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농업123 전통농업을 부활시켜 생물다양성을 강화하다 전통농업으로 전환하는 것은 공룡의 소멸 이후 최악의 멸종 위기를 막을 수 있는 방법으로 보인다. 중국의 논에서 물고기를 키운다거나 호주 원주민의 불을 놓는 법 등 고대의 농법이 동식물의 멸종을 늦추는 계획에 중요한 수단이 될 수 있다고 전문가들이 이야기했다. 전통농업으로 전.. 2013. 12. 11. 수확량을 확 올리고 싶다고? 땅에 휴식을 줘라 전통농업의 방법에 대한 글인 줄 알고 덤볐다가 뒤로 갈수록 경제적인 측면에 대한 이야기로 흘러버린다. 그만큼 이해하기 어려웠던 내용이라 번역도 엉망이다. 정확한 내용이 궁금한 분은 원문을 참고하시길 바란다. 나는 그저 '히마'라는 전통적인 농법이 있다는 사실에 만족하련다. .. 2013. 9. 25. 기후변화에 맞서 스리랑카의 농민들이 고대의 관개 체계를 활용하자고 요구 Ancient irrigation reservoirs have played an important role in Sri Lanka’s agriculture and could be even more vital now due to changing weather patterns, new research has found. Thomson Reuters Foundation/Amantha Perera This time last year, most of Sri Lanka was baking amid a drought that lasted 10 months. Reservoirs had run dry in the main food-growing regions in the north .. 2013. 7. 8. 가뭄에 대비하자 농업이 직면하고 있는 주요한 문제 가운데 하나가 물의 가용성이다. 기후변화로 인하여 작물 재배지역에 가뭄과 홍수를 포함하여 더 극심한 재해가 야기될 것으로 예상되는 현재이다. 또한 인구 성장에 따라 작물을 재배할 때 더 효율적으로 물을 사용하는 일이 중요해졌다. 오늘날 약 28.. 2013. 6. 17. '보농서 역주' 발간 부산대 사학과 최덕경 교수가 한국에서는 처음으로 명말청초 가장 선진지역이었던 중국 강남지역의 농업서인 '보농서'를 번역하고 주석한 '보농서 역주(補農書譯註)'를 발간했다. '보농서 역주'는 4년에 걸친 부산대 '생태농서연구회'에서 최 교수가 발표한 내용을 토대로 만들어졌다. 관.. 2013. 5. 28. 시리아 하마 지역의 전통 관개법 시리아 북서부에 있는 네 번째로 큰 도시인 하마시... 이곳은 과거 메소포타미아의 비옥한 초생달 지역이라 불리던 곳이다. 시리아의 하마시는 바로 여기이다. 교통의 요지이면서 도시를 관통하는 오론테스강을 중심으로 하여 농업이 발달한 지역. 이곳은 과거 클레오파트라가 방문하여 .. 2013. 5. 28. 이전 1 2 3 4 5 6 ··· 2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