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작물89 덮개작물이 풀을 이기는 방법 들어가며덮개작물을 재배하면 몇 가지 방법으로 풀을 이길 수 있다. 직접 경쟁타감작용(Allelopathy) —식물의 성장을 방해하는 물질을 방출풀씨가 싹트는 걸 막는 자극제토양의 미생물 군집을 바꾸어 특정한 풀에게 불리하도록 만듦덮개작물을 갈아엎고, 베고, 말아 버리거나 여러 방법.. 2017. 4. 21. 감자에 대한 정보 감자의 특징감자는 자잘한 잔뿌리가 발달한다. 이 뿌리는 기껏해야 60cm 정도이다. 그래서 120cm 정도의 뿌리를 내리는 곡식 종류에 비해 감자의 뿌리는 얕은뿌리이다. 그래서 감자는 땅속 깊이 있는 수분이나 양분을 빨아들이기 어렵다. 감자는 토양의 온도가 10-35˚C일 때 뿌리가 활발히 성.. 2017. 4. 20. 생물다양성이 농장에 주는 혜택 샌프란시스코에서 남쪽으로 90마일 떨어진 왓슨빌에 있는 농장은 비틀즈의 히트곡 “Strawberry Fields Forever”에서 영감을 받은 것처럼 보일지 모른다. 겨울철에 긴 검은 비닐로 덮인 흙은 이듬해 딸기를 심을 두둑이다. 농민들은 여기를 클로로피크린 같은 화합물로 훈증소독한다. 이 물질.. 2017. 4. 18. 유전자변형 작물은 제초제 사용량을 증가시키는가 http://www.nature.com/articles/ncomms14865#supplementary-information 위의 논문은 미국에서 주요 작물의 제초제 사용량이 장기간에 걸쳐 어떻게 변화했는지 분석한 결과입니다. 논문에 나오는 도표를 가져오면 아래와 같습니다. 흔히들 유전자변형 작물의 도입이 관련 제초제 사용량의 폭증을 가져왔다고.. 2017. 4. 11. 도우미 작물과 해충 통제 도우미 식물을 활용해 해충을 통제하는 방법에 대한 글을 한국어로 옮겼다. 전문용어가 많이 나오고, 문장도 어려워서 애를 먹었다. 그저 무슨 이야기를 하고 있는지 대충 짐작해 볼 수 있는 정도로 의역과 오역을 남발할 수밖에 없었다. 아무튼 농업에서 사이짓기, 섞어짓기, 돌려짓기는 .. 2017. 4. 5. 질소를 고정하는 박테리아를 활용한 유전자변형 작물 콩은 대기의 질소 성분을 고정시켜 식물에 필요한 질소질을 쉽게 얻는다고 한다.그 역할을 하는 것이 바로 콩과 공생하는 뿌리혹박테리아인데, 유전공학의 기술로 작물에 질소를 고정시키는 박테리아를 주입해 생산량을 늘리는 유전자변형 작물이 개발되었다는 소식이다.참 별의별 걸 .. 2017. 4. 4. 이전 1 ··· 3 4 5 6 7 8 9 ··· 15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