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중국45

중국의 유전자변형 작물 개발 오늘자 머니투데이에서는 중국의 유전자변형 작물과 관련하여 좋은 번역기사 두 가지를 실었다. 일단 아래에 걸어놓은 해당 기사를 먼저 읽어 보시길 권한다. 첫번째 두번째 중국의 화북지방은 대표적인 밀 생산지이고, 벼는 주로 강남지역에서 재배한다. 중국인들도 밥을 주식으로 삼.. 2015. 1. 21.
중국은 유기농업으로 먹고살 수 있는가? 2014. 1. 2.
중국의 팽창과 농지 확보전쟁 작년 우크라이나에서는 외국인의 토지취득 금지법이 해제되었다. 그러고 난 뒤 며칠 전, 중국이 50년 동안 최대 300만 헥타르에 달하는 우쿠라이나의 농지를 구입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2008년 식량 위기를 겪은 뒤 한국에서도 더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해외농업개발사업의 일환으로 .. 2013. 9. 24.
농식품을 중국 시장으로 수출하자굽쇼 한중 FTA 1차 협상 종료와 발을 맞춰 농식품을 중국 시장으로 수출하자는 이야기들이 봇물 터지듯 쏟아져 나온다. 농촌경제연구원은 물론 기재부 등에서도 시끄럽게 떠든다. 그런데 솔직히 까놓고 농식품을 수출한다면 그 원재료를 모두 국산으로 쓸까? 농산물을 중국 시장으로 수출할 가.. 2013. 9. 10.
생명공학은 중국의 식량안보를 해결할 수 있는가 중국의 농업에 관하여 이야기할 때면 두 가지 통계자료에 대해 거듭하여 이야기 듣곤 한다. 중국은 세계 인구의 22%가 살고 있는 곳이며, 세계의 농지 가운데 10% 미만을 가진 곳이라는 이야기가 바로 그것이다. 식량자급률 95%를 유지하겠다고 선언한 이 나라에서 이러한 격차는 중국의 정.. 2013. 9. 2.
환경오염 문제로 고통받는 중국의 농촌 상하이 다푸(Dapu)의 화학공장 옆에 있는 농장. '이 벼에서는 아무것도 거두지 못합니다'고 지역의 농민이 말한다. 중국 곡창지대의 중심에 있는 상하이 다푸의 비를 흠뻑 머금은 농촌에서, 농민이 자신은 감히 먹지 않을 작물을 재배한다. 그녀는 자신의 농장 옆에 정부의 지원을 받는 화.. 2013. 8. 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