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37

씨앗을 심는 죠몬인 -대두와 죠몬인 죠몬 대두의 발견과 입증  일본 재래 콩2003년 통계에 의하면, 곡물은 세계에서 18억 톤이란 방대한 양이 재배되고 있으며, 이중에서 대두는 약 2억 톤이다. 이는 해마다 증가하는 경향이다. 세계에서 생산되는 콩의 대부분은 대두이고, 그 다음으로 재배하는 것은 강낭콩, 완두콩, 병아리콩인데, 전부 합해도 대두의 1/3 정도의 양에 지나지 않는다. 현재는 아메리카나 남미, 중미 등에서 대량으로 재배하고 있는 대두인데, 원래는 아시아 몽골로이드들의 먹을거리였다. 대두는 맥주에 빠질 수 없는 가지콩 같이 그대로 먹어도 맛있지만, 전통적인 대두 식품에는 간장을 비롯해 청국장, 두부, 된장국의 된장 등이 있고, 된장국에 들어가는 유부도 두부로 만든다. 또한 소를 기르는 사료로도 대두가 사용되기에, 우리들은 많은.. 2024. 10. 9.
일본의 미소와 한국 된장 일본 미소는 왜 달달한가 했더니... 재료로 쌀이 들어가는 것이었다. 그런데 한 지역이 콩과 소금으로만 미소를 만드는 곳이 있으니! 그 빛깔도 한국 된장처럼 시커무루죽죽하구만. 지인의 이야기에 의하면 맛도 비슷하다 한다. 그래서 이런 요리도 발달했다고 하는데 기회가 되면 먹어봐야겠다. 후박잎에 미소와 각종 재료를 올리고 구워먹는다는데... 2024. 4. 1.
고랭지의 토양을 지켜라 3탄 먼저, 고랭지 농경지의 토양침식을 막기 위해 다양한 시도를 하고 있는 농촌진흥청의 수고를 칭찬한다. 개망초를 시작으로, 눈개승마를 거쳐, 이번엔 콩을 들고 나왔다. 아마 소득 유인을 위해 선택한 것 같은데, 실제로 중남미에서는 경사지에 콩과작물을 이용해 토양침식을 막고 소득.. 2019. 8. 2.
콩과 옥수수 섞어짓기 한국에서 흔하던 콩밭에 옥수수 섞어짓기를 미국의 한 농민이 대규모로 실천하는 모습을 보아서 이렇게 기록을 남긴다. 세상에나, 저걸 저렇게 하다니. 2019. 5. 23.
사이짓기 ‪이것이 사이짓기(간작)의 전형입니다. 가(밀)라는 작물의 사이(공간)를 이용해 나(콩)라는 작물과 수확기의 사이(시간)를 활용하여 한 농경지에서 여러 작물을 재배하는 농법이지요. ‬ 나중에 밀이 익어서 수확하고 나면 자연스럽게 이 공간은 콩밭이 되지요. 아래 사진은 밀이 다 익어.. 2018. 6. 24.
콩의 생장점 콩이 어릴 때 고라니나 새에게 따 먹히면 제대로 안 자라는 이유. 그것은 바로 생장점이 손상되기 때문이다. 콩이 좀 커서 그러는 건 괜찮다. 어차피 순지르기도 하며 성장을 조절하기에. 그러나 어릴 때 생장점이 손상되도록 먹히면, 더 이상 제대로 자라지 못하는 치명적인 피해를 입는.. 2018. 6. 1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