쌀43 일본, 리어카로 공출 秋田県 湯沢市 山田昭和 39年(1964)촬영 佐藤久太郎 2025. 4. 4. 마을의 작은 정미소가 구하는 아시아, 아프리카의 쌀농사 -3장 3장 영세 농민에게는 '농촌 정미소'가 구세주이다 쌀을 먹는 민족의 쌀농사 지역에는 농촌 정미소가 반드시 나타난다어느 지역에서 소규모 쌀농사가 시작되어 사람들이 쌀을 즐겨 먹기 시작하게 되어 그것이 일정 규모로 발달하면, 자연스레 '농촌 정미소'(또는 '삯방아 정미소')가 설립된다. 그 수는 시간과 함께 늘어나, 그 이용료(도정비, 삯방아 요금)도 저렴해지고, 기술 수준도 서비스도 점점 향상되어 나아간다. 그건 왜일까?쌀을 주요 식량으로 하는 쌀농사 농민은 나락을 생산하고, 그 대부분을 나락 채로 나락 집하업자에게 팔지만, 나락의 일부는 자가 소비용으로 떼어 놓고 그걸 백미로 만들어 가족의 소비에 충당한다. 그 자가 소비용 나락을 먹기 위해서는 왕겨를 제거하고 생긴 현미를 다시 찧어서, 어느 정도 .. 2025. 3. 18. 마을의 작은 정미소가 구하는 아시아, 아프리카의 쌀농사 -2장 2장 농민이 쌀농사에 열심이지 않다면 그럴 까닭이 있다 쌀이 벌이가 되는 작물이라면 생산은 금방 늘어난다일본에서는 1960년대 중반에 쌀 부족을 염려한 정부가 정부의 현미 매입 가격을 약 10% 인상했다. 당시, 쌀은 정부가 전면적으로 관리하여, 생산한 쌀은 정부에 의하여 전량 매입되었기에, 그 가격 인상은 그대로 농민의 소득 증대로 이어졌다. 쌀이 지금보다 훨씬 더 많은 돈벌이가 된다는 것을 안 농민은 논뿐만 아니라 밭에까지도 펌프를 설치해 물을 대고, 심지어 숲이 있는 땅이나 뽕나무밭의 뽕나무까지 뽑아내면서까지 벼를 심으며 온갖 수단으로 쌀농사에 광분했다. 그 결과, 쌀의 생산량은 금세 증가해 불과 몇 년 안에 지금까지의 쌀 부족에서 완전히 바뀌어 과잉이 되었다. 정부미 비축 창고에는 쌀이 넘치게 .. 2025. 3. 10. 마을의 작은 정미소가 구하는 아시아, 아프리카의 쌀농사 -시작하며, 목차 지은이 코가 야스마사古賀康正 시작하며 이 책의 주제는 아시아, 아프리카의 쌀농사 발전과 기술의 관계이다. 그러나 이를 논할 때, 먼저 이해해 놓지 않으면 안 되는 것이 있다. 그것은 일본과 세계 각지의 쌀농사 농민이 놓여 있는 입장이 어떻게 다른지이다. 많은 일본인은 쌀농사에서 일본의 농민이 세계에서 유일, 다른 나라의 농민이 전혀 하지 않는 작업을 담당하고 있다는 점, 그리고 그로부터 초래되는 이점(과 문제점)을 깨닫지 못하고 있다. 일본에서는 수확한 나락을 농민 자신이 현미로까지 마무리해서 판매한다. 쌀은 현미 형태로 사회 전반에 유통·저장된다. 이를 현미 유통이라 한다. 일본인 대부분은 현미 유통이 만국 공통이라 생각하지만, 그건 매우 특수한 일본 독자의 관행으로 일본의 역사와 문화의 형성에.. 2025. 2. 20. 일본의 술과 쌀 마스무라 타케히로増村威宏 : 農学博士(京都府立大学)京都府立大学 生命環境科学研究科 教授 (副学長) / 京都府農林水産技術センター生物資源研究センター 基礎研究部 理事学位 술과 쌀먹을거리가 돋보이게 하는 역할로서, 식사할 때 윤활제로서 술은 빠질 수 없는 것이라 생각하는 사람은 많을 것이다. 식사, 특히 회식할 때 건배에 쓰이는 술은 일반적으로는 아직 맥주가 많은 것이 아닐까? 프랑스 요리에서는 샴페인이 쓰이는 일도 많고, 최근에는 청년층을 중심으로 맥주 이외의 술도 좋아한다. 한편 일본술로 건배라고 하면 주조업계 관계자의 모임 등에서 볼 수 있지만, 일정식 요리점에서도 일반 손님이 일본술로 건배를 하는 사람은 적은 듯하다. 후시미라는 술집을 가진 교토시는 '일본술로 건배'라는 조례를 정했지만, 정착하는 바까.. 2025. 1. 13. 일본의 소주 원재료의 선명한 방향이 일어 '마시는 향수'로 칭송받는 을류 소주 지역마다 자랑하는 다양한 소주 일본에서 만들어지는 술이라고 하면 일본술과 함께 소주를 들 수 있습니다. 일본 술은 와인과 같은 양조주이고, 소주는 위스키나 브랜디와 같은 증류주입니다.소주는 증류 방법의 차이로 갑류와 을류 두 종류로 나뉩니다. 갑류는 원료를 연속적으로 투입하는 연속 증류로 만드는 것으로, 보드카와 비슷하다고 합니다. 생산성이 높고 소재의 풍미는 별로 남지 않는 것이 특징입니다.한편, 을류는 증류를 여러 번에 나누어 그때마다 원료를 투입하는 단식 증류로 만들어진 것으로, 이것은 몰트 위스키와 비슷합니다. 생산 효율은 그다지 좋지 않기 때문에, 갑류보다 가격이 비싸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러나 소재의 풍미가 강하게 남는다는 특.. 2024. 10. 5. 이전 1 2 3 4 ··· 8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