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농업783

짐승막이담 -1장 짐승막이담의 분포과 구조 제1부 선인의 유산 '짐승막이담' 쇼우도시마의 마을을 둘러싼 짐승막이담(제2장 참조) 제1장 짐승막이담의 분포와 구조 1. 짐승막이담의 분포 분포의 개관근세의 짐승막이담에 관해서는 이 책의 자매에 해당하는 『멧돼지와 인간(イノシシと人間)』의 제5장(야가사키矢ヶ崎 2001, 이하 「전보前報」라고 칭함)에 기록되었다. 이 장에서는 전보와의 중복을 피해, 이후의 연구 성과를 애써 입각하여 고찰한다.일본의 짐승막이담 분포는 전보에 그려 넣었는데, 이 장에서는 그중에서 함석 울타리・전기 울타리 등 근대적 짐승막이담을 생략하고 나무 울타리・토루土塁・석루石塁 등 전통적 짐승막이담을 나타냈다(그림1).우선은 전통적 짐승막이담의 전국 분포를 개관해보자.혼슈우本州의 중앙 고지대인 나가노·야마나시·기후 3현에 짐승.. 2025. 4. 14.
짐승막이담 -서론, 목차 서론 일반적으로 짐승막이담(シシ垣)은 거의 무명이다. 알고 있는 분은 꽤 정통한 셈이다. 도대체 짐승막이담이란 무엇인가?짐승막이담은 한자로 '저원猪垣', '녹원鹿垣', '저록원猪鹿垣'이라고 쓴다. 일본에서는 예로부터 멧돼지, 사슴, 산양 같은 고기를 얻는 짐승류를 시시シシ라고 했다. 이들 짐승은 산간 주민에게 귀중한 단백질원이었는데, 한편으로 멧돼지나 사슴은 논밭의 작물에 다대한 피해를 가져오는 짐승이었다. 짐승막이담(猪垣, 鹿垣, 猪鹿垣)은 이들 짐승이 논밭에 침입하지 못하도록 쌓은 담이다.짐승막이담에는 나무나 대나무 등을 엮은 것, 돌을 쌓아올린 것, 흙을 쌓아올린 것, 자연의 지형을 이용한 것, 함정을 설치한 것 등이 있고, 에도 시대에는 길이가 1Okm를 넘는 대규모가 구축되었다. 그와 같은 짐.. 2025. 4. 14.
농민들의 수자원 전쟁 -3장 용수 조합의 실태와 물을 둘러싼 다툼 3장 용수 조합의 실태와 물을 둘러싼 다툼 ●용수에 관한 여러 경비를 마을들은 어떻게 부담했을까?여기에서 또 이야기를 용수로 돌려보겠습니다. 용수 조합의 기본적 기능은 용수 시설의 유지·관리와 용수의 적절한 배분 두 가지였습니다.용수로의 유지·수복이나 용수 조합의 운영에 관한 여러 경비는 조합 마을들이 분담해 부담했습니다. 마을들의 부담액을 정할 때의 기준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었습니다. ①마을 할당......이건 마을의 크기나 관개 면적의 넓이에 관계 없이 조합 각 마을이 균등하게 비용을 부담하는 방식입니다. 마을 할당은 형식적으로는 평등한듯 보이고 실질적으로는 작은 마음에 더 무거운 부담이 되기에, 그점에서는 불평등한 방식입니다. 그러나 동등한 부담을 진다는 점은 반면에 동등한 권리를 주장할 수.. 2025. 4. 10.
마을의 작은 정미소가 구하는 아시아, 아프리카의 쌀농사 - 맺음말을 대신해 맺음말을 대신해   '기술'이란 물질이 아니다사회관계를 무시한 '기술적 해결'이란 있을 수 없다  2차대전 패전 이후 많은 일본인은 이제부터는 세계 사람들의 평화적 발전을 위해 공헌하는 것이 그 살아가는 길이라 말하고, 해외 여러 나라의 사람들과 함께 발전하기 위해 다양한 형태로 협력해 왔다. 선진국으로부터 도상국으로는 여러 가지 경제적 원조가 행해졌지만, 이윽고 "배고픈 자에게 주어야 할 것은 물고기가 아니라, 낚시 도구와 낚시 기술이다"라고 주창하며 "technology transfer"라는 것이 국제적으로 널리 강조되었다.이것을 일본에서는 '기술 이전'이라고 번역되었다. 기술이란 '전하고' '배우는' 것이지, 건물이나 물품처럼 한 지점에서 다른 장소로 '이동되'거나, 또는 사람에게서 사람으로 단순히.. 2025. 4. 1.
마을의 작은 정미소가 구하는 아시아, 아프리카의 쌀농사 -5장 5장   아시아, 아프리카의 쌀 증산과 농촌 정미소   농촌 정미소의 출현에 따른 인도네시아의 기적적인 쌀 증산 쌀농사로 농민이 얻는 이익은 매우 낮았다일찍이 인도네시아는 세계 최대의 쌀 수입국으로, 세계의 식량 안정 공급이란 측면에서 일대 불안 요인이었다. 그래서 1945년 독립 이후, 이 나라에서는 쌀의 증산이 지상명령이었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쌀 생산 증가의 발걸음은 더디기만 했다. 당시, 이 나라의 정미소는 화교의 소유·운영되는 소수의 상업 정미소밖에 없고, 그 총 정미 능력은 생산 나락의 10~20% 정도밖에 되지 않았다. 그렇다면 정미소가 신설·증설되어도 좋을 것 같지만, 거기에는 정부의 '허가'가 필요하고 그 허가를 얻을 수 있는 건 쌀의 집하·가공·판매·수입 등을 도맡아 하고 있는 화.. 2025. 3. 26.
마을의 작은 정미소가 구하는 아시아, 아프리카의 쌀농사 -4장 4장 농촌 정미소의 파급 효과   농촌 정미소는 그걸 쓰지 않는 농민에게도 도움이 된다 쌀농사 역사가 긴 아시아 여러 나라에서는 오늘날 농촌의 곳곳에 농촌 정미소가 있어서 농민이 널리 이용하고 있다. 아시아의 쌀농사 농민에게는 "나락으로 파는 건 손해, 백미로 만들어 팔면 돈벌이가 된다"는 것은 당연한 상식이 되고 있다. 그래서 그들의 대부분은 "가능하다면 나락으로가 아니라 백미로 만들어 팔고 싶다"고 염원한다. 그러나 빚에 쫓기고 있는 많은 소농민은 연간 수십 퍼센트에 이르는 고리의 빚을 서둘러 변제할 필요에 쫓기고 있기에, 나락 가격이 가장 싼 수확 직후의 시기에 손해를 감수하고 대부분의 나락을 그대로 집하업자에게 팔아 치울 수밖에 없는 일이 많다. 비록 나락 채로 팔더라도 그것을 좀 더 저장했다가 .. 2025. 3. 2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