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뉴스서천에서 GMO에 대한 기획연재로 이번에는 슈퍼잡초 문제를 다루고 있다.


그런데 이 문제는 이미 예전부터 제기되어 온 것으로서, 굳이 유전자변형 작물 때문만이 아니라 지나친 제초제 사용에 의존하는 현재의 농업 관행 때문이라 해석할 수 있다.




그러니까 "슈퍼잡초를 만드는 유전자변형 작물 나쁜놈!"이라고만 외칠 문제가 아니라, "제초제를 과다하게 사용하는 관행농업 나쁜놈!"이라고도 할 수 있는 문제란 말이다.
그렇다면 제초제 없이 어떻게 농사를 지을 것인가? 제초제를 대신해서 인력을 투입한다면, 그 비용은 어떻게 감당할 것인가? 그렇게 하여 비싸진 농산물을 소비자들이 받아들여 소비할 것인가? 이 모든 일을 위해 정부나 기관에서는 어떠한 대책을 세울 것이고, 그를 어떻게 압박할 것인가? 등등의 다양한 연관 문제들이 발생한다. 정부 당국이나 농약이나 종자 회사 등 농자재 기업에서는 그냥 '제초제를 치는 것이 가장 손쉽고 싸게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인 셈이다.

세상 일이란 것이 단순한 게 없다. 나이가 든다는 게 그런 건가 보다.


728x90

'농담 > 농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관행농업과 유기농업의 차이  (0) 2016.05.10
이것은 두 종류의 닭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0) 2016.05.02
환기를 시키다가  (0) 2016.04.27
수경재배는 친환경인가?  (0) 2016.04.23
사이짓기의 효과  (0) 2016.04.23
728x90
요 며칠 유전자변형 벼의 상용화와 관련한 소식이 눈에 자주 띄었다. 그에 반대하는 측에서 우려하는 바가 무엇인지는 잘 알겠지만, 그걸 읽다 보면 우려를 넘어 공포를 조장하는 측면이 있어 몇 가지 짚고 넘어가는 것이 좋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그래서 아침으로 먹을 미역국을 끓이다가 잠시 이렇게 끄적인다.

먼저 이번에 상용화하려고 안전성 심사를 받는다는 유전자변형 벼는 기사를 검색하면 농민신문에 나오는 두 가지 종류인 것 같다. 하나는 항산화물질로 잘 알려진 레스베라트롤 성분을 생산하는 벼이고, 다른 하나는 가뭄에 저항성이 있는 벼이다.

그런데 이런 종류의 유전자변형 벼가 상용화되면 무슨 일이 벌어질까? 인도처럼 부채로 인해 자살하는 농민이 속출할까? 그렇지는 않을 것 같다. 농가부채 문제와 그로 인한 농민의 죽음, 농촌의 어려움은 이미 한바탕 휩쓸고 지나갔지 않은가. 그리고 인도의 경우, 유전자변형 목화가 농민들의 부채를 증가시킨 직접적인 원인이라기보다는 여러 간접적인 원인 가운데 하나라는 것이 밝혀지고 있는 상태이기도 하다(이와 관련하여 옮긴 글이 하나 있다. 참조하시길 바란다). 유전자변형 목화의 종자 가격이 비싸기는 하지만 수확량을 늘린 증거는 있고, 대신 기후 등의 요인으로 관개시설이 열악한 상황에서 농사가 망해 부채가 증가했다는 분석들이 힘을 얻고 있다.

그리고 또, 유전자변형 벼의 종자 가격은 민간의 종자회사가 주도하는 것이 아니라 국가 기관에서 관리하고 있다. 한국에서 식량작물, 특히 벼는 농촌진흥청이란 기관에서 꽉 움켜쥐고 있다. 그런 만큼 그게 시장에 풀려도 가격이 그리 비싸지 않을 것 같다. 그걸로 수익을 내려 든다면 국민의 피 같은 세금으로 돈놀이를 한다는 거센 비판에 직면할 것이다. 물론 요즘 추세대로 그 기술을 민간의 종자회사에 넘기고, 그 종자회사가 그걸로 수익을 추구할 가능성은 있다. 그런데, 과연 유전자변형 작물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퍼져 있는 상황에서 선뜻 유전자변형 벼를 재배하고 판매하려는 기업 등이 나올지 모르겠다. 그래서 산업용으로 쓰겠다고 하는 것이겠지만 말이다.

또 유전자변형 벼가 슈퍼잡초나 슈퍼해충, 슈퍼질병을 동반한다는 이야기가 있다. 아르헨티나의 사례를 증거로 제시하는데, 여기저기서 들리는 이야기에 의하면 그것도 좀 자세하고 정확하게 살펴볼 필요가 있을 것 같다. 그에 대해선 아직 자세히 알지 못하기에 일단 넘어가기로 하자. 그보다, 슈퍼잡초는 제초제 저항성 유전자변형 작물에 계속해서 살포하는 제초제와 깊은 연관이 있는데, 그것은 굳이 유전자변형 작물이 아니더라도 현재의 농업 관행에서도 문제가 되고 있는 일이다. 충북 농업기술원에서 몇 년 전 발표한 바에 의하면, 충북의 논 가운데 약 26%에서 제초제에 내성이 있는 잡초가 발견된다고 한다. 이는 비단 충북만의 문제는 아닐 것이다. 화학농법에 길들여져 있는 곳일수록, 면적이 대단위일수록 더 심하게 발견되지 않을까 싶다. 상황이 이렇듯 유전자변형 작물이 슈퍼잡초 문제에 기름을 붓긴 했겠지만, 그 존재 자체가 문제라기보다는 화학물질에 과도하게 의존하는 농법의 문제가 더 큰 것 같다. 또 슈퍼해충은 이번에 승인을 기다리는 벼들이 해충 저항성이 아니라 기능성 성분을 생산하는 것과 가뭄에 저항성을 갖춘 것이라는 점에서 크게 상관 없을 듯하다. 질병 문제도, 글리포세이트의 발암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지적한 것 같은데 그와 상관 없으니 그리 문제가 되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혹 유전자변형 벼를 직접적으로 섭취해서 새로운 질병이 생기는 것이라면, 아직 그에 대해서는 아무 증거도 연구도 없으니 뭐라 이야기하기 어렵겠다.

그리고 특허권 문제. 이것도 민간 기업이 아닌 국가의 기관이 개발하여 보급하는 것이니만큼 유명한 캐나다의 사례처럼 골치아프지는 않을 것 같다. 또한 유전자변형 벼가 기존 벼 품종들을 오염시키는 문제도 벼는 자기꽃가루받이를 하며 2% 안쪽에서 남의꽃가루받이가 되어 돌연변이가 생긴다는 점을 보면, 또 요즘의 벼농사에서는 몇 년에 한 번씩 보급종으로 종자갱신이 이루어진다는 점을 생각하면 우려만큼 큰 문제가 발생하지 않을지 모른다.

유전자변형 문제는 파면 팔수록 참 어려운 문제 같다. 단순히 과학적 차원만이 아니라 사회, 경제, 역사적 맥락까지 두루 살피며 그것이 미칠 영향과 파장, 긍정적 효과 및 부작용 등을 논의할 수 있어야 하는데 그러한 장이 마련되어 있지 않은 것 같다. 내가 여기서 유전자변형 벼를 옹호하는 듯한 글을 써서 그렇다면 당신은 그에 찬성하는 입장이냐고 추궁을 당할지도 모르겠다. 물론 나는 절대적으로 찬성하는 입장은 아니다. 인간이 지나온 농경의 역사는 결국 끊임없는 육종의 역사였고, 그러한 맥락에서 보자면 유전자변형도 그 하나의 수단에 지나지 않는다고 생각한다. 그런데 현재까지 그 기술과 관련된 자본과 권력의 움직임을 보면 이건 아니다 싶고... 그 이외의 방법으로도 해결할 수 있는 길이 있는 것 같은데 왜 그리 밀어붙이는지 싶고... 아무튼 뭐라 한마디로 딱 잘라 결론을 내리기 어려운 복잡한 문제라 말도 횡설수설하게 된다. 그저 결론은, 유전자변형 문제를 정확하고 날카롭게 비판해야지 공포에 기반한 선동으로 나아가지 않았으면 한다. 그건 오히려 상대를 돕는 길일 뿐이다.


728x90
728x90

유전자변형 농산물의 안전성에만 집중하다가는 문제의 핵심을 놓치기 쉽다.


유전자변형 작물을 개발하여 재배하는 가장 큰 이유는 바로 '풀 문제'라고 생각한다. 

실제로 미국에서 재배되는 유전자변형 콩의 거의 대부분 -90% 이상- 이 제초제 저항성 작물이고, 옥수수와 면화의 경우에도 제초제 저항성이 절반 이상이라 알고 있다. 그만큼 더 적은 노동력과 시간, 비용을 투입해 농사에서 골치 아픈 '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강구한 방법이 유전자변형 작물이라고 할 수 있지 않을까.


소비자들은 당장 이게 먹어도 괜찮은지 아닌지에만 집중하기 쉽다. 

하지만 우리가 정말 깊이 생각해야 할 문제는, 농사에서 '풀 문제'를 간단히 제초제로 해결해도 될지 아닐지 물음을 던지는 것이다. 이에 대한 논의와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는 이상, 유전자변형 작물이 사라지더라도 또 다른 형태의 기술혁신으로 새로운 무언가가 나타나 농업 전반을 뒤흔들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풀, 적인가, 아니면 아군인가. 아니면 그저 함께 살아갈 존재인가. 함께 이야기하는 일이 시급하고 중요하다.

728x90

'농담 > 씨앗-작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작물의 영양소는 예전보다 감소했는가?  (0) 2015.09.15
육종이 바꾸어놓은 작물들  (0) 2015.08.07
누구를 위한 종자주권인가  (0) 2015.04.08
닭 육종의 결과  (0) 2015.03.17
페루의 감자 공원  (0) 2015.03.13
728x90

식량안보 문제로 유전자변형 작물의 개발에 열을 올리고 있는 중국 정부.

현재까지는 세계적으로 유전자변형 작물의 위해성에 대한 우려 때문에 인간이 먹기보다는 가축의 사료용으로 쓰는 국가가 대부분이다. 그런데 요즘은 골든라이스를 위시하여 인간이 주식으로 이용하는 작물까지 유전자변형을 통해 신품종을 개발하여 보급하고 있는 추세이다.


중국에서는 자신들의 주식인 유전자변형 벼를 개발하여 열심히 실험 중이라 알고 있는데, 중국발 한 뉴스에서 그시식회가 열렸다는 이야기가 들렸다. 


뭐 그럴 수도 있겠다만 사람들이 어떤 반응을 보일지 궁금하다.

과연 중국 13억 인구의 선택은 어떠할지, 또 쌀 시장을 개방한 한국에 중국의 유전자변형 쌀은 장기적으로 어떠한 영향을 미칠지 주목하지 않을 수 없다.



728x90
728x90


오늘자 머니투데이에서는 중국의 유전자변형 작물과 관련하여 좋은 번역기사 두 가지를 실었다.


일단 아래에 걸어놓은 해당 기사를 먼저 읽어 보시길 권한다.

첫번째   두번째



중국의 화북지방은 대표적인 밀 생산지이고, 벼는 주로 강남지역에서 재배한다. 중국인들도 밥을 주식으로 삼지만 밀의 소비량도 무시할 수 없는 수준이다. 옥수수는 당연히 주로 사료용이기에 가축이 소화하기 좋은 형질의 옥수수를 개발하는 것이겠다.




기사에서 지적하듯이 식량문제가 발등에 떨어진 불인 중국 입장에서는 당연히 여기에 몰두할 수밖에 없다.

더구나 다른 산업화된 나라들을 보더라도, 산업화의 기본 바탕은 농업생산성의 발전 -> 농민 인구의 감소와 산업 노동자화 -> 도시의 팽창 이니 경제성장을 위해서도 식량, 곧 농업문제는 중국에게 매우 중요한 일이다.

농업 분야에서 중국이 나아갈 길은 농업 현대화라는 이름으로 행해질 기계화와 함께 종자 개량이라고 할 수 있는데, 과거 녹색혁명의 시기에는 하이브리드 종자가 핵심이었다면 현대는 역시나 유전자변형 종자가 최첨단이다. 

몇 달 전 중국의 한 기업 간부가 미국에서 종자를 훔치다가 산업스파이로 체포되었다는 소식은 그러한 중국의 상황을 잘보여주는 사례라고 생각한다. 



중국 일이니 그냥 강 건너 불구경하듯이 하면 되지 않을까 할 수도 있겠다. 

그러나 한국과 관련하여 우려스러운 점이라면, 중국의 농업생산성이 엄청나게 발전하여 잉여농산물이 생기면 어떻게 되겠느냐는 것이다. 당연히 가장 가까이 있으며 경제력도 어느 정도 되는 데다가 식량자급률이 바닥을 치고 있는 한국이 좋은 판매대상이 아니겠는가?

물론 그러한 일이 없어야 하겠지만, 이러한 가정도 무시할 수 없는 상황이다.

한국의 식량, 농업정책은 어디로 가는가? 이러한 상황에 대처할 만한 능력을 갖추고 있는지 자문하지 않을 수 없다.

이러한 상황까지도 염두에 두면서 정책을 입안하고 그러는지는 가서 보지 못하여 잘 모르겠다.




728x90

'농담 > 씨앗-작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작물은 作物이다  (0) 2015.02.01
씨앗을 뜻하는 두 한자  (0) 2015.01.31
유전자변형이 세계를 구원할까?  (0) 2014.10.04
일본의 토종 무 복원운동   (0) 2014.09.05
유전자변형 작물의 왕국, 미국  (0) 2014.08.29
728x90



728x90

'곳간 > 사진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심슨  (0) 2015.02.12
다락논  (0) 2014.07.21
중국 남부 다락논  (0) 2014.06.20
오래된 책에서 나는 향기의 정체  (0) 2014.06.14
1인당 육류 소비량  (0) 2014.06.11
728x90

오오오옷! 몇 달 전 캘리포니아 지역 오렌지 농장에 세균성 녹병이 돌면서 그를 해결하기 위해 유전자변형이 필요하단 뉴욕타임즈의 기사가 있었는데, 다른 해결책을 제시하는 기사가 나왔다.


요지는 세균성 녹병을 옮기는 것이 나무이 같은 벌레인데 그걸 잡아먹는 기생말벌 등을 이용해 녹병이 번지는 걸 막는다는 것. 일종의 천적농법이다.


너무나 흥미롭지 않은가. 역시 농사의 세계는 무궁무진하구나.





세상에나, 찾아보니 뉴욕타임즈의 관련 기사는 몇 달이 아니라 거의 1년 전 기사였다.

나의 뇌는 시간의 흐름도 잊고 멈추어 있었던 것이냐?





728x90
728x90

WE ARE not producing our food sustainably. Climate change is already reducing productivity in some areas, and this is projected to worsen. Agriculture is also responsible for a substantial share of climate-change gases, most unsustainable uses of fresh water, and is the main cause of the several hundred global “dead zones,” such as in the Gulf of Mexico and Chesapeake Bay.

Genetic engineering is often proposed as a major and necessary way to address these problems. But as developed so far, globally it has not contributed meaningfully to the changes we need.


Large corporations that dominate development of genetically modified crops have produced only a very few commercial successes — despite close to 30 years of effort. Over 99 percent of biotech crops are immune to herbicides, more commonly known as weedkillers, or control insect pests. That has led to hundreds of millions of pounds more of herbicide use, tens of millions of acres of herbicide resistant weeds, and a new generation of resistant crops that will greatly increase the use of older, riskier herbicides. Soil-preserving conservation tillage, sometimes attributed to genetic engineering, was largely adapted in the United States before herbicide-resistant crops, which have probably increased its adoption only modestly.

A strain of genetically modified corn that is insect resistant, known as Bt, has reduced insecticide volume, but some of these reductions are being reversed. Insects naturally immune to Bt are multiplyingwhile others, formerly susceptible, adapt to tolerate BtAnd in many countries, including the United States, most grain seed is now treated with insecticides, even on crops containing Bt traits. Although used at lower volume than sprayed insecticides, seed treatments are implicated in the decline of honeybees. Increases in seed treatments despite Bt is, in part, because genetically modified crops have become part of, and have facilitated, our current unsustainable industrial agriculture system that aggravates pest problems.


As for food security, we produce enough food. Poverty and marginalization prevent access.
 Genetic engineering is used mainly in livestock feed crops and biofuel crops that are not useful to those who need more or more nutritious food. on the other hand, inexpensive ecologically based systems have been shown to improve production of food crops more, and more reliably, than is typically seen from the few available genetically engineered traits used by poor farmers.A strain of genetically modified corn that is insect resistant, known as Bt, has reduced insecticide volume, but some of these reductions are being reversed. Insects naturally immune to Bt are multiplyingwhile others, formerly susceptible, adapt to tolerate BtAnd in many countries, including the United States, most grain seed is now treated with insecticides, even on crops containing Bt traits. Although used at lower volume than sprayed insecticides, seed treatments are implicated in the decline of honeybees. Increases in seed treatments despite Bt is, in part, because genetically modified crops have become part of, and have facilitated, our current unsustainable industrial agriculture system that aggravates pest problems.

That is why the largest international study on agriculture development and technology, the International Assessment of Agricultural Knowledge, Science, and Technology for Development concluded that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s should play a minor role in food security in developing nations. The project involved hundreds of scientists and had the support of the World Bank, several United Nations agencies, and many countries. Instead of genetic engineering, ecological farming (agroecology), better infrastructure (e.g. roads to markets, storage facilities, etc.), empowerment of women, and other approaches that are much more cost effective were emphasized.

Meanwhile, conventional plant breeding, including newer methods, continues to outperform genetic engineering in all regions, at much less cost per trait, but goes begging for funding at our universities.Molecular genetics research over the past 15 years shows that the potential of breeding is still largely untapped.

Moreover, there are no successful GMOs to reduce nitrogen pollution from fertilizers, which contribute to climate emissions and dead zones, while breeding has improved nitrogen use efficiencyAgroecology can reduce nitrogen pollution by 40 to 70 percent or moreResearch has shown that these methods can reduce the need for fertilizers and pesticides by more than 90 percent, greatly reducing soil erosion and climate emissions, while maintaining or increasing productivity, resilience, and farmer income — even in developed countries like the United States. But as with breeding, the research and policies needed for these methods to be more widely adapted are neglected by the industry-driven agenda that focuses on GMOs. Similarly, conventional breeding to boost drought tolerance has seen substantial progress compared to the one commercial genetically modified trait designed for the same purpose, which has had minimal impact.

The GMO industry continues to emphasize unproven future applications of the technology. This can become a distraction — perhaps intentionally — from the overwhelming dominance of unsustainable uses. These dominant uses, such as the next generation of herbicide-resistant crops, will continue to prevail in the absence of major changes in policies, strengthening of regulations, labeling, and other needed changes.

Properly developed and regulated, some future engineered crops may add to sustainability. But we must also consider the opportunity costs of that approach at the expense of more effective, less costly, and more equitable farming methods.

Read the rest of this series on GMOs:

• Richard Roberts: GMOs are a key tool to addressing global hunger

• In favor of labels: Give consumers a choice to opt out of GMO foods

• The Podium: Let science, not fear, dictate labeling laws

Doug Gurian-Sherman is a senior scientist in the food and environment programs at the Union of Concerned Scientists.


728x90
728x90



  • GM technology is not suitable for farmers with small holdings

  • South Asian countries lack infrastructure for testing and labelling of GM crops

  • Regulatory frameworks for GM crops are weak in Pakistan and other South Asian countries





Small farmers, who constitute the majority of South Asian farmers, do not benefit from GM crops, says Pervaiz Amir.
 

In May 2014, a Pakistani court directed the national bio-safety committee to suspend issuance of new licences for growing GM crops until there was a proper legislative framework and adequate facilities for testing and screening.[1] It was a long overdue step. Pakistan, along with other South Asian countries, took to GM technology without addressing regulatory issues first.

Neighbouring India saw the illegal sale of GM cotton seeds preceding official approval for commercial cultivation. In 2009, India imposed a moratorium on growing GM brinjal, or eggplant, but in October 2013 Bangladesh became the first South Asian country to approve commercial cultivation of a GM version of the vegetable. GM food crops such as maize, rice and vegetables are now poised to enter the South Asian market on a large scale, either through the efforts of foreign companies or of domestic agricultural research institutes, but regulation remains a thorny issue.

The uncontrolled expansion of GM cultivation, without adequate regulation in place, could lead to widespread contamination of non-GM crops. Similarly, market domination of a few GM strains could wipe out local crop biodiversity and lead to non-sustainable farming systems with grave implications for the economy.


Regulation apart, GM seeds are no panacea for the kind of smallholder agriculture that is typical in South Asia where the majority of farmers have fewer than five hectares of land. It is clear that GM crops should be introduced only after extensive scrutiny and screening to protect the livelihoods of millions of small South Asian farmers. There is a strong need for reform and revision of regulatory frameworks that address the interests of smallholder agriculture and not just those of private companies.

Pakistan's experience with Bt cotton


Since 2008 Pakistan has been growing Monsanto's genetically modified Bt cotton (cotton with a gene from the bacterium Bacillus thuringiensis to fight the bollworm pest) in over 80 per cent of its 2.5 million acres cotton-growing area in Sind and Punjab provinces. GM maize is in the pipeline, though no varieties have yet been released, and the fate of those 14 applications pending approval for release is unclear in the light of the recent court order.

What, however, goes under the clearance radar are GM seeds of flowers and vegetables and even trees, imported surreptitiously by several private farmers. These are difficult to identify in the absence of adequate testing and labelling infrastructure and also because quarantine check posts at airports are seldom effective.


파키스탄 has had mixed experience with GM cotton. Despite its aggressive promotion by both private companies and some scientists from the country's public-funded crop and biotechnology institutes, small farmers have not been able to reap anything like the promised 50 per cent rise in yields. 


Farmers’ dependence has increased: fresh GM seeds need to be bought each year and these require higher quantities of fertiliser, pesticide and water. When Bt cotton was informally introduced in 2002 by some progressive farmers and private seed vendors, cotton yields improved, peaking at 5,500 kilograms per hectare by 2007. But since then yields have declined gradually to 2,400 kilograms per hectare by 2013.

Small farmers at a disadvantage

Small farmers who are the main cotton growers complain that these seeds perform only at high levels of input  — more water due to a longer growing period, fertilisers, and pesticides to fight pests other than the bollworm — often beyond their reach. The overall increased cost of Bt cotton production often forces small farmers to opt for other crops or leave land fallow.[2] An International Food Policy Research Institute study [3] confirms that profitability is significantly lower on smaller farms compared to large farms, when farmers do not have access to the latest knowhow and, are unable to hedge and insure against crop losses.

Also, they lack the literacy or knowhow to understand complex crop management issues and strategies such as the need to maintain a healthy pest balance and the risks and consequences of not doing so when grown on a large scale.

The emergence of numerous untested Bt varieties that were imported from India and through other international companies in the market pose a problem of choice for small farmers who are often swayed by slick advertising. They are at the mercy of seed vendors who often recommend seeds with an eye to increasing profit margins.

Adding to the woes of small farmers is the emergence of new pests such as mealy bug, sucking insects and cotton leaf curl virus.[4] Farmers in southern Punjab and Sindh, for example, complain of negative impact of cotton on water availability and soil fertility and increased pest control costs.

Pakistan could learn from neighbouring India's experience where farmers now grow second-generation Bt cotton, following bollworm resistance to first generation seeds. Sometimes, GM cotton may not provide all the answers to pest resistance, and traditionally bred varieties have a role.

Test and regulate

Pakistan has several facilities for molecular genetics, but it lacks the required protocols for GM testing, government investment is low and currently at around US$0.75 million. Compared to that, the annual volume of cotton seed industry is around US$40 million.

Government needs to take steps to put a regulatory framework in place, which takes cognizance of long term implications of GM crops on productivity, profitability, resource use, food security and equity.

Labelling and advertising should be sensitive to farmers' literacy and understanding levels. Information on risks associated with GM seeds such as impacts on neighbouring crops, seed sterility and performance under extreme drought or rainy conditions should be provided in symbolic and easily understood visuals.

Most importantly, South Asian countries need to open up the debate on GM technology to ensure sustainable agriculture and the welfare of the majority of farmers should be protected with policies that are based on the best science evidence.

Pervaiz Amir, based in Islamabad, is a regional expert for the Global Water Partnership and former member of the  Prime Minister’s Task Force on Climate Change. He is on the technical advisory panel of the Ministry of Environment, and Chair for Futuristic Innovation in Agriculture for the Ministry of Science and Technology in Pakistan.

This opinion has been produced by SciDev.Net's South Asia desk for SciDev.Net's global debate: What's wrong with GM?, taking place on Wednesday 11 June at 11.00-13.00 (BST).

References

[1] Pakistan High Court Bans GM Crop Licenses over Poor Regulation, (Sustainable Pulse, 14 May 2014).
[2] Sabir M Hazoor. 2011. BT Cotton and its Impact on Cropping Pattern, inPunjab Pakistan Journal of Social Sciences (PJSS), Vol. 31, No. 1 (June 2011), pp. 127-134.  
[3] Nazli, Hina, David Orden, Rakhal Sarker and Karl Meilke (2012). Bt Cotton Adoption and Wellbeing of Farmers in Pakistan
[4] Abdullah, A. (2010). An analysis of Bt cotton cultivation in Punjab, Pakistan using the Agriculture Decision Support System(ADSS). AgBioForum13(3), 274-287.  


728x90
728x90


흥미로운 그래프. 

미국에서 유전자변형 작물이 도입된 후 이른바 슈퍼잡초가 증가하고 있다는 이야기.
물론 유전자변형 작물 자체의 잘못이라기보다는 제초제가 만연해진 농업 관행을 짚고 넘어가지 않을 수 없다. 
유전자변형 작물을 재배하지 않는 한국의 논에서도 제초제에 내성이 생긴 풀들이 많이 발견되고 있다는 연구결과가 있으니 말이다.

농사에서 풀은 지긋지긋한 존재로 여겨지곤 한다.
그도 그럴 것이 확실히 작물은 풀과 경쟁하도록 그냥 놔두면 좀처럼 풀을 이기지 못한다.
결국 인력이 개입할 수밖에 없는데, 그것은 곧 생산비의 증가로 이어져 농민의 소득이 감소하게 된다는 현실적인 문제를 불러온다.

풀과의 공존공생... 이상적인 일일 뿐일까?
어느 선까지 풀과 타협하여 함께 할 수 있을까?
늘 조심스럽고 고민이다.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