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유기농업134

다양한 유기농 작물이 야생 벌의 숫자를 늘린다 Fields with diversified, organic crops get more buzz from wild bees, concludes a synthesis of 39 studies on 23 crops around the world published March 11 in the journal Ecology Letters. The study found that wild bees were more abundant in diversified farming systems. Unlike large-scale monoculture agriculture, which typically relies upon pesticides and synthetic fertilizers, di.. 2013. 3. 23.
녹비작물을 이용한 풋찰옥수수 유기재배에 관한 연구 요약하면... 본시험은 유기재배에 적합한 찰옥수수 품종선발과 선발된 품종의 녹비작물을 이용한 풋찰옥수수 유기재배기술 확립을 위하여 2011~2012년간 실시하였다. 1년차(2011)에는 전국에서 많이 재배되고 있는 찰옥수수 11품종(미흑찰, 아리찰, 흑점2호, 미백2호, 미백찰, 흑진주찰, 구슬.. 2013. 3. 19.
유기농 토마토가 더 낫다 유기농산물이 실제로 건강에 더 좋지 않다고 주장했던 스탠포드의 메타-분석 연구가 기억나는가? (나는 여기에 구멍을 좀 냈다.) 그 연구에 가려진 사실(나는 전체를 가지고 있으나 저작권 문제로 게재할 수 없다)은 유기농산물이 더 높은 수준의 페놀 -식물에서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화.. 2013. 3. 14.
인간과 가축의 똥을 재활용하는 것이 지속가능한 농업의 핵심 수세식 변기가 편리하긴 하지만, 농토에 공급할 중요한 영양분을 차단시켜 식량 생산을 화석연료에 의존하게 만들기에 생태적 파괴를 불러온다. 그러나 한국과 중국, 일본 등 동아시아에서는 4000년 동안 인간의 똥오줌을 매우 소중한 자원으로 활용했다. 특히 중국에서는 사람 똥을 특별.. 2013. 3. 1.
유기농업과 GM 작물의 단순 비교 세계적으로 유기농업을 실천하는 농경지는 2011년 3720만 헥타르로서, 1999년 1100만에서 약 3배 증가했다. 그 가운데 호주 1200만, 아르헨티나 380만, 미국 190만 헥타르를 차지.그러나 이 정도 수치는 세계의 전체 농지 가운데 단 0.86% 수준으로 매우 미미함. 즉 유기농업은 아직도 달나라 이야기.. 2013. 2. 25.
덮개작물의 중요성 덮개작물을 이용해 흙을 건강하게 만드는 미국의 농부들 이야기. 풀이 쓰잘데기 없는 존재가 아니라구요. 2013. 2. 2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