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벼농사80

일본의 벼 재배면적 축소정책 트랙터를 타고 버려진 땅을 개간하는 와쿠이 토오루涌井徹 씨. 아키타현 오가타촌大潟村에서 2017년 10월 喜屋武真之介 촬영. 「이런 곳은 가족에게도 보여주지 않아요.」 9월 말, 아키타현 오가타촌. 성인의 키보다 큰 잡초가 무성한 들판을, 셔츠 차림의 남자가 땀투성이가 되어 트랙.. 2018. 1. 18.
미국의 벼농사 우연히 정말 귀한 동영상 자료를 보았다. 1989년에 어머니가 비디오 카메라로 아버지가 벼를 수확하는 모습을 찍었는데, 그 농사를 이어받은 아들이 약 30년 뒤인 2017년 아버지와 같은 나이가 되어 그 모습을 보며 이런저런 설명을 덧붙인다. 여기서 재미난 건, 30년 사이에 농기계의 수확 .. 2017. 12. 25.
고려인과 함께 뿌리를 내린 조선의 조생종 벼 품종들 조선의 조생종 벼들이 고려인들과 함께 중앙아시아에 뿌리를 내린 이유가 본문에 나온다. "한국의 시월과는 다른 이 지역의 기후는 아침 저녁이면 벌써 초겨울의 기온이다."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ss_pg.aspx?CNTN_CD=A0002356799&PAGE_CD=N0002&CMPT_CD=M0142 일본 농학자들의 조사에 의하면, 조선의 .. 2017. 9. 4.
가뭄 대응형 벼농사 요즘 동남아와 아프리카에서 핫한 벼농사 방법인 SRI 농법이 있습니다. 영어로는 "System of Rice Intensification"라 하여, 한국어로 옮기면 벼 강화 체계라고 하면 되겠죠?이 농법은 1983년 프랑스의 예수회 신부인 앙리 뭐시기라는 사람이 개발해 마다가스카르에서 시험하여 크게 성공을 거둔 방.. 2017. 6. 23.
인도네시아의 벼논양어 인도네시아의 벼논양어를 봅니다. 내 이름은 Sigit Paryono이고, 여기에서 40년을 살았어요.19살에 결혼했죠. 아이가 둘 있고요. 아들과 딸이에요.난 17살에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농부가 되었어요. 그땐 다른 선택지가 없었어요. 전문직이 되고 싶었지만 그러지 못했죠.그래서 부모에게 물려받.. 2017. 6. 14.
중국의 논 중국 장시성의 논. 여기에서도 논두렁 콩 같은 걸 심은 모습이 보인다. 그 농법이 한국만의 고유한 무엇은 아니겠다. 막 모내기를 끝낸 논의 모습이 재미나다. 농부는 아마 메워심기를 하는 듯한데, 일정 간격으로 고랑을 낸 것처럼 심었다. 이곳이 중국 남부이다 보니, 아마도 벼논양어 .. 2017. 6. 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