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작물89 2050년까지 세계의 식량생산을 2배로 늘리지 못할 것 같다는 연구결과 http://journals.plos.org/plosone/article?id=10.1371/journal.pone.0066428 Abstract Several studies have shown that global crop production needs to double by 2050 to meet the projected demands from rising population, diet shifts, and increasing biofuels consumption. Boosting crop yields to meet these rising demands, rather than clearing more land for agriculture has been highligh.. 2016. 10. 20. 농장의 작물다양성에 대한 유전자변형 특성의 영향 농장의 작물다양성에 대한 유전자변형 특성의 영향 Effects of Genetically Engineered Traits on Crop Diversity on Farms 농장에서 작물 종의 다양성과 각 작물 품종의 다양성을 유지하는 일은 일반적으로 병해충에 대한 완충지와 해마다 환경의 변화로 인한 어느 한 작물이나 품종의 손실에 대한 안전판을.. 2016. 9. 26. 글리포세이트 발암물질 논란 글리포세이트 이슈 -미국 환경보호청.pdf 제초제 저항성 유전자변형 작물의 맞춤형 제초제로 널리 판매되고 사용되는 글리포세이트. 지난해 이 화학물질이 2급 발암물질이라는 WHO의 발표가 있었다.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5/03/22/0200000000AKR20150322055300009.HTML 아니 그런데, 올해에는 미.. 2016. 9. 20. 유전자변형 작물의 재배를 반대하는 근거는 무엇인가? 한국의 경우 5대 식량작물인 벼, 보리, 콩, 옥수수, 감자는 정부에서 육종을 주도하여 생산과 보급까지 책임진다. 세계의 2대 유전자변형 작물인 콩과 옥수수가 한국 시장에서 재배되지 못한 까닭 -곡물사료와 식용원료로 대량으로 수입되기는 하지만- 이 여기에도 있을 것이다.그런데 정.. 2016. 9. 19. 인도 농민들의 자살 문제 기후변화로 인해 심각한 가뭄이 들면서 인도의 농민들이 자살로 내몰린다는 안타까운 소식입니다. http://edition.cnn.com/2016/08/21/opinions/cnnphotos-sutter-india-drought/ 이 현상을 분석하면 간략히 이렇게 표현할 수 있습니다. "투자비를 늘려 작목을 전환하든지, 시설을 늘리든지, 기계를 사들이든지.. 2016. 8. 26. 유전자변형 작물의 폐해가 나타나고 있다 미국에서는 지금 디캄바라는 제초제의 오용으로 인한 피해 사례가 급증하고 있다는 미국 환경보호청의 보고서입니다. https://www.epa.gov/sites/production/files/2016-08/documents/fifra-dicambacomplianceadvisory.pdf 왜 이런 일이 생겼는지 분석한 글을 보면 아주 흥미롭습니다. 바로 유전자변형 작물의 맞춤형.. 2016. 8. 23. 이전 1 ··· 5 6 7 8 9 10 11 ··· 15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