으로 인한 위험에 관한 자각을 이끌고자 모임뿐만 아니라 행진도 조직했다. 농민들은 종자의 보존과 지역사회와 함께 그것을 나누는 데 앞장섰다.

처음에는 다수확 품종을 사용하는 농민들이 토종이 비슷한 생산량이 나올 것인지 확신하지 못해 일부 반대도 있었다. 그러나 BBA 구성원의 조언과 함께 농민들은 농약과 화학비료의 높아지는 투자의 무익함을 깨닫고, 또한 화학물질 사용의 생태적, 건강적 측면의 영향을 자각하게 되었다. 그들은 전통적인 생태농업의 방법을 채택하기 시작했다. 처음 몇 년은 수확량이 떨어졌지만, 곧 토양비옥도가 회복되면서 증가했다. 그들은 또한 지역에서 새로운 하이브리드 종자의 학살로부터 토종 종자를 구하기 시작했다. BBA와 관련된 농민들은 그 운동의 시작 이후 외부에서 어떠한 정기적인 재정적 지원 없이도 가능하게 만들었다.



지속가능한 농업


농업은 그것이 생태적으로 건전하고, 경제적으로 실행가능하고, 사회적으로 공정하고, 문화적으로 적절하고, 전체론적인 과학적 접근법에 기반할 때 지속가능하다. 지속가능한 농업은 세 가지 주요 목표를 통합한다 -환경적 건강함, 경제적 수익성, 사회경제적 공평함.

지속가능한 농업은 시사한다:

? 영양 순환, 질소 고정, 천적 관계와 같은 자연적인 과정의 결합;

? 환경을 해치고 농민과 소비자의 건강을 상하게 하는 외부재 사용과 재생불가능한 투입재의 최소화;

? 모든 문제 분석 과정, 기술 개발, 적용과 지도, 감시와 평가에 농민과 농촌 사람들의 참여;

? 생산자원과 기회에 대한 더욱 공평한 접근;

? 지역의 전통지식, 실천방법, 자원의 더욱 생산적인 사용;

? 농사 안에 자연자원과 사업의 다양성 포함;

? 농민과 농촌 사회의 자립도 증가;

? 농업의 경제적 생존력.





728x90
728x90

By Tierney Creech


워싱턴 젊은 농부 연합(Washington Young Farmers Coalition)은 이번 달 오레곤주 Madras에서 소농 잡지(Small Farmer’s Journal)가 주최한 33회 말쟁기 경매와 교환장터에 참여했다. 강습, 시범, 경매와 말로 농사짓는 농부를 만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지는 5일을 위해 우린 카풀을 짜고 우리의 텐트를 싸들고 남쪽으로 향했다. 


우리 가운데 일부는 전에 경매에 참여한 적이 있지만, 나는 처음이었다. 우린 다른 사람들보다 젊었을 뿐만 아니라 외관상으로 카우보이 복장이라 눈에 띄었다. 아무도 이상하게 보지 않고 더 물을 것도 없이 이 위대한 농업 가족의 일부로 우릴 환영해주었다. 여기서는 사람들이 금새 친해져, 나는 내 텐트를 치기도 전에 '이웃'의 아름다운 원뿔천막을 친 아이다호에서 온 세 농부가 박람회 찻집의 파이를 추천하고 자신들을 소개했다. 찬바람이 불던 어느 아침, 그의 야영장에 부엌이 있는 남자가 막 스토브에서 꺼낸 따땃한 비스킷을 가져다주었다. 믿음과 동지애가 이번 박람회에 가득했다.


Jefferson County 박람회는 작지만, 경매 그 자체는 엄청났다 –3일 내내 경매가 진행되고, 때때로 모든 물품을 놓고서 한번에 하나 이상의 경매가 이루어졌다. 마구, 오래된 대장장이의 도구, 마차, 말이 끄는 기구, 물론 꽤 괜찮은 예술품(편자로 만든 옷걸이)도 있었다. 우리 가운데 몇몇은 응찰하기도 했다 –막 자기 농장에서 땅을 일구려는 일부 친구는 다음 겨울에 그들의 첫 말을 구하겠다는 기대로 쟁기를 구입했다. 우리보다 경험이 훨씬 많은 농부들이 도구를 사고 우리에게 가장 좋을 걸 결정하는 데에 아낌없이 우리를 도와주었다. 당신은 여기서 회의없이도 당신을 도와줄 누군가를 찾을 수 있다.

현장 경매 말고도 시연과 강습도 이루어지고, 밭에 사각형을 표시하고 참가자들이 쟁기질 시합도 했다. 지역사회 지원 농업, 관개, 가축 사육, 학교 텃밭에 대한 강습과 우리가 더 많은 것을 생각하도록 만들었고, 쟁기질에 관한 새로운 기술을 어떻게 하는지 시연도 이루어졌다.

Washington Young Farmer’s Coalition은 젊은 사람들로 구성된 많은 사람이 참여한 원탁회의를 주최했다.

멘토들과 Small Farms Conservancy에서 온 대표자와 Friends of Family Farmers. 우린 우리 자신과 우리가 하고 있는 일에 대해 이야기하고 나서 청중 토의를 시작했다. 우린 소규모 곡물 생산과 관련해  필요한 실험에 대해 이야기했다 … 그리고 여기서 헤어져 올해 실험한 뒤 내년에 성공담과 실패담을 나누자고 했다! 현재 입법부에서 법안이 논의되고 있으며 문서가 교환되고 있다. 중요한 점은 이 혁명을 위해 농부가 필요하지 않다는 것이다; 우린 대장장이, 도축업자, 소프트웨어 개발자, 기계공학자, 육종가와 더 많은 사람이 필요하다. 그들을 찾아 격려하자!

나는 이번 행사에 가면서 말로 농사짓는 것에 관해 매우 조금밖에 몰랐다. 난 여전히 잘 모르지만, 앞으로 써 먹고 기반으로 삼을 많은 정보를 단 5일 만에 머릿속에 넣었다. 내년까지 기다릴 수 없다!


더 많은 정보:

www.smallfarmersjournal.com

www.washingtonyoungfarmers.org



728x90
728x90

By Tanya Kerssen and Clare McInerney



볼리비아 Santiago de Okola의 농생물다양성 대회(photo by Gabriel Zeballos)



세계에서 가장 생물이 다양한 열다섯 나라 가운데 하나인 볼리비아는 세계의 지속가능성과 식량 생산의 미래에 대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그러나 산업형 대규모 단작의 확대, 채광업, 기후변화, 농촌-도시 이주는 소농의 생계와 직접적으로 연결된 풍부한 다양성을 위협하는 것 가운데 몇 가지이다. 볼리비아의 NGO PROINPA는 농민의 농경지나 제자리에서 다양성을 보존하고 관리하기 위하여 수백의 농촌 공동체를 돕는다. 

PROINPA는 지속가능하고 경제적으로 실행할 수 있는 소농의 농업을 촉진시키는 볼리비아의 9개 부서 가운데 7개 부서에서 400곳의 지역사회에 걸쳐 일한다. 많은 실험실과 온실과 다양한 학문에서 온 다양한 인원, PROINPA는 장기간의 지원과 농부가 농생물다양성을 보존하도록 북돋고 그들의 작물다양성을 전시하는 대회(contests) 등을 조직하는 일을 제공하며 10년에 걸쳐 운영되어 왔다. 2010년 6월 Moco Moco의 고지대 지자체에서 열린 7년차 농생물다양성 대회에서, 자기 밭에서 500종의 감자를 재배하는 사람에게 1등이 수여되었다. 이곳은 농부가 무려 20곳의 군데군데 떨어진 밭을 평균 1800~9000평 정도 소유한 지역이다.[i]


사실 농부는 서로 다른 밭에서 흙의 상태와 생태학적 제자리에 기반하여 다른 품종을 심는다. 안데스란 환경의 엄청난 다양성으로 한 밭에서 잘 자라는 감자 품종이 50m만 떨어진 곳에서도 제대로 되지 않을 수 있다. 토종이라 불리는 토박이 작물의 유전적 다양성에 결합되어 있는 이러한 지역적, 전통적 지식은 세계적 기후변화에 적응하며 식량을 생산한다는 측면에서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다. 식량안보를 위한 식물 유전자원의 활용에 대한 최근의  FAO 보고서에 따르면, 기후변화 상태에 적응하기 위한 유전자 물질에 대한 세계적 수요가 있다. 이러한 자원의 대부분은 중앙 안데스 산맥의 감자 품종처럼 작물 원산지의 중심부에서 독점적으로 발견된다. 이러한 작물, 그리고 그들과 똑같이 중요한 야생의 동종은 유전자은행에서는 좋지 않게 보존되기에(제자리 밖), 소농이 제자리에서 그것을 보존하도록 지원해야 한다.[ii]

PROINPA가 하는 일의 일부는 현지 시장을 다양화하고, 주로 자급을 위한 것이지만 볼리비아의 농부들이 유지하는 식량 작물의 다양성에 관하여 소비자를 교육하는 것이다. 믿기 힘들게도 볼리비아에서 재배되는 감자의 어마어마한 다양성이 La Paz 시장에서는 단 8품종만 팔리고 있다. 과제의 일부는 어떻게 이러한 상품을 준비하는지에 대한 지식이 부족해서다. Cariquina Grande의 고지대 마을에 사는 Margarita Quispe Mamani는 사람들이 모든 감자를 똑같은 방식으로 요리할 수 있냐고 사람들이 물으면 웃는다: “No pues! 각각의 감자는 그 자신만의 특별한 준비 방법이 있다.” 그녀는 자기 지역사회의 작물을 전시하는 PROINPA가 후원하는 농생물다양성 대회에서 자신이 자랑하는 요리의 일부를 보여주었다. 



농업-생물다양성에 대한 가장 큰 위협의 하나는 '현대적' 씨앗 품종과 수출주도형 대규모 단작 농업의 촉진이다. FAO는 20세기가 시작된 이후 작물에서 세계의 유전적 다양성 가운데 약 75%가 "현대화한" 농업의 압박으로 사라져 버렸다고 추산한다.[iii] 볼리비아에서 수출주도형 대규모 단작의 확대 —콩부터 퀴노아와 코카까지— 는 환경과 생물다양성을 위협한다. 최근 뉴욕타임즈의 기사(article)는 선진국의 건강식품 틈새시장으로 추동된 알티플라노Altiplano의 퀴노아 농사 확대가 어떻게 볼리비아인 대부분이 영양가 높은 음식을 구할 수 없게 만들었는지 보여주고 있다. 퀴노아 수출 열풍의 또 다른 충격은 몇몇 돈벌이품종의 확대가 남부 알티플라노 지역에서 유전적 침식(erosion)을 일으키고 있다는 것이다. 이런 문제에 대한 PROINPA의 대답은 집에서 먹거나 현지 시장에 팔기 위한 다양한 퀴노아 품종의 지역 생산을 강화하는 것이다. 전통농법과 토종 씨앗의 문서화와 보존은 세계 시장의 변덕에 대항하여 지역의 유전적 다양성을 보호하는 핵심이다.  



PROINPA is featured on our Food Sovereignty Tour of Bolivia: Food Sovereignty and Climate Change (August 6 – 21, 2011) which will meet with PROINPA staff and visit PROINPA-supported projects in communities on the shores of Lake Titcaca and in the inter-Andean valleys of Cochabamba. For more information about this tour contact Tanya attkerssen@foodfirst.org.

.


[i] Vacher et al. “Influencia del Lago en la Agricultura Litoral” in: El Lago Titicaca: Síntesis del conocimiento limnológico actual, 1991.

[ii] Jarvis, Andy et al. “Thematic Background Study: Climate Change and its Effect on Conservation and Use of Plant Genetic Resources for Food and Agriculture and Associated Biodiversity for Food Security” FAO 2010. Available from:http://www.fao.org/docrep/013/i1500e/i1500e00.htm

[iii] FAO. The State of the World’s Plant Genetic Resources for Food and Agriculture. Rome, Italy, FAO 1997. (p.510)

728x90
728x90

ILEIA Newsletter • 14 nº 2-3 • September 1998


부르키나파소의 전통적인 덮기(mulching) 방법 -Fidèle G. Hien


도입

부르키나파소 전체, 특히 중앙 고원지대에서 1990년대 이전 시행된 지도 프로그램은 농경-목축 체계의 강화하기 위한 투자는 효과적으로 실제 수요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것으로 입증되었다. 그러나 지도사업으로 제안된 방법과 결합된 물과 흙의 관리를 위한 전통 기술과 방법은 때때로 연구자와 지도자들의 관심을 끄는 놀라운 결과를 올렸다. 부르키나파소의 Centre Nord에서 전통적인 덮기는 이러한 방법의 하나다. 심각한 가뭄이 들었던 1974~1985년 이후 전통적인 덮기의 사용이 놀랄 만큼 증가했다. 밭에서 물을 보존하기 위한 전통적인 기술로 처음 사용된 덮기는 침식 방지와 토양 관리 기술과 통합되면서 점진적으로 향상되었다. 오늘날 그 방법은 그 지역에서 물과 토질을 관리하는 효과적인 방법으로 인식된다. 
전통적인 덮기는 최근 양적, 질적 연구의 목적이 되고 있다. 이 연구들은 덮기의 효과를 개발만이 아니라 농업생태학적, 사회경제적 측면에서 더 잘 평가할 수 있도록 만들었다. 이번 사례 연구는 이러한 연구 노력의 가장 중요한 결과에 대한 요약을 제공한다. 그들은 부르키나파소의 이 부분에 사는 농민들의 동기를 분명하게 할 뿐만 아니라, 최저생활이란 기본적 목표 너머로 나아갈 능력을 보여주는 실행방안의 지속가능성과 개발 상태에 대한 논의를 불붙인다.


Centre Nord의 농업

덮기가 개발된 Centre Nord는 Mossi 고원의 일부이다. 덮기는 현재 그 지방의 대부분, 특히 Sanmatenga, Namentenga, Bam, Passoré에서 실행되고 있다. 1985년에서 1996년 사이 인구는 35%까지 증가했다. 그때 평균 인구밀도는 예를 들어 1평방킬로미터에 52명이었다. Centre Nord는 고도 300m의 평지이다. 강우량은 500~800mm이다. 토양의 대부분은 철분을 함유하고, 겉이 딱딱하고 얕다(47%). 깊고 무거운 흙(16%)은 가장 좋은 농업잠재력을 지닌다. 평균적으로 단 토지의 43.5%만 경작할 수 있다. 1990년 농사에 알맞은 땅의 24%는 매우 저하되었다(BUNASOLS-MAE 1990). 자연식생은 지나친 방목과 땔감 채취를 위한 착취로 심각하게 저하되었다.


Mossi 고원은 토지의 개발 수준이 수용력 이상으로 진행되고 생산 체계는 악화의 소용돌이에 빠진 지역으로 간주되었다(Kessler and Boni 1991; Zoungrana and Zoungrana 1992; Hoek vd et al 1993; Hien 1995). 휴한기는 매우 짧아지고 영양분이 격감했다. 유기물(1년 1헥타르에 -1.37톤)과 영양분이 비극적인 상태였다: 질소(1년 1헥타르에 -15~-20kg)와 인(1년 1헥타르에 - 2kg).

Centre Nord에선 두 생산 체계가 발견되었다: Mossi족의 농경-목축 체계와 Peulh족의 목축 체계. 열화로 인하여 두 체계는 점점 계곡의 비옥한 땅을 두고 경쟁하게 되었다. Barning과 Dambré(1994)에 따르면, 농민의 사회경제적 상황은 꽤 약하다: 농민의 43%는 최저생계를 유지하며, 그들은 가난하고 농업에 투자할 길이 없다. 농민의 단 19%만이 부유하고 작물이나 가축 생산에 투자할 여유가 있다고 간주될 수 있을 뿐이다. 평균적으로 곡물 생산 상태는 수입 상태(1년에 -3000 F.CFA)와 마찬가지로 마이너스(1년 1인당 -49kg)이다. 가축 생산에 대한 투자는 가장 좋은 결과를 주고 덜 위험하다.


덮기: 기원과 발전

According to the farmers of Tagalla, Sanmatenga province, mulching is an old technique used to improve soil conditions. Today, it has spread over large parts of the central plateau. Its reappearance was particularly striking after 1974 and more so after 1984, times of severe drought in the Sahel.

Mulching consists of spreading the plots to be cultivated with 6000 kilogram per hectare of straw from Loudetia togoensis, an annual herb typical of the superficial soils of the Sudano-Sahel region (Lafay andt Ranson 1995) at the end of the dry season. After it has flowered, the straw of Loudetia togoensis can be collected freely from fallow land. It is not a very appetising plant and provides poor forage. This straw, together with household refuse, chaff and dung are the inputs traditionally used by the farmers of the Centre Nord. Dung is the most preferred source of organic matter. Chemical inputs are generally too expensive to be used for cereals, the subsistence crop. Mulching seems to be the simplest solution and the one most within the reach of the farmers of the region who want to improve their soils (Slingerland and Masdewel 1996). Sowing takes place one or two days after the first major rains and there is no tillage before planting. There are three successive weedings in order to incorporate and ensure that the straw is well decomposed before the end of the growing season.

The decision-making criteria used by farmers as to whether mulch should be applied take three factors into consideration: soil type, the type of crop, and the field type. Lafay and Ranson (1995) point out that mulching takes place primarily on so-called "hot" soils. During the 1994 season in the village of Tagalla, mulch was applied in a 100 percent of cases to rehabilitate the denuded and crusted soils known as Zippellé in the traditional classification of land (Schutjes 1991). on shallow and gravel soils, the Zegedega soils, mulch was applied to 44 percent of farmland. Clay-loam or sandy-clay soils found on slopes, and known as Bolé, were mulched in 37 percent of cases. The so-called "cold" soils - sandy soils or Bissiga and heavy soils of the lower areas known as Baongo - are generally less involved and formed respectively 28 percent and 8 percent of the mulched fields in 1994. on these soils the straw is generally burned two days after sowing in order to prevent weeds. For the farmer, mulching aims above all to preserve the humidity of the soil for the benefit of the seeds and this is more important than the fertilising effect of mulch on the soil. This explains why the straw is burnt two days after sowing on the so-called "cold" soils where water storage capacity is the highest (Lafay and Ranson, 1994, Hien et al 1997).

Sorghum is the crop most often associated with mulching whereas millet is considered to be better adapted to drought conditions. Maize is much more demanding of water and nutrients and, as far as this region is concerned, has become a marginal crop only planted in fields that receive more dung and household refuse.

Fields nearest to the house (champs de case) receive priority as far as household refuse (38 percent of production in Tagalla in 1994) and cow dung with or without mixed straw (31 percent) is concerned. The fields situated in the proximity of the village (champs de village) are the most mulched (50 percent of the household of Tagalla in 1994), followed by the fields nearest to the house. When cow dung is in short supply to fertilise these fields, straw and other inputs are used to complement it. The fields in the bush (champs de brousse) that are farthest away from the house receive the least input. In 1994, 53 percent of bush fields in Tagalla received no inputs at all.

Lafay and Ranson (op cit.) have observed that, in Tagalla, the popularity of stone lines as an anti- erosion measure have been accompanied by an increase in mulching. Barning and Dambré (1994) noted that in the province of Sanmatenga in general the practice of mulching decreases when the level of animal traction used by farmers increases. Ploughing before planting is never accompanied by mulching.


확대: 이유와 한계

The analysis of the ecological and socio-economic conditions of agriculture in the Centre Nord reveals why the practice of mulching has spread. Faced with a pressing shortage of land and a growing population, even the poorest pieces of land have had to be brought into cultivation. This has meant that farmers have had to intensify their efforts. Mulching in this region, as well as the practice of Zaï in the northwest of Burkina, are expressions of this imperative.

According to Lafay and Ranson (op cit.), farmers in the central northern region attribute the increase in mulching to two essential factors. First, they have less fertile land to feed more people and second rainfall has decreased over the past 30 years. Rainfall has become more erratic and when it does fall it is often violent and stormy. In the province of Sanmatenga, annual rainfall decreased between 1960-1978 and 1979-1988, varying from 41 millimetres in the south of the province to 210 millimetres in the north (Hoek vd et al 1993). At the same time maximum intensity during a 30 minute interval can reach 108 millimetres per hour (Hien 1995). The number of days of rain has decreased and as a result the season is shorter.

Lafay and Ranson reported that from 1984, some agriculture extensionists began to advise mulching in the technical package presented to farmers. For this reason many farmers began mulching when they saw that their neighbours who practised this method were getting better results. These types of examples have played a very important role ensuring the spread of mulching.

There are two limitations to the development of mulching. First, the lack of straw and second the lack of means and time available to farmers. The straw of Loudetia togoensis is mainly harvested on more gravelly, shallow soils (Zagedega) that are generally considered impossible to cultivate. These non-cultivatable soils represent about 56.5 percent of the total area of Sanmatenga province, varying from 80 percent in the districts of the north to 26 percent in those in the extreme south (Hoek vd et al 1993). Moreover, much of this non-cultivatable land is extremely degraded. Like elsewhere in the Sahel, primary production on these soils is closely linked to rainfall patterns (Penning de Vries and Djitèye 1982; Breman and de Ridder 1991). At flowering the straw production varies from between 2500 and 4500 kilograms of dry material per hectare according to the season and the quality of the soils. An average of 6000 kilograms of straw has to be spread at the end of the dry season. The loss of biomass during this period is estimated to be about 25 percent of the plant at flowering stage. This means that the straw of two to four hectares of bush - according to the season - has to be harvested in order to meet the mulching needs of a one hectare field. This is why the bush has not been burnt for the last 10 years.

Transporting the straw is the second constraint facing the farmer. The straw is generally transported by foot from the bush to the fields and is mainly carried by men. The quantities transported vary from 10 to 15 kilograms per person and per trip (Lafay and Ranson op cit.). Depending on the distance from where the straw is gathered, to the field, and the number of active persons in the household and their carrying capacity, the farmer will need between 80 and 200 working hours to collect the amount of straw necessary to mulch one hectare of land. Thus, mulching takes the farmer about a month’s work before sowing begins. This is why bicycles can often be profitably used. However, the most practical means of transport is an animal-drawn cart but it is expensive. Since the devaluation of the local currency in 1994, transport costs are about F.CFA 200,000. This figure must be compared to F.CFA 55,000, the estimated annual average household income (Barning and Dambré 1994).


덮기의 생태적 영향

For the farmers of the Centre Nord, mulching increases the production of sorghum. The work of Lafay and Ranson (1994) and Slingerland and Masdewel (1996) sheds some light on the socio-economic aspects of the technique. Research conducted after 1996 has focused on the ecological performance of mulching practices (Hien et al 1997 and 1998). Experiments carried out at farm level in Tagalla village have made it possible to compare the effects of four treatments that combined mulching, stable dung and natural phosphate on the hydrodynamic parameters of the soil, the sorghum production, and nutrient flows and balances. The goal of these experiments was to come to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processes that determine increases in sorghum production and to make it possible to evaluate the sustainability of the system in terms of nutrients. During the cropping season of 1996 with 623 millimetres of rainfall - nearly a normal pattern - three treatments with six repetitions were compared using non-mulched plots as a control:

• simple mulching (6000 kilograms DM ha-1) with the dry leaves of Loudetia togoensis: refered to here as Pa
• mulching (6000 kilograms DM ha-1) + 2000 kilograms. ha-1 of dung or PF
• mulching (6000 kilograms DM ha-1) + 200 kilograms. ha-1 of "Burkina Phosphate" (natural phosphate ) or PP

After the straw had been spread following normal local farming practice, evaporation was measured over a period of ten days from the time that a local variety of white sorghum was sown. Measuring rainfall and run-off made it possible to calculate the infiltration levels and the run-off thresholds (Hien 1995; Hien et al 1997). At the same time, the germination and seedling settlement of the plants were monitored and the yield levels of grain and straw were measured at harvest time. The total reserves of nitrogen (N), phosphorous (P) and potassium (K) in the first 0–30 centimetres of soil have also been assessed. The absorption of N, P, and K by the plants during the growing season was monitored every two weeks from the fortieth day after planting up to the flowering stage. Thus, it was possible to measure the changes of N (Nb), P (Pb) and K (Kb) in the sorghum biomass above the ground. At the same, the straw and dung have been analysed and finally, on the basis of data related to nutrient flows in the agricultural systems of Burkina’s central plateau (Piéri 1989; Lompo 1993) and of the Sahel in general (Penning de Vries and Djitèye 1982), an evaluation of the N and P balances was made. The results of this work can be summarised as follows:

• Mulching significantly improves the hydrodynamic conditions of the soil
As far as water flows are concerned, mulching secured 64 percent reduction in water losses and, in comparison to the control plots, infiltration into the soils has improved 4 to 7 times. Evaporation was reduced by 30 percent on mulched plots.

• Mulching improves crop development conditions and crop yields.  
Statistical analysis of the results shows that mulching significantly improves the period of germination. It reduces primary mortality (after germination) of sorghum and positively influences the production of grains and straw. For straw production, the difference was highly significant (p<1 percent) between the control T (480 kilogram DM ha-1) and the treatments with straw: Pa (2265 kilogram DM ha-1), PF (2729 kilogram DM ha-1) and on the hand was also significant (p<5 percent) between the control T and the treatment PP (1836 kilogram DM ha-1). The treatments with straw when compared to each other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As far as the grain yield is concerned, the analysis also showed that the treatment control T (140 kilogram ha-1 on average) revealed a highly significant difference when compared to the treatment Pa (774 kilogram ha-1), PF (1064 kilogram ha-1) and PP (687 kilogram ha-1). The treatments PF and PP showed a difference at the 5.7 percent level whil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F and Pa.

• From the point of view of mineral balance mulching has some risks
The N and P balances have been calculated on the basis of the principal that, within the local agricultural system, all the crop residues at harvest are exported. This implies that the calculated immobility corresponds to the mineral exports. The balances of N and P at the end of the 1996 rainy season are given in the following table:


Despite the fact that important quantities of straw are involved, the mineral input linked to mulching with Loudetia togoensis hay is extremely weak. This is because of the bad quality of the straw at the end of the dry season. The level of N in the straw at that time is less than 0.23 percent. on the other hand, the organic input associated with this practice is very important (5600 kilogram ha-1 of organic matter). Simple mulching (Pa) revealed a relative phosphorous shortage in the soils. The input of dung or "Burkina Phosphate" has made it possible to mitigate this shortage which resulted into a better P/N balance (Van Duivenbooden 1996): the P/N ratio at flowering stage was 0.1. Indeed, the input of dung has considerably improved the availability of nitrogen. Equally, the input of 200 kilogram ha-1 of "Burkina Phosphate" stimulated the absorption of P. The greater availability of this element has improved the uptake of N with the result that the N balance has become negative.

In general, the calculated P balance confirms the observation (Lompo 1993) that the P input, whatever its source, improves the P balance. This is especially the case when the P source is less soluble (as with " Burkina Phosphate" in our case). These data also confirm the conclusion that mulching, applied alone, primarily aims to improve the bio-physical condition of the so-called ‘hot’ soils in order to improve germination and seed establishment (Lafay and Ranson 1995; Slingerland and Masdewel 1996; Hien et al 1997).

As far as the mineral balance is concerned, two treatments would, in the long term, imply a risk of soil mining. Simple mulching (Pa) that only improves the availability of water would mine the soils of N and P, and the treatment straw and natural phosphate (PP) might mine nitrogen reserves more rapidly because of an increased input of phosphorous. The combination of mulching and dung (PF) show the best sustainability characteristics at plot level.

The weak yield levels observed in the control plots, as well as the higher levels of nitrogen and phosphorus in the sorghum biomass at the flowering stage indicate quite clearly that, without mulching, production is primarily limited by water. Thus, it is logical that the simultaneous improvement of soil water conditions and N and P availability (treatment PF) has given the best results.


덮기의 사회경제적 이익과 한계

Mulching appears to be a common practice amongst Mossi farmers (Barning and Dambré, 1994; Lafay and Ranson, 1995), because there is little dung available within their households. Peuhl herders who have access to cattle and dung, only mulch very rarely. In order to get an adequate supply of cow dung, Mossi farmers sometimes enter into "cow dung contracts " with the Peuhls. The Peuhl are paid in kind or in natura and they leave their cattle overnight on Mossi fields for part of the dry season.


With and without mulching the difference is clear
Amongst the Mossi, mulching is also the only way women can improve the yields they get from their fields. Women’s fields are generally situated on less fertile soils. Lafay and Ranson have observed that women’s fields are more frequently mulched than those of the men. Women do not own land themselves and often they have to change fields because their husbands have new cultivation plans. In addition, apart from a few rare exceptions where women possess cattle themselves, the dung comes from the family stable and is primarily intended for the family field.

Compared to the average yield levels in the region which are about 450 kilogram ha-1 on top soils (DEP-MAE, 1988 and 1989 cited by Hoek vd et al 1993), mulching alone would, in a normal rainfall year, allow an increase in sorghum yield of about 50 to 75 percent on this type of soil. When this is also combined with dung (2000 kilogram ha-1) the yield levels realised in Tagalla are at least two times better than the regional average. As far as the financial balance of the households is concerned, evaluation shows that even with a doubling of yield levels, the time dedicated to the transport of straw (about 180 hours of work per hectare) does not constitute an improvement in financial terms. only the transport of straw by animal-drawn carts would result in a ten-fold reduction in the number of hours worked. This would contribute to an improvement or maybe even bring the financial balance of the households into equilibrium.


결론과 논의

Farmers quite clearly see the agro-ecological advantages and limitations of the mulching systems as they confirmed that mulching by itself is the most effective when rainfall is inadequate (Hien et al 1998). In conditions of drought dung when used alone would cause growing difficulties because of water stress and would result in lower biomass and grain production. By contrast, when there is good or normal rainfall, mulching alone would result in an important growth of the biomass but grain yield levels are lower. In other words as Barning and Dambré (1994) and Lafay and Ranson (1995) have shown, farmers prefer dung to simple mulching in normal rainfall conditions. They know that the straw does not add significantly to soil nutrients but does improve humidity. Mulching appears to be the only solution when it comes to improving sorghum yields in situations where dung is not available in sufficient quantity and where chemical fertilisers are too expensive.

The work of Hien et al (1997 and 1998) show that for farm households it is at least possible to achieve a positive mineral balance by combining mulching and dung application. The N and P balances obtained by combining 6000 kilogram ha-1 of straw and 2000 kilogram ha-1 of dung show that it is possible, at least at a certain level, to achieve sustainable agriculture based on low levels of external inputs. Dung in this context is the most limiting input. Simulation shows that, by combining it with mulching, it becomes possible to reduce the input of dung by half to 1000 kilogram ha-1 without compromising the N and P balances and still increase the content of organic matter in the soil.

At the village level, however, improving the sustainability of the system necessarily involves a combination of various measures that would allow an increase in the availability of both straw and dung. Hoek vd et al (1993) has shown that the need for organic matter or compost to maintain the fertility of cultivated soils in Sanmatenga is 2.7 tons per hectare per year. Even if there were a complete, 100 percent, stablisation of cattle and other livestock in the province, this would only provide enough dung for 25 percent of the land being cultivated. At the same time Hoek vd et al (1993) have observed that, in financial terms, the expenditure required for composting would largely exceed the income it produced. By reducing dung input by half in a system that combines mulching and dung, the availability of dung could be increased. However, it is likely that the absence of investments aiming at the conservation and rehabilitation of sylvo-pastoral lands will contribute to a decrease of fallow land, as compared to total cultivated land needed to maintain the organic and mineral equilibrium of the production system. This lack of investment favours the accelerated degradation of sylvo-pastoral land (Hien 1995) and reduces the level of straw production. Finally, the stabling of cattle and other livestock - a pratice that has been pursued for the last ten years in a number of villages in Sanmatenga - assumes that the production of dung at household level can be doubled and that, at the same time, the regeneration of non-cultivated land is helped by reducing animal pressure on it. There are not many choices available in situations like those found in the Centre Nord.

Translated from the French by Bert Lof and Carmen Rodriguez.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