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작물89

GMO 표시제 논란 한국에서 유전자변형 작물의 재배와 유통 등을 지지하는 대표적인 인물로 이철호 씨를 꼽을 수 있다. 그가 이번에 매일경제에 이런 글을 기고했다. http://m.mk.co.kr/news/headline/2016/485451 요지는 이렇다. 1. 미국의 과학자들이 유전자변형 작물을 먹어도 아무 문제가 없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 2016. 7. 7.
품종의 다양성 오이 품종의 다양성을 보라. 세상에는 백오이도 있다! 이건 물론 한국에도 있다. 흔하지 않아서 그렇지... 토종종자 수집을 다니면서 백오이를 보고 깜짝 놀랐던 기억이 난다. 이번에는 토마토 품종의 다양성을 감상하자. 너무나 아름답다. 강낭콩도 엄청나게 다양하다. 강낭콩은 강남콩, .. 2016. 6. 23.
유전자변형 작물은 농약 사용을 줄인다? 식약일보에서 유전자변형 작물에 관한 20가지 오해와 진실이란 기사를 내보냈다. 그 가운데 "GM 작물을 심으면 농약 사용량을 줄일 수 있다? 그렇다. 20년간 GMO 농법은 농약 사용량을 37% 감소시켰다."라는 항목이 나온다. 그런데 과연 그러한가? 유전자변형 작물 가운데 가장 널리 재배되는 .. 2016. 6. 9.
뿌리에 냉난방을 하는 방식 "뿌리(ROOTS)"라고 하는 이스라엘의 농자재 회사를 찾았다. 이곳의 핵심기술은 작물의 뿌리 부분을 생장하기 가장 좋은 조건의 온도로 유지해주는 것이다. 그렇게 함으로써 작물이 무럭무럭 잘 자란다는 이야기인데, 아래의 홍보용 사진을 보면 이해가 더 빠를 것이다. 겨울에는 난방으로 .. 2016. 6. 2.
우리가 흔히 먹는 유전자변형 식품들 유전자변형 작물이 도입된 지 어느덧 20년이 되었다. 그동안 이 유전자변형 작물을 둘러싼 논쟁은 치열했고, 아직도 무어라고 명확하게 결론은 나지 않았다. 찬성 측의 이야기를 들으면 그 소리도 옳고, 반대 측의 이야기를 들으면 그 소리도 옳다. 물론 틀린 부분도 있지만 말이다. 아무.. 2016. 6. 1.
사이짓기의 효과 농촌진흥청에서 재미난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이른바 사이짓기의 효과에 대한 것인데, 내용은 다음과 같다. 찰옥수수를 재배할 때 찰옥수수만 심는 것보다 콩과작물을 풋거름으로 사이짓기하다가 흙속에 뒤집어 넣어주면 비료도 덜 필요하고 잡초도 덜 발생한다는 것이다. 옥수수야 대.. 2016. 4. 2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