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작년(2012년) 농사의 가장 큰 사건이라고 하면, 역시나 가뭄보다 토끼가 밭에 출몰한 일이다.

밭 아랫쪽에 양어장이 하나 있는데, 거기에서 토끼탕을 손님들에게 제공한 적이 있다. 그때 여러 마리의 토끼를 키우다가 이제 몇 마리 안 남은 상태였다.


그런데 그 토끼들이 토끼장을 탈출하는 사태가 벌어진 것이었다!

그것도 무려 암수 한쌍이 탈출을 했다.


이놈들이 귀여워 보여서 좋게만 보고 있었는데, 아뿔싸 농사에 피해를 줄 줄이야 누가 알았겠는가.

특히 이놈들이 콩잎을 좋아해서 콩을 심고 나자 밭에 출몰하며 콩잎을 마구 갉아먹었다.



이것은 토끼가 아닌 새들에게 떡잎을 뜯어먹힌 콩이다. 그래서 작년에는 이걸 피하고자 콩 모종을 내서 옮겨심었다. 그런데 세상에 토끼들이 나타나서 마구 콩잎을 갉아먹는 것이 아닌가.




새를 피하려고 일부러 모종을 키워서 옮겨심었는데 그걸 토끼들이 갉아먹은 것이다. 

이건 마치 쓰레기차 피하다가 똥차에 치인 격이랄까.


그때부터였을 것이다. 토끼와의 추격전이 시작된 것이.

마침 나에게는 충직한 견인 연풍이가 있었다.


토끼와 추격전을 벌이는 데에 큰몫을 한 연풍이. 늘 밥만 축내다가 이때 비로소 자신의 밥값을 했다. 토끼를 만난 이후 '토끼'라는 단어를 알아듣기 시작했고, 밭에 갈 때마다 한참 밭에서 토끼를 찾느라 귀를 쫑끗거리며 경계를 늦추지 않았다.




그러나 토끼들이 얼마나 날랜지 모른다. 연풍이가 잡을 만하면 휙 방향을 바꾸고 펄쩍 뛰는 통에 겁이 많은 연풍이는 토끼 뒤꽁무니만 좇아다니지 물지도 못하고 제대로 잡지도 못했다.


그래, 할 수 없이 주인에게 이야기했다. 토끼 단속 좀 해 달라고.

그렇게 몇 번의 요청이 들어간 이후 주인의 조치로 토끼들이 밭에 오지 못하도록 그물망이 쳐졌다.


그러나 아직 그 새끼들이 남아 있었다. 암수가 탈출한 이유가 사랑의 도피 행각을 위함이었던 것이었다!



구석구석 토끼를 찾아다니는 연풍. 이때는 참으로 CSI 과학수사대 못지 않게 꼼꼼하더라. 잘한다, 연풍!




이때부터 연풍이는 더욱 빛을 발하기 시작했다. 

새끼들은 작고 느린 만큼 연풍이가 충분히 구석으로 몰아갈 수 있었다. 

이놈들이 뛰어야 벼룩. 연풍이는 놀라울 만큼 새끼 토끼를 한 마리씩 한 마리씩 몰아갔다.

거기에 내가 거들어 한 마리를 잡아 주인에게 넘기고, 또 한 마리를 잡아 주인에게 넘기고... 모두 다섯 마리의 새끼를 잡아서 아무 대가 없이 주인에게 넘겼다.

지금 생각해보면 내가 여유만 됐으면 토끼장을 만들어 키웠어도 될 놈들이었다.



연풍이가 구석으로 몬 새끼 토끼를 붙잡았다. 연풍이의 저 호기심 어린 눈을 보라. 줘도 물어죽이거나 그러지 못하는 평화견. 흐음.



한참 새끼 토끼들을 추격하여 구석으로 몰아붙인 뒤 지친 연풍. 눈이 붉게 충혈되고 혀는 길게 빼고 있지만, 여전히 눈길은 토끼들이 숨어 있는 곳으로 향하고 있다. 정말 재미있게 놀더라는... 콧잔등에는 톱밥이 한가득이다. 새끼 토끼들이 자신들의 은신처로 거름을 만들기 위해 쌓아놓은 톱밥더미에 굴을 팠다. 그곳을 헤집고 뒤지고 다니느라 온몸에 톱밥이 한가득. 으으...



톱밥은 이렇게 한방에 날려 버린다! 멋지다!





이렇게 하여 한바탕 토끼 소동이 끝났다.

사실 토끼들의 덕을 본 일이 있다.

2012년에는 엄청나게 가물어서 콩 모종을 옮겨심고 제대로 물을 주지 않으면 다 타들어가 죽기 십상이었다.

그런데 난, 물을 주지 않는 게으른 농부일 뿐이고... 그렇게 콩은 그냥 죽어버리기 쉬운 조건이었다.

그런데 뜻하지 않게 토끼들이 나타나 잎을 갉아먹으면서 자연스럽게 가뭄에 적응하기 좋은 상태를 만들어준 것이다.

이런 것이 바로 전화위복, 새옹지마가 아니겠는가!

지금에 와서 돌아보면 토끼들이 고맙기도 하다.



그러나 후유증도 있었으니... 연풍이가 이 다음부터 토끼만 보면 잡으려고 해싸서 귀찮아졌다. 산책로에서 만나는 토끼집에서 토끼들이 나타나자 홱! 하고 돌아보는 중.



'야, 토끼. 너희 나와! 내가 잡는다! 나와라.'




올해는 아무 일도 없이 넘어가는가 했다.

그런데 웬걸... 작년에는 토끼들이 골치를 썩히더니 올해는 고양이다.

이놈들 내가 조와 기장을 심으려고 헛골을 타 놓은 곳에 똥을 싸고 지롤이다!



양 옆으로 고구마를 심고 가운데는 헛골을 타서 조를 심었다. 이 움푹 패인 곳을 자기들 화장실로 알았던 것일까? 고양이 자식들이 나타나 똥을 싸놓기 시작했다.




그래. 똥이야 뭐 놔두면 삭으면서 거름이 된다고 치자. 

그래도 생똥이 작물에게 좋지 않다는 것은 자명한 사실... 거기다 이놈들이 똥 싸려고 흙을 파헤치고 덮는 과정에서 작물을 해치는 일이 발생하고 있다는 것이 더 문제이다. 으, 이 고양이 자식들아!



처음엔 개똥인가 했는데, 냄새와 똥을 처리한 습성으로 보아 개똥이 아니라 고양이똥이 확실하다. 개는 땅을 파서 똥을 싼 뒤에 잘 파묻지 못한다. 물론 뒷발로 흙을 차서 대충 똥을 덮기는 한다만 고양이만큼 정교하지 못하다.




가만, 이것도 전화위복이 되지 않을까?

올해는 콩을 모종을 만들지 않고 모두 곧뿌림을 했다. 그만큼 새들에게 노출되어 먹히기 쉬운 조건이란 말이다. 

그런데 이렇게 밭에 고양이들이 수시로 들락거리면 새들이 무서워서 피하지 않을까?

즉, 곧뿌림한 콩이 새들에게 먹히지 않고 무사히 자랄 수 있는 것은 아닐까.

흠, 지켜봐야겠다. 고양이들이 화장실 사용료로 새들에게서 콩을 지켜주기만 바란다.

만약 그렇지 않다면... 이 자식들 다 죽었으! 다시 한 번 연풍이 출동이다!



뱀다리; 뭐 사람도 밭에 와서 똥 싸더라. 한 두 달 전인가? 화장실이 2분 거리에 떨어져 있는데, 얼마나 급하셨는지 거길 놔두고 밭고랑에 똥을 누었다. 왜 그랬는지는 지금도 도무지 알 수 없다. 쩝, 사람 새끼나 고양이나 똑같네. 똥이 거름이 되라고 풀을 잔뜩 덮어주긴 했는데, 그 부근은 뭔가 늘 찝찝하다. 흠.



이 아래에 있는 것을 상상하지 마시오. 뭔가 거름이 되고 있는 듯.


728x90

'농담 > 텃밭농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매기? 괭이와 친해져라  (0) 2013.06.18
작물들 사이의 궁합을 이용한 농법  (0) 2013.06.17
토종 자주감자에 병이 오다  (0) 2013.06.17
감자꽃이 피었다  (0) 2013.06.16
나비의 짝짓기  (0) 2013.06.04
728x90

지난 20년 동안 세계의 고기 소비량은 2배가 되었다. 그런데 2050년, 지구의 인구가 90억을 돌파할 것이라는 그 시점에는 다시 지금의 소비량보다 2배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한다. 지금과 같은 육류 생산방식으로 소비량을 충족시키기 위해서 나아가다가는 고기 먹다가 망할 것이 뻔하다. 그렇다고 모두에게 채식을 강요할 수도 없다. 채식은 개인의 신념과 기호와 선호일 뿐, 모두에게 고기를 포기하라고 강요할 수는 없는 노릇이다. 


선진국의 고기 소비량이야 이제 어느 정도 정점을 찍었겠고, 문제는 개발도상국의 고기 소비량이 경제성장과 함께 엄청나게 증가하고 있다는 점이겠다. 한국만 해도 쌀 소비량이 절반 이하로 뚝 떨어지는 사이 고기 소비량이 2배 이상 늘어났으니 말이다(http://bit.ly/101i6RE). 경제성장과 함께 늘어나게 될 지구의 인구가 먹어대는 고기를 어떻게 충당할 것인가?


그래서 나오는 것이 실험실에서 인공적으로 배양한 고기라든지(http://bit.ly/101i5NB), 곤충을 먹어야 한다든지 하는 이야기(http://bit.ly/101i9wI)일 것이다. 바다의 어족자원이야 이미 지금의 인구를 부양하기 위해서 엄청나게 잡히고 있어, 이대로 나아가다가는 멸종하면 멸종했지 더 늘어나기는 힘든 것이 현실이다(http://bit.ly/101iaAH).





FAO에 따르면 각각 소고기 소비량은 2000년 1400만 톤에서 2030년 3900만 톤으로, 돼지고기 소비량은 2100만 톤에서 5600만 톤으로, 가금류 소비량은 2200만 톤에서 8200만 톤으로, 달걀 소비량은 1400만 톤에서 3800만 톤으로, 양고기 소비량은 400만 톤에서 1100만 톤으로 증가할 것이라고 예상한다.


동물성 단백질을 식물성 단백질로 대체할 수 있다면, 즉 콩고기나 밀고기가 지금의 고기만큼 맛있게 만들어질 수 있다면 대안이 될 수도 있겠다. 솔직히 지금의 콩고기와 밀고기는 너무 맛이 없다. 남의 살이 역시 가장 맛있는데... 그걸 끊기가 힘들다. 에잇, 나는 그냥 고기 3번 먹을 거 1번만 먹으며 밥에 반찬으로 곁들여 양을 대폭 줄이고, 두부 같은 전통 음식을 이용한 요리를 해 먹어야겠다. 두부조림도 좋고, 된장찌개도 얼마나 맛나며, 청국장은 또 군침이 질질 흐르게 만들지 않는가! 

  


728x90
728x90

America’s prairies are shrinking. Spurred on by high commodity prices and a biofuels rush, farmers are digging up grasslands in the northern Plains to plant crops at the quickest pace since the 1930s. While that’s been a boon for farmers, the upheaval could create unexpected problems.


Map showing the percentage of grasslands that were converted into corn or soybean fields between 2006 and 2011.

new study by Christopher Wright and Michael Wimberly of South Dakota State University finds that U.S. farmers converted more than 1.3 million acres of grassland into corn and soybean fields between 2006 and 2011, a period of soaring crop prices and biofuel mandates (right). In states like Iowa and South Dakota, some 5 percent of pasture is turning into cropland each year.

It’s a big transformation in the heart of the country: The authors conclude that the rates of grassland loss are “comparable to deforestation rates in Brazil, Malaysia, and Indonesia.” And those changes are already having plenty of impacts.

For one, farmers are now growing crops on increasingly marginal land. In Nebraska, North Dakota and South Dakota, corn and soy are planted in areas that are especially vulnerable to drought. But farmers take the risk because corn and soy have become so lucrative — and, in part, because the federal government offers subsidized crop insurance in case of failure. (The study also finds evidence that many farmers are no longer enticed by federal conservation programs that pay for grassland cover.)

The loss of pasture itself could also have big environmental impacts. Studies have foundthat grasslands hold carbon in their soil better than cropland does. So there’s a climate-change angle here. A 2008 paper in Science argued that fuels like corn ethanol and soy biodiesel lose a portion of their carbon advantage over gasoline if farmers are simply digging up virgin grassland to grow the crops.

There’s a wildlife angle, too: The Prairie Pothole Region, traversing Minnesota and the Dakotas, is one of the continent’s key breeding grounds for ducks and other ground-nesting birds. Tall grasses in the area help sustain a number of species and shield birds from predators. But corn fields are now encroaching on the habitat, and bird populations are dropping.

In recent years, some environmental groups have argued that it doesn’t make sense for the federal government to keep subsidizing this push into the prairies. A recent report (pdf) from the Environmental Working Group, for instance, argues that Congress should scale back crop insurance for farmers who move into the country’s grasslands and wetlands. Farm groups, for their part, say the insurance is vital for their work — instead, Congress should expand conservation programs.

And what about biofuels? Groups like EWG have criticized ethanol mandates for pushing up corn and soybean prices and driving the crop boom. There’s a lot more hope for next-generation cellulosic biofuels grown from switchgrass or other plants with a much smaller environmental footprint. Or biodiesel made from algae, say. But until those become viable, the crop rush continues.

Further reading:

–The full peer-reviewed study on grassland loss in the northern plains, published in the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ies of Science.

–A longer dive into the debate over federal crop insurance.

–My colleague Steve Mufson explored some of the hurdles still facing cellulosic biofuels. And David Biello looked at attempts to make corn ethanol sustainable.


728x90
728x90

지난해의 가뭄은 가장 막대한 미국의 두 작물인 옥수수와 콩에 큰 타격을 입혔다. 그러나 그것이 몬산토가 그에 저항하도록 조작한 작물에 사용하는 제초제인 라운드업(글리포세이트)에 내성을 지니게 된 풀의 확산을 확실하게 늦추지 못했다. 현재 미국에서 재배하는 모든 옥수수, 콩, 목화의 70% 이상이 글리포세이트에 견디도록 유전적으로 변형된 것이다. 

2011년부터 이러한 풀이 이미 빠르게 퍼지고 있었다. 나는 "몬산토의 '슈퍼잡초' 중서부를 질주하다"라고 예전 글에서 선언했다. 말이 이미 급속도로 속도를 올렸을 때 어떤 단어를 쓰겠는가?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 알고 있으니, 이렇게 해보자: "몬산토의 '슈퍼잡초'가 중서부에 몰려오고 있다."

농기업의 연구 컨설턴트 Stratus의 새로운 보고서에 따르면, 그 말이 지난해의 상황을 훨씬 잘 표현한 것이다. 2010년 영농철부터 그 집단은 제초제 내성에 관하여 31개 주에 걸쳐 "미국의 농부 수천 명에게" 투표를 받았다. 그들이 2012년 영농철에 발견한 것은 다음과 같다:

• 조사를 받은 전체 미국 농민의 약 절반(49%)이 2012년 자신의 농장에 글리포세이트 내성 풀이 있다고 답했고, 이는 2011년 34%에서 상승한 수치이다.
• 내성은 남쪽에서 역시 최악이다. 예를 들어, 조지아 주의 재배자 가운데 92%가 글리포세이트 내성 풀이 있다고 답했다. 
• 그러나 남부의 중앙과 중서부의 주들이 따라잡고 있다. 2011~2012년 네브라스카, 아이오와, 인디애나 주에서 내성을 가진 면적이 거의 2배가 되었다. 
• 해마다 더 빠른 속도로 퍼지고 있다: 총 내성 면적은 2011년 25%에서 2012년 51%로 증가했다. 
• 그리고 문제는 더욱 어려워지고 있다. 더욱더 많은 농장에 적어도 두 가지 종류의 내성 풀이 생겼다. 2010년에는 단 12%의 농장만 그랬는데, 불과 2년 뒤 27%가 되었다. 


슈퍼잡초: 처음에는 질주하고, 이후 폭증했다. Graph: Stratus


그래서 어디의 농부부터 시작하면 될까? 음, 몬산토와 그 동료들은 "다음 세대"의 제초제 저항성 종자를 시험하려고 한다 —그것은 라운드업만이 아니라, 또 다른 2,4-D와 Dicamba 같은 더 독한 제초제에 저항성을 갖도록 조작된 작물이다. 풀과의 화학전을 강화하여 제초제 사용이 급격히 증가하는 것과 함께 더 다양하고, 강력한 슈퍼잡초들이 나타나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그것은 David A. Mortensen이 이끄는 펜실베이니아 주립대학의 연구팀의 2011년 평가보고서가 전하는 메시지이다. (그들의 보고서는 지난해의 에서 언급했다.)

그리고 그러한 새로운 종자는 어쨌든 2013년 영농철에는 이용할 수 없다. 미국 농무부의 등록과정을 통과하지 못했다. 미국 농무부가 크리스마스 휴일 동안 Dow의 2,4-D/Roundup 저항성 옥수수를 최종 승인할 것으로 예상되었지만 그렇게 하지 않았다. 그 기관에서는 그 제품을 아직 승인하지 않은 사유를 밝히지 않았는데, Dow에서 지난달 인정했듯이 그 무의사결정이 2014년 초반까지 제품의 도입을 사실상 늦출 것이다. 로이터의 Carey Gillam 기자는 미 농무부의 지연은 새로운 제품에 대한 "농민과 소비자, 공중보건 관계자들의 반대"로 인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리고 이러한 반대자들이 그에 관하여 "Dow와 미국 규제당국에 우려를 표하며 공격하고 있다."

따라서 공업형 규모의 옥수수와 콩 농민들은 워싱턴 주립대학의 Charles Benbrook이 최근의 논문에서 밝혔듯이, 악성 잡초를 제어하고자 그들이 몇 년 동안 해오던 대로 제초제 사용량을 늘리며 어물어물 넘어갈 것이다. 그것은 농민에게는 상당한 경제적 손실을 뜻한다 —펜실베이니아 주립대학의 Mortensen 씨에 따르면, 제초제 내성을 잡기 위하여 농민들이 2011년 1년에 약 10억 달러의 비용을 사용했다. 그것은 또한 독성 제초제가 하천으로 흘러들어 개구리를 혼란에 빠뜨리고, 인간의 음용수를 오염시킬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것을 뜻한다. 

Corn & Soy Digest 라는 무역 잡지에 실린 "제초제 내성 잡초의 관리"라는 기사를 확인해 보는 것이 좋다. 여기에 문제의 핵심이 있다 —"전소(burndown)"는 유럽연합을 포함한 32개국에서 금지된 악명 높은 독성 제초제인 paraquat 같은 광역제초제로 농지의 모든 식생을 단조롭게 만들어 버리는 것을 뜻한다는 것을 지적한다:

내성 문제로 알려진 것들의 경우 가을에 잔류 농약을 추가로 사용하여 전소시키고, 봄에 작물을 심기 전 전소시키는 게 드문 일은 아니다. 다른 농사철에는 또 다른 종류의 잔류 농약을 포함하여 두 가지 이상의 제초제를 시용한다. “당신이 내성 잡초를 초기에 충분히 잡으려 한다면, paraquat는 그걸 방제하는 데 좋은 도구이다. 그러나 한 번 Palmer amaranth(보통 글리포세이트 내성 풀)이 180cm로 크면, 당신은 paraquat로 그것을 확실히 죽일 수 없다"(잡초방제 전문가)고 한다.

그러나 다른 방법이 있다. 내가 누누이 인용한 아이오와 주립대학의 연구자가 행한 2012년의 연구에서는, 만약 농민이 한 해에는 옥수수를 심고 다음해에는 콩을 심는 것만 반복하는 것이 아니라 간단히 귀리 같은 "작은 곡식" 작물만이 아니라 휴한기에 덮개작물, 풀(라운드업 내성도 포함하여) 등의 다양한 작물을 돌려짓기하면, 화학비료의 사용을 엄청나게 줄이고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제초제 사용을 줄여 하천에 흘러가는 독을 줄일 수 있다 —"잠재적 수생 독성이 일반적인 옥수수-콩 체계에서보다 더 긴 돌려짓기 체계에서 200배 감소한다고 그 연구에서 지적한다. 그래서 종자 거인과 관행농의 잡초 전문가들의 주장과 달리, 더 많은 -심지어 더 독성의- 화학물질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슈퍼잡초"의 가속화에 대응하는 다른 방법이 있다. 


http://goo.gl/x3GLu

728x90
728x90


The concept of companion planting, in which one plant helps the other, is the basic idea behind the Three Sisters, but focusing on this alone glosses over many of the nuances in native garden traditions.

Photo By Rob Cardillo Photography




Considering how corn, beans, squash and other “New World” foods have changed the course of human culture, the time is ripe to take a fresh look at Native American gardening. Here, within easy reach, is one of the greatest horticultural treasures — a system of gardening that is, by definition, an icon of biodiversity. Offering a rich array of unusual tastes and textures, the Native American garden is part and parcel of what I consider the “soul” of American food. And yet the full story is not exactly a happy one.


Years ago I had the pleasure of chatting with the late Gladys Tantaquidgeon (1899-2005), a Mohegan anthropologist with whom I discussed some of the pressing issues facing Native American gardening. She expressed frustration about Mohegan garden seeds not being preserved during the 19th century, and how this loss is reflected by what Mohegans — tribespeople from upstate New York and later Connecticut — grow in their gardens today.

Chief James “Lone Bear” Revey (1924-1998) of the N.J. Sand Hill Band of the Delaware Nation also devoted many hours to passionate discussion with me on the seed losses taking place among his people. The causes have been many — inroads of changing lifestyles, poverty, government programs forcing native peoples into a mainstream mold, the loss of foodways and native religions — and the results have at times been devastating.

But much has survived. There are perhaps two distinct Native American gardens: the stereotypical one many of us envision, consisting of just the “Three Sisters” (corn, beans and squash), and a more complex one that served not only as a source of food for native peoples, but was also an extension of their religions. For many tribes, each plant was assigned a specific spiritual role, and each part of the plant (the roots, stems, leaves and flowers, as well as the fruits) was imbued with deep meaning and a role in native healing practices.

Reproducing a Native American garden isn’t easy, which is why I’d like to make this a clarion call to find a way to preserve this heritage. This imperative is especially urgent given the spread of genetically modified corn and the radical manner in which it has transformed corn from the nurturing “mother” of Native American culture into a largely inedible, industrial material. The innate spirituality of this graceful plant has been grossly denatured. Planting a Native American garden is a rewarding way to recapture this connection with the Earth.



The Real Three Sisters Garden


The concept of companion planting, in which one plant helps the other, is the basic idea behind the Three Sisters, but focusing on this alone glosses over many of the nuances in native garden traditions. Growing plants to work together symbiotically — using hills of corn to serve as poles for beans, and interplanting this with squash to keep down invasive weeds — is as much about compatibility and harnessing nature to do part of the work as it is a study in what we take from nature and what we give back. Modern agribusiness is based on yields extracted from the land as though strip mining. The Native American garden, which was actually a form of small-scale farming, made the land richer — one reason why early settlers were eager to seize Native American fields.

Some of the earliest illustrations that have survived of Native American fields — depictions of patches of corn and squash from the 1580s — show no evidence of Three Sisters gardening. They do show a clear understanding of the separation of corn varieties so they tassel at different times and thus do not cross-pollinate. Some native peoples farmed with other mixes of plants. The Hopi introduced a fragrant wildflower into their gardens to attract pollinators. Other peoples intermingled their corn and beans with sunflowers, which make wonderful “poles” for beans that grow too tall to climb up cornstalks.

Native American gardens were fine-tuned to their local micro-climate, and this is a feature often overlooked by gardeners today. one seed does not fit all gardens. Native peoples maintained a wide selection of plants because they often moved around, so what may have worked well in North Carolina among the Cherokee may not have been successful on the Great Plains. The Pawnee of the Midwest, for example, maintained four sacred corn varieties, of which their white-flour corn, called “Mother Corn,” was the most highly venerated. If one failed, they had others they could rely on.

Native American Corn

Native corns are heartier and generally more drought-resistant and adaptable than modern-day industrial varieties. Choosing the right corn to grow in your region is important, especially because the corn more or less serves as the “framework” for a Native American garden. If you plan to save seed for next year, choose one variety of corn to grow at a time in a given area to prevent cross-pollination.


Pure strains of native corns are difficult to distinguish unless they’ve been carefully grown in isolation, such as those sold by Native Seeds/SEARCH, a nonprofit headquartered in Tucson, Ariz. Some Native American cultural museums sell seeds connected with their cultures, and Seed Savers Exchange in Decorah, Iowa, has many members who offer seeds believed to have come from Native American sources in its annual yearbook.

I have been growing native corns for many years and recently began large-scale grow-outs at Mill Hollow Farm near Edgemont, Pa. Two corns in particular — ‘Tutelo Strawberry’ (a short-eared flint) and ‘Delaware Indian Puhwem’ (flour corn) — have done extremely well, and seeds are available directly from the farm (see the chart key in Seed Varieties for Your Native American Garden). In the future, I plan to offer some Seneca corns, particularly ‘Ha-Go-Wa’ (hominy corn) and ‘Blue Bear Dance,’ as well as ‘Tuscarora’ flour corn.

Native American Squash and Beans

Locating authentic Native American squash for your garden will prove extra challenging, because many of the squash varieties have been “improved” over the years by plant breeders looking for characteristics that appeal to present-day cooks. ‘Early White Scallop’ and ‘Yellow Summer Crookneck’ are examples of this kind of improved plant stock. While both can be documented to the 18th century and earlier, they are somewhat different from the Native American originals. The old-style plants were vining rather than bush in habit, for example.

Aside from pattypan squash, finger squash and a few others, not many varieties of squash and pumpkins have survived from early Native American gardens, especially in the eastern part of the United States. I have been involved in a project in my own garden to recover Nanticoke “maycocks,” an old native name for summer squash eaten green. These squash probably represent a range of what native peoples were looking for in squash, as some are good for cooking fresh, some for drying, some for seed oil, and others for long-term storage.

There are a great many Native American beans, but few of them are preserved under their original Native American names. After quite a bit of research and some luck, I discovered that the meaty ‘Ohio Pole Bean’ — a favorite of mine — was actually an old variety grown by the Delaware, Potawatomi, Shawnee and Miami living in the vicinity of Ft. Wayne, Ind., in the 1790s. The ‘Amish Nuttle’ bean is another Native American variety that has come down to us under several non-native names. The chart in Seed Varieties for Your Native American Garden has many more recommended varieties.


 http://www.motherearthnews.com/organic-gardening/native-american-gardening-zm0z13fmzsto.aspx?page=3#ixzz2Iav870GO

728x90
728x90

한국의 곡물자급률은 지난해 22%대로 추락했다. 곡물이야 가축이 먹는 곡물사료까지도 포함하는 것이니 그러려니 하며 사람들이 고기를 많이 먹기에 그런가 보다 넘길 수도 있다. 하지만 그 가운데 한국인의 주식인 쌀의 자급률마저 떨어졌다는 것은 충격이 아닐 수 없다.


그동안 한국은 식량자급률 가운데 유일하게 쌀만은 100%가 넘는 자급률을 가지고 있다고 자부해왔다. 하지만 우루과이라운드 이후 WTO에 가입하면서 이제 해마다 의무수입량이 조금씩 늘어났고, 이에 따라 국내에서 생산되는 쌀이 천덕꾸러기가 되었다. 즉 그 전에는 생산된 쌀을 소비하고 남는 건 비상시를 대비해 비축을 했는데, 이제는 그것이 통하지 않을 만큼 쌀이 남아돌게 되었다는 것이다. 그나마 북한과 사이가 좀 좋을 때는 그렇게 남아도는 쌀을 북한에 보내서 소비하여 부담을 덜었는데, 이명박 정부 이후 남북관계가 경색되면서 그런 비상구조차 막혀 버렸다. 


그러한 흐름에 따라 국가에서 생산된 쌀을 책임지고 수매해주는 추곡수매제도 폐지되고 공공비축미 수매사업으로 전환되었다. 이건 비상시에 꼭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일정한 양만 사들이는 것으로서 그 이외의 나머지 생산량에 대해서는 시장경제의 논리에 따라 생산자인 농민들이 알아서 시장에 팔아야 하는 제도다. 그러니까 농산물 시장의 자유무역 바람이 국내 생산에 대해서도 영향을 미치게 된 것이다. 농사지어봤자 판로를 확보하기 어려운 농민들은 제대로 쌀을 팔아먹지도 못하고, 또 값싸게 들어오는 외국산 쌀과 가격경쟁력에서 경쟁이 안 되니 쌀은 더욱더 팔리지 않고, 틈새시장을 노려 친환경농업으로 품질을 높이자니 기존에 활용하던 농법도 아니고 까다로운 규제도 많고 아직 관행농업처럼 대규모로 농사지을 만큼 기술력도 뒷받침되지 않으니 그냥 예전에 하던 방식대로 농사짓는다. 그럴수록 품질에서 경쟁력은 천천히 뒤떨어지게 되고, 또 쌀을 팔 수가 없다.


더군다나 이제는 쌀을 많이 먹지도 않는다. 1년에 한 사람이 먹는 쌀의 양이 70kg 정도밖에 되지 않는다. 80년대 초반 130kg을 먹던 것에 비하여 절반 가까이 하락한 수치다. 그러니까 벼 생산기술이 발달(농약, 화학비료, 개량된 품종, 농기계에 의한 다수확이기에 따질 부분은 많지만 일단 그렇게 넘어가자)하여 시간이 지날수록 단위면적당 벼 생산량은 엄청나게 증가했다. 그런데 그렇게 증가한 쌀을 먹어줄 사람이 없다. 그러니 인구가 증가했다고는 하지만 자연스레 쌀이 조금씩 조금씩 남아돌 수밖에 없고, 그것이 창고에 쌓이고 쌓이다 쌀먹걸리니 쌀떡볶이니 하는 상품으로 개발되어 나왔지만 그런 가공식품 생산업체에서도 가격경쟁력 때문에 국산 쌀보다는 수입산 쌀을 선호한다. 이래저래 진퇴양난에 빠진 것이다.


그래서 정부에서는 쌀 생산 감산정책을 펴기 시작한다. 즉 논에다 벼가 아닌 다른 작물을 심도록 보조금을 주면서 장려하여 재배면적을 줄이는 것이다. 그렇게 실시되고 있는 사업이 아래 기사와 같은 논에다 콩을 심는 일이다. 콩은 특별히 땅을 가리지 않기에 진흙이라 할 수 있는 논흙에서도 잘 자라지만, 오랜 기간 콩을 재배하면서 논흙의 성질이 바뀐다는 건 문제가 아닐 수 없다. 논을 일궈서 흙을 제대로 만드는 데에는 오랜 시간이 걸린다. 어디서 논흙을 왕창 퍼다가 집어넣을 수 있는 일도 아니고, 해마다 농사를 지으며 천천히 조금씩 논농사에 어울리는 좋은 흙으로 바꾸어 나가야 한다. 그런데 이런 흙에 물을 채워 벼를 심는 게 아니라 물을 빼고 콩을 심으면 어떤 일이 일어나겠는가? 논흙의 성질이 밭흙의 성질로 바뀌게 되는 것이다. 물론 2~3년 밭으로 쓰다가 다시 논으로 쓰면 그렇게 크게 문제가 되지 않는다. 하지만 그렇게 되기보다 계속 밭으로 쓰다가 그마저도 수지타산이 맞지 않아 버려진다면 어쩔 것인가? 생각만 해도 아찔한 일이다. 농업 관계자들이 어련히 알아서 잘하시겠냐마는 옆에서 지켜보기에 위태위태해서 조마조마하다. 


지난해 한국의 쌀 자급률이 80% 초반으로 떨어졌다. 이러한 쌀 감산정책에 맞물려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농사가 제대로 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런데 올 연말부터 기후가 심상치 않다. 뉴스에서는 내년에도 심한 기후변화의 영향이 예상된다고 벌써부터 떠들고 있다. 내년 벼농사가 제대로 될까? 예전처럼 수확량을 높일 수 있을까? 쌀 자급률을 100% 선에서 유지할 수 있을까? 당장은 값싼 수입산 쌀을 사다가 쏟아부으면 사람들이 먹는 문제는 해결할 수 있다지만, 그게 쉽지 않은 날이 올지도 모른다. 한국에서만 기후변화가 문제가 되는 것이 아니라 주요 쌀 생산국인 동남아시아에서도 문제가 될 수 있다. 거기에 나날이 오르는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인한 생산비 상승과 현대농업이 크게 의존하고 있는 석유 문제까지 겹친다면 그야말로 재앙이라고 할 수준의 일이 터질지도 모른다. 이는 모두 최악의 시나리오지만 국가의 안보라는 것, 주권이라는 것은 이런 최악의 상황까지 염두에 두고서 계획을 짜야 하지 않을까. 당장은 쌀 감산정책에 따라 대체작물로 유도하는 게 편하고 쉽지만, 나라의 명운을 이끌어가는 사람들은 좀 더 넓고 멀리 내다보면서 계획해야 할 것이다. 

--------- 




이해용 기자 = 강원도 내 최대 곡창지역인 중부전선 철원평야에서 콩이 벼 대체작목으로 부상하고 있다.


28일 철원군 농업기술센터(소장 김태석)에 따르면 논 콩의 ㏊당 소득은 112만 원으로 벼농사와 비교하면 1.5~2배의 소득이 나오는 것으로 분석됐다.

철원에서는 올해 논 콩 재배단지 42.5㏊에서 74.6t을 생산, 국립종자원에 종자용으로 납품했다.

철원군은 최근의 국제 곡물 동향을 살펴본 결과 장기적으로 콩 가격이 오를 것으로 예상하는 데다 벼농사보다 경영비가 적게 들어 논 콩 재배면적을 확대할 방침이다.

철원평야에서 생산한 논 콩은 품질이 놓아 전국적인 명성을 얻은 쌀에 이어 새로운 명품 농산물이 될 가능성도 있다고 철원군은 내다봤다.

dmz@yna.co.kr


728x90
728x90

<기적의 논>(http://goo.gl/9C8r4)이라는 책을 보면 이와사와 노부오 씨의 새로운 콩 재배법이 나온다(168쪽~).


이에 대해 사진은 없고 글만 있어, 그것만 읽어서는 머리에 쏙쏙 들어오지 않는다는 단점이 있어 검색을 해보았다.


사실 한 독자에게 이를 좀 더 자세히 알 수 있는 방법이 없냐는 질문이 들어와 찾아보게 되었다.


그랬더니 웬 걸... 역시나 일본인! 그들답게 직접 실험하는 모습을 친절하게 단계별로 사진을 찍어 설명을 곁들여 놓은 글을 발견하여 옮긴다. 


-------------------------------------------



일반적으로 콩은 모종이나 곧뿌림으로 심습니다


모종의 경우는 육묘상이나 포트에 상토를 넣어 씨를 심고, 2~5일 정도면 싹이 나와 7~10일 뒤에 성장점을 자르고 나서(순지르기) 밭에 옮겨심습니다. 


이에 대하여 "옮겨심기 방법"에서는 육묘상에서 기른 대량의 모종을 일정 단계에서 순지르기・뿌리를 잘라서 큰 자극을 주고, 이것을 다시 꺾꽂이하여 더욱 생명력이 강한 모종으로 만들어 나중에 밭에 옮겨심는 것입니다. 


<현대농업> 2010년 7월 호에 소개된 치바현千葉県의 이와사와 노부오岩澤信夫 씨(일본 不耕起栽培普及会)의 "대두의 다수확 재배"라는 기사를 참고하여 시도해 보았습니다.


그 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콩의 씨앗을 선별한 뒤, 냉장고에서 하룻밤 물에 담그어 놓는다. 시기는 6월 초순 무렵.


2. 이것을 육묘상에 넣은 상토 위에 뿌리고, 물을 듬뿍 준다.


3. 콩 위에 한랭사를 덮고, 그 위로 3cm 이상 흙을 덮는다. 이때 흙은 마사토가 좋다. 이 단계에서도 물을 듬뿍 준다.

천과 흙을 덮은 상태



4. 육묘상의 바닥에서 콩의 뿌리가 삐져나오면 흙과 천을 걷는다. 뿌리의 길이는 5~6cm가 적당하다. 물도 듬뿍 준다(여기까지 3~5일). 


바닥으로 뿌리가 뻗어 나온다



싹이 보인다




5. 날이 좋으면 하루, 흐리면 이틀 정도 햇볕을 쪼인다.


햇볕에 쪼인다




6. 떡잎이 뻗어나와 ∞ 이런 모양이 되면 순지르기와 뿌리자르기를 한다(여기까지가 7~10일).


순지르기


순지르기와 뿌리자르기



7. 이것을 육묘상이나 포트에 꺾꽂이한다. 간격은 4cm 정도(여기까지가 7~10일).


꺾꽂이한 모습



콩 모종



8. 꺾꽂이한 모종은 떡잎의 아랫부분부터 막뿌리가 뻗어나온다. 떡잎이 붙어 있는 부분에서 새로운 싹도 나온다(그로부터 4~5일 뒤).



막뿌리와 새로운 싹이 나오는 모습



9. 그 잎이 떡잎보다 크게 자라면 옮겨심는다. 새로운 싹에 거듭 잎이 나오면 조금 늦은 감이 있다. 


비 때문에 옮겨심기가 늦은 모종이 웃자랐다. 지주를 했다.




10. 밭은 검은콩이라면 두둑 간격 100cm, 그루 간격 20cm. 물과 질소 웃거름을 잊지 말도록...



이와사와 노부오 씨에 따르면, 이 방법으로 360kg(6가마니)~720kg(12가마니)의 다수확이 가능하다고 한다. 묵히는 밭에서는 그 정도까지는 아니겠지만, 충분히 해볼 만한 방법이라고 생각한다.

밭에서 일부 이 방법을 시도해 보고 있는데, 그 결과는....





http://goo.gl/ZRJ4y








728x90
728x90

 

도리깨질은 이렇게 한다. 여럿이 함께하여 호흡이 맞으면 더 재미나다. 

 

 

 

728x90

'농담 > 텃밭농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완두  (0) 2012.11.15
2012년 텃밭의 사계  (0) 2012.11.14
가을갈이  (0) 2012.11.14
김장철  (0) 2012.11.14
할머니의 생활기술, 키질  (0) 2012.07.29
728x90


Planting season — old style

As farmers north of the equator get ready to plant their seeds, we’ve started wondering about agriculture before Columbus. Conventional wisdom says Native Americans were mostly hunters and gatherers. When they did farm, their slash-and-burn techniques exhausted the soil, forcing them to clear new fields.

ENLARGE

Man standing in foreground of a mountain landscape holds a cane in one hand and a root in the other

Courtesy Nancy Turner, University of Victoria
In British Columbia, Clan Chief Adam Dick (Kwaxsistalla) holds “xukwem” (riceroot), a traditional food of the first inhabitants of Canada’s northwest coast.

Although Native Americans domesticated corn, tomatoes and potatoes, their farms were generally unproductive, and most of their plant food came from gathering tubers, greens, berries and shoots.

But as we learned at a series of talks at the 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 this picture needs editing:

* Three centuries ago, corn-farming Indians in today’s New York State were out-producing European wheat farmers

* The lack of plows in the Americas was not a hindrance but rather helped sustain soil fertility

* Stable, sophisticated food-gathering systems in parts of the Great Plains succumbed not to careless farmers but were drowned by dams on the big rivers

* Natives in British Columbia used a sophisticated permaculture to harvest the same plants year after year

The provision of permaculture

Until the 1960s, the government of Canada enforced assimilation of First Nation children at boarding schools that banned ancestral languages and practices. The goal was to homogenize Canada’s population, but suppressing culture also squelched knowledge of the traditional methods for raising and gathering food.

ENLARGE

Row of bright green lettuce between  dark brown dirt and tall grass.

Lettuce grows in soil containingpowdered charcoal. This traditional technology improves soil fertility and yield, and helped the Amazon basin support a large population before 1492.

When the police boats arrived in British Columbia in the 1930s, to take children to boarding schools, Adam Dick (tribal name Kwaxsistalla) escaped, and went to live in secluded locations with his grandparents for about a decade.

Dick, a member of the Kwakwaka’wakw (formerly Kwakiutl) tribe, has become a link to a vanishing past. “His people have learned from him, they all benefit from his teaching,” says Nancy Turner, in the School of Environmental Studies at the University of Victoria (Canada).

Turner, who has spent a career studying indigenous agriculture, says knowing what to look for is key to understanding native agriculture on the coast of British Columbia. “They used perennial cultivation. ‘Keep it living’ was part of their philosophy, and it shows the way they value other life. A lot of perennial plants were being cultivated, but outsiders saw this as random plucking.”

People in the First Nations of British Columbia ate 35 species of roots, 25 greens, berries, even the inner bark of some trees, Turner says.

ENLARGE

Green bush with red berries; rocks visible on ground in bottom right.

Photo: ulalume
Salmonberry was a traditional food along the Northwest Coast, where people also tended and ate red huckleberry, high bush cranberry and crabapple.

Overall, coastal people used 250 species of plants for food, tea, fuel, construction, fiber, canoes, dye and glue, Turner says.

When the natives harvested bark and wood from a living tree, they took what they needed without killing the tree. “They believed trees have sentient life, and called these ‘begged from’ trees,” Turner says. “‘We have come to beg a piece of you today.’”

“Gardens” in the water

The same attitude of “stewardship and caring” also applied to aquatic food, Turner says, especially the all-important salmon. “The salmon streams were carefully tended, and even cleaned. If the stream changed course, Adam and the others were taught by the elders to transplant [salmon] eggs to the new stream channel.”

Similarly, she says, people moved rocks to “create the most productive clam beds on the coast.”

Springbank clover (Trifolium wormskioldii)

Courtesy Nancy Turner.
Small plots of springbank clover (Trifolium wormskioldii), about to blossom in British Columbia produced “immense quantities” of roots that were “regarded as indispensable to good health,” says Turner. In this permaculture, the harvesters replanted segments of the roots for another crop.

This was more like farming and harvesting than hunting-and-gathering, Turner insists. But the colonists, more interested in survival and profit than the people they were displacing, “were blind to these practices. They had in mind Mr. McGregor’s garden, with a fence and rows you can harvest. They looked at these things, but they did not see them.”

Restoring the foods

Most cultures give a central role to the production, preparation and consumption of food. What happens when the land that grew traditional foods is drowned by dams?

That’s the conundrum facing Linda Different Cloud Jones, an activist and student from the Lakota Sioux Nation. “The loss of biodiversity is the greatest challenge on traditional lands,” she told an audience in March at the 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 “and the loss of one culturally important species has significant impact.”

The Lakota people “are stereotyped as the people of the plains,” says Jones, “but we are also people of the river, or were a people of the river, until, in the 1950s and ’60s, when dams built in the Pick-Sloan project changed the way of life for the Lakota forever.”

Standing Rock, the Lakota reservation, is sandwiched between the Dakotas, and borders the Missouri River. “Overnight, hundreds of thousands of acres of native land was underwater,” said Jones. “All the plant and animal species in the riparian cottonwood forest were gone.”

The underground seedpods of the hog peanut (AKA mouse bean), were collected by prairie voles. These small mammals, which the Lakota called “mice,” cached the big seeds underground.

Lakota women found the caches with a stick and removed the seeds, Jones said, but “They always left a gift, dry berries, animal fat or corn. They would sing, ‘You have helped sustain my children during this coming winter, and we will not let your children go hungry.’ Their song echoed from the trees, and it seriously breaks my heart that my young children will never see that.”

ENLARGE

Map of rivers and completed tributary reservoirs of the Missouri River Basin, western U.S.

U.S. Army Corps of Engineers1
The Pick-Sloan Program, enacted in 1944, built a series of large dams and reservoirs on the Missouri River and its tributaries.

A sustainable yield?

The song revealed that “an entire world view and behavior went along with this one plant species,” Jones said, and both suffered when dams flooded the forest. “We haven’t eaten these for 50 or 60 years. With the death of this one plant was the death of a little piece of our culture.”

The hog peanut was part of a larger cycle, Jones says. In spring, “We would tap box elder maples for syrup, then collect biscuit root, wild strawberries, currants, juneberries, cattail shoots, and acorns in December. Nothing was ripe at exactly the same time. When the plants are no longer there, the cycle is broken.”

ENLARGE

Man bends and looks through thick stand of small plants

Hog peanuts make seeds both above and below ground. The Lakota Sioux people ate their seeds until a dam on the Missouri River flooded the forest and extirpated the plant.

Jones, a Ph.D. student at Montana State University, is attempting to grow the hog peanut as a form of “ecocultural restoration.” “Research for the sake of research was not what I wanted to do,” she says. “I wanted to change the world for my people, to make their lives better.”

Millions of people made a living for thousands of years in the New World, she says. “Everyone always thought that when European people colonized the Americas, they were coming into a pristine place, but we were managing the landscape for thousands of years.”

Iroquois corn

Corn is an indisputable triumph of Native American agriculture. The plant, domesticated thousands of years ago in Mexico and Central America, was a staple of the American diet and is now the largest crop in the world (global production in 2009 was 819 million metric tons).

Although natives also invented the highly productive “three sisters” companion-cropping technique, their agricultural prowess has been underestimated, says Jane Mt. Pleasant, an associate professor of horticulture at Cornell University.

ENLARGE


Photo: Musgrave Research Farm, Aurora N.Y., courtesy Jane Mt. Pleasant, Cornell University.
Native Americans grew many variations of the “three sisters” — a mound with squash, maize and beans. Beans climb the maize and add nitrogen to the soil; squash blocks sunlight, retarding weeds and keeping soil from parching. Maize produces a lot of carbohydrate calories, and forms a complete protein when combined with beans.

Although the Native Americans had transformed a weed into the phenomenally productive crop maize, “There are claims by scholars, archeologists, geographers and historians that native agriculture was predominantly shifting cultivation… largely marginal, not too productive,” Mt. Pleasant says.

In “shifting cultivation” (a politically correct locution for “slash and burn”), farmers move to new plots as they exhaust their soil. According to this logic, native farmers in North America “sowed the seeds of their own destruction through environmental degradation,” says Mt. Pleasant, who directs the American Indian Program at Cornell.

But Mt. Pleasant says this is bunk. Rather, she contends that:

* Much indigenous agriculture was permanent cropping

* Maize farmers in east-central North America produced three to five times as much grain per acre as European wheat farmers

* Indigenous cropping was often sustainable and since it did not deplete the soil, farmers did not need to create new fields by burning forest

The soil should be the starting point for understanding agriculture, says Mt. Pleasant. While many soils on the Eastern Seaboard are not great, large parts of upstate New York had good soil that still supports productive farms.









Courtesy Jane Mt. Pleasant

Native Americans grew corn on mounds to keep the roots dry during wet springs in the Northeastern United States.

About 300 years ago, the Iroquois Confederacy, a union of five (later six) tribes, lived in the area, and evidence for their farm productivity comes, ironically, from armies that sought to destroy them. “The quantity of corn which we found in store in this place, and destroyed by fire is incredible,” wrote the governor of New France in 1687.2

The French attacked the Iroquois, who were allied with France’s great enemy, Great Britain.










Slash ‘n burn, or sustainable agriculture?

Then in 1779, a soldier sent by General George Washington reported that his unit had destroyed at least 200 acres of Iroquois corn and beans that was “the best I ever saw.”

“This was not backyard gardening, not primitive farming,” Mt. Pleasant says. “They were dynamic, producing farmers on really good soils.”

In modern tests of corn varieties believed to resemble those grown by the Senecas, one of the Iroquois tribes, Mt. Pleasant got yields of 2,500 to 3,000 pounds per acre (45 to 54 bushels per acre or 2,800 to 3,400 kilograms per hectare).

This was far above the 500 kilograms per hectare of wheat grown in Europe.

ENLARGE


Based on table from The Paradox of Plows and Productivity3.
In experiments replicating agriculture from the 16th, 17th, and 18th centuries, Iroquois corn out-produced of European wheat. one bushel of shelled corn weighs 56 pounds; 1 pound per acre is 1.12 kg/hectare; error bars indicate ranges in the data.

Turner calculated that the Iroquois could support roughly three times as many people on an acre as contemporaneous Europeans could with their wheat crops.

Part of the advantage, she says, comes from maize’s inherent productivity. But observers have long wondered how this production could have occurred with neither plow nor draft animals, usually deemed the hallmarks of agricultural progress.

Plows, however, are now viewed as mixed blessing by many soil scientists. Although they prepare a good seedbed and bury weeds, they expose soil to the air, which encourages oxidation of humus, the organic content that supports essential microorganisms.

ENLARGE

Rows of corn on hillside in foreground and mountains and valleys in distance

Photo: Universidad la Molina, Peru, Universidad la Molina
Maize (called “corn” in the United States) can tolerate a wide range of tropical and temperate climates.

Although, after plowing, the humus briefly releases a burst of nitrogen, the depletion of organic matter and increased erosion continue for decades.

And thus on balance, Mt. Pleasant says the lack of the plow was an advantage, because planting with hand tools saves soil organic matter.

“If you are not tilling, and start with good soil, you are not going to lose fertility,” Mt. Pleasant says. “The system is stable as long as the crop yields are moderate and there is no plowing.”

But without plowing, there was no need for slash and burn.

Overall, Mt. Pleasant says, the new data provide a “quite different” perspective on agriculture. “Who were the primitive farmers? This is sustainable agriculture at its highest level.”

Rethinking agriculture

This type of revelation changes our view of the origin of agriculture, says Eve Emshwiller, an assistant professor of botany at UW-Madison who organized the seminar on native agriculture and who studies oca, a root crop grown in the Andes. “We have always talked about hunter-gatherers as if one day they were gathering food and noticed a plant growing from seed and thought, ‘We could gather seeds and start farming,’ as if this brilliant idea happened all of a sudden.”

ENLARGE


Courtesy Eve Emshwiller, 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
A woman in Peru’s highlands harvests oca, the white tubers in her hand.

Aside from historical curiosity, why worry about how native Americans grew their crops? one reason is the growing interest in sustainable agriculture, says Emshwiller. As agriculture faces the challenge of feeding more people without further damaging soil and water, older traditions could contribute.

Looking at other ways to grow and gather food will broaden our perspective, Emshwiller says. “There were a lot of people who were not considered agriculturalists, who were [supposedly] just gathering from the wild. But if you really understand what they were doing, there is not a sharp line between gathering and farming. There is a huge continuum of ways that people manage resources and get more from them.”

– David J. Tenenbaum


728x90
728x90


두류 재배기원에 대한 고고학적 고찰.pdf


두류 재배기원에 대한 고고학적 고찰.pdf
0.8MB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