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벼농사80 1섬을 수확하는 면적이 마지기인가? 쌀 시장 개방 문제를 다루는 한도숙 한국농정신문 대표의 칼럼을 읽었다. 그런데 한도숙 대표가 마지기 개념을 착각했는지 틀리게 사용하여 지적하고자 한다. 그의 글을 보면, 1섬을 수확하는 면적을 '마지기'라고 표현한다. 하지만 이는 '섬지기'라고 해야 옳다. 그러나, 설령 그렇다고 .. 2015. 3. 7. 지렁이가 사라진 흙 한국의 농지에서 지렁이의 개체수를 조사한 자료에 의하면, 유기농지 약 75%, 시설재배 42%, 휴경지 33%, 관행농지 20%로 나타납니다. 즉 농지에서 숨은 일꾼인 지렁이가 사라지고 있는 것입니다.지렁이가 살 수 없는 흙에 여타 미생물이라고 온전히 살아갈 수 있겠습니까? 농지에서 작물만 .. 2015. 2. 6. 무경운 이앙기 오늘은 아는 분이 무경운 벼농사에 관해 부탁하신 일이 있어 인터넷을 뒤졌다. 실제로 본인이 시도해 보려고 하는데 농기계를 구할 수 없냐는 부탁이다. 그래서 일본 불경기재배보급회 홈페이지에 들어가 여기저기 뒤지던 중 농기계 관련한 게시물을 발견했다. 그 내용은 다음과 같았다(.. 2015. 1. 28. 아시아 지역의 농민들 먼저 방글라데시의 산간 지역에서 밭벼 농사를 짓는 농민들. 수확에 한창이다. 낫으로 벼를 베어 머리로 고정시킨 바구니에 휙 뒤로 던져 넣는 모습이 인상적이다. 그렇게 수확한 벼 등의 곡식은 절구질을 하여 껍질을 제거하고 먹는다. 나무 절구와 공이 등이 예전 한국에서도 쓰던 것과.. 2014. 11. 7. 쌀 관세화 정책 발표 2014년 7월 18일 금요일, 한국 정부는 2015년 1월부터 쌀 관세화 정책을 시행하겠다고 발표함으로써 쌀 시장을 개방하였다. 이 발표에 며칠 전부터 노숙을 하며 시위를 하던 농민단체 회원들은 분노하기에 이르렀고, 항의하고자 정부청사에 진입하는 것을 가로막는 경찰에게 쌀을 집어던져 .. 2014. 7. 18. 논을 삶다 인터넷에서 동남아인지 인도인지 모르겠으나 논에서 써레질을 하는 모습의 사진을 보았다. 이러한 작업을 우리말로는 '삶다'라고 표현한다. 국어사전을 찾아보면 "논밭의 흙을 써레로 썰고 나래로 골라 노글노글하게 만들다"라고 나온다. 위의 과정은 정확히는 써레로 써린 다음 나래로 .. 2014. 7. 9. 이전 1 ··· 4 5 6 7 8 9 10 ··· 14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