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종자124

유전자변형 작물은 영양부족 문제를 해결할까? 일각에서는 빈곤층의 아이들이 영양부족에 시달리는 것을 막아야 한다는 뜻으로 골든라이스라는 유전자변형 벼를 홍보하는 사람들이 있다. 그리고 또 다른 쪽에선, 그건 유전자변형 작물을 퍼뜨리려는 숨은 의도일 뿐이지 그러한 방식은 진정한 해결책이 아니라고 비판한다.무엇이 정.. 2017. 3. 12.
해남신문의 토종종자 기사 | 싣는순서 | 1. 총성 없는 전쟁 토종종자를 지키자 2. 신품종 개발로 농가 일손 덜고 소득 올리고 3. 'NON GMO' 농업의 새로운 가치로 4. 농업의 신소득원 '곤충산업' 떠올라 5. 수출농업으로 농산물 시장 확대 모색 농작물 재배의 가장 기본은 종자다. 비료, 농약, 용수 등 타 요소를 효과적으로 .. 2016. 10. 13.
불법종자 문제를 다루는 기사 국립종자원, 무보증·허위표시 불량품 유통조사 확대 #사례1. 전남 신안군에서 대파를 재배하는 A영농조합법인은 올봄 B종묘상에서 대파종자를 사서 뿌렸다. 포장지에 발아율 75% 이상으로 표시돼 있었으나 싹이 거의 나지 않아 대파농사를 망쳤다. A법인은 종자회사에 배상을 요구하고, .. 2016. 10. 13.
한국 종자회사들의 변천사를 짚어보다 한국의 경우 조선시대까지는 채소 종자의 생산, 유통에 대한 기록을 전혀 찾아볼 수 없다. 이후 일제강점기에 약간의 기록이 나타나지만, 역시나 곡물 생산에 중심을 두고 있었기에 채소 종자는 큰 비중을 차지하지 않는다. 그 이유는 채소보다는 곡물이 위주였고, 또 채소의 생산주체가 .. 2016. 9. 20.
종자산업 활성화와 농민의 삶 5대 식량작물(벼, 콩, 보리, 옥수수, 감자)의 경우 한국 종자시장의 규모는 2005년 기준으로 연간 약 500억 원으로 전체 종자시장의 9%에 불과하다. 이에 반해 채소는 시장 규모가 1150억 원으로 전체 시장규모를 5811억 원으로 보았을 때 약 26%를 차지한다. 식량작물의 종자시장 규모가 그 재배.. 2016. 9. 19.
식량작물의 기원은 세계를 연결한다 토종종자라 하면 흔히들 몇 백, 몇 천 년 전부터 한국 땅에서 재배해 오던 무엇이라 생각하곤 합니다. 하지만 그런 작물은 하나도 없다고 해도 지나친 말이 아니지요. 아닙니다. 제가 틀렸습니다. 콩과 팥 정도는 만주와 한반도 일대가 원산지라고 알려져 있긴 하니 하나도 없는 것은 아닙.. 2016. 6. 1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