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비30 똥 원고에 답하며 이 글은 <시골 똥, 서울 똥>의 원고를 검토하고 썼습니다. 그러니 책을 보시면 더 잘 이해가 될 겁니다. http://bit.ly/Z9EXqN 지난번에 말한 내용을 오늘 성포도서관에 가서 찾았습니다. 책은 <서유럽 농업사>(http://bit.ly/Z9EZ23)이고 350~351쪽에 이런 내용이 나옵니다. 휴경지의 소멸과 대.. 2013. 4. 4. 학교에서 발생하는 쓰레기와 재활용 첨부한 파일은 미네소타에서 2010년 여섯 곳의 학교를 선정해 그곳에서 발생하는 쓰레기의 양과 그것을 얼마나 재활용하는지 조사한 연구 보고서이다. 그 결과에 따르면, 발생하는 쓰레기 가운데 78%를 재활용할 수 있었으며 또한 50%는 퇴비로 만들 수 있는 재료라고 한다. 학교 급식을 좋.. 2013. 4. 2. 음식물쓰레기 퇴비의 사용실태와 유효성 FW자체로는 퇴비로 쓸 수 없는 폐기물로서 비료관리법에 따라 등록된 비료제조업체가 비료제품을 생산 할 때 혼합제로 사용되어 생산 완료된 비료제품이 되었을 때 비로소 부산물퇴비의 한 종류인 FW퇴비가 되는 것으로서 혼합비율은 제품의 15%정도 (염분농도 1%이하가 되기 위한 혼합률.. 2013. 3. 14. 퇴비 국가 회의를 하는 동안 아이디어가 떠올랐다. 늘 폐기물로 생각하던 것들이 Duke의 모든 활동에서 지속가능성을 최대화하려고 노력하는 캠퍼스 지속가능성 위원회의 회의에서는 주요 주제가 되었다. 이 특별한 회의에서는 자연스레 어떻게 하면 폐기물 처리 과정을 줄이고 결국에는 그것을 근.. 2013. 3. 14. 인간과 가축의 똥을 재활용하는 것이 지속가능한 농업의 핵심 수세식 변기가 편리하긴 하지만, 농토에 공급할 중요한 영양분을 차단시켜 식량 생산을 화석연료에 의존하게 만들기에 생태적 파괴를 불러온다. 그러나 한국과 중국, 일본 등 동아시아에서는 4000년 동안 인간의 똥오줌을 매우 소중한 자원으로 활용했다. 특히 중국에서는 사람 똥을 특별.. 2013. 3. 1. [스크랩] 이 사진의 이장면 그때를 아십니까? 70년대 퇴비증산운동... 새벽종이 울렸네. 새아침이 밝았네..... 이른 아침부터 울려 퍼지는 새마을 노래와 함께 한집에 한명씩 의무적으로 나와 골목길을 쓸던 그 시절... 당연한 듯 생각했기에 불만도 없었던 기억이 있습니다. 요즘 신세대분들은 예전에 마을 입구에 가면 쉽게 볼 수 있었던 이 퇴비더미 사진을 .. 2013. 2. 7. 이전 1 2 3 4 5 다음 반응형