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농업123 인도의 전통농업: 토종 벼 이야기 Kerala주 Wayanad 지구의 토착민은 여러 세대 동안 화학비료와 해로운 농약을 사용하지 않는 농사법으로 토종 볍씨를 보존하는 전통적 방법을 실천해 왔다. 글과 사진; K.K. Mustafa 여러 세대 동안 케랄라주 Wayanad 지구의 토착민들은 약 35가지의 토종 볍씨를 보존하기 위한 “무다케탈(Moodakettal).. 2013. 2. 5. 아메리카 원주민의 농사법 The concept of companion planting, in which one plant helps the other, is the basic idea behind the Three Sisters, but focusing on this alone glosses over many of the nuances in native garden traditions. Photo By Rob Cardillo Photography Considering how corn, beans, squash and other “New World” foods have changed the course of human culture, the time is ripe to take a fres.. 2013. 1. 21. 수상텃밭 이야기 코스타리카에서 실험하고 있다는 '수상 텃밭'. 영어로는 "Aquatic agriculture"라고 하여 호수나 연못 등지에서 농사짓는 방법이라고 한다. 정말 재밌는 발상이다. 물이 많고 땅이 부족한 곳에서 실천하면 좋겠다. 이런 방법이 전통농업 가운데 있기는 하다. <농업이 문명을 움직인다>에 보.. 2013. 1. 17. 고대 도시 페트라에서 발굴된 계단식 밭 A wall supporting a hillside terrace used for farming outside Petra. (Phys.org)—A team of international archaeologists including Christian Cloke of the University of Cincinnati is providing new insights into successful and extensive water management and agricultural production in and around the ancient desert city of Petra, located in present-day Jordan. Ongoing investig.. 2013. 1. 17. 추어탕을 알려 주마 벼농사를 지어 쌀을 주식으로 삼은 한국인에게 논은 다양한 의미를 지닌다. 먼저 논은, 당연히 먹을거리를 주는 공간이다. 그런데 지금이야 '논=벼'라는 공식을 떠올리지만, 원래 예전의 논은 벼만 사는 곳이 아니었다. 논에는 물장군도 살고, 물방개도 살고, 개구리도 살고, 올챙이도 살고.. 2013. 1. 14. 인도의 벼-밀 돌려짓기 작부체계와 볏짚 처리문제 인도 북부 펀잡 지역에서는 5억 명이 해마다 쌀과 밀을 먹고 산다. 그곳에선 농지에 남은 볏짚에 불을 지르는 전통농업의 농법이 있다. 그를 통해 이산화탄소 등이 배출되는 문제를 생각할 수 있다. 세계의 농업이 온실가스 배출에 30% 정도 기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더 지속가능한 .. 2012. 12. 12. 이전 1 ··· 3 4 5 6 7 8 9 ··· 2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