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중국45 중국의 어족 구성 조선말도 보인다. 2024. 12. 14. '온주 밀감'은 어디에서 왔는가 귤이라 하면 온주温州 밀감을 가리키는데, 메이지 무렵까지 "밀감"이라 하면 소밀감小蜜柑을 가리켰습니다. 이 소밀감은 지금은 거의 찾아볼 수 없습니다. 온주 밀감도 소밀감도 모두 똑같은 '밀감'을 부르는 이름인데, 일반에 별로 알려지지 않은 역사가 있어 적어 봅니다. 먼저, 소밀감은 정식으로는 기주紀州 밀감이라 부르고 학명도 Citrus kinokuni라고 합니다만, 여기에서는 소밀감이라 부르겠습니다. 밀감은 소밀감 에도 시대 초기 무렵, 와카야마의 상인 키노쿠니야 분자에몬紀伊国屋文이 폭풍우를 무릅쓰고 배로 밀감을 에도로 옮겨 에도 사람들의 갈채를 받았다는 이야기가 알려져 있습니다. 당시, 폭풍 때문에 운송선이 움직이지 못해 에도에서는 대장장이의 신을 기리는 "풀무 마츠리"에 바칠 귤이 부족하여 가격이.. 2020. 12. 9. 중국 농민들이 밀을 재배하기 시작한 이유는 오늘날 중국은 세계 최대의 밀 소비자로서, 국수와 만두, 빵 및 여러 반죽을 만드는 데 밀을 이용한다. 하지만 늘 그랬던 건 아니다. 밀은 신석기 시대가 끝날 무렵인 약 4600년 전 중국 북부 지역으로 들어왔다. 그리고 나의 연구에 의하면그 당시에는 맛이 별로 없었다. 초기에 밀은 기아를.. 2019. 11. 25. 오스트로네시아어와 타이완 타이완은 기원전 5000년 전 오스트로네시아 어족의 사람들이 가장 먼저 들어와 살기 시작했다고 한다. 그래서 한때는 그 언어를 쓰는 사람들이 섬에 가득했는데, 1600년대부터 중국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건너오기 시작하면서 현재는 전체 인구의 2% 미만만 오스트로네시아어를 사용하고 .. 2019. 7. 12. 중국의 사회생태농업 출처 http://thetomorrow.kr/archives/10107?fbclid=IwAR2xc7LvgT6PWCusQEonXOy0gd-yCQFti8kENt2Ts0YKVe6nDQnXY6L8BN0 기획칼럼 김유익의 [중국 신향촌건설]사회생태농업의 발전이 도시와 농촌의 양성良性 공진화를 촉진한다김유익 2019.07.09 0 COMMENTS역자 주: 사회생태농업이라는 표현은 신향촌건설운동 진영이 근년에 쓰.. 2019. 7. 9. 트럼프의 무역분쟁에 애가 타는 미국의 양돈업자들 세계 최대의 돼지고기 소비국인 중국에 아프리카 돼지열병이 유행하며 새로운 시장이 열리고 있는데, 트럼프의 무역분쟁 때문에 중국 시장으로 진출하기 어려워져 애가 타는 미국의 양돈업자들인가. https://www.politico.com/story/2019/06/19/trump-tariffs-us-pig-farmers-1538546 재밌네. 세계 먹을거리 체.. 2019. 7. 5. 이전 1 2 3 4 ··· 8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