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庫間1923

감저종식법甘藷種植法 고구마의 재배·이용·저장 등에 관한 기술서. 1책. 필사본. 저자를 강필리姜必履라고 주장하는 측도 있으나, 이 책은 표지의 제목이 지워져 있어 원래의 책이름을 알 길이 없을 뿐만 아니라, 서문과 발문도 없기 때문에 저자와 편찬연대는 분명하게 밝힐 수가 없다. [구성 및 특징] 이 책은 고구마재배.. 2008. 5. 15.
금양잡록衿陽雜錄 조선 전기의 문신 강희맹姜希孟이 네 계절의 농사와 농작물에 대한 필요사항을 기술한 농서農書. [편찬경위] 저자가 52세에 좌찬성에서 물러나 그의 빙부가 남긴 경기도 금양현衿陽縣(지금의 경기도 시흥과 과천지역)에 있는 묘막에 은거하여 손수 농사를 지으며 그곳 노농老農들과의 대화와 자신의 .. 2008. 5. 15.
농가요결農家要訣 저자·연대 미상의 농업·양잠·축산에 관한 종합 농업기술서. 34장 1책. 필사본. 서문과 발문은 없다. 수록된 각 항목의 내용이 ≪산림경제山林經濟≫의 내용과 같다. 내용 가운데 〈치농요략治農要略〉에서는 ‘산림경제치농서왈山林經濟治農序曰’로 시작되는 치농조治農條의 서문을 요약하여 .. 2008. 5. 15.
농가월령農家月令 조선 중기에 고상안高尙顔이 지은 농사 교본農事敎本. 1책. 필사본. 편차는 서序와 농사에 관한 제반사諸般事, 정월령正月令부터 12월령까지의 농가월령, 이에 누락된 농사짓는 법, 농가의 행사, 약방藥方에 관한 것 등을 보유補遺한 잡령雜令으로 되어 있다. 산문체의 한문으로 표기되어 있으며, 1령.. 2008. 5. 15.
농가집성農家集成 [구성 및 내용] 1655년(효종 6)에 간행되었다. ≪농사직설≫·≪금양잡록衿陽雜錄≫·≪사시찬요초四時纂要抄≫의 세 농서와 부록으로 ≪구황촬요救荒撮要≫가 덧붙어 있는 합편이다. 그러나 각 부분의 내용은 시대에 따른 개수와 보충이 있어 당시로서는 내용과 체재를 갖춘 종합 농서라고 할 수 있.. 2008. 5. 15.
농담農談 1894년(고종 31) 이종원李宗遠이 저술한 농업기술서. 방조제防潮堤나 제방 축조 및 도수법導水法 등에 관한 내용을 주로 기술한 것이다. 제방 축조에 관한 전문 기술서적으로는 우리 나라 현존 농서 가운데 가장 오래된 것으로 농업토목사상 중요한 의미를 지니는 농서이다. 첫머리에는 이희덕李熙悳과.. 2008. 5. 1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