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유전자변형124

유전자변형 작물을 옹호하는 영화가 개봉되었다 그동안 유전자변형 작물을 비판하는 영화만 주로 제작되었는데, 이번에는 이를 옹호하는 영화도 제작되어 발표되었다. 어떤 내용일지 궁금하네. 아래는 이를 소개하는 뉴욕타임즈의 기사. https://mobile.nytimes.com/2017/06/22/movies/food-evolution-review.html?smprod=nytcore-iphone&smid=nytcore-iphone-share&referer=h.. 2017. 6. 23.
유전자변형 작물은 제초제 사용량을 증가시키는가 http://www.nature.com/articles/ncomms14865#supplementary-information 위의 논문은 미국에서 주요 작물의 제초제 사용량이 장기간에 걸쳐 어떻게 변화했는지 분석한 결과입니다. 논문에 나오는 도표를 가져오면 아래와 같습니다. 흔히들 유전자변형 작물의 도입이 관련 제초제 사용량의 폭증을 가져왔다고.. 2017. 4. 11.
질소를 고정하는 박테리아를 활용한 유전자변형 작물 콩은 대기의 질소 성분을 고정시켜 식물에 필요한 질소질을 쉽게 얻는다고 한다.그 역할을 하는 것이 바로 콩과 공생하는 뿌리혹박테리아인데, 유전공학의 기술로 작물에 질소를 고정시키는 박테리아를 주입해 생산량을 늘리는 유전자변형 작물이 개발되었다는 소식이다.참 별의별 걸 .. 2017. 4. 4.
유기농업으로 전환하는 단계 요약농장을 전환하는 과정은 일반적으로 3단계로 구성된다. 첫 번째 단계에서는 적절한 유기농법에 관한 정부를 수집하는 것이 좋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가장 유망한 유기농법을 선택된 밭이나 농지에서 익숙해지도록 시도해 보아야 한다. 세 번째 단계에서는 전체 농장에서 유기농법만.. 2017. 3. 27.
유전자변형 작물은 영양부족 문제를 해결할까? 일각에서는 빈곤층의 아이들이 영양부족에 시달리는 것을 막아야 한다는 뜻으로 골든라이스라는 유전자변형 벼를 홍보하는 사람들이 있다. 그리고 또 다른 쪽에선, 그건 유전자변형 작물을 퍼뜨리려는 숨은 의도일 뿐이지 그러한 방식은 진정한 해결책이 아니라고 비판한다.무엇이 정.. 2017. 3. 12.
아프리카로 건너간 멸강충 2016년 1월, 아메리카 대륙에 살던 조밤나방이 아프리카 대륙으로 건너간 것이 최초로 발견되었다. https://theconversation.com/why-its-hard-to-control-the-fall-armyworm-in-southern-africa-72890 이놈의 애벌레는 멸강충(나라를 망하게 하는 벌레)이라 불릴 정도로 작물에 해를 끼치는데, 특히 옥수수 같은 작물.. 2017. 2. 1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