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식48 농사와 두개골의 변화 수렵채집보다는 농사, 특히 치즈의 출현과 함께 인간의 두개골 모양도 변화했다는 연구결과. 부드러운 음식을 먹으면서 그런답니다. 일본에 가서 수많은 교정전문치과를 보며 놀란 기억이 있는데, 요즘은 한국도 그런다. 이런 것도 모두 먹을거리에서 오는 영향일까?http://blogs.ucdavis.edu/egg.. 2017. 8. 26. 북미의 원주민은 무얼 먹고 살았는가 미국의 오하이오주가 지금은 옥수수와 대두로 뒤덮인 농업지대가 되었지만, 아주 오랜 옛날 이곳에 살던 원주민들은 섬프위드와 명아주, 메이그라스, 명아자여뀌 같은 걸 주로 먹고 보리를 아주 조금 이용했다는 고고학의 이야기. 그러니까 지금은 잡초로 취급되는 것들이 주식이었단다.. 2017. 8. 25. 세계는 식량이 부족해서 굶주리는가? 우리가 살고 있는 세계에는 지역별로 비만과 영양부족 문제가 나타나고 있다. 주로 북미와 중남미, 유럽은 상대적으로 먹을거리가 넘쳐서 비만 인구가 많고, 아시아는 제3세계의 경제성장으로 고열량 위주의 식생활로 빠르게 변하면서 비만 인구가 증가하고 있다. 오세아니아는... 잘 알.. 2017. 4. 28. 음식 문화는 변하는 거야 흥미로운 식생활의 변화. 아프리카 대륙의 사람들은 아시아 대륙의 사람들처럼 쌀 소비가 늘고 있는 한편, 아시아 대륙의 사람들은 서구인들처럼 밀의 소비가 급증하고 있단다. 음식 문화는 변하는 것이야. 그런데 그 음식이 재배되는 환경은 크게 변화하지 않으니 국제무역에 의존하는 .. 2017. 4. 3. 음식 괴담에 현혹되지 말자 유명한 푸드칼럼니스트가 또 한 건 터뜨렸다. http://www.nocutnews.co.kr/news/4605374 본인의 요지는 '독'이 아니라 익은 과일을 먹어야 한다는 데에 있다고 한다. 본인이 2010년부터 이야기한 바인데 그동안 대중들이 듣지 않다가 '독' 이야기를 하니 비로소 듣기 시작했다고 자평하더라. http://blog.na.. 2016. 6. 10. 음식의 맛도 바꾸는 기후변화 오늘은 멜버른 지속가능한 사회연구소(Melbourne Sustainable Society Institute)에서 나온 보고서를 보았습니다. 아주 재밌는 내용이 많이 나오는데요. 특히 기후변화가 먹을거리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지 상세히 소개하고 있어 더욱 재밌습니다. 보고서에서는 호주의 사례들을 주르륵 나열하며 .. 2016. 5. 27. 이전 1 ··· 3 4 5 6 7 8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