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농민106

남해 갯벌의 쏙 잡는 할머니들 어제 한국기행에서는 남해의 갯벌에서 쏙을 잡는 할머니들 이야기가 나왔다. http://www.ebs.co.kr/tv/show?prodId=7225&lectId=20113905&fbclid=IwAR0iCw9mJtJpJ8wEHTgQGuEqEO4IP1FSEMDxNxVfOgSmikYVhvMzqWQu1nM 그런데 내 눈에 들어온 건 그곳의 독특한 자연환경과 그 안에서 살아온 할머니들의 삶이다. 산과 들, 바다와 갯벌.. 2019. 7. 3.
농업보조금 때문에 한국 농업이 쇠락했나 강호진 주한 네덜란드 대사관 농무관. 서울대 농업생명과학대를 졸업하고 롯데그룹 식품연구소에서 글로벌 농식품 산업을 연구하다 10년 전 네덜란드 대사관으로 이직했단다. 그런 그가 "한국은 보조금으로 농민을 보호하려고만 하다가 농업을 재래식 농법에 머물게 한 측면이 크다."고 .. 2019. 6. 24.
보리짚 소각은 언제, 어떻게 멈출 수 있을까? 제가 사는 지역은 한국 최대의 평야라는 이름에 걸맞게 엄청나게 많은 보리가 재배됩니다. 그런데 해마다 이맘때가 되면 전쟁이라도 난 것처럼 뿌연 연기에 휩싸이게 됩니다. 왜 그런가 하면 보리를 수확하고 남은 잔여물을 불에 태워서 없애기 때문이죠.http://www.yonhapnewstv.co.kr/MYH20190614003.. 2019. 6. 14.
식량안보법이라고? 식량주권이 아니라 식량안보를 법안화하려는 움직임이 시도되고 있습니다. 농민, 농촌, 농업에 대한 고민 없이 식량만 잔뜩 생산하면 된다는 논리를 밀어붙일 것 같습니다. 참가자의 면면을 보아도 농민이나 농업 관련한 인물은 보이지 않고, 농업으로 이익을 얻는 사람들만 눈에 띕니다... 2019. 5. 30.
농촌지도? 말에는 생각이 담겨 있다. 영어로 된 자료를 볼 때마다 한번씩 마주치는 단어가 있다. 바로 agricultural extension service이다. 단어만 놓고 보면, 농업의+연장+서비스 인가? 이게 도대체 무슨 말인가 싶어서 한번씩 찾아보는데, 그럴 때마다 한국의 사회와 역사가 고스란히 드러나서 씁쓸한 웃음.. 2019. 1. 29.
남성들이 농촌을 떠나면 남아 있는 여성에겐 어떤 일이 생기는가 네팔과 세네갈의 사례 공유 네팔의 여성 소농. 네팔 정부의 빈곤 경감 펀드 II 프로젝트 코피 아난Kofi Annan 씨는‘여성의 권한을 강화하는 것보다 효과적인 도구가 없다.’고 말한 바 있다. 이는 농업 부문에서는 분명 사실이다. 권한이 강화된 여성은 지속가능한 농업 성장과 평등한 농촌.. 2019. 1. 2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