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중국45 세계 먹을거리 체계와 아마존 개간 미국과 중국이 무역분쟁을 한다. 돼지 사육을 위해 중국이 수입선 다각화하며 브라질산 대두의 수입량을 늘린다. 브라질 농민들이 이를 신호로 여겨 더 많은 대두를 심고자 아마존의 열대우림을 개간한다. https://www.smithsonianmag.com/smart-news/amazon-deforestation-has-increased-dramatically-year-180972542/?ut.. 2019. 7. 3. 전쟁 직후 도쿄의 불법 라멘 노점상 전통 쇼유 라멘 일본이 2차대전에서 항복했을 때 폐허가 되었다. 미국의 폭격으로 200만 채의 건물이 파괴되거나 부수어지며 굶주린 일본인들은 식량을 점점 암시장에 의존하게 되었다. 이러한 거대한 도시의 암시장에서 라멘은 일본 요리의 중요한 부분으로 떠올랐다. Japan Quarterly에 의.. 2018. 8. 26. 6월, 전북의 미세먼지 전북은 농도農道라고 할 정도로 농업의 비중이 크다. 특히나 보리 농사는 전국에서 최고라고 할 정도의 규모를 자랑한다. 또한 축산업도 상당히 활발하다. 그러나 이걸 마냥 좋아할 수만은 없다. 왜냐하면 미세먼지 문제 때문이다. 농축산업으로 인한 미세먼지 문제는 최근의 연구결과에.. 2018. 6. 9. 대두 전쟁 요즘 미국과 중국의 무역을 둘러싼 힘겨루기로 불안불안하다. 그러나, 결론부터 이야기하면 중국은 미국을 아직은 절대 이길 수 없다. 결국은 미국이 원하는 대로 흘러갈 가능성이 높은데, 중국도 그 점을 잘 알고 있으니 최대한 자존심 상하지 않게 자신의 요구를 수용하게 만들고자 하.. 2018. 4. 15. 벼농사와 벼농사 문화의 시작 유라시아 농경사 권1 제1장 벼농사와 벼농사 문화의 시작 中村愼一 들어가며 2008년 1월, 중국에서 벼농사 고고학 연구의 전문가 4명을 일본에 초청해 최신 연구성과에 대한 보고를 들을 기회가 있었다. 거기에서 강한 인상을 받은 점은 중국의 벼농사 기원론이 이미 "언제, 어디에서?"의 단.. 2018. 4. 3. 벼 재배와 논벼 농경사회 유라시아 농경사 권1 기고 1. 벼 재배와 논벼 농경사회 -일본 열도의 경우 若林邦彦 벼의 재배가 그대로 논벼 농경사회의 성립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농경을 주체로 하는 사회의 성립이나 확산에는 다양한 조건을 고려해야 한다. 이와 같은 문제는 벼농사 사회가 많이 형성된 아시아 각지.. 2018. 3. 29. 이전 1 2 3 4 5 ··· 8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