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庫間/문서자료

농가집성農家集成

by 雜것 2008. 5. 15.
반응형
[구성 및 내용] 

1655년(효종 6)에 간행되었다. ≪농사직설≫·≪금양잡록衿陽雜錄≫·≪사시찬요초四時纂要抄≫의 세 농서와 부록으로 ≪구황촬요救荒撮要≫가 덧붙어 있는 합편이다. 그러나 각 부분의 내용은 시대에 따른 개수와 보충이 있어 당시로서는 내용과 체재를 갖춘 종합 농서라고 할 수 있다.

더구나 당본唐本 ≪사시찬요≫와 ≪농가집성≫에 들어간 ≪사시찬요초≫를 비교해 보면 후자가 상당히 한국화된 내용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부피도 적으며 인용도 우리 나라의 풍토에 맞추어 적절히 교정되었고, 우리 나라 고유의 기술도 많이 언급되어 있다. 이로써 조선 중기의 농민과 권농관을 위한 전형적인 농업지침서가 이루어진 셈이다.

≪금양잡록≫에서는 곡식 작물의 품종 이름이 80여 가지나 나오고, 품종별로 파종기·성숙기·적지適地 등이 기술되어 있으며, 기후와 지세에 대한 논급도 있다.

≪사시찬요초≫는 사시순四時順, 월별, 그리고 24절 별로 각종 전곡田穀과 벼의 경종법은 물론 원포작물인 채소류와 목화·삼麻·잇紅花·쪽藍, 그리고 많은 약용식물의 재배법이 기재되어 있으나 곡류 항은 아주 간략화되어 있다.

즉, 이들은 ≪농사직설≫과 ≪금양잡록≫에 주로 실려 있어 ≪사시찬요초≫에서는 주로 원예작물과 특용작물을 다루고, 양잠·재수栽樹 등에도 상당히 자세한 설명을 첨가하였다. 이로써 ≪농가집성≫의 구성은 균형이 이루어진 것으로 볼 수 있다.

부록으로 수록되어 있는 ≪구황촬요≫는 1554년(명종 9)에 진휼청賑恤廳의 인포印布로 시작되어 중간을 거듭해 오던 중 ≪농가집성≫에도 ≪구황보유방≫과 아울러 수록되었다.

그 내용은 솔잎을 비롯한 각종 초목의 엽부葉部·피부皮部·근부根部·종자·종피 등을 가루로 하여 곡식가루에 섞어 여러모로 조리해서 대용식을 만드는 법을 요약하여 소개하였다.

 

[의의]

≪농가집성≫은 1655년(효종 6)에 초간을 보고, 이어서 이듬해에 십행본十行本, 1686년(숙종 12)에 숭정본崇禎本 등 중간을 보았다. 이 사이에 약간의 보수와 개수가 가해졌다.

그 가치는 균형 있는 종합 농서로서 당시의 농업기술과 원저와 중간본들 사이의 기술 변천을 살필 수 있는 데도 있지만, 이들 책 속에 나오는 여러 가지 작물의 품종명에서 이두와 한글의 표기가 많이 나와 국어사 연구에도 참고가 된다.

1655년 목판본은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교과 규장각도서에, 1678년 고활자본은 서울대학교 도서관에, 1746년 목판본은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

 

≪참고문헌≫ 農家集成(農村振興廳 譯, 1972)
≪참고문헌≫ 農林水産古文獻備要(金榮鎭, 韓國農村經濟硏究院, 1982)
반응형

'庫間 > 문서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농가요결農家要訣  (0) 2008.05.15
농가월령農家月令  (0) 2008.05.15
농담農談  (0) 2008.05.15
농서총론農書總論  (0) 2008.05.15
농정서農政書  (0) 2008.05.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