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庫間1923

오주연문장전산고 경사편 1 - 경전류 1 예기 기후월령에 대한 변증 내가 변변치 못하지만 만일 기후의 그 까닭을 논한다면, 《주역》건괘乾卦의 원元, 형亨, 이利, 정貞 네 글자와, 《서경》요전堯典의 희羲, 화和와 네 중仲을 명한 글에 이미 모두 설명된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만일 자세히 구분한다면, 대개 사철의 기운은 여섯 가지가 있다. 첫째는 생기生氣요, 입.. 2008. 5. 15.
신증동국여지승람 제9권 경기 안산군 동쪽으로 과천현果川縣 경계까지 5리, 남쪽으로 남양부南陽府 경계까지 35리, 서쪽으로 인천부仁川府 경계까지 11리, 북쪽으로 금천현衿川縣 경계까지 14리이며, 서울까지는 51리이다. 【건치연혁】 본래 고구려의 장항구현獐項口縣이다. 신라 경덕왕景德王이 장구군獐口郡으로 고쳤고, 다시 고려 초.. 2008. 5. 15.
임원경제지林園經濟志 전남 나주시 금천면 석전리 나주배박물관 규장각도서. 16부분으로 나뉘어 있어 《임원십육지林園十六志》 또는 《임원경제십육지》라고도 한다. 순조 때의 실학자 풍석楓石 서유구徐有榘가 만년에 저술한 것으로, 일상생활에서 긴요한 일을 살펴보고 이를 알리고자하여 《산림경제山林經濟.. 2008. 5. 15.
과농소초課農小抄 조선 후기 실학자 박지원朴趾源이 편찬한 농서. 15권 6책. 필사본. 1798년(정조 22) 11월 정조는 농업상의 여러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전국에 농정을 권하고 농서를 구하는 윤음綸音을 내렸다. 이에 당시 면천沔川(지금의 충청남도 당진군 면천면) 군수였던 박지원이 1799년 3월 이 책을 올렸다. 그러나 이는 .. 2008. 5. 15.
농상집요農桑輯要 원元나라 사농사司農司에서 〈제민요술齊民要術〉 등 옛날부터 전해 내려오는 농서를 두루 참고하여 정리한 농서. 7권 3책. 1273년(고려 원종 14) 원 세조의 명을 받아 사농사에서 펴냈다. 농사의 기원, 농사에 힘쓴 교훈, 농학의 기초적인 내용, 농정의 지침, 작물에 대한 풍토와 파종방법·뽕나무 기르.. 2008. 5. 15.
농사직설農事直說 조선 세종 때의 문신인 정초(鄭招)·변효문(卞孝文) 등이 왕명에 의하여 편찬한 농서. 1책. 1429년(세종 11)에 관찬(官撰:정부에서 편찬한 책)으로 간행하여 이듬해 각 도의 감사와 주·부·군·현 및 경중(京中)의 2품 이상에게 널리 나누어 주었다. 이 책은 그 뒤에도 판을 거듭하여 1492년(성종 23)에 내.. 2008. 5. 1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