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축산50

붉은 돼지(Communist Pigs) 붉은 돼지(Communist Pigs) - 동독의 흥망과 돼지의 역사(An Animal History of East Germany's Rise and Fall) 돼지는 공산주의 원칙에 기반해 현대의 산업형 먹을거리 체계를 창출하고 유지하려고 시도한 독일 민주공화국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 1980년대 중반, 동독은 서독과 영국보다 1인당 더 많은 돼지를 생산하는 한편, 이러한 중앙계획식 사육으로 분뇨 오염, 가축 질병, 단계적인 식량부족 등 의도하지 않은 수많은 결과가 발생했다. 돼지는 엄청나게 적용력이 좋은 동물인데, 역사학자 Thomas Fleischman 씨는 이러한 역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 세 유형의 돼지를 발견했다. 공장식 축산에 적합하게 개조된 산업형 돼지, 보존의 성공 사례라기보단 .. 2020. 4. 14.
벨기에 블루라는 소 품종 인간의 육종이 낳은 울끈불끈 근육질의 소 벨기에 블루Belgian Blue. 유전자변형 같은 기술을 쓴 게 아니라 전통적인 교배육종 과정에서 나타난 자연적인 돌연변이라고 한다. 그런데 새끼도 일반적인 소에 비해 크기 때문에 제왕절개를 하고 그런다는데... 과연 송아지 때부터 울끈불끈한 기.. 2019. 12. 31.
질소질에 잠식 당하고 있는 한국의 농업 "2013년 기준, 경종 부문 실제 질소 투입량은 약 43.1만 톤으로 화학 질소와 축분 질소가 각각 25만 톤(60.1%), 17.2만 톤(39.9%)을 차지하고 있다. 작물별 표준 시비량에 근거한 경종 부문 양분 필요량이 21.5만 톤이므로 화학 질소만으로도 이미 양분이 과잉 투입되고 있는 상태인 것이다." "축산 부.. 2019. 12. 23.
잔반 사료 금지와 폐기물 순환 문제 이제 가축에게 잔반 사료를 줄 수 없다. https://news.v.daum.net/v/20190725000002482음식물 쓰레기의 재활용 문제는 어떻게 할지 고민해야 하겠다.이걸 대량으로 수집해서 자원화하려면 비용부터 각종 부작용까지 크게 발생하지만, 소량으로 해결하면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을 텐데... 그건 또 선.. 2019. 7. 25.
산업형 농업이 기후 위기를 부채질한다 과다한 질소 비료의 사용, 또는 축산 분뇨 등으로 토양에 지나치게 투입된 암모니아 성분이 미생물에 의해 질산으로 전환되면 토양이 산성화된다. 그런데 이렇게 과다한 토양 속의 암모니아가 온실가스인 아산화질소로 바뀌면서 대기로 방출된다는 사실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처음으로 .. 2019. 7. 9.
트랙터에 밀려난 소의 가치를 재발견하다 무슨 맥락인지는 모르겠으나, 이해진 씨가 트랙터-농업 노동력의 관계를 예로 들어 기업에게 과도한 사회적 책임을 요구하는 건 옳지 않다고 주장하는데 그게 적절한 예시가 아닌 것 같다. https://news.v.daum.net/v/20190618212400002 농업 노동력은 트랙터와의 경쟁에서 밀려 일자리를 잃은 게 아니.. 2019. 6. 1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