쌀43 벼농사 문화가 나아갈 바 유라시아 농경사 권2 서장 벼농사 문화가 나아갈 바 사토 요이치로佐藤洋一郞 시작하며 일본인의 쌀 소비량은 2008년 현재 연간 약 60kg 정도이다. 하루 소비량으로 환산하면 160g 남짓이다. 예전의 도량형으로 말하면 이는 딱 한 홉에 해당한다. 1965년의 수치는 114kg이었기에, 이 45년 정도 사.. 2018. 5. 13. 이밥은 무슨 뜻인가? 오늘은 “쌀”의 어원을 찾아보았다.찾아보니 크게 세 가지 설이 나왔다. (1) 쌀은 씨+알이라는 설.(2) 벼의 원산지인 인도의 산스크리스트어 Sari에서 왔다는 설.(3) 쌀을 먹어 살을 붙인다는 데에서 왔다는 설. 내 생각에는 (1)번이 가장 유력한 것 같다. (3)번 같은 경우는 그냥 우스개로 보아.. 2018. 1. 19. 미국의 벼농사 우연히 정말 귀한 동영상 자료를 보았다. 1989년에 어머니가 비디오 카메라로 아버지가 벼를 수확하는 모습을 찍었는데, 그 농사를 이어받은 아들이 약 30년 뒤인 2017년 아버지와 같은 나이가 되어 그 모습을 보며 이런저런 설명을 덧붙인다. 여기서 재미난 건, 30년 사이에 농기계의 수확 .. 2017. 12. 25. 쌀 대책, 이게 최선인가? 농촌경제연구원에서 나온 <신정부 쌀 산업 정책 방향>이라는 보고서를 읽었다.http://library.krei.re.kr/dl_images/001/041/PRN154.pdf 현재의 쌀 문제가 발생하는 건 소비량 감소가 생산량 감소보다 심하기 때문이라고 진단하는데, 어디에도 수입 쌀 문제는 언급하지 않는다. 몰랐던 걸까? 아니면 .. 2017. 9. 29. 음식 문화는 변하는 거야 흥미로운 식생활의 변화. 아프리카 대륙의 사람들은 아시아 대륙의 사람들처럼 쌀 소비가 늘고 있는 한편, 아시아 대륙의 사람들은 서구인들처럼 밀의 소비가 급증하고 있단다. 음식 문화는 변하는 것이야. 그런데 그 음식이 재배되는 환경은 크게 변화하지 않으니 국제무역에 의존하는 .. 2017. 4. 3. 농사에서 나무의 이로움 http://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pii/S1389934116304592 일리노이 대학 연구진이 작물과 가축, 나무의 조합이 일부 아프리카 국가에서 농민의 소득을 20% 향상시킨다는 연구결과를 내놓음. 농사에서 나무의 유익함이 계속 드러나고 있는데, 일부는 그늘진다고 그냥 베어버리곤 한다. 유료라서 .. 2017. 1. 31.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