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농민111 농장에서 하는 유기농 식물 육종 농장에서 하는 유기농 식물 육종 목차 1부: 들어가며 Why plant breeding is important A philosophy of organic plant breeding Our farming ancestors never stopped breeding Returning farmers to their role as seed stewards 2부: 식물 육종의 기초 Selection in theory and practice How to select A crop’s mating system and how it affects plant breeding Self-pol.. 2018. 12. 19. 농생태학 농민들은 어떻게 산업형 농업에 도전하고 있는가? 전 세계에서 혁신적인 농생태학 농민들이 점점 더 산업형 농법에 도전하고 있다. 지역적·과학적 지식을 결합시켜, 늘어나는 인구를 먹여살리고 기후변화와 물 부족, 시장 변동성에 대처하기 위해 탄력적 사고를 실천으로 옮긴다. 12년 전인 2006년, Haregu Gobezay 씨는 실업자였고, 6명의 자녀.. 2018. 8. 13. 비영리 유기종자동맹이 희망의 씨앗을 뿌리다 Katie Miller와 Janna Shields 씨가 유기종자동맹을 위해 수확한 파첼리아phacelia 씨앗을 정선한다. 채소의 시험은 현장 측정보다 더 많은 걸 필요로 한다; 케일 품종의 맛 비교. (Courtesy Organic Seed Alliance) 자주색 싹이 트는 브로콜리의 녹색 씨앗은 익으려면 좀 더 시간이 필요하다. 이 새로운 유기.. 2018. 8. 13. 쿠바의 여성농민이 모두를 먹여살리는 방법 "난 일찍 일어나서 하루종일 농장에서 지내며 열심히 일하고, 노동자와 파종, 수확, 판매, 교육을 관리합니다. 난 이 모든 일을 사랑한다." 쿠바에서 여성은 국가에서 먹을거리를 재배하고 분배하는 방식에 혁명을 일으키는 데 없어서는 안 되는 존재이다. Photo by Sarah L. Voisin/The Washington Pos.. 2018. 7. 17. 안데스 토종 감자 볼리비아의 칼라와야족 농민이 재배한다는 11가지 품종의 감자. 이만큼은 아니어도 예전 조선의 농민도 이렇게 다양한 품종의 작물을 재배했다. 여러 가지 이유 때문이었을 것이다. 2018. 6. 15. 조선의 애민 정신 0605_세종시대 농업과 농법.pdf 현대 한국 사회의 정치인들이 “국민을 위하여”라고 하는 것과 조선시대를 이야기하며 “애민愛民”이라 하는 건 어떻게 보면 일맥상통하는 것 같다. 조선을 개국하고 25년 뒤인 1418년 즉위한 세종. 다방면에서 왕조의 기반을 닦아 대왕으로까지 칭송되고 .. 2018. 6. 4. 이전 1 2 3 4 5 6 7 8 ··· 19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