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농약90

식량위기를 피하려는 중국의 노력 상하이에서 가장 큰 젠바이Zhenbai 농산물 시장은 도시의 증가하고 있는 신선채소와 육류 수요를 충족시키는 데 도움이 되고 있다. 중국의 14억 인구는 세계가 먹을거리를 재배하고 판매하는 방식을 바꾸고 있도록 식욕을 돋우고 있다. 중국의 식단은 기업들이 베이컨부터 바나나까지 모든.. 2017. 12. 25.
벼와 함께 생물다양성을 높이는 인도의 혼농임업 혼농임업은 세계적으로 10억 헥타르에서 행해지는 고대의 농법이다. 나무와 떨기나무를 작물과 결합해 식량안보를 높이고, 기후변화의 영향을 완화시키며, 생물다양성을 늘린다. 인도는 주로 농경지에서 혼농임업을 권장해 전체 면적 가운데 나무가 덮은 면적을 현재 24%에서 33%로 증가시.. 2017. 12. 22.
곤충이 사라지고 있다 전직 화학자인 Heinz Schwan이란 75세의 독일인 곤충 덕후가 20년 넘게 관측한 결과, 곤충의 숫자가 75% 정도 급감한 것을 발견. 그 결과를 연구진과 함께 논문으로 발표했답니다. 곤충은 건강한 생태계의 근간이기에, 정말 심각한 일이 아닐 수 없겠습니다. 그런데 그 감소율이 토종 씨앗이 사.. 2017. 12. 13.
무경운과 덮개식물의 중요성 무경운과 덮개식물의 중요성을 설명하는 매우 좋은 동영상입니다.글리포세이트 같은 제초제로 풀을 싹 밀어버리고 작물만 재배하는 농경지에 이웃한 무경운과 덮개식물을 적용한 농경지를 비교하고 있습니다.이른바 경제성에서는 제초제를 적용한 농경지가 더 앞설지 몰라도, 그밖에 .. 2017. 10. 27.
스웨덴에서 일어난 일 스웨덴에서 이런 일이 있었다고 한다. 유기농 농산물을 먹으면 그것이 몸에서 농약 성분을 제거해준다고 선전한 동영상이 있었나 보다. 그걸 농약 관련 기업들이 가만히 두지 않고 소송을 제기했고, 법원에서 동영상의 주장이 얼토당토 않다며 원고 측의 손을 들어주었단다. 대략적인 건.. 2017. 7. 7.
소농의 기본권인 종자권 씨앗이 없으면 농업도 없다.[1 파종과 수확을 위한 종자 또는 기타 식물의 생식기관(식물체, 삽수, 접수, 구근, 덩이줄기 같은)] 농경이 시작되고 1만 년에 걸쳐[2 프랑스 농업부: http://agriculture.gouv.fr/histoire/2_histoire/index_histoire_agriculture.htm], 농민은 자신의 수확물에서 구애를 받지 않고 이듬.. 2017. 6. 2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