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인터넷에서 동남아인지 인도인지 모르겠으나 논에서 써레질을 하는 모습의 사진을 보았다.




이러한 작업을 우리말로는 '삶다'라고 표현한다.

국어사전을 찾아보면 "논밭의 흙을 써레로 썰고 나래로 골라 노글노글하게 만들다"라고 나온다.

위의 과정은 정확히는 써레로 써린 다음 나래로 흙을 고르게 만들고 있는 모습이다.

그러니까 논을 삶고 있는 모습이다.


그런데 이러한 써레질과 나래질이 얼마나 중요한지 모른다. 

땅을 뒤엎는 쟁기질보다 더 중요한 것이 바로 땅을 펀펀하게 고르는 과정이다. 

솔직히 뒤집어 엎는 일은 아무렇게나 막 해도 상관이 없지만, 땅을 고르게 만드는 일은 잘못하면 논에 대는 물의 깊이가 달라지게 된다.

그러하면 벼가 고르게 자라지 못할 뿐만 아니라 풀이 번성할 수도 있고, 우렁이를 넣을 경우 물이 깊지 않은 곳은 그들의 발길이 닿지도 못하게 된다. 한마디로 농사 망치게 되는 지름길이다.


세상을 다스리는 일도 마찬가지 아닌가

한번 뒤집어 엎는 일은 쉬우나, 울퉁불퉁한 것을 고르게 다스리는 일은 쉽지 않다. 

정작 더 중요한 일이 고르게 다스리는 일인데 말이다.

728x90
728x90


가까운 일본에서는 녹조가 생기는 논에 소나무 가지를 꺾어다 꽂아 놓는 방법을 이용해 문제를 해결하는 움직임이 널리 퍼지고 있단다.


일본의 농민들이 이야기하기를, 녹조가 생기면 가장 큰 문제는 제초제가 통하지 않아 피와 같은 풀 문제가 심각해진다는 점이다. 그를 해결하기 위해서라도 녹조의 발생을 줄이는 것이 중요하단다.


이러한 녹조가 발생하는 이유는 역시 풍부한 유기물 때문이겠다. 농사를 지어야 하니 논에 거름을 넣어야 하고, 그 거름이 양분이 되어 녹조가 쉬이 발생하는 원인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 농민들도 매년 논에 유기물을 많이 넣고 있는데, 이렇게 소나무 가지를 꽂은 다음부터 녹조가 발생하지 않거나 덜하다고 한다. 


또한 녹조의 발생이 물의 흐름과 수온과도 관계가 있는 것 같다는 이야기도 나온다.


물이 가로세로로 넓게 퍼지는 곳에서는 아무래도 소나무 가지의 효과가 더 좋은데, 그렇지 않고 한 방향으로만 흐르는 곳에서는 수온도 높고 효과가 덜하다는 증언이 이어진다. 즉, 논에 댄 물의 온도차가 높으면 높을수록 녹조가 훨씬 더 잘 발생한다고 한다. 논의 수평을 잘 잡는 것이 녹조의 발생을 줄이는 데에도 중요하다는 말씀이시겠다.


아무튼 그 원리가 무엇 때문인지 밝혀 보겠다는데 나까지도 궁금하다. 


동네 어르신에게 들은 이야기 중에는 논의 물꼬에다 밤나무 가지를 가져다 꽂아놓으면 해충이 죽어 병에 덜 걸린다는 말도 들은 적이 있다. 왜 그런지 밝히지 못하여 아직은 믿거나 말거나 수준이지만, 언젠가 그러한 옛 농사법들의 원리가 꼭 밝혀지면 좋겠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의 주소로 들어가 보시길 바란다.


http://lib.ruralnet.or.jp/cgi-bin/ruralhtml.php?DSP=video!gn!201408_1.html

728x90

'농담 > 농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순환하는 삶  (0) 2014.07.24
논을 삶다  (0) 2014.07.09
오렌지의 녹병에 대처하는 두 자세  (0) 2014.06.27
메소포타미아의 작물 관개가 질병을 퍼뜨렸을 수도 있다  (0) 2014.06.27
공부모임: 금양잡록 1  (0) 2014.06.23
728x90

"일은 죽어라 하고, 쌀 개방반대 구호는 열심히 외치면서 마트에서 수입농산물, 가공식품을 구입해 먹는 우리의 이율배반적인 일상은 무엇을 말하는 것입니까? 


쌀 개방을 한다고 합니다. 지금도 의무수입량을 수입하여 쌓아놓고 있다고 합니다. 이런 뭣같은 개 같은 세계조약 때문에 수입하고 싶지 않은 수입 물량을 의무적으로 수입해야 하고 이제는 어쩔 수 없이 수입을 해야 한답니다. 


여러분 자신있습니까? 만약 수입 농산물이 물밀듯이 밀려와서 아주 생각지도 못한 저렴한 가격에, 미국의 칼로스 쌀이 마트에 편의점에 소포장으로 진열되어 있다 해도 그것 말고 다소 가격이 있는 우리 쌀을 구입할 자신이 있습니까? 


자신이 있다면 침묵하십시요. 우리 모두가 그런 결의가 있다면 들어올테면 들어오라 할 수 있겟지요.


그런데 정말 과연 그럴 수 있는가요? 또 경쟁력 운운하면서 우리 쌀도 경쟁력을 갖춰야 한다고 이리 말할 건가요? 제발 그 놈의 경쟁 타령은 그만 하십시요. 말라죽기 직전의 농촌에 경쟁의 칼날을 들이미는 것은 참으로 가혹한 일입니다. 무서운 말입니다."


이상은 옥천 지역의 마을운동가 권단 씨가 쓴 글입니다. 가슴 깊이 공감하고 동의하여 옮겨 보았습니다. 그는 이러한 사람이지요. http://www.pressian.com/news/article.html?no=114819


쌀농사는 농업과 농촌의 마지막 보루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나마 쌀농사 덕에 이 정도의 농민들이 농사를 생업으로 삼으며 살아가고 있지요. 


그런데 이제 쌀 시장개방으로 그 보루가 무너지려 하고 있습니다. 농민이 망하고 농촌이 사라지겠죠. 


무서운 일입니다. 순망치한. 농민과 농촌이 망하면 도시와 도시민도 편안히 살 수만은 없을 겁니다. 처음엔 값싼 쌀이 들어오겠지요. 그런데 기후변화니 뭐니 불안정한 시대인 지금 앞날을 장담할 수 있답니까. 한미 FTA 하면 체리가 싸진다고 떠들더니 지금 어떤가요. 


모르겠습니다. 농민과 농촌이 없어도 도시와 도시민이 잘 살 수 있을지도요. 지금처럼 잘 살아갈지도요. 정말 모르겠습니다.



728x90
728x90

발리에 가면 꼭 보고 싶은 전통 벼농사... 그 관개 방식인 수박이란 방법이 세계문화유산이기도 하다. 




728x90
728x90

Bags of hulled rice at Echigo Farm’s processing plant in Higashikanbara, Japan. Echigo Farm, which sells its organic rice at a premium, is a rare upstart in the Japanese rice business. 



For decades, Japan has defended its 778 percent tariffs on rice with a kind of religious zeal. Rice is a sacred crop, the government has argued, not open to trade negotiations. Its farmers are not just defenders of a proud agrarian heritage, but form the nation’s spiritual center as well.


Hardly, says Hiromitsu Konsho, a young organic rice farmer in this rice-growing region of Niigata. Many Japanese farmers have all but given up on their tiny plots, he says. They earn most of their income elsewhere, farming only part time and paying little attention to improving their crops.


Yet, kept on life support by subsidies, production controls and tariffs, these farmers grow mediocre rice year after year, he says. Now an increasing amount of this rice has nowhere to go, as Japanese favor bread over their traditional staple. The government will soon raise subsidies that encourage farmers to divert their rice to animal feed.


More enterprising farms face difficulty in expanding their plots or experimenting with more sustainable cultivation, steps that would let them better compete in a free market.



Hulled rice, at left, and rejected rice and small rocks, right. 



Mr. Konsho points to his Echigo Farm, a rare upstart in rural Japan, whose organically grown rice sells at high-end retailers as far away as Tokyo and Singapore. It faced difficulties at first, but now its rice has become a hit, fetching 5,500 yen per kilogram, or about $24 a pound — almost 10 times the market price.


“It’s high time to revive Japanese rice farming,” Mr. Konsho said.


Echigo Farm almost did not get off the ground 10 years ago, when Mr. Konsho first came to Niigata from a Tokyo office job with the idea of starting an organic rice farm. Bureaucrats tried to block his land leases. Local farmers threw rocks into his rice paddies and flung salt at him, an insult reserved here for evil spirits.


“The idyllic rice farms most city people think of are things of the past,” Mr. Konsho said. “Rice farming is collapsing, and not because of free trade.”


The recent debate over how much Japan should open up its agricultural sector to join a proposed free trade group led by the United States, the Trans-Pacific Partnership, is opening up new rifts in Japan, rifts that defy traditional urban-rural divides. Increasingly, urban Japanese — and even some farmers — are questioning exactly what those tariffs protect.


Japan has signed only a few limited free trade agreements, thanks to its tough stance on agricultural tariffs. Consumers pay more than twice the global average price for rice, and four times more for wheat.


Still, Japan won’t give an inch on farming tariffs, Akira Amari, Japan’s trade minister, declared at the latest talks for the Trans-Pacific Partnership last month, holding up talks at the 11th hour. The T.P.P., which involves the United States, Japan and 10 other Pacific Rim nations, would create the world’s biggest free trade zone.


Tens of thousands risk losing their livelihoods if farming tariffs are brought down, critics said at a recent national rally against the T.P.P. in Tokyo.


“How is the government going to protect all the small-time farmers scattered across the country?” said Kazumori Yamazaki, a rice farmer from Ishikawa in central Japan.


Shigeaki Okamoto, 52, who runs a successful fruit and vegetable farm in Aichi, in central Japan, says Japanese farmers can compete without tariffs. Unlike rice, Japan-grown vegetables face global competition, with most import levies between 0 percent and 3 percent. Still, four-fifths of the vegetables the Japanese consume are homegrown. Vegetable growers on average earn far more than rice farmers.

Indeed, Japan’s stiff protections on rice no longer have much to do with protecting farmers, Mr. Okamoto says. They instead protect a sprawling network of farm co-ops that has leeched off farmers and stymied their efforts to innovate, he says.


That network, as Mr. Okamoto likes to say, is bureaucracy run amok. About 216,000 people work in agricultural cooperatives in Japan, under the umbrella of the Japan Agricultural Group, or J.A. There is one co-op employee for every two full-time rice farmers. The central government’s ¥2.3 trillion farming budget for the current year is seven times the budget to oversee the nonagricultural 99 percent of the Japanese economy.


Much of that money makes its way to these co-ops, charged with administering production controls on rice, as well as its sales and distribution. Under that system, farmers receive subsidies in exchange for limiting the amount of rice they grow, which keeps rice prices high and small, part-time rice farmers in business. The average Japanese rice farmer spends only about 30 days a year on agricultural work, and over half of all farmers till less than a hectare each of land, about 2.5 acres, according to the latest census data.



Workers at Echigo Farm prepare gift packages of rice, a tradition at the end of the year. The farm’s organic rice is popular. 



The tiny farms find it impossible to achieve economies of scale. But that suits the J.A. just fine, because the organization gets commission income from collecting and selling their crop — something larger, dedicated farms could do on their own. The J.A. also makes money selling small farmers the machinery, fertilizer and pesticides necessary for growing rice part time.


In addition, the J.A. acts as financier to Japanese farmers, handling deposits, loans and insurance in a side business that has made it one of Japan’s largest financial organizations.


Japan could make a full switch to direct-income subsidies, like the United States and European Union have done, which would at least protect farmers against international competition without the need for tariffs. But that would mean the J.A. would lose its commissions and its political clout.


The rise of entrepreneurial farmers like Mr. Konsho or Mr. Okamoto would have the same impact because they do not rely on the J.A. for sales or equipment.


Mr. Okamoto refused to work with the J.A. in expanding his farm, focusing on produce like strawberries, which he is able to sell independently. “Japan’s agricultural policy hasn’t made farmers strong — it’s made them weak to the point of collapse,” he said.


But the biggest problems lie in rice cultivation, Mr. Okamoto says. Most Japanese rice farmers have no incentive to raise the quality of rice they grow, because J.A. buys their harvest regardless of quality. Years of neglect have made Japanese rice not just more costly, but also lower in quality — and more dependent on fertilizer and pesticides — than much of the rice grown in the United States, Southeast Asia or China, industry insiders say.


Regulations that discourage new entrants have made the sector unattractive to younger Japanese. Three-quarters of Japanese farmers are over 60 years old.


One thing that could help entrepreneurial farmers, Mr. Okamoto says, could be the “special economic zones” that are part of Prime Minister Shinzo Abe’s plans to revive the economy. Under those plans, several areas across Japan could experiment with easing regulations, helping farmers to tap outside financing to invest and to expand their fields. Mr. Abe has also said that the government will do away with production controls of rice in 2018.


Experts remain skeptical, however, that there will be real change. Production controls live on even under Mr. Abe’s new plans, albeit as subsidies to farmers who switch to other crops or produce rice for livestock.


Politicians cannot afford to ignore the J.A. The organization is able to deliver votes in rural areas, especially among legions of part-time rice farmers — not to mention dole out much-coveted jobs for farmers’ children.


Kazuhito Yamashita, an agricultural expert at the Canon Institute for Global Studies in Tokyo, said that at Trans-Pacific Partnership negotiations Japan could be forced to offer concessions to the Americans on some farm products, like wheat and sugar. Japan could even expand the small quota of rice imports it accepts each year to appease the United States and other rice producers.


“But Japan will never free up its rice market in the real sense,” he said. “There are too many vested interests.”


Toyokazu Wakatsuki, 47, a farmer whose family has farmed rice for generations in Aga, was initially among local farmers skeptical of Echigo Farm. But now he helps Mr. Konsho run it.

“We’ve been growing rice for the J.A., not for the consumer,” Mr. Wakatsuki said. “Farmers need to start taking the initiative.”




728x90
728x90


728x90
728x90


오늘 아침에 <농, 살림을 디자인하다>라는 책을 보다가 전업농 이야기가 나왔습니다. 저도 잘 모르고 있던 사실인데, 벼농사의 경우 9000평 이상을 경작해야 '전업농'이라 한다는군요. 그런데 그중에서도 보통 1만8000평 이상의 논을 경작하는 사람에게 각종 지원이 우선적으로 돌아간다고 해요. 

2011년, 한국의 벼농사 농가는 총 74만8천 가구였습니다. 그중 9000평 이상 농사짓는 전업농은 5만2천 가구 정도로 약 6.6%의 비율에 지나지 않습니다. 한국 농업은 규모가 영세해서 문제라는 일각의 비판이 그래서 나오는 겁니다. 그러면서 그 대책으로 규모화, 기계화, 과학영농을 주장하고 있지요.

하지만 규모화를 하자며 각종 지원을 전업농 우선으로 하면 현재 벼농사를 짓고 있는 나머지 94%의 농민들은 어쩌라는 겁니까? 나가 죽으라는 소리인가요? 오히려 농업정책의 방향을 대농 위주에서 대부분의 농민들이 처한 소농으로 재설정하는 게 우선 아닐까요?


이런 생각을 하고 있었는데 마침 아래와 같은 소식이 들리더라구요.

한국 쌀전업농중앙연합회에서 전, 현직 회장 들이 12억이란 돈을 횡령했답니다. 하하하, 대농 위주의 농업정책을 펼치더니 이게 뭔가요?

---------


농민 7만여명을 회원으로 둔 한국쌀전업농중앙연합회 전.현직 회장 등이 2년간 국가보조금을 10억 원 넘게 유용한 사실이 드러났다.


경기경찰청은 보조금을 횡령한 혐의(업무상횡령 등)로 한국쌀전업농중앙연합회 전 회장 홍모씨(56)를 구속하고, 현 회장 임모씨(50), 전 사무부총장 박모씨(55) 등 3명을 불구속 입건했다고 4일 밝혔다.

홍씨와 박씨는 지난 2010년 1월부터 2011년 12월까지 농림축산식품부와 농수산식품유통공사, 농어촌공사 등이 쌀 소비 촉진, 품질향상 등의 명목으로 지원한 국고보조금 가운데 35차례에 걸쳐 9억4900만 원을 유용한 혐의다. 

이들은 연합회 임원 배우자 명의로 유령 업체를 만들어 용역을 계약한 것 처럼 허위로 서류를 꾸미거나, 책자 발생 횟수 축소, 우수 쌀 재배 농민이 받은 상금을 특별기부금 형태로 돌려받는 수법으로 돈을 챙겼다. 임씨는 지난해 8월 쌀 전업농 전국회원대회 개최 명목으로 받은 보조금 5억4000만 원 가운데 2억6000만 원을 유용한 혐의다. 

임씨는 이벤트 업체와 계약서를 이중으로 작성해 세금계산서를 제출하는 수법으로 보조금을 유용했다.

경찰조사 결과 이들은 횡령한 돈을 경조사비, 해외연수비용, 협회장 선거비용, 차량유지비, 교통범칙금.과태료, 휴대폰요금, 생활비 등에 사용한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회장은 명예직임에도 불구하고 월 130만원의 급여를 보조금에서 챙기기도 했다고 경찰은 밝혔다.

1999년 농민 권익보호, 소득증대를 목적으로 설립된 한국쌀전업농중앙연합회는 쌀 농사를 짓는 농민 7만여명이 회원으로 활동하는 비영리법인이다.

농림축산식품부 등은 이들 단체에 연 평균 6~8억 원의 국가보조금을 지원해 왔다. 

[지홍구 기자]



728x90

'농담 > 농업 전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호주 FTA 협상이 타결되었다  (0) 2013.12.05
<서울을 갈다> 출간  (0) 2013.12.04
도시 1인가구의 급증과 개인주의 야채가게의 실험  (0) 2013.12.04
죽음의 농약  (0) 2013.12.04
흥덕 나눔텃밭  (0) 2013.10.20
728x90

http://www.agri-history.kais.kyoto-u.ac.jp/East-Asian2008/proceedings.pdf



P-1 岩本純明 (도쿄농업대학)

근대 일본의 공업화와 농업 부문


P-2 구자옥(전남대 명예교수), 이은웅(서울대 명예교수), 이병렬(한국 기상청)

한국의 벼농사 재배 및 품종의 변천사 ―근대화 과정을 중심으로


P-3 王思明(난징농업대학 중화농업문명연구원)

한중일 농업 현대화 비교연구


AI-1 佐藤章夫(토호쿠 대학 대학원)

근세 중・후 농업 수리시설의 부진과 유지관리를 둘러싼 藩과 村 자치 -山形五堰을 사례로


AI-2 박태식(농촌진흥청 작물과학원)

조선반도 삼국(백제・신라・고구려) 유적에서 출토된 탄화미 비교


AI-3 戸石七生(일본학술진흥회), 松尾美希(도쿄대학)

일본 가족은 특이한가? 공업화 이전 시대의 직계가족 제도와 촌락사회


BI-1 劉興林(난징대학)

한대 농전農田 형태 약설


BI-2 大瀧真俊(교토대학 대학원)

전시체제기의 일본에서 '만주'로 이식마移植馬 사업 -홋카이도 농법의 도입에 미친 영향에 대하여


BI-3 黄世瑞(화난사범대학)

민속풍정과 중국 전통농업 사회


AII-1 朴錫斗(한국농촌경제연구원)

한국 근대화 과정에서 농업의 변모


AII-2 野間万里子(교토대학 대학원)

전전 시가현에서 소 비육


AII-3 김미희 외(농촌진흥청 농촌자원개발연구소)

원예의 전통지식과 그 실천적 특성에 관한 평가


BII-1 魏露苓(화난농업대학)

청 말 남해안 지역의 근대화 농업교육 연구 —잠상학당을 중심으로


BII-2 小島 庸平(도쿄대학 대학원)

전쟁 시기 동아시아의 제분업과 밀 시장 ―일본 자본의 '만주' 진출을 중심으로


BII-3 張法瑞(중국농업대학)

중국 농업 현대화 과정 속의 과학과 교육 요소


AIII-1 三浦洋子(치바경제대학)

식민지 시대에 조선 북부의 대농장 경영 -난곡기계농장의 유축전작농업의 실태


AIII-2 안승택(전북대학)

식민지 조선에서 소주밀식小株密植 정책과 농민의 소식疎植 관행 ―역사생태적 지평에서 본 농업기술의 비교문화론


AIII-3 伊藤淳史(교토대학)

전후 일본의 출이민 정책 -농업정책에서의 측면 및 일본계 브라질 이민의 역사적 맥락


AIII-4 金鐘德(사당동 한의원 원장)

대나무의 성질과 효능에 관한 문헌연구


AIII-5 황대룡

한국 농촌 주민의 사회교육 참가에 관한 분석


BIII-1 加藤尚子(국립환경연구소)

한신 대수해 기념지 7책에 관한 비교서지학적 연구


BIII-2 李建萍(중국농업박물관)

근대 중국 귀저우 소황촌의 변천으로 본 민족지구 전통문화 가치의 재발견


BIII-3 中山大将(교토대학)

사할린 음식의 식민지사


BIII-4 李令福(산시사범대학)

환경보호 사업이 어떻게 白城则村의 현실과 미래에 영향을 미쳤는가



728x90
728x90

http://efw.nfm.go.kr/media/book/pdf/SD071_1994KRAL.pdf




이 내용으로 이미 2006년에 <두레, 농민의 역사>라는 책이 출간되었다.

그 책을 사보셔도 좋고, 이 자료를 내려받아 보셔도 좋겠다.





□ 총 론


   조사개요 

   두레考   주강현(책임연구원) 


1. 머리말 


2. 조선후기의 생산풍습과 두레

  1) 이앙법의 확산과 두레의 성립 

  2) 두레의 체계화와 변화된 민의 풍습 

  3) 황두풍습의 잔존과 그 양상


3. 두레와 두레굿의 실제

  1) 용례검토

  2) 두레의 대동제의 

  3) 두레의 대동회의 

  4) 두레의 대동놀이 


4. 하나의 실험, 실험된 두레

  1) 민속의 실험, 실험의 민속  

  2) 논산군 상월면 대명리에서의 실험

  3) 당진군 송악면 가학리에서의 실험 


□ 현지자료편


제1편 강원도지역의 두레

  제1장 강릉지역의 두레 


제2편 경기도지역의 두레

  제1장 과천지역의 두레

  제2장 안양지역의 두레

  제3장 파주지역의 두레

  제4장 화성지역의 두레


제3편 경상도 지역의 두레

  제1장 밀양지역의 두레


제4편 전라도지역의 두레 

  제1장 고창지역의 두레

  제2장 김제지역의 두레

  제3장 옥구지역의 두레

  제4장 익산지역의 두레

  제5장 임실지역의 두레


제5편 충정도지역의 두레

  제1장 공주지역의 두레

  제2장 논산지역의 두레

  제3장 당진지역의 두레

  제4장 대전지역의 두레

  제5장 부여지역의 두레

  제6장 서산지역의 두레

  제7장 홍성지역의 두레

  제8장 청원지역의 두레


□ 참고논저


□ 영문요약

728x90
728x90

최근 몇 년 사이, 한국에서는 기후변화의 영향이 크게 나타나고 있다. 

대표적인 것이 장마이다. 장마의 양상이 여느 해와 달라지고 있다.

올해만 해도 마른 장마가 찾아오더니, 장마가 끝날 무렵이 된 지금도 계속 흐리고 습한 날씨와 간헐적인 폭우가 쏟아지고 있다.


예전 수리시설과 관정 등이 충분하지 않았을 시절에 이런 현상이 일어났다면, 장마를 중심으로 모내기가 이루어지던 당시 그야말로 굶어죽는 사람이 부지기수였을 것이다. 그런 맥락에서 대형 댐과 양수기에 감사를 해야 할까?

아무튼 작년에는 장마가 요상해지며 가을 날씨까지 영향을 미쳐 쌀 생산량이 심각하게 감소하기까지 했다. 그 덕에 쌀 자급률이 80%대까지 떨어졌고, 정부는 부랴부랴 쌀 생산량을 줄이기 위해서 논에 대체작물을 심도록 유도하던 농업정책을 철회하기에 이르렀다.

당분간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예측할 수 없는 날씨는 계속될 것 같고, 이는 농업 생산에 큰 타격을 입힐지도 모르겠다. 당연히 식료품 가격은 더 오를 수밖에 없다. 모르지, 수입산으로 그걸 메우려고 할지도 말이다.


아래의 글은 인도의 사례이다. 우리가 겪고 있는 상황과 크게 다르지 않은 모습이다.

---------



인도 나갈랜드 주의 북동쪽 디마푸르 외곽에 있는 논에서 농민들이 모내기하고 있다. 


지난 겨울 Vikas Chaudhary 씨의 밀밭은 이상한 쓰레기들로 어지러워졌다. 20년 이상 여기 뉴델리에서 북쪽으로 3시간 떨어진 Taraori의 농업지대에 사는 농민들은 겨울에 밀을 재배하고, 확실히 비가 내리는 여름에는 세계에서 가장 놀라운 수확량을 보여주는 남아시아 고유의 향기롭고 길쭉한 basmati 벼를 농사지었다.


하지만 지금은 벼 대신 옥수수 자루와 그 낟알이 땅에 분쇄되어 있다. 


기후변화는 인도 대륙 전역에서 계절풍의 양상을 바꾸어 놓으며 너무 절실히 필요한 강우량이 줄어들고 있다. 이것이 세계의 식량 공급에 대한 영향은 중대하다. 인도는 해마다 1억 톤의 벼와 곡물을 재배하는데, 다른 어떤 나라보다 벼를 재배하는 데 쓰이는 농지가 많다. 그리고 Taraori 지역은 세계에서 가장 basmati 벼로 유명한 곳이다. 


아마 오래되지 않았을 것이다. 여름철 장마 —여름의 바람이 바다에서 비구름을 몰고와 한달 넘게 한바탕 폭우를 쏟으며 땅을 휩쓴다— 는 6월부터 9월 사이 인도의 농장과 강, 저수지를 풍요롭게 해 왔다. 그들은 최근 몇 년 사이 늦게 도착하고, 또 주춤거리고 있다. 늦어진 비가 늦여름에 집중적으로 쏟아지며 작물에 해를 끼치고 홍수를 일으키고 있다.


“계절풍이 생명줄입니다”라고 Chaudhary 씨는 말한다. “그러나 지난 몇 번의 계절에는 우리가 비를 바랄 때 내리지 않았습니다.”




계절풍이 시작되면 나가족의 농민들이 인도 마니푸르 주의 동쪽에 있는 Senapati 지구에서 모를 심는다. 




이는 길게 늘어선 벼에겐 나쁜 소식이다. 진짜 basmati 벼는 진품 포도주가 프랑스의 포도밭에서만 나오는 것처럼 인도와 파키스탄에서만 수확된다. Taraori 지역은 하리아나(Haryana) 주를 포함하여 인도의 주요한 basmati 벼의 재배지역이다. 인도 벼수출협회(India Rice Exporters Association)의 수치에서는 연간 basmati 벼의 수확량 가운데 1/3이 하리아나에서 생산된다고 한다. 그 주요한 basmati 재배지역의 논이 계절풍의 변화로 괴롭힘을 당하고 있다. 


그래서 Chaudhary 씨와 그의 친척 중 한 명은 지난해 논의 일부를 옥수수밭으로 바꾸었다. 지난해에는 여름 계절풍이 몰고 오는 비가 2달이나 늦은 8월에 내렸다. 


Chaudhary 씨의 옥수수 농사라는 발상이 뿌리를 내리고, 인도의 장마가 계속 늦게 온다면 벼 대신 옥수수를 심는 곳이 널리 퍼질 것이다. 이는 농민들이 자급하기도 하고 수출하기도 하는 basmati 벼의 가격 상승으로 이어져 일부 농촌공동체의 식단을 바꾸어 놓을 것이다. 


벼농사를 짓는 농민들만 변화하는 날씨에 영향을 받고 있는 사람이 아니다. 인도 전역의 농민들은 여름철 강우량의 부족으로 피해를 받아, 부채를 안고 있는 빈곤한 소작인 신세를 면하지 못했다. 지난해에는 강우량이 부족해지면서 수력발전이 제대로 되지 않아 12억 인구 가운데 절반 이상이 여름에 블랙아웃을 겪으며 고통을 받았다. 가뭄은 양파와 기타 채소를 시들게 하는 원인이 되어, 식품 물가를 상승시켰다.



인도의 나르마다 계곡에서 장마철 달구지를 타고 농지에서 마을로 돌아가는 모습.




인도의 고통은 다른 많은 나라의 지역들과 공유된다. 계절풍은 인도 대륙과 미국의 남서부, 동남아시아, 호주, 아프리카의 넓은 면적을 흠뻑 적신다. 세계 인구의 절반 이상이 영향을 받는 지역에 살고 있다. 그들은 음용수와 관개용수의 연간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이 장대한 우기의 비에 의존하며 살아간다. 


과학자들은 강우량 기록을 연구하고, 지난 세기 중반으로 돌아가 인도 계절풍의 평균 강수량이 얼마나 감소했는지 추적했다. 그러나 최근에야 많은 인도인들이 지구온난화의 괴멸적인 결과와 파괴적인 가뭄의 현실을 깨달았다. Krishnan 교수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지구의 온도가 올라가 물이 증발하여 더 많은 습기가 생겨 여름철의 바람이 축축해지고 계절풍은 조용히 죽음의 종소리를 울리게 될 것이라 한다. 


“대기가 매우 안정될 것입니다”라고 계절풍을 연구하는 인도의 열대기상학 연구소의 과학자 Raghavan Krishnan 씨는 말한다. “대기에 수분이 더 많아지겠지만 비가 내리는 건 아닙니다.”


그 변화는 결국 이곳 하리아나 주의 마을 사람들이 전통적인 벼에 기반한 요리에서 옥수수를 결합시킨 식단으로 바꾸도록 만들 것이다. Chaudhary 씨는 “우린 옥수수는 먹지 않습니다”라고 한다. “하지만 기후가 변하면서 인간도 따라서 변하고 있어요.”



http://goo.gl/HUypA

728x90

'농담 > 농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지기는 몇 평인가?  (0) 2013.07.10
닭과 함께 농사짓기  (0) 2013.07.08
지속가능성에 기여하는 유기농업  (0) 2013.07.08
네팔의 벼농사를 훑어볼까  (0) 2013.07.07
베트남 중부 고원의 소 사육 농민  (0) 2013.07.07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