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자133 ‘안데스의 유산’ 감자가 사라진다 - 높아진 기온 때문에…계속 고지대로 이동- 저지대에선 병충해 들끓고, ‘추뇨’ 생산도 무용지물- 감자 재배 면적 사라지는 안데스 [리얼푸드=페루(피삭)고승희 기자] 안데스의 젊은 농부 아니세또 꼬요꼬요(Aniceto Ccoyo Ccoyoㆍ30) 씨는 감자 농사를 위해 어느덧 해발 4000m까지 올라왔다. “.. 2017. 9. 27. 씨앗은 공공재이다 흥미로운 연구결과.현대의 산업화된 농업에서와 달리, 과거 농사를 지었던 농부들은 주로 선발 육종이란 방법을 활용하여 품종을 개량해 왔다. 간단히 말하여, 논밭에서 재배하던 작물 가운데 자연적인 돌연변이 현상으로 인해 이상하게 생기거나 독특한 놈이 나타나면 그 씨앗만 따로 .. 2017. 9. 4. 녹색혁명의 숨은 공로자들 한국에는 잘 알려지지 않은 녹색혁명의 공로자인 미국의 육종학자 오르빌 보겔Orville Vogel. 사진은 그가 새로운 하이브리드 밀과 기존 밀을 비교하고 있는 모습이다.노먼 볼로그와 함께 하이브리드 밀을 개발해 농업사에 한 획을 그은 이 사건은 이런 뒷이야기가 있다고 한다. 세실 살몬Cec.. 2017. 9. 1. 배추는 한국에 언제 들어왔는가? 오늘은 누가 이렇게 써 놓은 글을 보았다. "고추가 임진왜란 후에 들어왔다는 것만 가르치고 배추는 더 나중에 들어온 걸 안 가르치니 임진왜란 이전엔 백김치를 주로 먹은 줄로 사람들이 착각하잖아." 과연 그러한가? 조선에 배추는 없었는가? 사실 배추는 구한말 이전에 조선에 들어왔.. 2017. 6. 29. 시리아 국제건조지역농업연구센터 시리아에는 국제건조지역농업연구센터에서 운영하는 종자은행이 있었습니다. 무려 300만 평에서 15만 가지의 품종을 보존하였지요. 그런데 잘 알려져 있듯이 비극적인 내전으로 인해 센터도 제대로 운영되지 못하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해당 센터의 연구원들은 국외로 망명하여 센터에.. 2017. 6. 22. 유통업체가 씨앗에 미치는 영향 미국의 월마트가 바이엘과 손을 잡고 소비자들의 취향을 저격할 멜론 종자를 개발한다는 소식이 들립니다. 아래 기사가 바로 그것입니다.https://www.bloomberg.com/news/articles/2017-06-13/don-t-freak-out-but-wal-mart-just-created-a-designer-cantaloupe 이런 류의 이야기, 어디서 많이 들어보지 않으셨습니까? 네, .. 2017. 6. 21. 이전 1 2 3 4 5 6 7 8 ··· 2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